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 소녀전선 입문자들을 위한 성장 공략

C(118.219) 2018.07.08 19:33:28
조회 7383 추천 6 댓글 7


말머리.


입문자들을 위한 성장 공략임.

어차피 입문하려고 이것저것 찾아볼 테니 그런 거 좀 감안해서 진행함.

그리고 필자는 무과금이니까 과금 관련 팁은 없음.


-용어

링 : 링크. 소전은 인형 하나로 시작해서 10레벨에 두 개, 30레벨에 세 개, 70레벨에 네 개, 90레벨에 5개가 된다.

본체와 더미라는 개념인데, 이 링크를 늘리면 '성능이 늘어난다'고 생각하면 된다.

적들 역시 이 개념이 있는데, 체력이 줄면 링크가 하나씩 터져서 공격하는 수가 줄어 받는 피해가 줄어드는 등의 효과가 있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e58ac21d6cf843f54ddcfbba6770a48328015ed724a7c36c7f20502d68885bc8cd9


(3링 상태의 인형들)


-거지런 : 간단히 설명하자면 '딜러'에게만 보급을 하고 '탱커'를 세워 몸빵을 시킨 뒤 '승객'을 레벨링하는 방법인데, 여기에 적기엔 내용이 너무 많다. 잘 정리된 공략글이 많으니까 그걸 찾아서 보자.

-전장 : 전용장비. 대부분 일반 장비 아이템보다 월등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강화에 필요한 경험치도 월등히 높아 피똥을 싸게 된다. 보통 밥값 못하는 애들을 위해 나온다.

-행동점수 : 행동점수 하나당 한 칸을 이동할 수 있다. 헬리포트 하나당, 그리고 전장에 배치된 나의 제대 하나당 1씩 늘어난다.

-더미 : 더미 제대. 시작시 무조건 지휘부에 제대를 두어야 하는, 그리고 제대 하나당 행동점수가 1 늘어나는 소전의 시스템에 의해 생겨난 개념. 주로 1레벨 권총을 하나 넣은 제대를 더미 제대로 쓰게 된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15ef65a2531391f3e976dee


더미제대.

-작보서 : 작전보고서. 포켓몬스터의 이상한사탕을 떠올리면 된다. 하나당 3000의 경험치를 준다. 레벨링시 '자유경험치'가 쌓이는데 이걸로 숙소->자료실에서 만들 수 있다.

-지역 명칭 :

일반 지역은 1-2, 2-3 이런 식으로 부른다.

긴급 지역은 1-2e 이런 식으로 뒤에 e를 붙이거나 발음이 같은 이유로 2를 붙이기도 한다(1-22 같은 식).

야간 지역은 1-2n 같이 n을 붙인다.

-자투리 팁 :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75aff5a296439453e976dee


소전에서 자원관리는 아주 큰 부분인데, 여러가지 전략적인 이유로, 이를 테면 위의 전투를 할 일 없는 더미 제대 등에겐 보급을 할 필요가 전혀 없기에 이렇게 자동보급을 꺼두고 필요할 때만 보급하는 것에 처음부터 익숙해지자.



-성장

적당히 스토리 깨면서 제대를 레벨업 해나가자.

2지 보스 전까진 쉽게 밀린다.

첫 시작 구성 제대는 2smg, 2ar, 1rf가 무난하다. 4~5성으로 구성하면 빨리빨리 하는 유저는 피똥싸는데, 일퀘도 버겁게 할 정도로 슬로우한 유저라면 4, 5성으로만 구성해도 할 만하다.

자신의 플레이 속도에 따라 조절하자. 빨리빨리 진행하는 유저라면 3성 위주에 5성은 하나 정도만 넣자.

추천 3성은 smg는 스콜피온, 스텐(비빗쟈), ar은 FNC(초코), rf는 m14(씹새).

가장 중요한 건 일단 1제대를 5링(레벨 90) 찍는 거다. 1제대 5링이 돼야 성장 곡선이 가팔라지고 이것저것 해볼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군수지원, 모의작전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e58ac21d6cf843f54ddcfbba6770a48328015ed724a2e68cdf504548ad885bc8cd9


군수지원은 소전의 재화(인력, 탄약, 식량, 부품)를 얻기 위한 가장 중요한 컨텐츠다. 주로 후반 전역으로 갈수록 효율이 뛰어나므로 빠르게 후반 지역을 뚫어놔야 한다.


친구->ID카드에 들어가면 자신의 UID가 보일 것이다. 그걸 찍어 빵갤에 올리면 길거리에 널부러져 있던 하라보지들이 눈이 시뻘개져서 들박하러 올 테니 친추를 받은 뒤 지역 뚫기를 하자.


효율적인 군수표는 갤에 질문을 올리거나 네캎에서 검색해보자.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e58ac21d6cf843f54ddcfbba6770a48328015ed724a2836c4a70352dd8d85bc8cd9


또 하나의 중요한 컨텐츠인 모의작전이다. 소전의 인형들은 '스킬'을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의 게임들이 그렇듯 소전도 스킬이 아주 중요하다. 이 스킬들은 레벨업을 시켜줘야 하는데, 그를 위해 필요한 재화가 '스킬칩'이다. 초, 중, 고급으로 나뉘며 자료추출에서 얻을 수 있다.


경험특훈은 클리어시 다량의 경험치를 주지만 고급의 경우 깨려면 일반 smg, ar, rf 제대의 경우 최소 두 개의 인형이 5링은 돼야 할 정도라 1제대 육성중엔 주로 중급을 돌게 된다. 1제대를 웬만큼 키우면 다음에 키울 제대를 승객으로 데려가 1제대로 깨서 경험치를 나눠 받는 형식으로 돌면 된다.


(고급 모의 기준 클리어시 24만의 경험치를 투입된 인형들이 나눠 받게 된다)


강화연습은 인형을 강화할 수 있는 알약을 준다.


소전의 경우 레벨업을 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능력치가 올라가지 않는다. 전역에서 나오는 2성 인형이나 이 알약을 먹여 스텟을 올려야 한다. 레벨만 줄창 올리고 스텟을 안올리면 약한 상태 그대로란 소리다.


알약은 인형에 비해서 훨씬 높은 상승 효율을 보이며, 다량을 투입할수록 고효율이다. 다만 레벨링하면서 2성 인형들이 쏟아지며, 급히 실전 투입을 위해 작보서를 먹인 경우가 아니라면 알약을 쓸 일은 드물어서 보통은 이날 '방어훈련'을 돌게 된다.


