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all.dcinside.com/m/masterduel/756925 2부 링크
목차
1. 히어로는 어떤 덱인가?
2. 덱리 예시
3. 장단점
4. 카드 소개
5. 다크 로우의 위력
6. 기본 전개 루트
7. 운영 팁
8. 덱별 상대법
9. 마치며
1. 히어로는 어떤 덱인가?
선공 전개, 중후반 운영, 후공 원턴킬이 모두 가능한 올라운더 덱 + 광역 제거에 약하지만 상대 카드 광역 제거도 잘하는 유리대포덱.
물론 올라운더라고는 해도 그 육각형의 크기가 십이수트라게 같은 1티어 올라운더에 비하면 많이 작음.
그래도 상대 묘지 봉쇄와 상대 필드 한정 스드, 어마어마한 화력으로 차별화할 수 있음.
이상하게 후공덱으로 알려져있는데, 덱 구성에 따라 후공에 힘을 실어줄 수도 있지만 보통은 선공에 더 강한 덱임.
코나미의 편애를 많이 받아서 유희왕 OCG 역사상 제일 롱런 중인 테마이기도 함.
미래시를 보자면 퓨전 데스티니가 금지되고 그 대신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와 브레이드 더 데스티니, 디나이얼 가이 등을 지원받을 예정.
최근 오프에서는 Wake Up Your E.HERO라는 신지원을 받아서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음.
* 이런 사람에게 추천
1) GX를 좋아한다. 히어로 최고 듀얼 최고!
2) 전개덱 해보고 싶은데 다들 쓰는 덱은 싫다
3) 날먹도 가능하고 후공돌파도 가능한, 선후공 밸런스 좋은 덱이 좋다
* 이런 사람에게 비추천
1) 비싼 덱은 싫다
2) 퍼미션이 없으면 불안해죽겠다
3) 전개는 귀찮다
2. 덱리 예시


시즌1, 시즌3에 플래티넘1 찍었고 최근 17승 3패 기록 중인 내 덱
후공보단 선공에 힘을 준 구성이고,
취향 따라 커스텀 여지가 정말 많은 덱이니까 절대적으로 신뢰하지 말 것
- 몬스터 -
증식의 G x 3
비전 히어로 인크리스 x 2
하루 우라라 x 3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x 2
비전 히어로 바이온 x 2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 x 2
데스티니 히어로 디시젼 가이 x 1
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 x 1
비전 히어로 화리스 x 3
데스티니 히어로 다이너마이트 가이 x 1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 x 2
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 x 1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 x 1
- 마법-
융합 x 1
증원 x 1
미러클 퓨전 x 1
히어로 얼라이브 x 3
퓨전 데스티니 x 3
마스크 체인지 x 3
무덤의 지명자 x 2
금지된 일적 x 3
- 엑스트라덱 -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x 2
마스크드 히어로 블래스트 x 1
데스티니 히어로 데들리 가이 x 1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 x 1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 x 1
비전 히어로 트리니티 x 1
마스크드 히어로 애시드 x 1
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 x 1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토피아 가이 x 1
엑스트라 히어로 원더 드라이버 x 1
엑스트라 히어로 크로스 가이 x 2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 x 1
엑스트라 히어로 드레드 버스터 x 1
* 추가 투입 가능한 카드들

1) 데스티니 히어로 디바인 가이
- 디시젼 가이 빼고 투입 가능. 보통 이 둘 중에 하나 고름

2) 원시생명체 니비루
- 전개덱이 많으면 투입 가능


3) 해피의 깃털, 라이트닝 스톰
- 엘드리치, 진룡 넘쳐나면 투입 가능


4) 이블 히어로 어더스터 골드 + 다크 콜링 + 이블 히어로 마리셔스 베인
- 후공에 힘 주고 싶으면, 마스크드 히어로 블래스트 빼고 투입 가능

