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장비] 생존주의적 자전거 얘기

불타는빨갱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2.25 02:56:48
조회 6626 추천 26 댓글 31
														

요즘 자전거 타고 다니면서 자가 정비도 하고 하다보니, 생존주의적 관점의 자전거가 무엇인가 생각해보게 됨.


그래서 대충 자전거 취미로 타거나 하면서 생존주의적으로 대피수단으로도 쓰려고 한다 싶은 사람을 위한 글을 써보기로 했다.





1. 자전거의 종류.



viewimage.php?id=3ebcde21ffdd36&no=24b0d769e1d32ca73dec83fa11d028313e457d3f472465ed713dd3021d902a4586e7102807ffb7e878752225414b4bf2e63a751c2d61df02f46ed6819e2973c030a5



자동차에도 스포츠카나 SUV 같은 차종이 있듯이, 자전거에도 종류가 있다.


스포츠카처럼 포장도로에서 최대속력을 내는데 특화된 로드바이크, 산악지형에 특화된 MTB, 타고 내리기 편한 시티바이크(혹은 숙녀용 자전거라고도 함), 접이식 구조로 운반이 간단한 미니벨로... 등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종류가 달라지는 것에 따라서 타는 자세에서부터 바퀴의 크기나 폭과 같이 많은 부분이 변하는데, 이런 요소들이 공기저항을 덜 받게 하거나, 타이어에 의한 노면과의 마찰력을 줄이거나 늘려서 빠르게 타기 편하게 만들거나, 더 험한 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탈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이하는 유명하고 잘 알려진 몇 가지 분류를 하나씩 짚어보면서 생존주의적 관점으로 보았을 때의 장단점을 말해보겠음.





viewimage.php?id=3ebcde21ffdd36&no=24b0d769e1d32ca73dec83fa11d028313e457d3f472465ed713dd3021d902a4586e7102807ffb7e878754f484a4646fcc61b6d6a206f08feb0ea06edabe4086a4aee02


- 로드바이크: 한강 같은데서 따릉이 추월하는 쫄쫄이 입은 동호회 아저씨들이 타고다니는 그거.


장점: 쉽게 높은 속도를 유지 가능하고, 공기저항이 적어서 더 적은 열량으로 먼 거리를 갈 수 있다.


단점: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드롭바 핸들을 달아놨기 때문에 탈 때 앞으로 숙이는 자세가 되어서 허리에 대한 부담이 강하다. 가방 매고 타는 것도 고통스러울 정도고 익숙해지기 전에는 손목에 허리에 안 아픈 곳이 없음. 서스펜션도 없어서 노면 충격이 그대로 올라오기도 하고, 타이어가 얇아서 도로 요철에 의한 펑크가 발생할 수도 있고, 노면이 젖어있거나 미끄러운 상태일 때 커브 돌다 자빠질 위험도 있고... 핸들바 간격이 다른 자전거에 비해서 좁기도 하고 드롭바 특성상 빠르고 섬세한 조작이 어렵기도 하고.... 전반적으로 잘 정비된 포장도로용이라고 봐야한다.


총합: 전반적으로 생존용 자전거로써는 부적합하다고 봄. 하지만 취미로 타기에는 멀리 다녀오고 그럴 때 괜찮음.


-변종: 투어링 바이크: 대충 여행용 자전거라는 뜻인데, 경량성보다 내구성을 중시한 크로몰리나 알루미늄 프레임에 짐받이를 앞뒤로 장착해서 짐 많이 싣고 다니기 좋게 나온 자전거임. 로드 자전거 기반 치고는 특이하게도 앞 크랭크 기어단이 1단만 존재하기도 하는데, 여행 중 잘 고장나지 않게 하는 걸 최우선 목표로 해서 그럼. 근데 그냥 MTB나 하이브리드 개조해서 투어링 바이크처럼 쓰기도 하고, 클래식 투어링 자전거가 정형화시킨 이미지는 있지만 꼭 그거 아니면 투어링 용도로 못 쓰는 건 아님.





viewimage.php?id=3ebcde21ffdd36&no=24b0d769e1d32ca73dec83fa11d028313e457d3f472465ed713dd3021d902a4586e7102807ffb7e878754f484a4646fcc61b6d6a206f08ade4ba02eaafe50e6a18cd78


- MTB: 산악자전거. 보험 좋은 거 들어둔 아저씨들이 산에서 막 타는 타이어 두꺼운 자전거들.