마인드회랑은 '개장 시스템'이 추가되며 함께 추가된 컨텐츠인데, 개장을 위해 필요한 재화인 '기억파편'을 얻는 곳이다. 강화연습날 여길 돌자.


이게 필요할 즈음이 되면 소창이 될 테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어훈련은 장비 교정에 필요한 재화인 '교정권'을 얻는 곳이다. 현재 109층까지 있고, 특정 구간 클리어시 보상이 꽤 좋은 편이나 급하지 않으니 적당히 제대를 키우면서 도전하자. 모의작전 포인트는 과금을 하지 않으면 아주 귀한 재화고, 방어훈련에 들어가기 위해선 그 귀한 재화가 5나 필요하므로 우선은 다른 데 투자하자.



-레벨링 지역


소전의 주 컨텐츠는 일단 '인형 키우기'다. 이 인형들을 키우는 방법은 rpg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레벨링 노가다'인데, 이 레벨링을 위한 지역이 공식처럼 몇 군데 있다.


한군데서만 레벨링을 할 순 없는데, 지역마다 레벨에 따른 역보정이 있기에 레벨에 비해 낮은 곳에서 레벨링을 하면 패널티가 있기 때문이다.



1-2 : 레벨 15까지.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c0ea25924653c443e976dee


1-2지역이다. 보편적으로 15레벨까지 키우게 될 곳. 1턴에 저기까지 가지고 2턴에 지휘부 점령.



2-3 : 레벨 30까지.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e58ac21d6cf843f54ddcfbba6770a48328015ed724a7e62c2a45e57dcd985bc8cd9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e58ac21d6cf843f54ddcfbba6770a48328015ed724a7e65c5a751068b8d85bc8cd9


위에 설명했던 더미 제대를 지휘부에 두고 저 지역에 레벨링 제대를 소환, 적지휘부까지 바로 점령하면 된다.



4-3e : 레벨 70까지.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75ef40c236165423e976dee

아마 일반적인, 거지런을 주로 하는 소전 유저가 된다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낼 곳이다.


역시 지휘부에 더미를 두고 우측 헬리포트에 레벨링 제대를 소환, 1턴만에 4전투를 하고 점령한다.



5-4 : 레벨 80까지.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c0af00c76676e133e976dee


4-3e에서 4링크를 찍은 뒤 올 수 있는 곳. 다만 물음표 발판이 있는데, 일반 지역에서 이걸 밟으면 자원이 플러스 되거나 마이너스가 된다. 물론 도박이 다 그렇듯 마이너스를 뜨는 경우가 잦은 데다 시간 손해도 있어서(특히나 계획모드를 누르면 더 크다) 개인적으로 기피하는 곳이다.



5-2e : 레벨 90까지.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20ba009736238123e976dee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65fa00f2766691e3e976dee


개인적으로 5-4 대신 애용하는 곳. 5링크가 가능한 90까지 돌릴 수 있고, 무엇보다 위의 루트를 이용하면 물음표 발판을 밟지 않을 수 있다.


7시쪽 레벨링 제대는 4전투를 할 수도 있고 5전투를 할 수도 있다. 그러고도 행동점수가 남기에, 아예 지휘부에 1전투만 할 서브 레벨링 제대를 둬도 좋다.



5-4e : 레벨 90까지.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659a2022030381f3e976dee

주간퀘 중 보스를 10회 잡는 퀘도 있고, 수복퀘도 깰 겸, 경험치를 더 받을 겸 이용할 수 있는 곳.


5시쪽의 지휘부에 더미 소환, 1시쪽에 레벨링 제대를 소환해서 적 지휘부까지 달리면 된다. 적 보스의 경우 유탄이 아주 아프기에 적절한 순간 smg를 퇴각시켜줘야 하는 등 손이 가기에 다른짓 하면서 하기엔 좀 뭐하다.



0-2 : 레벨 100까지.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258f50e746b681f3e976dee

만렙까지 올릴 수 있는 곳. 여기는 루트가 상당히 많다.


지휘부에 본 제대, 헬리포트에 서브 제대를 소환하고 본 제대를 두칸 위 헬리포트까지, 서브 제대를 두칸 위까지 잡고 턴 종료.


이후 본 제대를 보급 후 서브 제대와 스왑, 적 지휘부까지 4번 싸우는 루트를 개인적으론 쓰고 있다. 서브 제대의 경우 4링만으로도, 장비가 좋다면 3링으로도 두 번의 전투는 해낼 수 있다.


제대 하나만 쓸 경우 우측으로 움직여 두 번만 싸우는 것도 가능하며 헬리포트에서 좌측으로 가지 않고 바로 위로 이동하여 턴 종료, 다음턴에 좌측으로 꺾어 세 번 전투를 해 적 지휘부를 점령하는 루트 등 바리에이션이 다양하다.


지휘요정으로 지령을 소모하고 싶다면 두 제대를 이용하는 루트에서 서브 제대에 지휘 요정 장착, 지령 사용 후 한칸만 이동하여 적을 잡고 다음턴에 한 번 더 사용하여 위의 적을 잡고 본 제대와 스왑하는 식의 방법을 쓸 수도 있다.


참고로 이 맵에선 적이 전혀 움직이지 않으므로 지휘부를 점령당할 걱정은 전혀 하지 않아도 된다.



0-4 : 레벨 100까지.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256f60328313c463e976dee

처음 맵을 보면 보스도 많아서 띠용! 할 수 있는데, 사실은 저 보스의 이름인 '스케어크로우'마냥 허수아비일 뿐인 맵.


레벨링의 경우엔 저렇게 하면 되는데, 이 맵의 경우 '퇴각'을 해야 한다는 게 다른 점이다. 저쪽 헬리포트에 도착하면 본 제대를 퇴각시키고 '작전 재시작'을 통해 반복하거나 '작전중지'를 통해 지휘실로 돌아가면 된다.


코어 수급량 등의 이유로 0-2보다 선호되지 않는 맵.



7-2e : 레벨 100까지.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50bf75d27666b103e976dee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40ef60f263069103e976dee

거지런은 안되는 맵이다. 소위 말하는 '부자런'에 사용 되는 맵이며 코어 수급량이 좋은 대신 자원소모량이 크다.