5) D-포스
- 블루-D에 힘을 더 실어주고 싶으면 투입 가능
3. 장단점
* 장점
1) 성공 확률이 높고 응용 루트가 많은 초동








- 방금 AI 상대로 8번 돌려서 나온 선공 패들. 모두 2가지 이상 초동 전개가 가능한 패들임.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비전 히어로 바이온, 비전 히어로 화리스, 히어로 얼라이브, 퓨전 데스티니 등등 시동을 걸 수 있는 카드 종류가 굉장히 많음. 과장 안 보태고 메인덱의 절반이 초동 요원들. 심지어 하급 어둠 속성 히어로 + 마스크 체인지만 잡혀도 그게 강력한 초동이 됨. 그래서 우라라에 막혀도 플랜B, 플랜C를 짜기 쉬움. 패 말려서 지는 판이 별로 없는 덱.
2) 널널한 조건으로 나오는 고화력 필드

- 내가 후공이고 상대 방해가 없으면 이런 필드를 만드는 건 정말 일도 아님. 서로 시너지를 일으켜서 공격력을 올리거나 광역 파괴를 하는 카드들이 널려있어서, 제거 능력과 깡화력만 놓고 보면 최상위권에 위치함. 선라이저와 드레드 버스터의 타점 강화 능력, 앱솔루트 Zero와 애시드의 전체 제거 능력, 거기다 비전 히어로 트리니티 + 어니스티 네오스 콤보라면 7500 타점으로 무려 3번 공격이 가능함. 최소한 화력 싸움에 밀려서 지는 일은 별로 없음. 그래서 일적 하나만 잡히면 후공에도 깡패라는 말이 나오는 것
3) 혼자 게임을 터뜨릴 수 있는 에이스의 존재


- 다크 로우, 블루-D에 막혀서 모든 전개가 꼬여버리고 게임이 터져버린 상황.
흔히 다크 로우를 딕 학살자라고 부르지만 대부분의 티어덱에도 매우 아프게 박힘. 특히 드라이트론처럼 파괴수 기용을 안 하고 묘지가 생명인데다 기본 타점이 낮은 전개덱들은 수비 표시 다크 로우 하나 못 뚫어서 칼서렌 하는 판이 많음. 설령 어찌저찌 뚫더라도 그 과정에서 자원 손해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크 로우 하나만 달랑 올려놓은 히어로 입장에선 중후반 운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음.
블루-D야 스킬드레인의 악명이 이미 자자할 테니 설명 생략.
4) 로망
쥬다이, 에드가 쓴 덱을 우리도 쓸 수 있다


* 단점
1) 너무나 부족한 덱 스페이스
- 히어로 필수 카드들을 다 넣었을 경우, 메인덱 40장 기준으로 범용 카드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고작 11칸, 우라라와 증식의 G를 제외하면 고작 5칸임. 해깃이나 라스톰조차 빠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함.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덱을 뚱뚱하게 짜거나 증식의 G/하루 우라라 투입을 줄이는 등등 유저들이 발악을 하지만, 근본적으로 히어로 카드가 너무 많이 필요하다는 문제는 해결되지 못했음. 후술할 이후 단점들은 대부분 여기서 비롯됨.
2) 선공 빌드 돌파력이 빈약함
- 사이버 드래곤처럼 자체적인 메커니즘으로 퍼미션 카드를 제거할 수 있거나(메가프리트&포트리스), 누메론처럼 아예 범용 돌파 카드를 꽉꽉 눌러담은 덱과 비교하면 매우 초라해지는 단점. 퍼미션 앞에서 정말 손 쓰기가 힘듦. 그 흔한 아폴로우사 하나 못 뚫어서 몸 비트는 덱임. 그나마 해결책은 니비루나 일적 정도인데, 상술한 덱 스페이스 문제 때문에 많이 투입할 수 없다는 게 문제. 대부분은 일적 3장 쑤셔넣고 기도함.
3) 퍼미션이 없음