장점: 튼튼한 프레임과 넓고 그립력이 좋은 타이어, 그리고 포크 서스펜션(+풀샥 자전거면 리어 서스펜션도 있음)을 기반으로 험한 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운행이 가능한 자전거.


단점: 그립력이 좋은 만큼 마찰력이 증가해서 속도를 빠르게 내거나 힘을 안 들이고 운행하는데는 부적합함. 무게도 로드 자전거에 비하면 좀 무거운 편이기도 하고, 페달링을 할 때 서스펜션의 출렁임에 운동에너지 일부가 흡수되어 힘손실이 발생하기도 함. 힘손실은 잠금기능 있는 서스펜션 쓰면 어느 정도 해결 가능함.


총합: 본인이 산악지형에서 자전거 탈 거라거나, 대피경로가 비포장 도로 위주라면 고려해볼만 하다. 도심에서 타면 승차감이 좋아서 어르신들도 자주 타고 다니고 그럼.


-변종: 팻바이크: 타이어를 존나 크고 뚱뚱한 걸 달아서 접지력에 몰빵하고 서스펜션도 없애고 타이어가 충격흡수하게 만든 자전거. 지형극복능력은 졸라 좋아서 눈밭이나 모래밭에서도 잘하면 타고 다닐 수 있는데, 대신에 페달링이 좀 힘들다. 물에 빠지면 타이어 때문에 뜨더라 미친 자전거.






viewimage.php?id=3ebcde21ffdd36&no=24b0d769e1d32ca73dec83fa11d028313e457d3f472465ed713dd3021d902a4586e7102807ffb7e878754f484a4646fcc61b6d6a206f08fbbce805eafce35d6a807208


- 하이브리드: 로드바이크와 산악자전거의 특성을 조금씩 합친 종류. 보통 로드의 타이어를 단 산악자전거 같은 모양을 하고 있음.


장점: 로드의 속력내기 좋은 타이어와 MTB의 편안한 탑승자세나 충격흡수 능력을 가져온 형태임. 로드바이크에 비해 공기저항은 있겠지만 속도를 내거나 연비 좋게 달리는데 적합하고, 종류에 따라서는 로드와 MTB 중간급의 타이어를 채택해서 어느 정도 지형극복능력을 갖춘 경우도 자주 보임. 개중에는 산악자전거 다운힐 코스 같이 격렬한 거 빼고 대충 완만한 트레일 정도는 타도 된다는 준 MTB급인 경우도 있음.


단점: 어느 쪽도 아닌 형태다보니까 타이어나 튜브 구하기 힘들 수 있음. 그리고 스펙트럼이 좀 넓다보니 사실상 핸들바만 바꾼 로드자전거 같은 거에서 산악자전거에다 로드 타이어만 끼운 거 같은 것까지 형태가 꽤 다양함.


총합: 도심과 어느 정도의 오프로드도 탈 역량이 되고, 조심조심 타고 다닐 거 생각하면 생존주의 관련으로는 가장 적합한 형태 아닌가 생각함.


-변종?: 그래블: 얘도 로드랑 산악자전거의 특성을 좀 합친 종류인데, 얘는 좀 더 로드 자전거에 가까움. 로드자전거에다 살짝 타이어 두꺼운 거 씌운 느낌임. 마찬가지로 다운힐 같이 격렬한 산악자전거 코스는 못 타지만 적당한 트레일 정도는 탈 수 있음.





viewimage.php?id=3ebcde21ffdd36&no=24b0d769e1d32ca73dec83fa11d028313e457d3f472465ed713dd3021d902a4586e7102807ffb7e878754f484a4646fcc61b6d6a206f08f8b4bd0abbf8e20a6aeb4e31


- 시티 바이크: 대충 미니벨로나 숙녀용, 신사용 섞어서 바퀴 작은 자전거라 치자.(제조사에 따라서 하이브리드도 시티바이크로 쳐버리기도 하기 때문에 정확한 분류는 아님.) 신사용 숙녀용 차이는 중간에 탑튜브 높이인데 치마 입고 타고 내리기 편하게 만드느라 차이나는 거라 남자든 여자든 걍 타고 싶은 거 타면 됨.


