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오랜만에 비잔틴 대역물 호칭 역어 정리해봄(수정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0.19 01:02:28
조회 319 추천 3 댓글 0
														

※ 도이치어(獨語)의 움라우트는 생략


※ 똥로미에서는 '황제'라는 칭호를 자국 군주에게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유력자에게 부여하는 작위로 활용하였다.


※ 똥양에서는 '황제'가 '천자'를 가리키는 칭호가 되기 이전, '황'과 '제'가 각각 상징하는 바가 달랐다.


※ 황(皇)은 권위 있고 위대한 자를 뜻하는 말로서, 고대 로마의 '존엄자(아우구스투스)'와 의미가 통한다(헬라어: 세바스토스).


※ 제(帝)는 실질적인 통치자를 뜻하는 임페라토르(헬라어: 아우토크라토르)와 카이사르(슬라브어: 차르 / 도이치어: 카이저)의 역어로 적합하다.



* 바실레우스 아우토크라토르: 전제황제 - 황제이자 전제군주(주권자)


** 바실레우스(아우구스투스): 군주를 뜻함. 고대 로마와 서로마의 정제(正帝: 단독황제나 선임황제)를 뜻하는 아우구스투스를 대체.


** 아우토크라토르(임페라토르): 고대 헬라의 스트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르에서 유래.


- 임페리움(통수권)을 보유한 자, 즉 임페라토르를 대체. 고대 로마에서 해당 칭호는 통상 '최고사령관'으로 이해하였다[최고사령관 = 총통, 원수(帥)].


- 임페라토르(아우토크라토르)의 개념: 주권자(통수권자), 최고사령관


- 전제군주(황제): 해당 칭호가 가리키는 대상이 군주일 때


- 독재관(총통): 해당 칭호가 가리키는 대상이 관료일 때(고대 로마 딕타토르의 역어와 동일 / 고대 로마에서 임페리움을 가지는 자 =/= 독재관, 오해 X) / 임페리움을 가진 자가 황제가 아닌 경우 총통으로 부르지만, 공화정 로마에서 통령(집정관)이나 상설관직에 있는 자가 임페라토르인 경우 원수(帥)로 옮김


- 총통은 공화국의 원수(首) 외에도 라틴어권 국가에서 군정과 군령을 독점하는 군부 수장의 역어로 쓴다(제네랄리씨모).


- 로마의 원수(元帥)는 임페라토르보다 마기스테르 밀리툼(병부령, 군부령 혹은 병무총감, 병부총감, 군무총감, 군부총감, 군사총감 / 총감 = 총관)의 역어로 쓴다.



* 카이사르: 고대 로마와 서로마에서도 부(副)제를 뜻함.


- 카이사르(차르) 칭호를 받은 자가 타국의 군주인 경우


(1) 자국민 → 카이사르: 황제폐하 / 황비전하(마마)


(2) 로마인 → 카이사르: 군주전하 / 비전하(마마)


(3) 로마인 → 로마인: 부제전하, 군주전하, 영공전하 / 비전하(마마)



* 세바스토스: 부(副)황[권위의 격하: 존엄공(公) → 존엄군(君) → 존엄경(卿)] - 황경(皇卿)


** 헬라어 세바스토스는 라틴어 아우구스투스와 '존엄자'라는 의미만 상통하며, 아우구스투스처럼 '정제(正帝)'를 가리키는 칭호는 아니다.


- 다음은 똥로미에서 이뤄진 작위 변형 사례


(1) 프로토세바스토스: 원(元)황 - 원황경(元皇卿)


(2) 히페르세바스토스: 상(上)황 - 은퇴한 황제와는 원어 괄호 표기나 문맥으로 구별 - 상황경(上皇卿)


(3) 판세바스토스: 범(凡)황 - 범황경(凡皇卿)


(4) 세바스토크라토르: 패(覇)황 - 패황경(覇皇卿)


- 호칭 사례


(1) 자국민 → 세바스토스 등: 원황, 상황, 범황, 패황전하, 저하, 각하 / 비전하(마마), 빈마마, 군부인, 대부인, 부부인, 영부인, 귀부인마님


(2) 로마인 → 세바스토스 등: 군주전하, 영공저하, 각하 / 비전하(마마), 빈마마, 군부인, 대부인, 부부인, 영부인, 귀부인마님


(3) 로마인 → 로마인: 영공전하 → 영공저하 → 영공각하 → 황경각하(皇卿閣下) → 황경영감(令監), 황경나리 / 비전하(마마) → 빈마마, 군부인 → 대부인, 부부인 → 영부인, 귀부인마님


** 후(后), 비(妃) - 빈(嬪), 군부인 - 대부인, 부부인 - 영부인, 귀부인


** 공(公), 군(君) > 경(卿), 상(相) > 장관(長官), 감(監) / 장수(將帥) > 영[령(領)] > 위(尉)



* 포르피로게니토스: 자(紫)공전하, 자공마마



* 데스포테스: 전제공, 군주 - 주공(主公), 공왕(公王), 군주전하 / 비전하(마마)


