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류배송이라 별다른 추가 포장 없이도 박스 파손은 없었습니다.

스텐드와 케이블류가 보이는군요.

hdmi2.1 2m 긴거 줍니다.
dp1.4 1.5m 짧네요.
아답터 아답터 케이블이 보이네요.

커브드가 아니라서 그런지 베사 마운트는 별도의 브라켓 없이 모니터 암에 직결하게 되어 있습니다 벽과 더 가까워질수 있겠네요.
마운트롤 둘러서 원형으로 코어라이팅이 자리합니다. 전작들과 동일하지만 옆으로 퍼지는 형태로 면적이 줄어들었습니다.
후면 상판은 메탈이라 자석이 붙습니다. 후면 하판은 플라스틱입니다.전작들과 동일합니다.

조그스틱, usb3-b포트1개 , usb3-a포트2개, hdmi2.1포트2개, dp1.4포트1개, 전원 아답터 포트 가 보입니다.
usb는 허브 역활과 a포트의 경우 자체적인 모니터 입력포트로 설정에서 바꿔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저는 usb무선 해드셋 동글이 하나 꼽아서 사용중입니다. 해당 헤드셋의 모델명이 표기 되면서 소리 출력에 자리하게 되고 우선순위에 놓이네요.

일반적으로 고스펙 모니터들의 두께를 생각하면 아주 얇습니다.
모니터 암에 장착하면 저희 집에 있는 모니터들중 가장 벽에 가까워질거 같네요.

아답터 제원입니다.
기본적으로 크기가 상당한데 oled 32인치 4k 제품들은 아답터가 존재하면 다 거대한 편인지라 상대적으로 비슷합니다. 32gs가 살짝 납작하긴 하네요.
24V 7.5A 180W입니다.. 1세대 oled g8은 usb-c 65W pd 충전때문에 220W아답터였던지라 좀 더 작아졌습니다

설치가이드 입니다 스텐드 조립 방법이 나사없는 채결방식입니다.
이 방식이 중소기업 싸구려에 많긴한데 기믹이나 퀄은 비싼 넘 티를 내네요
연결부위 금속부품이 탄성을 가져서 끼우고 돌리면 튕겨나오면서 걸리는 형태입니다

친절하게 스위블 틸트 엘리베이션 피벗 가동 범위 적어줬네요 내용대로의 가동범위를 가집니다.
피벗을 하는 들고 돌린다라는 fm적인 설명이 귀엽군요
베사마운트 규격과 나사 크기 및 길이까지 명시되어 있습니다.

32gs95ue는 이렇게 천정등이 4각형 형태인게 인지 됩니다
밑의 g80sd는 사각형등이 흡사 원형으로 보일 정도입니다

논 글레어 패널이고 매트함이 상당합니다. neo g8과 동일한 수준인걸로 보입니다.
보라보라 말이 많은데 실제로는 딥레드라고봐야합니다 와인색에 가깝죠 저도 보라라 생각했는데 색표를 찾아보니 어두운 적색이 맞아요
Qdoled패널 구조상 반사되는 외부광중 B파장이 밖으로 나올수가 없어요

역시나 매트하죠.

기본 픽셀 배열은 세대를 넘가면서 변동되어 1세대 보다는 개구율이 올라간걸로 보입니다.


색역은 이러합니다.
qdoled의 그것입니다..1세대에서 더 좋아진건 없지만 이정도면 충분하죠.
sdr 모드에서 색역관련 설정에서 버그로 느껴질만한 부분이 존재하는데,
사용자 모드1에서 자동명암조절을 약하게 이상하고 색역을 자동으로 해버리면 색역이 110퍼까지 내려가는 상황이 생깁니다.게임설정 모드에 따라 srgb 60퍼까지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원본모드나 표준 모드 처럼 srgb 색역이 기본 값으로 잡혀 있는 모드에서 나는 srgb 색역으로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자동명암조절이랑 색 재현 범위 조정은 기본상태 그대로 쓰셔야 합니다.

게임장르의 원본 화질로 테스트 했습니다. 이 모드가 기본적으로 srgb로 색역이 제한되고 밝기도 낮게 셋팅되어 있는걸로 봐서
일반적인 모니터에서 들어가 있는 srgb모드에 준하는걸로 보입니다.
색정확도는 그닥인듯하고, 감마값이 2.2지만 다른 모드들은 많이 어그러 져서 감마가 낮게 나오는데, 그나마 이 모드가 2.2 잘 따라갑니다.

휘도 균일도는 qdoled 제품들이 다들 그렇듯 훌륭합니다.

SDR-HDR시 밝기 및 소비전력입니다.
소비전력이 상당합니다. pg32ucdm보다 20와트 이상, 32gs95ue보다 50와트 이상 더 먹습니다.
그럼에도 얼굴로 직격하는 전면 열기가 다른 두 기기 보다 덜한데, 열이 뒷쪽으로 다 빠지게 되어 있는 다이나믹 쿨링 시스템의 성능이 놀랍습니다.

