안녕 기붕이들
다들 요즘 1회차 기사시험으로 일반기계기사를 많이 치는것같아서 내가 어떻게 공부를 했는지 알려주려고한다( 불합격했을때 공부법이 아닌 합격했을때 공부법임 )
-필기
솔직히 나는 말만 정공자였지 비전공자랑 별반 차이가 없었음... 근데 왜 2주만 공부했냐고?? 그건 내가 ㅈㄴ 게으른 새끼기 때문이다.. 솔직히 필기 신청할때부터 합격한것 마냥 쳐놀고만 있다가 시험이 2주밖에 안남았다는것을 깨닫고 그때부터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는척)를 시작했음
우선 여기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ㅇㅇㅂ 일반기계기사 필기책을 샀을거라고 생각함 나도 그거 샀다 그거 말곤 일절 다른거 아예 안봤음
처음에 책을 보면 " ㅅㅂ 책 ㅈㄴ 두껍네 이거 들고다니기도 ㅈ같다 " 라고 생각을 할거임 ㄹㅇ 책 ㅈㄴ 무겁다 혹시나 지금이라도 책을 구매안한 기붕이들은 반드시 분철 해놓을걸 사는것을 추천한다.. ( 어차피 한번 공부할때 기출 뺑뼁이 아니면 여러 과목 보는것도 힘듦 )

일단 처음 책을 펴보면 각 단원 앞에는 개념들이 총집합해있고

개념 다음으로는 "핵심 예제"라는 문제들이 ㅈㄴ 모아져 있다
그리고 핵심 예제를 보면 맨 위에 보이듯이 제 1장 하중이라고 적혀져 있음. 앞에 나와있는 개념들 순서대로 핵심 예제들도 제 1장, 제 2장 이렇게 나누어져 있다고 보면 된다 ㅇㅇ