- 프린스(prince = furst / prinz)의 용례


(1) 영공저하 / (공)빈마마: 단지 후작인 자


(2) 영공전하 / (공)비전하(마마): 왕족


(3) 공왕[= 후(侯)왕]전하 / (공)비전하(마마): 왕자 혹은 국서이면서 군주인 경우


- prince로 퉁치는 타국의 작위들


(1) 크냐지: 군주(군) = 공(公) - 영공전하, 저하, 각하


(2) 벨리키 크냐지: 대군주(대군) = 대공(大公) - 대군주(대군)전하, 대공전하 / 비전하(마마)


(3) 보이보드: 장군, 도독, 총관 = 공후(公侯) - 영공각하


(4) 아미르: 군주(군) = 공 / 수장, 추장, 수령, 두령, 장군, 도독 - 영공전하, 저하, 각하


- 파디샤: 패왕(왕중왕) - 대왕폐하


- 말리크: 국왕이나 군왕 - 국왕폐하, 군왕전하


- 칼리프: 계승자 / 법왕(교왕, 교주, 교장) - 법왕전하(政), 법왕예하(敎)


- 시아파의 이맘: 승통(왕사, 국사), 교감 - 승통예하, 승통영감, 교감나리


- 술탄: 집권(執權), 전제공 - 공왕전하


- 아미르: 군(군주) = 공 - 군주전하(저하, 각하), 영공전하(저하, 각하)


- 파샤: 경(卿) - 재상(상공), 총독(속주장관, 봉건영주), 총감(總監), 통감(統監), 총관(摠管: 사령관)


- 베이: 장관, 관령(管領), 총사(總師)


- 가지: 족장


- 칸: 추장


(5) 신성로마제국 합스부르크가(家)의 erzherzog(archduke): 국태공전하 / 여태공전하(마마)



* 바실레오파토르: 상부 - 국태공, 영공저하, 각하



* 노빌리시모스: '가장 고귀한(serenissima = the most serene)' - 동로마 황부(황실)의 최측근에게 주어지는 귀족 칭호[귀하(貴下) / 귀공, 귀인, 귀부인]



* 메가스 둑스: 동로마의 대도독 = 대제독, 대공(大公) - 저(邸)하로 경칭하는 고관대작이다. 메가스가 붙은 고등관직의 별칭은 태정관(太政官), 보임자는 태_합(太閤)이다.


** 메가스 드룽가리오스: 해군대감 = 태감(太監)


** 아르콘: 영수(領袖) / 관령(管領: 도맡아 다스림, 권한을 가지고 감독함): 장관(長官), 영관(領官), 영주(領主) / 도령(都領)


- 총감(總監), 통감(統監) / 총사(總師)


- 정무관(민정): 장관 - 군주국에서 장관 위는 상(相), 공화국에서는 통령(집정관)이나 총통(독재관, 최고사령관)


- 사령관(군령): 영(領)관 / 영관 위는 장군, 그 위는 장령(將領), 상장군, 대장군, 원수(帥: 총원수 = 대원수 < 상원수), 그 위는 총통, 사령관 위는 사령장관, 사령관은 총관(總管 = 摠管), 사령장관은 도총관(都總管 = 都摠管)


- 영주(領主): 타국의 통치자를 가리키는 경우


- 메가스 아르콘: 대총감(대총사) / 태정관(太政官), 태_합(太閤) / 대장(大長), 대령(大領) / 대영주


** 투르마키스: 고등감 = 총병(總兵)


** 탁시아르키스: 기병감


** 드룽가리오스: (분야)감 = 부총병(副總兵)


** 코메스: 위관 = 교위(校尉) - 타국에서는 백작으로 변형(동격 X)


** 켄타르키스: 백부장(백인대장)



* 둑스: 도독(都督) = 육군제독(제독총병관), 공(公)


- 토후, 타국의 수장을 가리킬 때는 두령(수령), 추장(수장)


- 타국이 공화국인 경우 통령 = 국무령



* 아미랄리오스(아미랄레스, 아미랄리스): 수사(水師)제독 = 해사(海)제독 = 해군제독



* 프로토스트라토르: 사마관(司馬官), 마부장 - 기병부령(기병총감)



* 메가스 도메스티코스: 내군대총관(내군대원수) / 대총관부



* 도메스티코스 톤 스촐른: 내군도총관(내군도원수) / 내군도총부 = 도총관부



* 도메스티코스 토우 테마토스: 내군행군총관(내군행수) / 내군행성(行省) = 내군총관부



* 도메스티코스: 내군총관(내군원수, 내군장군)



* 엑사르코스: 도호, 총독 / 엑사르키아: 도호부, 총독부



* 안티파토스(프로콘술, 프로프라토리아): 총독(행정, 민정장관) - 속주의 정무총감(정무통감)