지휘부엔 딱 한 번 전투를 견딜 수 있는 제대를, 헬리포트엔 레벨링 제대를 둔다. 레벨링 제대를 아래쪽 헬리포트까지 보낸 뒤 턴종료, 2턴에 지휘부까지 달리면 된다.


상당히 빡센 곳이라 5링 제대가 아니면 힘들기에 만렙작과 코어수급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곳.



8-1n 자스런 : 1~100까지. + 장비 수급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65ca20c26653c463e976dee


현재 뜨고 있는 최고의 레벨링 장소. 개장 후에도 경험치 패널티를 받지 않고 승객을 넷 태울 수 있으며 탱커가 필요없는 데다 장비 수급까지 쭉쭉 할 수 있는 끝판왕 맵.

[일반 클리어 경험치 상한가가 500인데 그 500을 여기서는 고스란히 받을 수 있다.]


다만 조건이 쉽지 않은 데다 일단 8지역 야간까지 뚫는 거 자체가 웬만해선 안되기에 일단 이런 곳이 있다는 것만 알아두자. 어차피 자스런 돌 때쯤이면 이 글을 볼 필요도 없어지니 신경 안써도 된다.


http://cafe.naver.com/girlsfrontlinekr/2195850


굳이 보고 싶은 사람을 위한 자스런 동영상. 자스런 하는 방법은 카페나 이쪽 갤러리, 미카팀 갤러리에서 검색하면 좋은 글들이 많이 뜨니까 생략.



이정도가 대략 레벨에 따른 레벨링 지역인데, 거지런 할 거면 그냥 닥치고 4-3e, 0-2다.


그리고 자스런이면 그냥 1부터 만렙까지 자스런이다.



-인형제조, 장비제조, 중제조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50da008236568113e976dee


소전엔 가챠가 없다. 전부 제조로 뽑는 거다.


일반 제조에선 '샷건(SG)'이 나오지 않는다.


반대로 샷건을 제외한 모든 병종을 일반 제조에서 뽑을 수 있다. 중제조의 경우 제조권 이외에 코어까지 먹으며 최소 네자릿수의 자원을 각각 투입해야 하므로 뉴비일 땐 자제하는 게 좋다. 어차피 초반에 샷건 먹어봐야 키우기도 힘들고 필요한 곳도 없다.


장비 제조의 경우 일반 제조에선 '요정'이 나오지 않는다.


반대로 요정을 제외한 '모든 장비'를 일반 제조에서 얻을 수 있다.


인형과 장비 제조에 관해선 나무위키를 참조하도록 하자.


주소 : https://namu.wiki/w/소녀전선/인형제조


개인적으론 430 430 430 230, 4442의 인형 제조 범용식을 가장 추천한다. 뉴비일 땐 골고루 먹는 게 좋고 사실상 가장 밸런스 잡힌 식이다.


장비의 경우엔 150 150 150 150. 역시 골고루 나온다.



-장비

인형 못지 않게, 어떤 병종에 있어선 인형보다 중요한 것이 장비인만큼 어느 정도 성장하게 되면 장비에도 신경을 써줄 필요가 있다.

장비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는데, 범용의 장비와 특정 인형만을 위한 전용장비, 통칭 전장이라 불리는 것 이렇게 둘이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458ac388de33df4b4f2ef371b3975358993ba6db21b20c04b9f2dbb2665eb00da98


(장비창에서 스샷 찍은 뒤 한땀한땀 그림판으로 오려붙였다..)


일반 장비들이다. 장비에 따라 낄 수 있는 병종의 제한이 있다.

이에 대한 여러 설명은,




이 세 개의 주소를 참조하자.

그리고 다음이 이 글에서의 팁.

-장비에는 '교정'이라는 게 있어서 이 '교정'을 통해 모든 수치를 MAX값까지 교정해주어야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렇게 완전히 교정한 것을 '풀교'라고 줄여 부르며 풀 교정이 된 장비에는 좌측 아래에 파란 네모로 'MAX'가 붙는다.

-강화는 뭐 설명할 필요도 없이 2~3성, 필요없는 4성의 장비들을 먹여 하는 거고 최대 10강까지 할 수 있다.

-분명히 같은 능력치인데 16LAB이 붙은 약간 모양이 다른 녀석들이 있는데, 보통 이벤트로 뿌리는 장비이다. 1지~8지의 보스를 잡아 얻는 재화로 아이템들을 교환할 수 있는 이벤트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이건 사족인데, 똑같은 능력치의 똑같은 장비지만 강화할 때 보면 시스템상으론 다른 장비 취급을 받는다는 걸 알 수 있다)

-5성의 동일 장비가 많은데 장비칸이 좁아지네? 동일 재료 먹이면 경험치 더 많이 주니까 갈아야지 오홍홍, 하다간 폭망한다.

이 게임의 대형 이벤트에선 소위 말하는 '히든'이라는 맵이 있는데 그동안 키워온 전자식물들을 총동원해야 하는 곳이다.

제대도 10제대까지 총동원, 인형도 총동원, 당연히 장비도 총동원해야 하는데 웬만큼 고여버린 유저들도 장비가 부족해서 10제대까지 뚫어놓고도 7제대 정도나 겨우 운용하는 경우도 잦을 만큼 이때엔 장비가 부족해진다. 5성 장비는 장비칸을 뚫어가면서라도 모아두자.

-단, 유일한 예외가 있으니 바로 슬러그탄이다. 이놈만큼은 정말 호오오오오오오오오오옥시나 모르니 3~5개 정도만 남겨놓고 그냥 다른 장비 강화에 사용하자.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458ac388de33df4b4f2ef371b3975358993ba6db21b2b9418cc25eb7232eb00da98


이쪽은 전용 장비다. 멀리 볼 것도 없이 딱 누구누구 전용이라고 나와 있다.

일반적으로 범용 장비와는 비교할 수 없는 높은 효과를 보이며, 본래 밥값 못하는 인형 밥값 좀 하라는 의미에서 내주던 것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이벤트 등으로 밥값 잘하는 인형 더 잘하라고 주기도 한다(대표적으로 ump 자매들을 위한 움골).

기본적으로 야전의 가장 마지막 맵에서 특정 인형의 전용템을 드랍한다. 그 외엔 이벤트 맵이나 히든 순위 보상 등으로 얻을 수 있다(대표적으로 상시 이벤인 딥다이브에서 움골을 파밍할 수 있다).