그리고 맨 뒷장에는 기출문제가 ㅈㄴ 모여져있음
자 그럼 필기 공부할때 개념, 핵심예제, 기출 이 셋중에 무엇을 보면서 공부를 해야하는가? 그건 바로 "핵심 예제" 다
??? : 핵심예제보다 기출을 뺑뺑이 돌리는게 더 낫지 않나요?
물론 기출 뺑뺑이 돌려도 됨 ㅇㅇ 근데 내가 말하고 싶은건 "기출"에 나와있는 문제가 "핵심 예제"에도 나와있음 ㅇㅇ 이건 모든 문제가 나와 있는진 모르겠는데 아마도 ㅇㅇㅂ이 기출 중에서도 최다 빈출이거나 중요한 문제들을 모아 놓은걸로 보임
그리고 더 중요한건 기출뿐만 아니라 기출을 변형 시킨 문제들도 많이 있다는거임 ㅇㅇ
자 이제부터 각 과목마다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공부법을 알려줄게
-1,2,3 과목
내가 이 세 과목을 합친 이유는 문제 풀이가 대부분인 과목이라서 그럼 1,2,3 순서대로 재료,열,유체임
문제풀이가 대부분인 과목이기 때문에 진짜 각 장마다 중요한 공식 한 두번보고 바로 문제풀이 시작하면 된다 ㅇㅇ 어차피 밑에 풀이가 있으니까 막히면 그거 보고 한번 풀어보고 각 장마다 연달아 있는 문제는 ㄹㅇ 숫자만 바꿔놓은 수준이기 때문에 쓰이는 공식은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자 그런데 내가 아무리 문제를 바로 풀어보고 모르겠으면 풀이를 보라고 했지만 그 중에서도 중요한 부분은 이해를 기반으로 한 다음에 암기 하는것이 훨씬 좋다
예를 들어서 재료역학의 경우, 단면 2차 모멘트의 공식이 왜 이렇게 나오는지 적어도 증명 방법을 한번이라도 보는게 훨씬 좋음 단면 2차 모멘트 증명 방법만 알아도 여기 묶여있는 극단면 2차 모멘트, 단면 계수, 극단면 계수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알게 될테니까 한번 이해만 하면 거의 평생 가져갈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것이다
근데 문제풀이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게 있음 예를 들어서 본인이 1과목 핵심예제를 전부 다 풀고 2과목 3과목 이렇게 넘어가다보면 분명 앞에 풀었던 문제중에서 풀이가 어떻게 됐는지 생각 안나는 문제가 무조건 있을거임
그때마다 문제 위에다가 O,X,△ 표시를 적절하게 사용해보자 예를 들어서 문제중에 바로 풀리는 문제에는 O를 적고 좀 긴가민가 or 부분적으로만 아는건 △ 아예 모르는건 X 이런식으로 표시만 제대로 해두고 다음 과목으로 넘어가기전에 세모와 엑스표시 문제만 한번씩 더 보면 그나마 오래 가져갈 수 있음 ( 근데 내가 앞서 말했듯이 똑같은유형의 문제가 숫자만 바꿔서 있는 경우가 ㅈㄴ 많기 때문에 이것만 고려하면 문제 생각보다 얼마 안됨 ㅇㅇ )
2,3 과목도 위랑 똑같이 하면 되고 ㅇㅇ
-4,5 과목
4,5 과목은 1,2,3 과목이랑 다르게 2개의 과목이 하나로 합쳐져 있다고 보면 된다 ( 4과목 = 기계재료 + 유압기기 , 5과목 = 기계제작법 + 기계동력학 )
여기서 기계동력학을 제외하곤 대부분 암기 문제들만 출제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바로 문제풀이로 들어가라
암기 과목인데 바로 문제 풀이하면 의미가 있냐고? ㅇㅇ 암기 과목이라서 의미가 있는거다
기계재료, 유압기기, 기계제작법 개념 파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ㅆㅂ 개념이 ㅈㄴ게 많다 진짜 이건 ㅇㅇㅂ 책에 적힌거 말고도 ㅈㄴ 많음 이거 다 보고 문제 풀이 들어가려고 하면 ㅈㄴ 재미도 없고 시간도 ㅈㄴ 걸린당
그래서 이 모든 개념을 본 다음에 문제를 푸는 것보다 걍 문제 풀이 하면서 내가 몰랐던 개념을 그때 그때마다 외워주는식으로 가져가는것이 낫다
암기 과목의 장점은 솔직히 이해 안하고 무지성 문제풀이 암기만 해도 점수 잘 받을 수 있음 ㅇㅇ
+기계동력학
아 이건 솔직히 나도 공부 안해서 뭐라 말은 못해주겠는데 나같은 경우 2022년 제 1회차에서 기계동력학 10문제중에 내가 2문제 풀고 나머지 다 찍어서 겨우 5문제 맞췄다
진짜 과락만 안나오게만 간단한 문제만 어떻게 푸는지 보거나 공부할 사람들은 다른 게시글을 참조하여 공부하기 바란다 흑흑
-실기
대망의 실기파트다 내가 여기서 2번 운지했음
우선 실기는 필답+작업이 있고 여기서 가장 ㅈ같은게 작업형임 ㅠㅠ
작업형이 가장 ㅈ같은 이유는 우선 어떤 도면이 나올지 모르는 불확실함이 존재하고 필기,필답처럼 가채점조차 할 수 없는게 가장 큰 ㅈ같음이다 ㄹㅇ
필답+작업 합쳐서 60점만 넘기면 된다 필기에는 과락이 있지만 실기에는 그런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 필답 50점맞고 작업 10점 맞아도됨 반대도 가능 )
필답형부터 살펴보자
나는 필기와 똑같이 ㅇㅇㅂ의 필답형 교재를 사용했다 가장 많이들 사용하는 교재이기도 하고 솔직히 이거 사기전까지는 ㅇㅇㅂ말고는 아무도 몰랐음..
ㅇㅇㅂ말고도 ㄹㅆ,ㅁㅍㄷ 등 여러 교재가 있으니 본인이 무엇을 사용할지는 본인 선택이다