* 카테파노


- 기존: 총관도독(총독, 총관), 장령(將領), 통제공 / 총관구장 - 카테판: 총관구(통합관구 / 통제영), 장령부


- 대안: 도총관[총관구장(통합관구장), 도총부장] - 원수 및 원수부, 장령(별칭) 및 장령부, 통제관(통제공) 및 통제영



* 스트라테고스


- 기존: 도독, 장군 / 군관구장(테마: 군관구)


- 대안: 장군, 총관(사령관) / 군관구장(총관부장)



* 스트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르


- 개념: 총통, 원수


- 호칭: 장령(將領), 상장군(上將軍)



* 메사존: 총리


- chancelier(佛): 시중, 상서, 총재, 재상 / '총리' - 수상(prime minister)과 구별, president는 주석, 의장


- lord chancellor(英): 상서경(상서령)


- lord protector(英): 호국경


- lord high admiral(英): 상제독경('해군상경' = 해군상령) - 해군 원수, 해군장관은 '해군성경(해군경, 해군성령, 해군부령)' / 참모총장은 제일해군경


- chamberlain: 시중, 시종 / 집사관(임시직)


** 브리튼의 lord는 경, 때때로 영(령)으로 번역



* 콘술: 집정관 = 통령(統領)


- 딕타토르(독재관 = 총통) > 콘술(집정관 = 통령)


- 임페라토르(최고사령관: 총통 = 원수 / 주권자 = 전제군주 = 황제) > 렉스(왕) > 둑스(사령장관, 군정총독, 군정장관)


** 중세의 통령은 대체로 가장 고귀한 공화국의 국무령(도제)을 지칭


** 콘술로 칭해지는 자가 공화국의 수반인 경우 국무총감, 수반이 아닌 경우 정무총감



* 아르콘


- 관령(管領): 장관(정무관), 영관(군령관: 육군령, 해군령) / 도령(都領): 고려조에서 전투부대의 지휘관이나 귀순한 여진족 추장에게 내리던 벼슬


- 메가스 아르콘: 태정관(태_합), 대장, 대령, 대총감(대총사), 대영주 / 대도령(大都領)


** 아르콘토풀레: 아르콘(영수, 장관, 영주 = 비잔티움의 귀족)의 자제들


- 국본군(國本軍): 고대 헬라와 로마의 공동체 의식을 계승한 비잔티움인들에게 국본(國本)은 황위계승자가 아님


- 도령군(都領軍), 도령대(都領隊)


- 총사대(總師隊)



* 도제


- 가장 고귀한 공화국의 국무령, 도독(둑스)에서 유래


- 통령: 총통은 원수(元帥)의 다른 말로, 임페라토르, 스트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르, 독재관인 딕타토르의 역어로 씀



* 프린켑스


- 일인자, 제일시민 = 원수(元首), '영수(領袖)'


- 후작(후왕, 군주), 즉 prince의 어원 / 영수공(領袖公), 영수관(領袖官)



* 임페라토르(스트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르)


- 주권자


- 원수(元帥), '총통(總統: 최고사령관)'


- '제(帝) = 전제군주'



* 아우구스투스


- 존엄자 = 세바스토스(헬라)


- 세바스토스: 존엄공(군, 경) = '황(皇)'



* 딕타토르: 독재관 = 총통



* 마기스테르 밀리툼


- 병무총감(병부총감, 군무총감, 군부총감, 군사총감)


- 병부령(군부령), 원수(帥)


- 마기스테르 에퀴툼: 기병총감, 기병부령


- 마기스테르 페디툼: 보병총감, 보병부령



* 둑스: 영도자 - 도독 = 제독(제독총병관), 공 / 사령장관


- 공작, 즉 duc(duke= herzog), duce(doge)의 어원


- 영도공(領導公), 영도관(領導官)


- 타국의 둑스: 수장, 추장, 수령, 두령 / 통령(공화정)



* 카테파노: 원수 = 장령 / 도총관, 총관구장(통합관구장) = 도총부장 / 사령장관


- 원수 및 원수부, 장령(별칭) 및 장령부, 통제관(통제공) 및 통제영



* 스트라테고스: 장군 / 총관, 군관구장(총관부장) / 사령관



* 메가스 로고테테스: 대서기장관(대서기장) - 대상공(大相公)



* 로고테테스: 서기장관(서기장) - 상공(相公)



(장관- 차관 - 판관 - 주전)



※ 경어



* majesty = majestat: 폐(陛)하 - 황제, 황후, 선황, 상황, 법황, 황태후, 국왕, 왕후, 왕태후 등



* holiness: 성(聖)하 - 교황



* highness = hoheit: 전(殿)하 - 대체로 duc(duke = herzog) and duchess, prince(prinz) and princess에 대한 경어