- 몬스터/마법/함정 효과를 틀어막는 카드가 부족함. 사실상 블루-D의 스드 효과 빼면 없다고 봐도 무방함. 그래서 저렇게 안일하게 공격표시로 주르륵 전개해놓으면 라스톰 한 방에 게임이 터짐. 설령 라스톰 의식해서 핵심 몬스터들을 수비 표시로 눕혀놓는다고 해도 원더 드라이버나 선라이저 같은 카드들의 손실은 피하기 힘듦. 게다가 번개면 이마저도 불가능함. 유리대포덱이라고 한 이유가 이것. 상대 필드를 부수기는 쉬운데, 반대로 이쪽도 심심하면 부숴짐. 그래서 히어로의 선공 빌드는 퍼미션보다는 다크 로우의 묘지 봉쇄와 앱제-마체 콤보로 발생하는 프리체인 번개+해깃에 기대는 편임.
4) 가격
- 비싸다. 진짜 엄청 비싸다. 단순히 UR 수만 많은 게 문제가 아니라, 그 많은 UR들이 무려 3종류의 시크릿 팩에 흩어져있고 + 다른 덱에서 용병으로 쓰기 힘든 전용 UR가 대부분이라 오로지 히어로 하나만 보고 돈을 써야 함. 그나마 범용 소스라도 많은 파괴수카구야에 비하면 이 단점이 특히 부각됨. 대가리가 깨져도 히어로를 하고 싶은 게 아니면 사람을 정말 망설이게 하는 가격.
4. 카드 소개
* 다 쓰자면 분량이 너무 길어져서 핵심 요원만 정리. 세세한 활용법은 전개 루트에서 설명

- 전통적인 히어로덱 서치 요원. 운영전으로 가면 1번 효과도 쓰지만 대부분은 2번 효과를 위해 투입함. 과거에는 무조건 3장 투입이었는데 요즘엔 2장이 대세. 왜냐하면 다른 초동 카드의 종류도 늘어났고, 무엇보다 일반 소환권이 여기에 빠지면 리퀴드맨-섀도우미스트 소생 콤보가 막히기 때문에 3장까지 넣을 필요는 없음. 그래도 히어로 얼라이브로 부르는 1순위 카드인데다, 어니스티 네오스를 서치해서 스스로 4300의 타점까지 낼 수 있는 등 응용력도 뛰어나기 때문에 소중한 카드임. 옛날 카드라서 카드명 효과 턴 제약이 없는 것도 장점.
상술했듯이 2장 투입.

- 에어맨보다 훨씬 중요한, 히어로 메인덱 소스의 알파이자 오메가. 히어로 얼라이브로 소환할 몬스터 우선순위 2위. 패에 마스크 체인지가 없으면 마스크 체인지를 가져오고, 마스크 체인지가 있으면 히어로를 서치해서 전개 루트와 화력을 늘려주는 효자 그 자체. 히어로의 복잡한 전개들은 대부분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해서 마스크 체인지를 서치하기 위한 수단임. 단점이라면 연계할 카드(리퀴드맨, 히어로 얼라이브, 화리스)가 없을 경우 단독으로는 아무런 힘을 못낸다는 거.
2장 투입.

- 히어로덱 전개의 시작을 알리는 엔진. 일반 소환권이 생명인 히어로덱에서, 일반 소환권을 안 쓰고 인크리스 + 바이온 필드를 만들 수 있다는데서 성능은 입증됨. 묘지로 가면 더 이상 쓸모가 없기 때문에 아무런 부담 없이 코스트로 제외할 수 있음. 단점이라면 레벨이 5라서 증원으로 서치가 안 됨. 이게 됐으면 히어로 선공 루트가 훨씬 다양해졌을 듯.
가끔 2장인 덱리도 있지만 대부분은 첫 패에 잡을 확률을 늘리기 위해 3장 투입.