또한, '개장'시스템이 나온 뒤로는 개장이 가능한 인형을 MOD3, 최종 단계까지 개장하면 해당 인형의 전용 장비를 얻을 수 있다.
(자동지급)

(위의 M4A1 전용 장비가 바로 MOD3 최종 개장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엠포의 전용 장비다)

높은 효과만큼이나 강화에 괴랄한 장비 요구량을 볼 수 있는데 자스런 등을 하지 않는다면 꽤나 오래 걸리므로 엄청난 애정이 있지 않으면 일반 장비들을 먼저 강화하는 게 좋다.

이쪽 전용 장비에 대한 어느 정도 자세한 설명도 나무 위키의 전용장비 항목을 참조하자.


-'인형보다 중요한 장비'는 5성 고속탄이다. 'AR이 필요한 만큼의 5성 고속탄을 얻어야' 하는 게 아니라 '5성 고속탄이 있는 만큼 AR을 쓰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을 만큼 소전에서 5성 고속탄은 그 중요도가 높다. 그 뒤를 잇는 것이 '갓골'.

회피치가 높은 대신 화력수치가 떨어지는 외골격이 갓골, 화력수치가 떨어지지 않는 대신 비교적 회피치가 떨어지는 외골격이 '똥골'로 불린다. 어차피 외골격을 끼는 인형은 회피가 중요한 탱커이기에 화력수치가 중요하지 않아 무조건 높은 회피가 필요하기에 나온 별명이다.



-숙소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45cf40874316e143e976dee


커여운 SD와 가구를 볼 수 있는 숙소다. 가구와 스킨을 통해 심리적 만족감을 얻기 위해 과금을 한 결과를 즐길 수 있는 곳.


11시 쪽을 보면 시간과 개방이란 글자를 볼 수 있는데, 다름 아닌 전지 수급을 할 수 있는 시간이다. 이 전지는,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65ff65e246565113e976dee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059a40b29656b113e976dee


이렇게 작전보고서를 만들 거나 자료실, 요정의 방, 구호소 등에서 쓸 수 있는 핵심 자원이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056f05d29336c423e976dee


구호소에선 애완동물을 입양해 숙소 내에서 뒹굴거리게 할 수 있는데 이 애완동물들을 올 컴플리트하는 것도 소소한 재미가 될 수 있다.


다만 입양에 600전지나 드는 데 비해 그 600 전지를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수백일(-_-;)일 정도로 가성비가 꽝이다. 10숙이고 작보서를 잘 안 만들어 전지가 썩어남아돌지 않는 한, 혹은 다른 거 다 제쳐두고 애완동물을 얻어야겠다가 아닌 이상 후순위로 미뤄둘 컨텐츠.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00aa50324673f153e976dee


전지로는 각 장소의 시설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데, 업그레이드를 통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자료실의 경우 자유경험치 저장량 증가, 작보서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 단축, 요정의 방의 경우 시간당 지령 회복량, 지령 저장량 등이 오르는 등 체감이 아주 크다.


이 전지는 숙소의 갯수와 안락도에 비례해 수급량이 증가하는데 5숙까지는 차이가 꽤 크므로 여유가 되면 5숙까지는 해주는 게 좋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00ea30d236a64173e976dee


카페에선 스킨에 관한 스토리나 4컷 만화 등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여기의 춘전이는 숙소 등의 춘전이보다 크다(농담이 아니라 레알로).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157f30c276168433e976dee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65da25d20336f123e976dee


수납고다. 여기서 자신이 보유한 가구와 선물을 확인할 수 있다.


스샷에선 안 보이지만 획득한 스킨도 여기서 확인한다.


간식거리들은 인형의 '호감도'를 올릴 수 있는 아이템이다.


호감도는 10 이하일 때 스탯이 -5%, 90이상이면 +5%, 140 이상이면 +10%된다. 숫자는 장비를 착용한 수치에서 올림되어 가산된다. 회피, 명중, 화력이 영향을 받으므로 특정 총기를 제외한 HG나 리베롤 등의 특수 AR을 제외한다면 호감도는 높은 편이 당연히 훨씬 유리하다. 호감도의 상한 해제는 서약의 반지로 할 수 있으나, 100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막아주지는 않는다.

(나무위키 펌. 호감도 관련해서 더 궁금하면 나무위키의 팁과 주의사항을 읽어보자)


호감도는 전투를 하기만 해도 오르고, 숙소 내에 있는 인형의 경우 하루 한 번 하트 말풍선이 뜨는데 이걸 눌러주는 것으로 또 올릴 수 있다. 반대로 전투에서 인형이 사망하면 그 인형은 물론 제대 전체의 호감도가 감소한다(단, 보스전의 경우엔 사망해도 패널티 감소가 없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10bf65f716a6e453e976dee


가챠. 소전의 주 수입원. 가구와 스킨을 구매할 수 있는 곳이다.



-과금


과금 관련 팁은 없다고 했는데, 그래도 게임 관련 부분을 좀 언급하자면,


우선 순위는 일단 무조건 제대 확장이다.


'군수'를 보내기 위한 제대가 일단 무조건 넷은 있어야 하고, 더미를 운용하기 위한 제대도 있어야 한다.


거기에 레벨링 제대까지 하면 일단 필요한 '최소' 제대가 여섯개가 된다.


첫 제대 확장은 반값에 가까운 480 보석이지만 두번째부턴 880 보석이라는 꽤 큰 재화를 요구한다.


무과금이라면 차곡차곡 보석을 모아서 제대를 뚫고, 과금러라면 일단 제대 확장에 보석을 쓰도록 하자.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d5bf75e29673c143e976dee


지휘실에서 11시 부분의 자기 레벨과 아이디가 뜨는 곳을 누르면 이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지휘실에 둘 부관과 배경을 바꿀 수 있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75ff45975636b1f3e976dee


또한, 여기서 공유를 눌러 매주 30 보석 획득이 가능하다. 소중한 보석이므로 잊지 말자. 참고로 셋 중 아무거나 눌러도 되고 실패하든 공유하지 않든 누른 뒤 저쪽의 '매주~' 부분을 누르면 30보석 획득이 가능하다. 즉, 공유하지 않아도 되니 덕밍아웃할 걱정은 안해도 된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d5bf20a27346d463e976dee


첫 구매시 두배의 보석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게임들이 그렇듯 월정액이 효율이 좋다.