- imperial, royal highness: 전하 - 황족과 왕족


- grand ducal, ducal highnes: 저(邸)하 - 대공족과 공족


- highness = hoheit: 전하, 저하 - 중부유럽의 공작(herzog)과 공족



* beatitude: '예(猊)하' / 전하 - 총대주교



* serenity = durchlaucht: 저(邸)하, 각(閣)하 - 대체로 prince(furst) and princess에 대한 경어


- most serenity = most serene highness: 저하 - 신성로마 선제후, 가장 고귀한 공화국의 국무령(도제) 등


- serenity = serene highness: 저하, 각하 - 중부유럽의 제후[후작(furst)], 공족, 가장 고귀한 공화국의 국무령(도제) 대한 통상적인 경어 / 동로마의 대제독(대공)


** 선제후를 비롯한 신성로마 제후에 대한 경어


- 보헤미아왕: 공왕전하(hoheit = highness)


- 작센공: 영공전하(hoheit = highness)


- 마인츠, 트리어, 쾰른 주교후: 주교, 상공저하(durchlaucht = most serenity)


-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라인팔츠: 영공저하(durchlaucht = most serenity)


- 영방의 후작들: 영공저하(durchlaucht = serenity)


- 국회백(제국백작): 영공각하(erlaucht = illustrious)



* eminence: 예하 / 저하 - 17세기 이후 보편교회의 추기경, 기사수도회장 / 정교회의 관구장주교, 대주교


- 중세 보편교회의 추기경, 기사수도회장, 정교회의 관구장주교, 대주교는 각하(illustrious)


- 성요한기사수도회: 그랜드 마스터(마기스테르 게네랄리스) - 대원수(총원수)


- 튜턴기사수도회: 호흐마이스터 - 상원수



* grace: 각(閣)하 - 브리튼의 왕족이 아닌 공작, 성공회의 대주교 / 정교회의 주교


- 16세기 이전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국왕에 대한 경칭으로 사용(국왕전하)


- 1안) grace: 전하, 저하 > lordship: 각하


- 2안) majesty(폐하) > royal highness(전하) > highness(전하, 저하) > grace(각하) > lordship



* illustrious = illustrious highness = erlaucht: 각(閣)하



* excellency: 각(閣)하 - 보편교회의 대주교와 주교, 공화정부의 수장, 속주의 총독, 고등무관, 타국의 대사, 고관대작 등



* lordship(ladyship): 영감, 나리, 님(영주님, 주교님, 재판장님, 영부인마님)



* honourable: 나리, 님



*보편교회


- 교황(폰티펙스 막시무스)이자 아버지[교부(pope)]: 교황성하(holiness)로 경칭 / 교부성하


- 총대주교이자 가부장 = 교부장[가장 = 교장 / 파트리아르케스 = 파트리아(혈통, 씨족, 부계, 후예) + 아르코(지배)]: 총대주교예하(전하 / beatitude)로 경칭 / 교부장(教父長), 교장예하


- 추기경: 추기경각하(illustrious)에서 추기경예하(저하 / eminence)로 격상(17세기)


- 대원수(총원수): 성요한기사수도회장, 대원수각하(illustrious)에서 대원수예하(저하 / eminence)로 격상(17세기)


- 상원수: 튜턴기사수도회장, 상원수각하(illustrious)


- 대주교: 대주교각하(excellency)로 경칭


- 주교: 주교각하로 경칭



*정교회


- 총대주교이자 가부장 = 교부장[가장 = 교장 / 파트리아르케스 = 파트리아(혈통, 씨족, 부계, 후예) + 아르코(지배)]: 총대주교예하(전하 / beatitude)로 경칭 / 교부장(教父長), 교장예하


- 대주교: 대주교예하(저하)로 경칭


- 총주교(엑사르코스): 대주교의 대리 혹은 총주교구의 장, 총주교예하(저하)로 경칭


- 도주교(都主教, 관구장주교): 도주교, 관구장예하(저하)


- 주교: 주교각하(grace)로 경칭



**교황(교부) - 총대주교(교부장, 교장주교) - 추기경 - 대주교 - 도주교(관구장, 관장주교) - 총주교 - 주교


- 교황성하, 교부성하


- 총대주교예하(전하), 교장예하(전하)


- 추기경예하(저하) / 추기경각하


- 대주교예하(저하) / 대주교각하


- 도주교예하(저하), 관장예하(저하)


- 총주교예하(저하)


- 주교각하 / 주교님, 주교영감, 주교나리



*성공회: 대주교(grace / 각하) - 주교(lordship / 주교님, 영감, 나리)



*교회 경어: 성하 - 예하(전하, 저하) - 각하 - 영감, 나리




* 고대 로마 공화정의 구조


(1) 국무총감(정무관): 독재관(총통: 정원 1명 / 임기 6개월) - 집정관(정무총감 = 통령: 정원 2명 / 임기 1년) - 법무관(법무총감, 사헌부령 / 통감) / 재무관 / 감찰관(감찰총감, 사정부령 / 상감) / 건설관 - 민회(병사회 = 병원회)


(2) 호민관(임기 1년 / 평민회 주관) - 평민회


(3) 원로원: 국정최고기관 / 종신


** 3대 대정무관(태정관): 감찰관(켄소르), 집정관(콘술), 법무관(프라이토르)



* 콘술: 고대 로마의 집정관(정무총감) = 통령(統領)