목차는 뭐 나사, 키 핀 코더, 리벳, 용접 등 전공 수업때 배운것과 똑같이 각 기계요소별로 나누어져 있다

여기에 각 장 앞에는 개념이 등장하고

개념이 끝나면 필기랑 똑같이 관련 문제들이 기다리고 있다
필답형 준비는 생각보다 간단함 근데 여기서 간혹 인강이나 학원을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거 같은데 시간도 ㅈㄴ 아깝고 돈도 돈이고 하기 때문에 나는 솔직히 비추다 왜냐면 전공자 기준으로 봤을땐 어차피 니들 다 배운거고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대충 알고있지 않음? 근데 진짜 나는 혼자 독학하기 ㅈ같을거 같다면 학원은 진짜 아니고 인강정도는 ㄱㅊ다고봄 ( 근데 ㄸㅂㅆ은 되도록이면 걸러라 )
나사 리벳 용접 축... 등 각 파트별로 뭐 특별한 공식이 따로 존재하는것도 아니고 진짜 문제를 풀다보면 알게 될텐데 대부분 하나의 공식에서 전부 변형되어 나온 공식들이 대부분이다 ㅇㅇ 그러나 예외는 있음 베어링, 스프링, 플라이휠 등 <-- 이새키들은 진짜 무지성 공식 암기해서 대입해서 풀어야 한다.. 뭐 증명해가지고 어떻게든 공식을 이해하는 방법도 있긴 하겠지만 그거 공식유도가 ㅈㄴ 길고 이해도 ㅈ같을거라서 걍 무지성 암기하는게 백배 낫다 ㄹㅇ
근데 가끔 가다가 문제를 어떻게 푸는지 몰라서 풀이를 봤는데 진짜 풀이를 봐도 이해가 안되는 거지같은놈들이 몇놈 있음 이때는 유튜브 공짜 인강을 활용하도록 하자 나는 raf 기계스토리라는 것을 봤음 진짜 자기 혼자 몇시간동안 고민하는거보다 20분정도 되는 이분 영상 하나 보는게 효율이 더 좋으니까 참고하셈
필기랑 마찬가지로 뒷부분에 가면 갈 수록 앞에서 공부한것이 치매걸린거 마냥 싸악 날아가게 되므로 다음 파트 넘어가기전에 자신이 잘 모르던 문제, 실수한 문제 체크 필수로 하고 한번씩은 보고 다음 파트 넘어가자
그리고 항상 필답형 시험 다가오면 많이 하는 질문들이 있는데
??? : 평기어 헬리컬기어만 하고 전위기어, 베벨기어, 웜기어 버려도됨?
??? : 전 회차때 전위기어 나왔는데 이거 이번엔 안나오겠지? ㅋㅋㅋ
??? : 야 최대빈출 이것만 보면 30점 이상 가능이냐?
이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을 해주겠음
일단 첫번째 질문 -> 절대 버리지마라 버린다는 마인드로 하면 그때부터 ㅈ되는거임 무조건 모든 문제를 풀어보고 공식을 암기해서 가라
두번째 -> 2022년도를 기준으로 말해주자면 일단 나는 앞서 말했듯이 3수생이므로 1,2,4회차 전부 쳤었다 ( 4회차때 합격함 ) 그때 1회차때 전위기어 나왔는데 2회차 시험을 준비할때 '1회차때 전위기어 나왔으니까 2회차때는 안나오겠지??' 라고 ㅄ같은 생각을 하고 갔다가 바로 필답형 출제자한테 야구빠따로 뒷통수 쳐맞았다.. 그래서 정신차리고 4회차때는 혹시 몰라서 전위기어 보고 갔는데 개씨발 4회차때도 나오더라 ;; 이처럼 1년에 있는 총 세번의 시험에서 똑같은 개념 똑같은 문제가 전부 출제 될 수 있음을 말하고 싶은거다 절대 이딴 생각 하지마라 ㄹㅇ;
세번째 -> 당연히 최다빈출을 많이 보는게 좋긴하다 근데 이게 ㅈㄴ 안나오는 개념은 보1지말라는게 아니다 예를 들어서 나는 아직도 생각나는게 1회차때 유니버셜 조인트라는 ㄹㅇ 게임에서 나올랑말랑하는 레어템마냥 거의 등장하지 않는 개념이 있었는데( 이거 ㅇㅇㅂ 책에도 핵심예제에 단 1문제만 나옴 ) 나도 그때 기갤에다가 "유니버셜 조인트 이거 뭐임? 개념도 설명한거 없는데 문제 딱 1개 있던데 보고 가야함?" 라고 질문하고 에이 안나오겠지 하다가 바로 쳐나오더라 ㅋㅋㅋㅋㅋㅋㅋ 원래 시험이라는게 ㄹㅇ 본인이 열심히 본건 안나오고 안본건 나오는듯ㅠ 그래서 핵심예제 풀다가 1~2문제 나온것도 진짜 무조건 어ㄸ떻게 푸는지만 봐두셈 그것만 봐도 필답형 시험에서 맞출 수 있다 진짜
마지막으로 또 많이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을 해주겠음 필답형 시험지에 대한 질문이다