제대를 늘린 뒤엔 병영을 늘려주자. 초반엔 엄청 넉넉하다 생각할 텐데 점점 게임을 하다보면 한정 인형, 출석 인형 등이 쌓이고 이후 링크를 위해 인형을 쟁여놓다보면 금방 부족해진다.


무과금이라면 필요할때마다 10칸씩 늘려주고, 과금 좀 했다면 우선은 200칸까지 뚫어놓으면 편하다.


그리고 아주 중요한 것 하나.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00cff58766b6d1e3e976dee


수복칸 뚫지 마라..


소전은 쾌속수복권을 퍼주기 때문에 엥간히 때려붓지 않는 한 수복칸 부족할 일은 없고 쾌속수복권으로 즉시 수복이 가능하기에 수복칸을 뚫을 필요가 없다. 이거 뚫으면 '깔깔깔 바보같은 오따끄'하면서 비웃는 사람들의 추천으로 개념글에 갈 수 있을 정도로 쓸 데 없는 짓이므로 안하는 게 좋다.


뭐 과금러라면 한 칸 정도 뚫어서 한 제대를 동시에 수복하는 등의 장점이 있기는 한데..


덤으로 인형제조, 장비제조 칸도 뚫을 필요 없다. 이쪽도 쾌속제조권을 꽤 주는 편이고 굳이 세 개 네 개를 제조할 이유도 없으니까.


다만, 역시 과금러이고 네 번의 제조 일퀘를 한 번에 깨는 게 편하다 싶으면 네 개까지 열어도 되기는 한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558a55d753464433e976dee


프리셋은 내가 지정해둔 제대를 진형까지 그대로 불러주는 기능인데, 웬만하면 쓸 일이 없다. 다만 특정한 상황에선 꽤 편하기도 한데, 자주 쓰는 제대가 있다면 프리셋에 저장해뒀다가 바로 불러오는 등의 용도로 쓸 수 있다.


다만 구매할만한 가치는..


과금을 꽤 하고 특정한 제대를 자주 쓰는데 제대 편성하고 진형짜기 귀찮다면 구매를 고려해볼 수 있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00ef50d726339153e976dee


제대 확장, 숙소 확장, 병영 확장까지 했다만 장비 창고 구매를 하게 될 거다. 처음엔 엄청 넉넉하지만 역시 5성 장비들이 쌓이고 나면 결국 부족해진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55ef20a27656b413e976dee


스킬 훈련칸 역시 늘릴 필요 없다.



-추가내용.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55ba25e206b641e3e976dee


위쪽에 넣었어야 했는데 타이밍을 못 맞췄다.


장비의 경우 MAX가 붙어 있지 않은 것들을 여기서 교정을 통해 교정을 할 수 있다. 교정을 다 해야 본 성능을 낼 수 있다. 방어훈련에서 얻은 교정권이 여기에 쓰이는데, 여기 말고는 요정 교정에 쓰인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1009f15f286264413e976dee


다만 보다시피 요정 교정의 경우엔 요구하는 자원, 교정권의 양이 우중비모급이므로 나아아아아아중에 하자..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c5fa45a756769163e976dee


꽤 훗날이 되겠지만, 코어 수급을 위한 10-4e 코어런, 혹은 군부런이라 불리는 게 있다.


이유식 엑조디아 제대, 엠포도 제대 등으로 돌 게 되는데 부자런보다 좀 더 효율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개인차가 있지만 대략 판당 0.9개의 3성이 나오는 정도라 한다.


이쪽은 10-4e로 카페나 갤러리에 검색하면 좋은 자료들이 많으니까 궁금하면 그걸 참조하자.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958ac42ff62f3068deb225f18c7105cfa72d2bd9b86470af20829646d153e976dee


공습런.


요정에도 스킬이 있는데, 그 요정의 스킬을 이용하기 위해선 '지령'이 필요하다. 한데 이 지령은 보통의 경우엔 사용할 일이 없어 쌓이게 된다.

[요정에 관해선 나무위키의 소녀전선 문서에서 '요정' 항목을 참조하자]


공습런은 그 쌓이는 지령을 활용해 탄식의 소모없이 제대 하나를 레벨링 할 수 있는 방법으로, 5전투를 진행해(이를 테면 5-2e, 0-4 등) 탄 전체와 식량 절반을 소모한 뒤 공습런이 가능한 맵에서 진행하면 좋다.


5-2n, 6-3n, 8-1n(자스런과 동일 루트를 자스런 대신 공습런으로 진행. 혹은 자스런과 공습런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등에서 하게 되는데, 원리는 간단하다.


소위 말하는 '철댕이(장갑이 있는 녀석은 장댕이)'로 불리는 철혈은 체력이 낮은 대신 말 그대로 '개떼거리'로 몰려오는데, 공습 요정의 폭격 스킬은 데미지가 낮은 대신 몹 전체를 타격하기에 이 철댕이들을 단번에 처리할 수가 있다. 즉 인형이 전투를 하지 않아도 공습 요정의 스킬 하나로 전투에서 피해없이 승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철댕이들을 연속으로 상대할 수 있는 루트가 있는 지역을 공습 요정의 스킬만으로 도는 걸 공습런이라고 한다.


스킬 레벨을 올리지 않아도, 그러니까 1레벨 공습 요정의 스킬만으로도 공습런이 가능하다. 단 8-1n만큼은 2레벨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1레벨의 스킬로는 철댕이의 체력이 실피가 남기 때문이다.


주의점으로, 진열을 짤 때 중열과 후열에 인형을 놓아야 한다. 전열에 놓을 경우 공습이 떨어지기 전에 철댕이에게 얻어맞고 바로 중파를 당하니 주의.


거기에 8-1n의 경우엔 중열에 두어도 얻어 맞기에 위의 스샷처럼 ㄴ 형태의 진형으로 두어야 한다.