실사용시 소비전력량
#오차를 줄이기 위해 hdr로 찍은 스샷들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경쟁기종들에 비해 타이젠 구동을 위한 칩셋들의 기본 소비전력이 높은게 영향을 준걸로 보입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nt&no=754718&search_head=50&page=1
다른 기기들 소비전력들입니다

sdr-hdr 둘다 따뜻하게1이 가장휘도가 높으면서 색온도도 6500k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화이트밸런스 옵션을 건드리신다면 따뜻하게1에서 조절하시는게 좋을걸로 생각됩니다.

제 g80sd의 6500k 셋팅값은 게인 값만 조절해서 R13,G1,B15 입니다.

HDR모드에서는 창크기에 따라 휘도가 크게 변동하면서 밝기를 억지로 끌어내려고 RGB값이 변하면서 색온도 변동도 존재할 수 있는데,
거의 변화가 없는걸로 봐서 기본 셋팅이 상당히 잘되어 있는걸로 보입니다.




hdr10+gaming 끄고, 게임hdr은 켠 상태, 자동명암조절 꺼짐, 감마는 그대로, 어두운 화면밝기 -1 에서의 측정치입니다.
4%-10%-50%-100% 로 피크휘도 중간, 강하게, 끄기의 측정인데 살펴보시면 대략적인 정확도가 보이실겁니다.
apl이 높을수록 피크휘도 강하기의 정확도가 많이 무너집니다.
apl 25퍼정도까지는 가장 정확하지만 그이상의 밝은 화면이 되버리면 많이 어두워져서 사용하기 애매한네요,
어두운 화면이 계속나오는 게임들은 피크 강하기가 딱이고, 평이한 밝기의 영상들은 약하게, 아주 밝은 영상들은 끄기가 적당합니다.
난 걍 바꾸기 싫다 하시면 피크밝기 약하게가 가장 무난해서
전 이거 추천 드립니다.
hdr1000이나 hdr1400인증 받은 모니터들처럼 걍 하면 풀스팩 다나옴..뿜뿜,이런식이 아니니까, 현세대 oled 모니터 제품군들은 상황에 따라 선택이 필요합니다. .ㅎㅎ
이런걸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맞춰주는게 돌비비전이나 hdr10+인건데
Hdr10+는 아마존 프라임비디오 볼때 극강의 장점이 될것이고
돌비비전은 pg32ucdm이 지원 예정인데 빨리 되면 좋겠네요

제 HDR 셋팅은 이렇네요. 윈도우 캘리는 없이 디플정보 기본값인 400니트 그대로 씁니다.
이 셋팅 콘솔에도 동일하게 사용할겁니다. 저한테는 이게 딱이네요.

dp1.4풀스팩이네요.

hdmi2.1 FRL (10x4) 40Gbps 스펙이군요

플스5 풀스팩 지원합니다.

qhd도 잘 되네요.. vrr은 전에 펌업으로 지원하기 시작했죠.


엑스박스 시리즈x 잡다한게 많은데 모니터가 가능한건 다 된다고 보면 됩니다. 돌비 안되는건 좀 아쉽군요.

플스의 스텔라블레이드 (전에 이거 뒷배경 32gs랑 비교해서 보이니 마니 하던데, 제가 보기에 비슷해요)

엑박의 헬 블레이드
이름이 극을 달리는 각기종의 독점작 되겠습니다.. 둘 다 멋지게 뽑아줍니다.

제가 자주 올리는 웬즈데이의 괴물 샷입니다. 시즌1 1화 53분경
화면 전체의 평균휘도값이 3칸델라 이하라 극단적인 암부상태를
얼마나 정확하게 표현해주나 확인하기 좋은 장면이라 애용중입니다
순서대로 g80sd, pg32ucdm, 32gs95ue 입니다. 노출을 32ucdm 실사에 가장 가깝게 맞춘 샷이라 좌우 삼엘 들이 어둡게 나와 있습니다..
삼엘 둘다 정상수준, 32ucdm은 비정상입니다.아수스의 아들은 돌비비전이 나올 예정인데 나오면 해결되겠죠??..ㅎㅎ

HDR 구동시 폰트에 분홍돌이 낀다는거 예 분홍합니다..N의 오른족 하단꺽이는 부분에서 잘 보이고 있습니다.
여타 다른 qdoled3세대에서는 보이지 않는 증상이니 삼성이 펌올리는 중에 해결해 주겠죠??
1세대 oled g8에 비해 압도적으로 부드러운 메뉴이동이 작업시 편의성과 속도를 엄청 올려줬습니다...ㅎㅎ
리모컨은
카메라로 보니까 적외선도 뿜뿜 하던데 전원버튼까지도 oled g8을 켜지 않고 모든키가 g80sd만 조작합니다.
신형 리모컨에 새로생긴건 옵션버튼인데 이거 엄청 편하군요. 뒷면에 태양전지판도 괜찮은거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1세대 oled g8과 비교하면 비슷한곳도 있고 별로인점도 있지만 더 높은해상도 높은 주사율 빠른구동 전작과 달리 피씨와의 인식이 훨씬 스무스한 점등 좋은 점들로 인해 전반적인 만족도는 더 크네요.
ps.타이젠은 뭐 타이젠이니까 적당히 그러려니 하고 쓰는건데 쓰다보면 익숙해 져요..ㅎㅎ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