장점: 바퀴가 작은 대신에 밟을 때 들어가는 힘이 적어서 출발할 때 좋음. 프레임 높이도 낮고 해서 타고 내리기도 꽤 편함. 접이식 구조인 애들은 자동차 뒷자리나 트렁크 같은데도 잘하면 들어가기 때문에 차량 등에 싣고 가다가 중간에 변경해서 타고 가거나, 아니면 평상시에 어디 놀러 다닐 때도 지하철에 들고 타거나, 고속버스 트렁크에 넣고 가서 그 지역에서 타고 다니는 등 여러 용도로 쓰기 편함.


단점: 바퀴가 작기 때문에 같은 기어비 기준 최고속도가 더 적게 나오고, 고속 유지가 힘들 수 있음. 그리고 요철 같이 바퀴가 타넘어야하는 종류의 장애물이나 험로에도 비교적 취약한 면모가 있음. 접이식 구조인 경우 싸구려는 신뢰성이 떨어져서 타던 도중에 부러지거나 하는 경우도 있음.


총합: 메인 이동수단으로써의 자전거보다는 운송이나 보관의 간편함을 장점으로 삼아서 쓰기 좋음. 멈췄다가 출발하는 토크가 적게 든다는 점은 신호에 걸려서 정지해야하는 일이 많은 도심에서 일상생활 용도로도 괜찮음.





viewimage.php?id=3ebcde21ffdd36&no=24b0d769e1d32ca73dec83fa11d028313e457d3f472465ed713dd3021d902a4586e7102807ffb7e878754f484a4646fcc61b6d6a206f08f8e3b857eba0b00b6affe815


- 전기 자전거: 전기 모터가 있어서 바퀴를 대신 돌려주거나, 페달 밟을 때 힘을 같이 실어줘서 편하게 다니기 좋은 자전거.


장점: 전기모터가 대신 자전거를 밀어주기 때문에 언덕 올라가거나 할 때 매우 편함. PAS 방식 말고 스로틀 방식이면 전기스쿠터처럼 전기모터만으로 주행도 가능하기 때문에 부상 등의 이유로 페달링을 못할 상황에서도 유용함.


단점: 일단 배터리랑 모터 무게만큼 무겁기 때문에 전기 떨어지면 그냥 이유없이 존나 무거운 자전거가 됨. 배터리팩이 충전 중 폭발하는 사례가 가끔 있고, 허브모터 방식은 바퀴의 스포크가 힘을 못 견디고 부러져서 터지기도 하고, 제대로 된 형태로 사려면 가격이 막 비싸짐.


총합: 아직은 좀 시기상조 같고, 좀 더 시장개척이 되고 안정적인 전기자전거가 잘 나오는 시기가 되면 사도 될 거 같음.


변종: 모패드; 전기자전거가 전기모터라면 얘는 가솔린 엔진을 단 자전거임. 법적으로는 얘나 전기자전거나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부르긴 하는데.... 배기량이 낮아서 오토바이로 분류되진 않아서 무면허 운전도 가능하지만, 요즘에는 만들어주는데가 있긴 한지 모르겠다....






2. 어떤 자전거가 생존주의적으로 적합한가?




viewimage.php?id=3ebcde21ffdd36&no=24b0d769e1d32ca73dec83fa11d028313e457d3f472465ed713dd3021d902a4586e7102807ffb7e878754f484a4646fcc61b6d6a206f08afb4bb05e0abb7096ac2475c




일단 내가 생각하기에 생존주의적인 목적으로 쓸 자전거에 이상적이라 생각하는 걸 몇 개 꼽아봄.



종류: 하이브리드 아니면 MTB. 로드자전거는 아무래도 탑승자세 때문에 가방 매고 타기 힘들어서 별로인 거 같음. 시티바이크나 미니벨로가 아닌 이유는 아래 후술.


프레임: 알루미늄 아니면 크로몰리. 카본의 경우 피로누적에 의한 파손이나, 카본 크랙이라 불리우는 날카로운 물건에 의한 찍힘이나 나사를 너무 많이 조여서 파손되는 경우가 많음. 그에 비해서 크로몰리는 말 그대로 대를 넘어서 자전거 몰려줄 수도 있고, 알루미늄도 내구성 면에서 만만치 않음.