-사정거리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458ac388de33df4b4f2ef371b3975358993ba6db21b24c0169d25e82466eb00da98


소전에서는 공격할 수 있는 사정거리가 있다. 잘 보면 적진에 무슨 결승선마냥 붉은 줄이 보일 텐데, 저것이 바로 공격 가능한 사정거리를 표시한 것이다.

viewimage.php?id=2fb7c328&no=24b0d769e1d32ca73fef83fa11d028313beb8c5deb3949d9e177a00ae28458ac388de33df4b4f2ef371b3975358993ba6db21b259017c925be2037eb00da98

(보통 키보드 키패드를 본떠서 자리에 저렇게 번호를 매겨 부른다)


진형을 짤 때 보통 'F'자 진형이라고 해서 1, 4, 7에 딜, 버퍼, 5, 8에 탱커, 서브탱커를 둘 텐데 그러면 중열까지 타격이 가능하다.


한데 여기서 중열의 인형을 전열, 그러니까 3, 6, 9에 두면 후열의 인형 사정거리까지 늘어서 적 후열을 타격할 수 있게 된다. 나중엔 전략적으로 인형을 움직여서 후열을 우선 타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걸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는 게 바로 거지런의 대표적인 지역인 4-3e다.


해보면 알겠지만 웬 네 발로 기면서 미사일 쏘는 놈이 있는데 이놈이 자꾸 후열 딜러를 때릴 것이다. 여기서 미리 진형을 한칸씩 당겨서, 그러니까 14758이 아니라 25869로 한칸씩 당겨 배치하면 바로 이놈을 때려서 피해없이 잡을 수 있다.


단, 이런 이점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당기면 안되는 것이 이렇게 당기면 그만큼 적들에게 더 빨리 얻어맞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서 배치하고, 보통은 전열의 인형을 앞으로 한칸 이동하는 식으로 사정거리를 늘린다.


(깊게 들어가면 이렇게 전진 배치했다가 당기는 식으로 적의 공격을 지연시키는 등 전략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야전의 중후반 지역부터는 이것이 필수컨이 된다)


-요정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c7e4050e60d8ec86943b6039



요정은 소전의 엔드 컨텐츠라 할 수 있다. 일단 획득부터가 '장비중제조'에서만 가능하고 특성 교정에 들어가는 자원과 교정권의 양, 스킬 훈련에서 요구하는 칩 소모량과 시간마저 대기권을 돌파하고 있다. 다만 그런 만큼 고등급의 요정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소위 말하는 '빠요엔'의 가능 여부가 갈리는 것이다.


가장 앞서 말했듯 요정은 '엔드컨텐츠'이기에 뉴비가 건드릴 수 있는 분야는 아니다. 하지만 일주일에 한 번 인형 중제조를 하듯 일주일에 한두번, 여유가 된다면 세 번 정도는 요정 제조를 시도해 볼 수 있고 그렇게 해서 나오는 요정을 활용하는 건 크나큰 도움이 된다.


요정의 의의는 크게 '스킬'과 '버프' 두 가지로 나뉜다. 스킬은 말 그대로 요정의 스킬이고 버프는 각 요정마다 다른 수치의 버프를 주는데, 그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인형들의 성능 상승이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c6b206086783e98494199a2f


포격요정.


대표적인 버프를 위한 요정이다. 극히 높은 화력 버프를 통해 보스를 '일격에 격파'하는 제대를 짜는 데 필수 요소로 여겨진다. 스킬은 없다치지만 마치 그 스킬에 쓸 성능마저 화력 버프로 몰아버린 듯한 요정.


반대로 스킬의 경우 대체로 첫번째가 '공수', 두번째가 '공습'으로 여겨진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91b5005e658dea80941e74be


공수요정.


공수요정의 능력은 쉽게 말하면 '텔레포트'다.


헬리포트가 있는 곳이라면 심지어 그곳이 철혈이 점령한 곳이라도 비어있기만 하면 그곳으로 턴소모 없이 날아가 버릴 수 있다!


고지역, 그리고 이벤트 맵을 보면 일부러 시간을 들여 빙 돌아가라고 여러 장치를 해놓는데 이 공수만 있다면 그걸 바로 씹어버리고 날아가버린다는 소리다. 이 공수의 유무는 아주 크기에 단연 첫번째로 꼽히는 요정이다. 가능하면 두 개까지는 육성해주는 게 좋다.


단, 아무 제한 없이 날아가기 위해선 스킬레벨을 10, 즉 끝까지 찍어야 하는데 요정은 일반 인형에 비해 거의 두 배의 훈련 시간과 더 많은 스킬칩을 요구하기에 초반엔 부담이 크다. 어차피 초반엔 공수가 크게 필요하진 않으니 급한 인형부터 육성하자.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92ec020f3083b8819472768d


공수요정.


위에 설명한 공습런에 사용되는 인형. 공습런에는 스킬 레벨업이 크게 요구되지 않으나 다른 용도 때문에 가능하다면 여유가 될 때마다 스킬레벨업을 해주면 좋다.


다른 용도는 바로 '무상성 제대'를 짜는 것. 라이플과 권총만으로 짜는 소위 '랖딱' 제대의 경우 야간전 장갑병을 상대할 때 큰 위력을 발휘하나 철댕이 등의 물량으로 밀어버리는 제대엔 약한 면모를 보인다. 바로 그런 랖딱 제대의 상성을 커버해주는 것도 바로 공습 요정이다.


거기에, 고난이도의 전역이나 이벤트에서 일반적인 제대에 공습 요정을 붙여주고 스킬을 사용하면 더욱 수월하게 적을 처치할 수 있게 해줘 제대 유지력에 큰 도움이 된다. 가혹한 환경과 강력한 적들을 수리없이 연전으로 버텨야 하는 대형 이벤트의 랭킹순위전 맵, '히든'을 뛸 때엔 이 공습을 붙여준 제대와 아닌 제대의 차이가 아주 크다. 심지어 버프까지 쓸만하니 금상첨화. 역시 가능하면 두 개 이상 육성해주면 좋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90e1560e30dee28394c03796


조명요정.


조명 요정의 경우 대형 이벤트 등지에서 야간전이 자주 나오며 급부상 했는데, 만렙을 찍을 경우 거의 맵핵에 가까운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공수요정의 경우 '시야가 미치는 곳'으로만 날아갈 수 있는데 조명 요정과의 콜라보(..)를 통해 특정 히든 맵을 날로 먹을 수도 있었기에 특히나 핫한 때가 있었다.


이외 요정의 자세한 설명, 레시피 등은 역시나 나무위키를 참조해보자.