- 중세 제노바, 피사, 근대 프랑스의 집정관(통령)


- 중세 이탈리아 시뇨리아들의 콘술(집정관)은 세레니시마의 둑스(도제)가 통령(국무령)으로 번역되는 것과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국무총감 혹은 정무총감으로 번역


- 근대 이후 영사(領事)를 가리킴


** 통령: 공화정부의 수반이나 군부의 수장을 가리켜 폭넓게 쓰는 말로, 반드시 고대 로마의 집정관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님



* 프로콘술: 총독 - 속주총감



* 레가투스: 공사(公使), 군단장, 판무관



* 레가투스 아우구스티 '프로프라이토르': 총독 - 속주통감



* 프라이펙투스: 속주총관(摠管)



* 프로큐라토르: 관령(管領), 관장(管長) = 행정장관



* 임페라토르: 고대 로마의 사령관(총관) < 사령장관(도총관) < 최고사령관(총통), 주권자



* 딕타토르: 고대 로마의 독재관(총통)



* 콘술: 고대 로마의 집정관(통령) = 정무총감



* 고대 로마의 국무총감(정무관)들


- 프라이토르: 8~16명의 법무관 - 법무총감(통감), 사헌부령


- 켄소르: 2명의 감찰관(감찰총감) - 감찰부령(감사부령), 사정부령, 상감


** 집정관(통령)의 별칭은 총감, 감찰관(사정부령)의 별칭은 상감, 법무관(사헌부령)은 통관


- 콰이스토르: 10~20명의 재무관(재무장관)


- 마기스테르 밀리툼: 병부령(원수) - 병무총감(병부총감), 군무총감(군부총감, 군사총감)



* 고대 로마의 속주장관들


- 프로콘술: 총독 - 속주총감


- 프로프라이토르: 총독 - 속주통감


- 레가투스: 공사 / 군단장, 판무관


- 프라이펙투스: 속주총관


- 프로큐라토르: 행정장관 - 관령, 관장


** 관령


- 도맡아 다스림, 권한을 가지고 감독


- 통령과 유사하지만 보통 그 아래에서 의명을 행사하는 관직



* 둑스


- 영도(領導), 영도자(領導者), 영도관(領導官)


- 로마제국의 군정총독(군정장관), 군령장관(사령장관), 타국의 수장(추장, 수령, 두령)


- 도독(都督) / 메가스 둑스: 대도독(大都督) = 대제독(大提督)


- 공작(duc, duke, herzog)과 도제(통령, 국무령)의 어원


- 중세 비잔티움에서 계승, 발전



* 고대 헬라


- 아르콘: 집정관(정무장관) - 장관


- 스트라테고스: 장군, 총관(사령관)


- 스트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스: 총통, 원수 / 장령, 상장군


- 바실레우스: 군주, 군장


- 아우토크라토르: 전제군주, 독재관, 총통



* 프린켑스


- 영수(領袖)


- 고대 로마의 원수(首): 일인자, 제일시민


- 후작(prince, prinz, fürst)의 어원



* 도제(두체)


- 영도자(領導者)를 뜻하는 둑스에서 파생


- 가장 고귀한 공화국(베네치아, 제노바)의 국무령(國務領) = 통령



* 아르콘: 고대 헬라의 집정관(정무장관), 중세 비잔티움의 정무장관이나 군령관(사령관), 귀족


- 고대 헬라: 집정관 = 통령


- 중세 비잔티움: 정무장관(장관, 관령), 군령관(사령관) = 영관(領官), 도령(都領), 총사(總師) / 그 자체로 귀족(통치계급)을 뜻하기도 함.


** 중세 비잔티움의 메가스 아르콘


- 태정관(太政官): 큰 정무장관(집정관), 태정관은 메가스가 붙은 고등관작의 별칭이고, 보임자는 태_합(太閤)이라 칭함.


- 대장(大長): 큰 장관


- 대령(大領): 큰 영관


- 대영주: 아르콘(archon)의 원래 의미는 영주(主: lord)이다.


- 오역: 대통령(大統領) / 통령으로 번역하는 자타국의 관직과 구별하기 위해 아르콘을 통령(집정관)이 아닌 관령으로 번역, 메가스(大)가 붙는 경우 원래 의미를 살려 대통령으로 옮김.


** 태정관(太政官) = 대관(大官)


- 메가스 아르콘: 태정관(태_합 / 대장, 대령), 대총감(대총사), 대도령, 대영주


- 메가스 둑스: 대도독 = 대제독, 대공


- 메가스 도메스티고스: 내군대총관(내군대원수, 대장군)


- 메가스 로고테테스: 대서기장(대재상, 대상공)


- 메가스 드룽가리오스: 태감(해군대감)



* 임페라토르(아우토크라토르): 최고사령관(총통) - 주권자



* 마기스테르 밀리툼


- 총사령관(‘병부령’, 군부령, 군무령, 병부총감, ‘병무총감’, 군부총감, 군무총감, ‘군사총감’)


- 집정관(정무총감)의 별칭이 통령인 것처럼 병무(병부, 군무, 군부, 군사)총감의 별칭은 병부령이다.