휠: 26인치. 대부분의 생활용 자전거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어디서든 타이어나 튜브를 구하기 쉬움. 어디 시골 다 무너져가는 자전거집에 들어가서 구할 수도 있을 걸? 미니벨로나 시티바이크 종류는 20~24인치 사이의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들을 사용하고, 29인치나 27.5인치 등의 MTB용 신형 대세 휠 크기의 경우 튜브를 살짝 접어서 사용하면 26인치에 사용 가능함. 로드바이크 종류는 사이클 경기 규정 때문에 700c라고 하는 규격으로 어느 정도 통일되어서 로드자전거만 찾으면 호환될 여지도 있겠지만, 접지력 떨어지고 펑크에 비교적 취약한 형태 때문에 좀 그럼. 튜블리스보다는 수리가 간편한 클린쳐 튜브 쓰는 걸로 하는게 나을듯.


페달: 클릿은 클릿슈즈 신어야하고 클릿슈즈는 그냥 걸어다닐 때 피로도도 문제고, 하차법 모르면 자전거랑 같이 넘어지고 그럴 수 있으니까 가급적이면 평페달.


짐받이: 당연하지만 모든 짐을 등에 맨 채로 가는 건 힘들고, 가급적이면 자전거 앞이나 뒤에 짐받이가 있어서 가방을 묶건 짐을 분산해서 실을 수 있는 짐받이를 장착할 수 있으면 좋음. 혹은, 아예 트레일러를 연결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런 걸 조합해보면, 대충 생활자전거나 26인치로 나오는 보급형 산악자전거가 나올 거임. 그 외 스펙은 원하는대로 맞추거나 해보면 되겠지만, 저정도가 다양한 재난상황이나 포장에서 비포장까지, 여러 도로 통과할 때 무난할 거라 생각함.




물론 제일 좋은 자전거는 내가 타고 있는 자전거니까, 꼭 저런 조건에 부합하진 않더라도 재난상황에서 이동수단으로 써야한다면 쓸 수 있을 거임.


솔직히 자전거는 사람이 엔진이라 개구린 자전거 타도 사람이 굇수면 그냥 어케 됨.






3. 자전거 정비의 기술.




viewimage.php?id=3ebcde21ffdd36&no=24b0d769e1d32ca73dec83fa11d028313e457d3f472465ed713dd3021d902a4586e7102807ffb7e878754f484a4646fcc61b6d6a206f08fbb3ea07e8fde60b6a3a2f65



그리고 자전거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게, 바로 정비 기술임.


사실 자전거의 구조는 그렇게까지 복잡하지 않고, 심각하게 고장나는 경우도 매우 드뭄. 우리나라에서는 사람들이 고장나서 못 탄다고 판단해서 내다버린 폐자전거를 모아서 멀쩡한 부품이 있으면 레고마냥 조립해서 수출하는 업체도 있고, 기초인프라가 개박살나서 군대에서 목탄으로 차를 굴리고 자빠진 북한에서마저도 자전거는 주요한 이동수단으로 쓰일 정도다.


제대로 된 정비지식과 기초적인 장비 몇 개만 있으면 자전거의 수명을 극단적으로 내 수명 이상으로 늘릴 수도 있을 것이고, 재난상황에서 내 자전거가 고장났을 때 어떻게 수리할 수 있는지 보고 적절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거임.



예를 들어, 브레이크 패드가 급정거 이후 쏠렸다? 이럴 때 육각렌치 하나와 패드 정렬하는 법만 알면 금새 고칠 수 있을 거고, 이동 중 자전거 바퀴가 뭘 밟고 터졌다? 이 때도 자전거 정비에 대한 지식과 눈썰미만 있으면 길가에 방치된 자전거에서 어떤 부품을 뜯어와서 고칠 수 있을지 각이 보일 수도 있을 거임.




아주 기초적인 자전거 정비 상식 몇 가지만 얘기해보자면,




- 자전거 체인에는 체인오일을 도포해줘야하는데, 오일이 없으면 체인이 움직이면서 내부가 갈려서 수명이 짧아지고, 제대로 변속도 안 됨. 그렇다고 오일이 또 너무 많으면 각종 흙먼지 등이 달라붙어서 마모를 가속화할 수도 있어서 적당량 도포 후 넘치면 헝겊 같은 걸로 닦아주고, 주기적으로 오염여부를 확인하고 체인 청소를 해주는게 좋음.