-야간전


소전의 전투는 보통의 평범한 전투와 '야간전'으로 나뉜다. 이 야간전은 초기에 경험하는 일반 전투와는 많은 부분에서 달라 뉴비는 큰 벽을 느끼고 접을 수도 있는데, 대비를 하고서 진입하면 충분히 클리어 할 수 있다.


우선 야간전의 큰 특징은 네 가지다.


1. 맵 전체가 스타크래프트에서 맵핵을 한 번 킨 뒤 끈 것마냥 어둡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c7e20753628abdd3949dbfe1



바로 이렇게.


길만이 보일 뿐 적의 위치를 전혀 알 수 없다. 말 그대로 어두워서 안 보이는 상황인 것이다.


2. 턴 제한이 있고 해당 턴 내에 '모든 적을 처리해야' 승리한다.


3. 인형들의 명중률이 극도로 떨어져 그냥 싸우면 마치 타게임의 고회피 몹을 명중률 낮은 캐릭터로 때리는 듯 수없이 뜨는 미스를 보아야 한다.


4. 회피수치가 없다시피한 '장갑몹'이 등장한다. 이 장갑몹은 말 그대로 장갑을 가진 철혈로, 관통수치가 있는 철갑탄을 장비한 인형이나, 그 장갑마저 뚫을 정도의 고화력을 보유한 인형이 아니라면 제대로 된 피해를 줄 수가 없다.


이 네 가지를 숙지하고 준비를 해서 야간전에 돌입해야 한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97e3045d36d9ee869480f1ff


권총 인형의 특징과 역할은 크게 '버퍼'와 '시야'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인형의 성능을 높여주는 버프 스킬과 진형을 가지고 있기에 버퍼이고, 다른 하나가 바로 야간전에서 시야+1의 효과다.


1제대를 보면 주변 한 칸의 시야가 확보되는 데 반해 4제대의 경우 자신이 서 있는 자리만 보인다. 이것이 권총의 효과다. 1제대는 권총이 포함되어 있고 4제대는 권총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나는 차이인 것이다. 하다못해 주변 한칸은 보여야 적과 싸울지 말지를 정할 수라도 있기에 야간전에서의 권총은 중요하다.


다만, 권총은 탱커로도 딜러로도 쓰기 애매한 병종인지라 최소한 제대 하나는 키워놓고 나서야 키울 수 있는 병종이라 여기서 일단 야간전의 벽이 생긴다.


그리고 스샷 위쪽의 '남은 턴 수'. 이게 바로 제한 시간이다. 이 제한 턴 수 내에 맵에 있는 모든 적을 처리해야 한다. 일부 한 두 개의 맵을 빼면 웬만해선 턴 수가 부족할 일은 없으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c0e2560f658cea859496f258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91e1515a628fe2d094ce097d


위 스샷의 적 철혈이 바로 장갑을 지닌 철혈이다. 방패 모양의 회색으로 1의 데미지가 뜨는 것과 70, 100 등의 데미지가 뜨는 게 보인다.


장갑은 그 수치 이하의 공격은 저렇게 1의 데미지만 받게 만들어준다(이쪽에도 '샷건'이 그 장갑을 보유하고 있다). 이 장갑을 깨기 위해 필요한 것이 '관통' 수치고 이 관통 수치는 철갑탄 아이템이 가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라이플이 장착할 수 있다.


이 장갑병은 크게 몽둥이를 들고 근접 공격을 하는 녀석과 뒤에서 긴 쿨타임을 가지지만 한 번 쏘면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원거리 저격 유닛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녀석들을 잘 잡는 것이 바로 권총과 라이플의 조합인 '랖딱 제대'다.


인형 하나를 앞으로 밀어 근접유닛과 원거리유닛을 멈칫하게 하고 다시 뒤로 당기는 등의 컨트롤로 시간을 벌고 라이플이 그 사이 원거리부터 빠르게 잘라먹는 것으로 거의 무피해로 잡을 수 있게 된다.


[글 제일 처음의 영상]

설명으론 감이 오지 않을 테니 위에 말한 대표적인 장갑병들이 등장하는 지역을 랖딱으로 잡는 영상을 첨부.

(절대로 잘한 컨이 아니다. 오히려 못한 컨트롤. 그저 이런 방법이 있다는 설명으로만 보고 참조를 위한 잘하는 컨트롤은 별도로 찾아보자)


대략적으로 앞으로 전진했다가 빼는 식으로 피해를 줄이고, 이후 상황을 봐서 '퇴각컨'까지 더해 맞지 않고 장갑병을 잡아내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언급할 것이 바로 명중에 대한 것이다.


아이템 중 야시경을 보면 '야시능력 +100%' 등의 효과가 있는데, 바로 야간전 전용의 능력이다.


야간전에선 인형들의 명중률이 극도로 떨어진다고 했다. 그것을 보충해주는 것이 바로 야시경인 것이다. 이 야시경은 주로 'AR'이 장비하게 된다.


장갑을 뚫는 방법으로 말한 '관통'과 '고화력'중 위에 보인 관통 대신 고화력으로 잡는 방법을 쓰는 것이 주로 AR이다. 이 AR의 떨어진 명중을 보충하기 위해 야시경을 끼는 것이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96e2045364deba8194e37a52


대표적인 야간전 AR 그로자. 엄청난 야간 고배율의 화력 버프로 '야전여왕'이라 불린다. 스킬이 발동되는 순간 압도적인 화력으로 장갑을 녹여버린다.



위에 말한 장갑병 말고 중요한 게 있으니 회피가 높은 적이다.


일반적으로 철혈의 고회피 몹으로 언급되는 것이 '박쥐'다. 날아다니는 삼각형 같은 녀석. 주간에서도 그런 녀석이 야간에 오면 그야말로 악마새끼(..)가 된다. 전열에서 회피탱 짓을 하며 후열의 큰 피해를 주는 녀석들이 신나게 아군을 줘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녀석을 쉽게 상대할 수 있는 스킬이 대표적으로 '유탄'과 '소이탄'이다.


유탄 계열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단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위에 자스런에서 설명한 자스다.


소이탄은 이 분야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벡터'로 설명이 끝난다.


viewimage.php?id=20b4d327f1d739ab&no=24b0d769e1d32ca73cef83fa11d02831a8a78790708c2166b82f7ce95d9030b68c93e943f0893f149c1c858836474460bd46c7d57d06e093e1565d6ad8e98394fdd95b


소이탄을 던져서 불을 질러 버린다(..). 적이 뭉쳐있는 곳에 잘 던지면 이만한 카타르시스는 어디에도 없을 지경.