위에 그림에서도 알 수 있긴 하지만 글로도 설명하겠음
1. 스테인플러철이 위쪽 양쪽에 되어있음 나는 처음 시험 보러 갈때 적어도 필기시험처럼 시험지가 아예 붙어 있는건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더라 그래서 위로 넘길때마다 찢어질까봐 불안했음 씨발
2. 연습란에는 볼펜 샤프 ㄱㄴ 암거나 적어도 된다 근데 답안지에는 무조건 볼펜만 써야함
3. 각 소문제마다 밑에 풀이를 적고 답적는 칸에 최종 답을 적으면 된다 그런데 이때 단위를 적어야하냐 말아야하냐 그런 질문들이 가끔 들어오는데 위에 파딱의 길이에 있는 답란을 보면 오른쪽에 mm라고 있지? 이게 적혀있으면 니들이 굳이 단위까지 쓸필요는 없다 ㅇㅇ 근데 2번째 주딱의 무게처럼 단위가 만약에 안적혀있으면 니들이 무조건 적어야함
나같은 경우에는 걍불안해서 단위 전부 적었으니까 너네도 걍 다 적어라 이게 맘편하다 ㄹㅇ
그리고 많이 하는 질문들
Q. 지워지는 볼펜 써도 되용? -> A. 이건 일단 규정에는 지워지는 볼펜 쓰면 안된다고 했는데 저기 저 7시에 사는 교수는 이 규정이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테스트로 써서 제출을 해봤다는데 별말없이 정상적으로 채점됐다더라 ㅇㅇ 근데 내 생각에는 일말의 실격 사유를 아예 안만드는게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걍 일반 볼펜쓰삼
Q. 연습란 칸 어느정도에요? -> A. 연습란 칸 작지도 않고 크지도 않음 근데 글씨가 큰 경우에는 좀 모자를수도 있다
Q. 답안지에 샤프로 쓴다음에 그 위에 볼펜으로 쓰고 샤프로 쓴거 지워도 되나용? -> 이거 가능은 한데 이렇게 하다가 시간 부족해가지고 못지웠다고 한 기붕이 봤었거든? 걍 싀바 답안지에는 되도록이면 볼펜만 써라 제발
Q. 소문제마다 부분점수 있나요? -> 부분점수 있다 ㅇㅇ 소문제 1개당 1점임 이건 그 문제가 몇점이든지간에 전부 똑같음
이외에 질문같은거 또 생기면 추가하겠음..
필답형은 필기처럼 걍 문제 많이 풀면 좋은 점수가 나올거임 ㄹㅇ 근데 요즘들어서 1회차 유니버셜 조인트, 나사의 탄성체결력 2회차 코터이음 4회차 편심하중 축, 응가스프링처럼 개씨발 안나오던 개념이 나오고 해가지고 이 부분을 좀 신경쓰면 좋겠다
자 이제 일반기계기사에 로또기사라는 별명을 붙이게 해준 작업형 씹새끼에 대해 알아보자
작업형은 시험시간이 5시간으로 정말 길고 과정도 복잡하고 암튼 ㅈ같다 이것도 필답형처럼 50점이 만점이다
작업형은 다들 알고 있듯이 제한 시간내에 주어진 도면을 3D와 2D로 완성해내는게 목표임 그리고 배점은 3D가 10점이고 2D가 40점이다 그럼 여기서 질문이 또 들어온다
??? : 3D 개망치고 2D에서 점수 ㅈㄴ 잘받으면 되는거 아님? ㅋㅋㅋ
이 말이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왜냐? 일단 작업형은 PC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치는 방식인데 보통 2D는 오토캐드를 많이 이용하고 3D는 인벤터를 많이 씀
여기서 오토캐드랑 인벤터 같이 쓰는건 안해봐서 모르겠는데 나같은 경우에는 7시 교수의 강의를 들어서 2D,3D 전부 인벤터를 이용했음
인벤터로 전부 하려면 과정이 어떻게 되냐면 우선 3D툴로 모델링을 한 다음에 이걸 2D도면으로 넘겨서 도면작업을 하거든 근데 만약에 3D 모델링이 개쳐망한다면 2D는 안봐도 똑같이 쳐망한다 즉 블럭을 쌓는 과정에서 아래쪽에 있는 블럭이 튼튼해서 위쪽이 운지안하고 잘 견딤 만약에 3D를 도저히 못그리겠다? 그럼 씨발 2D도 안되는거임 ( 근데 3D못그렸다고 2D 도면작업을 아예 못하는건 아님.. 2D를 직접 그린 기붕이도 있더라; )
그러니까 무엇보다 작업형에서는 투상능력이 아주 중요하다
일단 나는 7시 교수 강의를 기준으로 설명을 해줄게 어차피 근데 다들 비슷할거임 ㅇㅇ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ecd4acbf7]()
처음에 7시 교수는 모델링이 낯선 기붕이들을 위해서 무슨 레고 블럭같이 생긴놈들을 그리라고 지시하는데 나는 솔직히 이게 큰 도움은 안됐다 ㄹㅇ 블럭 저거 씨발 솔직히 걍 아무나 다 그림 우리가 작업형 시험에서 마주해야하는 도면은 이와 같은 간단한 것이 아니라... ( 아씨발 글쓰다 날라감 개좆같네 )