- 유일하게 패에 혼자 잡혀도 전개를 할 수 있는 초동 요원. 선공이라면 디아볼릭 가이를 덤핑해서 아나콘다-디스토피아 가이로 이어갈 수 있고, 후공이라면 섀도우 미스트를 덤핑하고 리퀴드맨을 서치한 다음, 융합을 서치해서 곧바로 선라이저 루트가 가능함. 화리스 전개의 종착지이기도 함. 디아볼릭 가이, 섀도우 미스트 등 덤핑해서 이득 보는 카드가 많은 히어로덱에선 정말정말 소중한 요원. 인크리스 다음으로 우라라를 아프게 맞는 카드.
보통 2장 투입. 가끔 3장 투입.

- 화리스 전개의 목적이자 이상적인 크로스 가이 소재. 얘 소환과 효과까지 패스되면 히어로 전개의 90%는 성공했다고 봐도 무방함.(나머지 10% 변수는 니비루) 3번 효과로 바이온을 특수 소환한 다음, 바이온으로 디아볼릭 가이나 섀도우 미스트를 묻으면 전개의 포석이 끝남. 곧바로 크로스 가이로 이어갈 수 있기 때문에. 프리체인으로 히어로를 탈출시켜서 특수 소환하는 능력도 응용하기에 따라 쏠쏠함.
단, 주의점이 몇 가지 있는데 패에 이 카드가 2장 잡히면 마스크 체인지 소재로밖에 못 씀. 그리고 결정적으로 우라라를 진짜 너무너무 아프게 맞는 카드임. 상대가 히어로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얼라이브를 패스시키고 여기에 우라라를 던짐. 그럼 크로스 가이를 소환하려면 일반 소환권이 빠지기 때문에 마스크 체인지 확정 서치가 무산됨. 실력으로 무명자 잡는 수밖에.
2장 투입.

- 딱 1장 투입되지만, 그 가치가 어마어마한 카드. 섀도우 미스트를 소생시켜 마스크 체인지를 서치하고, 혼자 속성이 따로 놀아서 선라이저의 1순위 융합 소재가 되는데다가 묘지로 가면 앱솔루트 Zero의 소재로 이어짐. 소생 효과를 안 쓰고 패 융합하면 아드까지 벌어줌. 히어로덱에서 일반 소환권을 아껴야 하는 이유는 오로지 이 카드와 섀도우 미스트의 연계 때문임. 보통은 크로스 가이로 서치함.
1장 투입.

- 데스티니 히어로 중에서 중요도가 제일 높은 카드이자 화리스or바이온 효과로 덤핑하는 카드 1순위. 크로스 가이로 소생시켜서 서치 효과를 쓰고도 필드 위에 한 번 더 불러낼 수 있기 때문에 선라이저 소재, 원더 드라이버 소재, 데들리 가이 소재, 마스크 체인지 소재, 금지된 일적 코스트 뭐로든 유용하게 사용 가능함. 그 대신 패에 2장 잡히면 망함.
무조건 2장 투입.

- 디스토피아 가이의 탄환이자 원턴킬 카운터 카드. 필드 위에 선라이저가 없다면 디스토피아 가이를 부를 때 반드시 얘를 소재에 포함해야 효과를 쓸 수 있고, 선라이저가 있다면 디스토피아 가이의 제거 효과를 총 2번 쓸 수 있게 됨.(선라이저 효과로 오른 타점을 내리고 1번, 그리고 이 카드 효과로 올리고 1번 더.) 그리고 상대가 원턴킬(ex:누메론, 파라디온)덱인 걸 확인하고 섀도우 미스트로 히어로를 서치할 때는 반드시 얘를 가져와야 함. 액세스코드 토커 각이 보일 때도.
1장 투입.

- 핵심 초동 카드. '일반 소환권을 안 쓰고' 덱 특소를 하는 카드이기 때문에 리퀴드맨의 소생 효과도 쓸 수 있고, 증식의 G가 날아오면 그냥 섀도우 미스트 특수 소환한 다음에 마스크 체인지 서치하고 세트 엔드하면 끝이기 때문에 증G 케어까지 가능함. 패에 다른 초동 루트가 있을 경우 우라라 빼기까지 가능함. 심지어 옛날 카드라 카드명 턴 제약조차 없어서, 패에 2장 잡히면 첫 우라라 맞아주고 2번째 카드 발동해주면 됨. 단점이라곤 라이프 절반 소모뿐.
첫 패에 잡히면 무조건 좋은 카드이므로 3장 투입.