- 체인오일은 체인에 윤활을 해주는 거고 스프라켓이나 크랭크 같은 톱니부분에는 안 해줘도 됨. 가끔 자전거포에서 냅다 스프라켓에다 뿌려버리는 사장님들도 있음.


- 체인 윤활 목적으로 WD-40 쓰면 안 됨. WD-40는 세정제지 윤활제가 아니라서 오히려 체인 내에 남아있는 윤활제 성분을 날려버리기 때문에 마모가 심해진다. 전용 체인오일 쓰는게 좋음. 아예 WD-40에서 자전거 전문 제품군 내놓기도 했으니 그거 써도 되고....


- 체인오일에는 건식과 습식이 있는데, 건식은 안 찐득거리고 코팅막처럼 마르는 대신에 좀 쉽게 벗겨지는 애들이고, 습식은 점도 높은 기름 형태로 오래 유지되지만 먼지 같은 거 잘 달라붙는 애들임. 생존주의는 장거리 운행 상정이니까 무조건 습식 써야함. 자전거 전국일주 얘기 중에서 건식 체인오일 쓰다가 중간에 흙탕물 건너다가 체인에 뒤집어썼더니 윤활이 안 돼서 체인이 제대로 안 돌아가고 그런 상황에 놓였던 사람이 근처 마트에서 식용유 사와서 뿌리고 탔다는 얘기도 있음.


- 자전거 안 타고 며칠 이상 방치시 변속기는 반드시 텐션을 다 풀어준 상태로 보관해야함. 21단 생활자전거 기준 앞변속기 1단 뒷변속기 7단으로, 변속 레버 케이블에 걸리는 텐션을 풀어두고자 하는 목적임. 안 그러면 케이블 금방 늘어나서 변속 제대로 안 됨.


- 그리고 자전거 바퀴는 다공성 고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공기가 빠지는데, 주기적으로 바람을 다시 넣어줘야함. 공기압이 낮은 타이어는 충격을 받았을 때 쉽개 터질 수 있고, 바람 다 빠진 상태로 타거나 끌고 가면서 바퀴 굴리면 그대로 튜브 찢어지고 펑크나니까 가급적 타기 전에 공기압 체크를 해주자.


- 바퀴 축과 페달 축 안에는 볼베어링이 있는 공간이 있음. 여기다가 물 고압으로 쏘거나 디그리셔 같은 거 뿌리면 안으로 침투해서 구리스 닦아내고 그러면 자전거가 제대로 안 굴러갈 수 있기 때문에 그러면 안 됨. 그리고 구리스 마르면 대충 바퀴가 제대로 안 돌아가거나 돌아갈 때 사각사각 소리 나거나 그럴 수 있는데, 그러면 어찌 잘 해서 구리스 재도포를 해야함.


- 장거리 운행시 펑크나 체인 끊어짐 등 고장에 대비하기 위해서 미리 바퀴 사이즈에 맞는 튜브나, 펑크패치, 체인 링크를 준비해두는게 좋음.


- 공구도 당연히 필수인데...



viewimage.php?id=3ebcde21ffdd36&no=24b0d769e1d32ca73dec83fa11d028313e457d3f472465ed713dd3021d902a4586e7102807ffb7e878754f484a4646fcc61b6d6a206f08a5b1b80aeca1e15b6afc7a07




자전거 타면서 휴대할 멀티툴로는 크랭크 브라더스의 F15를 추천함. 체인브레이커랑 자전거에 쓰이는 규격으로 다양한 렌치랑 드라이버 조합인데, 저거만 있어도 어지간한 자전거 고장은 거의 다 해결 가능함. 브레이크패드 정렬이나 체인교체, 변속기 한계조정, 스포크 조정도 가능함. 그리고 제일 마음에 드는 기능으로는 렌치 같은 거 쓸 때, 겉 커버를 같이 끼워서 일종의 연장손잡이처럼 쓸 수 있음. 힘줘서 풀거나 조일 때 편함.



viewimage.php?id=3ebcde21ffdd36&no=24b0d769e1d32ca73dec83fa11d028313e457d3f472465ed713dd3021d902a4586e7102807ffb7e878754f484a4646fcc61b6d6a206f08aab4e154beacb05d6a87ddc2



저거랑 하나 더 고른다면 토픽 파워레버. 체인 링크 분해결합 툴과 타이어레버가 합쳐진 구조고, 내부에 체인링크 저장공간도 있어서 크기대비 효율이 좋음. 근데 불량인지 분해용으로 쓸 때 한 번 부러트려 먹은 적 있으니까 너무 힘줘서 하진 말자.