- 마기스테르 에퀴툼: 기병부령(기병총감, 기병장관)


- 마기스테르 페디툼: 보병부령(보병총감, 보병장관)



* 둑스: 사령장관 = 도총관


- 개념: 영도(領導), 영도자(領導者), 영도관(領導官)


- 보임자: 영도관(領導官)


- 관청 및 관할령: 영도부(領導府)


- 타국의 수장: 두령, 수령, 수장, 추장 / 통령(공화정부)


- 공작(duc, duke, herzog)의 어원


- 공화정부의 국무령(통령 / doge, duce)의 어원


- 비잔티움의 둑스: 도독 = 제독(제독총병관), 공(公)


- 메가스 둑스: 대도독 = 대제독, 대공(大公)




* 임페리움: 주권 / 통수권 > 군정권, 군령권 - 총통 → 도총관 → 총관



* 고대 로마의 마기스테르(국무총감)들


- 콰이스토르(재무관) → 아이딜리스(안찰관) → 프라이토르(법무관) → 콘술(집정관) → 켄소르(감찰관) → 폰티펙스 막시무스(대사제, 대신관)



* 콘술: 집정관은 정부 수반으로서 별칭은 통령이다. 정무를 총감독하는 2인으로 구성, 정무총감이라고도 한다.



* 프라이토르: 법무관은 사법(재판)을 총괄, 야전에서는 군사령관을 가리킨다. 법무를 총감독하는 8~16명(시기에 따라 구성원 상이)은 법무총감이라 부르며, 별칭은 사헌부령(司憲部領)과 통감(統監)이다.



* 켄소르: 감찰관은 감찰, 사정의 총책이다. 별칭은 사정부령(司正部領)이고, 감찰을 총감독하므로 감찰총감이라고도 한다. 집정관 즉 통령(정무총감)과 함께 고대 로마에서 가장 명예로운 칭호로서 상감(上監)이라고도 한다.



* 프로콘술: 속주의 총독, 속주총감



* 프로프라이토르: 속주의 총독, 속주통감



* 레가투스: 공사(외교사절), 군단장(총관)



* 프라이펙투스: 행정장관 - 속주총관



* 프로큐라토르: 행정장관 - 관령(管領), 관장(管長)



* 프라이토르: 사헌부령


** 프라이토리아니: (근위)헌병대 = 내군(內軍)



* 프라이토리아 프라이펙투스: 비잔티움에서는 정무총감으로서 기능


- 사헌총관(총감) = 프라이토리아니(사헌, 헌병) + 프라이펙투스(총관)


- 사헌부령 = 사헌 + 관령



* 프라이펙투스 우르바누스(우르비)


- 로마시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시장(도시 행정장관 = 시장)