- 히어로 얼라이브 다음으로 든든한 원핸드 초동. 패에 디아볼릭 가이만 안 잡혔다면 이 카드 1장만으로 다크 로우나 디스토피아 가이가 튀어나오는데다, 상황에 따라 다음 턴 애시드로 우회할 수도 있음. 단점이라면 발동 후 어둠 속성 히어로밖에 소환할 수 없다는 제약이 붙어있어서 앱제나 선라이저, 원더드라이버로 이어갈 순 없음. 그게 됐다면 사기겠지만.
또 단점 아닌 단점이 있는데,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통칭 D드라군)이 발매되면 금지가 유력한 카드임. 그 전에 꿀 많이 빨자.
2~3장 투입.

- 다크 로우 소환 카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지? 게다가 원더 드라이버로 재활용해서 다크 로우를 제거 효과로부터 지키거나, 앱제를 애시드로 바꿔먹을 수도 있음. 섀도우 미스트 효과로 서치할 수도 있지만, 이미 패에 있으면 그 대신 섀미의 히어로 서치 효과를 쓸 수 있으므로 전술폭이 훨씬 넓어짐. 따라서 쌩으로 패에 잡혀도 전혀 손해가 아님. 오히려 히어로 효과에 뵐러나 포영이 날아올 때 회피할 수 있어서 좋음.
3장 투입.

- 화리스-인크리스-바이온 초동 루트의 종착지이자 전체 전개의 중간다리. 보통은 D히어로를 되살려서 리퀴드맨을 서치하는 용도로 쓰지만, 이미 패에 리퀴드맨이 있을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유용한 히어로를 서치함.(ex: 어니스티 네오스, 블루-D, 다이너마이트 가이) 화리스와 마찬가지로 묘지에 가면 더 이상 쓸모가 없기 때문에 미러클 퓨전으로 제외해주면 됨.
2장 투입.

- 마스크 체인지 재활용 요원이자 다크로우+앱제+마체 선공 필드를 만들어주는 핵심. 다크로우를 먼저 소환하고, 크로스 가이 + 히어로 1장으로 이 카드를 불러낸 뒤 미러클 퓨전으로 앱제를 이 카드의 링크 앞에 소환하면 아까 사용한 마체를 재활용할 수 있음. 그러면 후술할 앱제+애시드 콤보가 성립됨. 이미 패에 마체가 있다면 미러클 퓨전을 되돌리는 것도 괜찮음. 그리고 라스톰이나 번개에 터지면 패의 어둠속성 히어로를 특수 소환해서 곧바로 마체 소재로 쓸 수 있음. 이렇게 보험 능력도 갖춘 훌륭한 엑스트라 히어로.
1장 투입.

- 미러클 퓨전 서치 요원이자 타점 낮은 수비 표시 다크 로우를 지켜주는 방패, 그리고 디스토피아 가이 효과를 2번 쓰게 해주는 서포터. 보통은 리퀴드맨 + 에어맨or어둠 속성 히어로로 소환함. 반드시 리퀴드맨을 소재로 쓰는 이유는 얠 소환한 다음 미러클 퓨전을 가져온 뒤 곧바로 앱제로 이어가기 때문임. 수비력이 너무 낮고 상대 턴에 제거돼도 다크 로우나 앱제보단 덜 아프기 때문에 대개 공격 표시로 소환함. 오히려 얘가 마함 대신 라스톰을 맞아주면 이득임.
1장 투입.

- 광역 몬스터 제거 요원. 리퀴드맨 소재로 선라이저를 부른 뒤 미러클 퓨전을 서치하고, 그 카드를 발동해서 불러내는 게 정석. 대부분은 원더 드라이버 링크 앞에 소환해서 마체 재활용까지 봄. 상대가 제거하길 기다리기보다는 드레드 버스터 링크 소재로 쓰기, 마스크 체인지로 바꿔먹기, 일적 코스트로 쓰기 등등 내가 능동적으로 없애서 효과를 씀. 선공에 다크 로우 다음으로 자주 꺼내놓는 빌드 완성품.
1장 투입.