이 스킬은 회피와 관련없이 구워버리기에 특히나 박쥐 같은 녀석들을 잡는 데 유용하다. 잘 뭉쳐 있는 곳에 소이탄이 한 번 떨어지면 탈 6성이라 불리는 G11마저 그냥 씹어먹어버리는 효과에 제대로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다.


스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역시나 나무위키 쪽을 참조하자.


https://namu.wiki/w/소녀전선/스킬#s-2.4





-마무리.


-공습런 추가.


-장비 설명, 공략 추가.


-사정거리 관련 팁 추가.


-공습런 설명 일부 추가.


-요정, 야간전 설명 추가.




아니, 도대체 왜 동영상은 내가 지정한 위치에 안나오고 가장 위에 가 있음? 심지어 수정 눌러서 봐도 동영상은 아예 안보이네? 뭐냐;;; 저번엔 아예 올라가지도 않더니 동영상 기능 왜이래..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9 설문 논란을 반복해서 진정성이 의심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5/12 - -
1577927 공지 뉴비&복귀 가이드 및 유용한 정보 [7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21 438872 84
1717348 공지 개념글 시트 공지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1 23287 2
1640860 공지 갤 규칙 및 신고글 ㅇㅇ(223.39) 21.02.01 32272 15
1841835 💬 뉴비 스파스제대 만들려허는데 뭐뭐 들어감? [1] ㅇㅇ(112.185) 13:20 10 0
1841833 질문 4일차 뉴비인데 선택권 뽑고싶은거 뽑아도 상관없나요?? [3] ㅇㅇ(182.231) 04:19 102 0
1841832 💬 재발 우중아... 스킵기능좀 만들어다오 [2] 하치로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4 157 1
1841831 💬 기억파편은 상한이 외잇는거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5 116 0
1841830 💬 쌩뉴비 5성 선택권 머고름??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79 0
1841829 💬 100번째 배신 후 복귀 ㅇㅇ(114.201) 05.12 101 0
1841828 💬 도감충이면 5성선택권 뭐골라야함 [6] ㅇㅇ(125.241) 05.12 193 0
1841826 질문 제대고민 + qbz191로 제대하나 짜려는데 [6] 알기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63 0
1841825 💬 랜덤권 샀다 [5] 친누나랑자고싶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226 0
1841824 질문 스카전장들 복각 한번도 안해줌? [1] 메가입치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61 0
1841823 💬 마누라 보고싶소 흨흨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231 0
1841822 💬 복각해줘 엉엉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203 0
1841821 💬 이번주 혼합훈련 노컨조합 [6] 미친존재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401 10
1841820 질문 은염색 현상 패키지 가성비 좋음?? [6] ㅇㅇ(118.46) 05.12 220 0
1841819 💬 4년만에 복커인데 질문좀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17 0
1841818 💬 이번주 탐색우세 [1] WDFait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96 3
1841817 질문 상시 히든 보상만 타먹는 공략은 없나 [2] 치우레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36 0
1841816 질문 완구요정 장갑계2도 쓸만함? [3] ㅇㅇ(118.46) 05.12 131 0
1841814 💬 이번주 혼합훈련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201 7
1841813 💬 표 보면서 없는거 땜빵해가며 제대 짰음 친누나랑자고싶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38 0
1841812 💬 아 중복편성버그 고쳤네 ㄲㅂ ㅇㅇ(220.126) 05.11 95 0
1841811 💬 뉴비 5성인형권 뭐사야돼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180 0
1841810 소전2 13지망4있길래파밍중 [1] ㅇㅇ(223.39) 05.11 100 0
1841809 질문 회색지대 몇지역꺠야 열림? [1] ㅇㅇ(211.187) 05.11 91 0
1841808 질문 혹시 리딤코드같은 건 없나요..? [5] ㅇㅇ(182.231) 05.11 220 0
1841807 공식 스킨 조각 [6] Rhoff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545 6
1841806 💬 이거 그 손모양 맞음? [7] ㅇㅇ(121.143) 05.11 350 0
1841805 💬 전역 밀고있는데 12지역 13지역 한정파밍은 자율권돌리는게 나음? [2] ㅇㅇ(211.58) 05.11 101 0
1841804 💬 아이네이아스 작전 브리핑 들으면서 말도 안된다고 생각했는데 [6] 친누나랑자고싶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261 1
1841803 질문 망샷 제대 한자리 추천좀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177 0
1841802 정보 뉴비가 은염색 파밍 한눈에 보기쉬우라고 만든 파밍맵 [9] 치우레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640 11
1841801 💬 통일 안된거 꼴받음.. [1] ㅇㅇ(112.166) 05.11 283 4
1841800 질문 은염색 파밍 다호기 추천해주세요 시키칸들 [4] 치우레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184 0
1841798 💬 제대 추천 [3] ㅇㅇ(119.202) 05.11 173 0
1841797 💬 [긴급] 5성 임용장 3개중 택1 추천좀 [2] 준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179 0
1841796 💬 머형이라니 [1] 중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266 0
1841795 💬 요정지령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66 0
1841794 질문 합성곱 핵 때 접었는데 이거 복각할 때쯤 복귀해도 괜찮음? [1] ㅇㅇ(121.180) 05.10 167 0
1841793 질문 은염색 현상 마스크로 뭐 사는게 좋음? [1] ㅇㅇ(182.213) 05.10 163 0
1841792 💬 설레인다.. 후안무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10 0
1841791 💬 이벤트 새로나오는거 고정점같이 볼륨있는거임? [6] ㅇㅇ(211.58) 05.10 331 0
1841790 💬 왤케 불안하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73 0
1841789 💬 이건 못잡는건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25 0
1841788 💬 일퀘라도 하면서 살아남은 보람은 있네 [2] ㅇㅇ(121.177) 05.10 282 0
1841787 💬 머형 개조 토카레후 겠지? [1] Rhoff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280 0
1841786 💬 라이노 케두는게 좋음? [3] ㅇㅇ(221.156) 05.10 165 0
1841785 💬 우리 게임 정상 영업 합니다 [3] 미친존재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398 0
뉴스 허성태, LG전자 다니던 과거 사진에 ‘깜놀’…“술김에 오디션” 디시트렌드 05.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