- 두 도시는 시(市)보다 높은 도(都)이므로 도총관(도총감)으로 번역


- 비잔티움에서 콘술, 프라이토르가 사라지는 시점에서부터 프라이펙투스를 총감으로 번역 가능



* 렉스: 왕 / 통치자


* 둑스: 공 / 영도자


- 작위: 공


- 관직: 로마의 영도관(도총관), 비잔티움의 도독 = 제독(제독총병관), 공


- 메가스 둑스: 로마 시대 타국의 대두령(대추장), 관직은 대총관, 비잔티움의 대도독 = 대제독, 대공


- 타국의 수장: 수장, 추장, 수령, 두령 / 통령



* 로마제국


** 마기스테르 밀리툼: 병무총감(군무총감) - 병부령


** 마기스테르 에퀴툼: 기병총감 - 기병부령


** 마기스테르 펜디툼: 보병총감 - 보병부령


** 둑스: 도독(도총관) / 두령(수령), 추장(수장)


** 메가스 둑스: 대도독(대총관) / 대두령, 대추장


** 레가투스: 군단장 - 총관 = 장군 / 외교사절: 공사


** 코메스: 교위(위관)


** 프로콘술: 속주총감 - 총독


** 프로프라이토르: 속주통감 - 총독


** 프라이펙투스: 속주총관


** 프로큐라토르: 관령, 관장



* 서로마제국의 군사령관


** 황제(라벤나에서 2,500명의 스콜라이)


** 마기스테르 밀리툼[병부령(병무총감, 군무총감): 밀라노에서 28,000명의 병력]


- 갈리아의 마기스테르 에퀴툼[기병부령(기병총감): 루테티아에서 32,000명의 병력] - 막하에 여러 둑스(도독, 도총관)를 거느림


- 일리리아 코메스(위): 4명의 둑스로 구성


- 아프리카 코메스(위): 2명의 둑스로 구성


- 브리타니아 코메스(위): 1명의 둑스(휘하에 9,250명의 병력)와 코메스(휘하에 2,250명의 병력)로 구성


** 단독황제 혹은 선임황제(임페라토르 아우구스투스)는 최고사령관으로서 총통(임페라토르)이라 칭함


** 병부령(마기스테르 밀리툼)은 총사령관이자 군부의 수장으로서 원수라 칭함[병부령은 에퀴툼(기병부령)과 페디툼(보병부령)을 총괄]


- 기동야전군(코미타텐세스), 방위군(수비대, 변경군 / 리미타네이), 해군(프라이펙투스 클라시스) / 클라시스 = fleet


- 기동군(야전군) 및 방위군(변경수비대)은 사령장관인 둑스(도독, 도총관)와 그 휘하의 사령관들, 레가투스(장군, 총관, 군단장)가 지휘 / 코메스는 위관(교위)이라 칭함(영관은 비잔티움의 아르콘이 무관인 경우, 문관은 장관)


- 임페리움(주권: 통수권 / 군정권, 군령권)을 가진 자가 황제나 독재관이면 총통(상원수), 집정관이면 통령, 병부령(병무총감)이면 원수(총원수 / 기병부령은 기병원수, 보병부령은 보병원수), 사령장관[통합사령관(총사령관)]에 해당하면 도총관, 사령관에 해당하면 총관으로 번역


- 로마시대 로마의 관직으로 활용한 둑스(영도자, 영도관)는 도총관, 메가스 둑스는 대총관, 비잔티움에서는 도독(제독, 공), 대도독(대제독, 대공)



* 비잔티움의 군사령관들(친위대장들은 제외)