- 앱솔루트 제로 + 마스크 체인지 콤보로 쓰는 카드. 가끔 리퀴드맨이 쓰일 때도 있지만 대부분 앱제가 소재임. 히어로가 선공에 앱제 + 마체 필드를 만드는데 사력을 다하는 이유. 앱제의 몬스터 전체 제거, 이 카드의 마함 전체 제거, 그리고 다크 로우의 묘지 봉쇄 효과가 겹쳐지면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카드를 전부 게임에서 제외한다.라는 흉악한 효과를 낼 수 있음.


이렇게 앱제를 소재로 해서 원더 드라이버 앞에 불러내면, 상대 몬스터와 마법/함정을 전부 게임에서 제외하고 방금 사용한 마스크 체인지는 다시 필드 위에 돌아옴. 히어로가 선공을 잡았을 때 엄청 자주 쓰는 국민 콤보.

- 퓨전 데스티니 1장으로 다크 로우를 부를 때 사용하는 중간다리. 퓨데로 덱의 섀도우 미스트와 디아볼릭 가이(패에 디아볼릭이 있다면 다른 D히어로를 소재로 쓰고, 얘 효과로 디아볼릭을 패에서 버리자)를 덤핑한 뒤, 디아볼릭 효과로 또다른 디아볼릭을 소환한 다음 크로스 가이를 부르고 크로스 가이 효과로 리퀴드맨을 서치하면 다크 로우 루트 완성. 이 루트의 단점은 증G 케어가 안 된다는 점.
1장 투입.

- 프리체인 제거 요원. 퓨데를 전개 시작점으로 쓴다면 데들리 가이가 나오고, 퓨데를 전개 마지막에 쓴다면 이 카드가 나옴. 선라이저 효과로 오른 공격력을 내리고 한 번, 다이너마이트 가이 효과로 공격력을 올리고 또 쓸 수 있는데다 엔드페이즈에 파괴되기 전에 마체를 써서 다크로우로 바꿔먹기도 가능. 선공에 바이온 1장만 잡혀서 정말 할 게 없을 때는 궁여지책으로 디아볼릭-아나콘다 루트를 경유해서 이 카드를 불러놓는 게 그나마 최선임.
1장 투입.
그리고....
5. 다크 로우의 위력

- 히어로덱 파워의 70% 이상을 담당하는 에이스. 소환이 매우 쉬운데도 혼자 게임을 터뜨려버릴 수 있는 능력까지 갖춘 갓갓 카드. 악명 높은 1티어덱들도 이 카드 하나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경우가 너무나 많음. 히어로 입장에선 최우선으로 소환해야 할 카드고, 상대 입장에선 어떻게든 제거해야 하는 악몽임. 이 카드 소환 루트만 달달 외워도 히어로덱을 어느 정도는 굴릴 수 있음.
일단 묘지가 봉쇄되기 때문에, '묘지로 카드가 가야 발동하는' 효과는 싸그리 틀어막힘.
이 카드로 막을 수 있는 핵심 카드들을 정리해보자.


1) 대다수의 드라이트론 전개 카드들 - 묘지로 카드가 가지 않기 때문에 디바이너의 서치 효과도 무효, 벤@는 소생하기도 전에 제외돼버리고 이바도 묘지로 가지 않아서 천사족 서치 효과가 막힘. 결정적으로 버밀리언 디클레어러는 '자신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하는 퍼미션 효과이기 때문에 아예 발동 자체가 틀어막힘.