이런 ㅈ같은 도면을 실제 시험장에서 그려야함 근데 이건 ㅈㄴ 쉬운도면이다 ㅋㅋㅋㅋㅋㅋ
근데 걱정안해도됨 ㄹㅇ 나같은 ㅄ도 합격했으니 우리 기붕이들 모두 합격할수있다
걍 작업형은 진짜 강의대로 모델링하다가 따라 그리면 어느순간 실력이 늘어나있음 ㄹㅇ
ㅎㄳ 또는 ㄹㅆ 본인들의 입맛대로 골라서 듣길 바람
투상능력을 기르기 위해선 빨간책을 추천함 ㅇㅇ ( 가로로 긴 빨간색 책 있음 )
우선 ㅎㄳ 강의 기준으로 Lv 1 도면 다그리고 시간 남으면 빨간책에 있는 도면들 눈으로 투상하는 정도만 해도 합격 할거임 ㅇㅇ
가장 궁금해하는 시험장 모습을 알려주겠음

시험장에 들어가면 보는것과 같이 감독관이 무슨 던전에 있는 몬스터가 배회하듯이 4~5명 정도가 기웃거리고 있고 자리가 따밖따밖 붙어있음
그리고 시험 20분전에 ㅄ같이 생긴 번호표 뽑으라고함

위에 무슨 빨래집게마냥 생긴 클립? 있는데 이걸로 옷에 걸어서 고정시키라고함;
그리고 컴퓨터에 자기 번호로 폴더만들어라고 지시하고 " 앞으로 생기는 파일은 무조건 거기에 집어넣으세요 " 라고 한다
- 프린트 할때

다하면 걍 손들고 "다했어요"라고 말하면 NPC한명이 USB들고 일로 온다
그러면 처음에 만든 폴더만 유에쓰비에 넣으라고 하고 파일 다 넣을때까지 ㅈㄴ 째려보더라 시발
그러고나서 프린트 컴퓨터로 이동해서 유에쓰비 꽂은 다음에 프린트하라고 하는데

ㄹㅇ진짜내옆에 딲붙어서 나 프린트횟수 초과하는지 ㅈㄴ 지켜봄 ㅁㅊ놈 개신경쓰여서 안하던 실수 할거같더라 진짜
프린트 다하면 제출할 용지에 이상없는지 확인하라고 함 이름이랑 뭐 도면 상태 이런거 확인하고 나가면 된다~
1회차에 일기기보는 기붕이들 다들 화이팅이고 나도 합격했으니까 늬들도 무조건 원트만에 합격할 수 있을겨 ( 게을러서 나처럼 3트 하지마센 ㅠ )
쓰다보니까 걍 내가 시험친 후기같네 씌발 ㅋㅋㅋ 수정할거나 질문할거 있으면 언제나 대환영이고 였머거 엘렐레ㅔ~~
( 개씌발 이거 쓰다가 2번 쳐날아가서 작업형도 원래 많이 쓸려고 했는데 ㅈ같아서 오늘 못쓰겠다 나중에 기회되면 수정해서 추가하겠음; )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