** 마기스테르 밀리툼: 원수 / 병부령, 병무총감(군무총감) - 비잔티움 초기 사령장관직


** 프로토스트라토르: 사마관(司馬官), 마부장 - 기병부령(기병총감)


** 도메스티코스: 내군총관 - 내군원수(별칭), 내군장군(별칭)


** 메가스 도메스티코스: 내군대총관 - 내군대원수(별칭), 내군대장군(별칭), 대장군(별칭)


** 도메스티코스 톤 스촐른(스콜른): 내군도총관 - 내군도원수(별칭)


** 도메스티코스 토우 테마토스: 내군행군총관 - 내군행수(별칭)


** 메가스 둑스: 대도독 = 대제독, 대공 / 아미랄리오스(아미랄리스): 수사제독 - 제독


** 둑스: 도독 = 제독(제독총병관), 공 / 도제(두체): 국무령, 통령 / 뒥, 듀크: 공작


** 엑사르코스: 도호, 총독


** 카테파노: 도총관[총관구장(통합관구장), 도총부장] - 원수, 원수부, 장령(별칭), 장령부, 통제관(공), 통제영


** 스트라테고스: 장군, 총관(군관구장, 총관부장)


** 스타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르: 총통, 원수 / ‘상장군(장령)’


** 메가스 드룽가리오스: 태감(해군대감)


** 아르콘: 관령, 도령 / 총감, 총사 / 장관, 영관 / 영주


** 메가스 아르콘: 대총감 / 대장, 대령 / 대영주


** 투르마키스: 고등감 / 총병


** 드룽가리오스: 각군감


** 코메스: 교위(위관) / 백작의 유래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53 설문 연인과 헤어지고 뒤끝 작렬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4/22 - -
2671 공지 공지)비잔티움 마이너 갤러리 들어가지 마셈 [6] Basili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8 886 1
17 공지 롬연시 관련 비잔티움사 서적 추천(20.11.16) [10] Basili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9 1768 9
1824 공지 롬연시갤 정보글(20.10.17) [3] Basili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4.20 1745 6
1 공지 롬연시갤 정식 규정(20.06.10) Basili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8 1022 3
93 공지 신고버튼 Basili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12 300 0
3020 일반 여기 갤 망했나요 씨발새끼들아? ㅇㅇ(223.39) 04.24 12 0
3018 일반 비잔티움 고증 이정도면 어떻냐? 아나킨스카이콩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7 0
3017 일반 이바니아랑 주인공은 볼때마다 애틋하네 ㅇㅇ(182.210) 03.23 58 0
3016 일반 칼라모스, 클리마라 어딘지 따로 글이 없길래 작성 [2] 마듬항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173 6
3015 일반 갤이 죽긴 죽었구나 테오도로스라스카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9 111 4
3014 창작 작가님이 현재 문피아에 연재중인 다른 작품 팬아트 롬갤러(112.154) 23.11.18 319 2
3013 일반 작가님 연락처 좀 [2] 포트니아테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163 0
3012 일반 할리스 강은 자연방어선으로 삼기에 어떰? [1] ㅇㅇㅇ(45.112) 23.10.22 209 0
3011 일반 잔다르크 뇌절때 대체 어떤얘기가 오갔음?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7 148 0
3010 일반 몇몇 서유럽인들은 동로마라는 단어를 [2] 가끔잘자쿨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6 258 0
3009 일반 롬연시 작가님의 다른 작품 얘기도 여기서 가능? [1] 포트니아테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1 184 0
3008 일반 오랜만에 생존신고 [1] Basili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3 254 3
3006 일반 동롬+음악 대역 읽어보쉴 [1] 롬갤러(1.233) 23.08.03 170 1
3005 일반 현대 그리스 민족주의자들은 동로마라는 단어 안좋아하더라 [2] ㅇㅇ(119.192) 23.08.03 290 0
3004 일반 이바니아 진짜 귀엽다... ㅇㅇ(182.210) 23.07.30 104 0
3003 일반 마누일 1세의 원정이 전부 성공했다면 어떨까 [2] ㅇㅇㅇ(45.112) 23.06.24 374 0
3002 일반 벨라 3세는 친 동로마 성향이라고 할 수 있나? [1] ㅇㅇ(118.235) 23.06.23 175 0
3001 일반 동고트왕국이 서로마제국의 계승자로 인정되고 멸망하지 않고 [2] 마인츠0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15 224 0
3000 일반 우주가 깨어진 날 ㅇㅇ(39.115) 23.05.29 399 18
2998 일반 비잔티움의 역사 책 샀다 [1] ㅇㅇ(223.38) 23.05.15 237 0
2997 일반 대관식 관련해서 궁금한거 있는데 답변좀 ㅇㅇ(59.25) 23.05.08 88 0
2996 일반 미하일 4세가 무병장수했다면 파플라고니아 왕조 이어졌을까 ㅇㅇㅇ(45.112) 23.05.06 118 0
2991 일반 롬연시 이제 읽기 시작해서 네메파트레 불태우는데까지 봤는데 [1] ㅇㅇ(125.177) 23.04.04 217 6
2990 일반 『비잔티움의 역사』의 이라클리오스 이후 황제 인명 표기 ㅇㅇ(101.235) 23.03.20 253 3
2989 일반 롬연시 도서 출간 희망 [1] a1015101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10 148 0
2988 창작 예전에 만들었던 지도 한장 놓고감 [4] Basili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5 827 11
2987 일반 롬갤서 요즘 출판시킨 동로마 역사책 글이 없다니 오오 실망스럽구나 淸太宗皇太極.. ■x■x(121.167) 23.02.22 245 5
2986 일반 룸연시 정말 재밌게 봤었는데 [1] ㅇㅇ(121.142) 23.02.13 250 1
2984 일반 로마 인빅타 구호는 언제까지 쓰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154 0
2983 일반 동로마 대체역사물을 더 많이 등판시켜 대박치길 소망한다 淸太宗皇太極.. ■x■x(121.167) 23.01.01 272 1
2982 일반 그런데 동롬회귀에서 출생년도 이상한 애들 조금 있는 거 같던데 [1] 우스르페르(183.98) 22.12.29 256 0
2980 창작 방갤에서 올려봤던 동로마 배경 뱅드림 팬픽 맛보기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256 0
2979 창작 팬픽)미연시에서 돌아와도 할 일이 많은 건에 대하여 -18- [8] 이엠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8 943 23
2978 일반 동로마가 룸술탄국 조지고 이코니온 점령한다 해도 [5] ㅇㅇ(125.139) 22.12.17 487 0
2977 일반 제발 살아나 갤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1 136 1
2976 일반 롬연시 웹툰화는 불가능.. 이겠지? [3] ㅇㅇ(182.224) 22.12.11 341 1
2975 일반 테마랑 스트라테기아랑 다른 거임? ㅇㅇ(125.139) 22.12.10 143 0
2974 일반 이탈살)오오 로마여! 냥냥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2 169 0
2973 일반 정교회 마이너 갤러리가 개설되었다고 함 [1] ㅇㅇ(172.107) 22.11.30 287 0
2972 일반 근현대에도 국교가 정교회인 로마보단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246 1
2971 일반 게이들아 임페라토르라는 명칭은 언제까지 쓰임?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211 0
2970 일반 둑스, 도제(두체)에 대한 역어로 범용 가능한 말을 찾았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111 0
2969 일반 오 로마배경 로판 하나 발견 [1] 냥냥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249 0
2968 자료 정교회의 여러 상황에 따른 기도 [1] ㅇㅇ(101.235) 22.11.24 273 2
2966 일반 사칭황자 작가는 봐라 [1] ㅇㅇ(223.62) 22.11.16 314 1
2965 일반 엔씨 신작겜 설정 대박인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254 4
2964 일반 회생은 왜 갤러리 없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0 181 0
2963 일반 고중세 로마 무관직 둑스 역어로 제독이랑 도독 중 뭐가 어울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6 98 0
2962 일반 걍 시작부터 맞춤법 박살났길래 안봄 ㅇㅇ(219.248) 22.10.28 170 0
2961 일반 요안니스 스텟창 몇편에 있죠? [1] ㅇㅇ(218.50) 22.10.27 16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