2) 대다수의 전뇌계 전개 카드들 - 하급 전뇌계들 효과 트리거는 '덱에서 전뇌계 카드를 묘지에 보내고' 특수 소환임. 하지만 다크 로우가 서있으면 묘지가 봉쇄되므로, 전뇌계 하급 효과가 패에서 발동할 때 체인해서 마체로 다크 로우를 부르면 전뇌계 하급들은 바보가 됨. VFD? 꿈도 못 꾼다.


3) 대다수의 팬텀나이츠 전개 카드들 -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묘지에서 발동한다' 텍스트로 떡칠이 된 테마. 당연히 묘지 봉쇄 앞에선 의미없음.


4) 트라이브리게이드 하급 몬스터들 - '묘지의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하고' 링크 소환을 해야 전개가 시작되는데, 묘지가 없으면 당연히 조건 성립이 안 됨. 당연히 리볼트도, 너벨의 묘지 효과도 막힘. 하지만 이 덱은 수비 표시 다크 로우를 프랙탈 타점으로 잡거나, 드란시아로 뚫어버리는 게 가능하기 때문에 다크 로우를 보조할 수단이 필요함. 1~2티어덱 중에 선공 다크 로우를 제일 잘 치우는 것도 이 덱.

5) 황금경 엘드리치 - 다크 로우가 나와있을 경우, 1번 효과와 2번 효과가 모두 틀어막힘. 특히 1번은 대상 효과이기 때문에 섀미나 마체를 찍을 때 마스크 체인지로 체인해서 튀어나올 수도 있음. 게다가 엘드리치가 사용하는 마법/함정은 묘지로 가야 무한 순환을 통해 운영을 할 수 있는데, 다크 로우가 나온 상태에서 에어맨이나 애시드로 마함을 터뜨릴 경우 말 그대로 게임 자체가 터져버림. 선공 다크 로우 + 앱제 + 마체 필드에 그야말로 아무 것도 못하는 덱.


6) 프랭키즈 - 하급 몬스터 일반 소환에 체인해서 다크 로우를 불러주면 모든 전개가 틀어막힘. 우라라가 따로 필요없음.

7) 샐러맨그레이트 - 하급, 링크 몬스터들의 효과가 반드시 묘지와 연계돼야하기 때문에, 묘지가 봉쇄되는 순간 운영 플랜이 다 틀어막힘

8) 누메론 네트워크 - 누메론 일반 마법 카드 1장을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다크로우가 서 있으면 덤핑이 막혀서 발동을 못함. 단, 패에서 발동하는 다이렉트는 못 막음.

9) 증식의 G -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하는 패트랩이기 때문에 다크로우에 막힘.
사실 여기까지만 보면 미도라시나 초뇌룡 같은 선공 날먹 테마 에이스들보다 빈약해보일 수 있음
내성이 아예 없기 때문에 제거가 제일 쉬운 것도 사실
하지만 이 카드만이 가지는 장점이 또 하나 있는데

10) 금지된 일적 - 카드를 묘지에 보낼 수 없기 때문에 일적이 아예 안 먹힘.
3소재 이상 론고미언트, 쭈치에의 보조를 받는 V.F.D와 더불어서 일적이 못 뚫는 정말 몇 안 되는 봉쇄 몬스터. 이거 때문에 제일 피를 토하는 대표적인 덱이 드라이트론인데, 후공 드라이트론은 돌파를 대부분 일적에 맡기기 때문에 안 그래도 카운터로 작용하는 다크 로우 때문에 더 고생을 하게 됨. 범용 돌파 카드로 파괴수 대신 일적을 패에 잡은 누메론도 마찬가지. 이 메리트가 생각보다 커서, 수비 표시 다크 로우를 손쉽게 돌파할 범용 카드는 사실상 무한포영과 파괴수뿐이라고 봐도 무방함. 어거지로 전개를 해서 뚫어도 이미 손해를 본 경우가 대다수라서 히어로에게 웃어줌. 다크 로우 소환은 정말 말도 안 되게 쉽기 때문에.
* 분량이 너무 길어져서 전개 루트, 운영 팁, 덱별 상대법은 2부에서
https://gall.dcinside.com/m/masterduel/756925 2부 링크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