- 그리고 휴대용 자전거 펌프 중에서 물통케이지 아래에 끼워넣을 수 있는 종류도 있으니까 그런 것도 하나 자전거에 달고 다니면 좋다.







4. 추천 브랜드



알톤 - 삼천리보다 좀 좋은 국내브랜드


자이언트 - 세계적으로 유명한 가성비 대만브랜드


트렉 - 미국 브랜드인데 클래식 모델인 520이 튼튼한 걸로 유명하고, 산악자전거 가성비 입문급도 있고, 걍 내가 좋아함






자전거 탈 때는 반드시 헬멧 써라.


끝.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6

고정닉 4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6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74564 공지 완장 호출벨 GasMaskFox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26 73 0
72979 공지 갤러리 말머리 사용 가이드 GasMaskFox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10 402 0
72975 공지 갤러리 이용에 관한 참고 노트 [5] GasMaskFox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10 245 2
46329 공지 규정 및 신문고 (2024.09.12) [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02 5802 27
46331 공지 생존 가이드 (2023.07.08)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02 22651 59
17498 공지 생존 갤러리 일동은 [27] 머전시생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3 10672 155
74665 일반 정수 필터인데 이런거 쓰는 기한이 없다는게 맞음?... 생붕이(59.0) 11:24 51 0
74664 일반 - 블랙아웃 영화 (대규모 정전) 이거 잼나보임 [1] 생붕이(211.234) 10:59 78 0
74663 일반 잡생각) 화기 불법과 분쟁상황에 대하여 - 보스니아 내전 썰 [1] 생붕이(58.120) 10:11 70 0
74662 일반 근육 키우는거 유리하냐 불리하냐 [7] 생붕이(221.138) 09:49 102 0
74661 일반 사회가 마비됐을 때 고급칼보다 싸구려 칼이 더 유용하겠지? [2] ㅇㅇ(223.39) 06:09 166 0
74660 일반 한국은 전쟁보다는 통제사회로 갈듯 [5] 디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209 0
74659 일반 아포칼립스 메뉴얼 [1] ㅅㅅ(211.235) 04:56 104 0
74658 일반 알리에서 다 사도 되나요? [1] 크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1 116 0
74655 일반 전쟁 끊임없이 많이 나는 이유 [2] 생붕이(125.180) 00:19 220 0
74654 일반 요즘 전쟁 자주나네 [8] ㅇㅇ(58.237) 04.29 286 0
74653 일반 알리는 신이다 [3] 생붕이(210.223) 04.29 238 0
74652 일반 다이니마다이니마슬링슬링 목격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91 1
74651 일반 유통기한에 대한 착각 [9] 생붕이(210.223) 04.29 217 2
74650 일반 님들 도시가 봉쇄되면 어쩜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62 0
74649 일반 우리나라 대규모 정전사태나면 어쩜?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309 0
74648 일반 생갤 뉴빈데 [8] 생붕이(112.149) 04.29 146 0
74647 일반 뉴비 입갤했습니다. [3] Suon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76 0
74646 일반 알리에서 손전등 샀는데 ㅋㅋㅋㅋㅋ [7] 생붕이(112.149) 04.29 240 0
74644 일반 좆됐다 우리가족 안전불감증이다 [23] 근순이(14.5) 04.29 353 0
74643 일반 고글? 보안경? 여튼 눈을 보호 할 수 있는거 추천좀 [6] ㅇㅇ(106.101) 04.29 110 0
74642 일반 아포칼립스 대비용으로, 캠핑카 vs 보트 [7] 고대사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222 0
74641 일반 멀티툴 surge vs wave+ [5] 고대사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215 0
74640 일반 생존가방 하나만 추천좀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66 0
74639 일반 생존갤 처음 와보는데 재밌네요 ㅋㅋㅋㅋㅋ [2] 생붕이(211.219) 04.29 173 1
74638 일반 요즘 생갤에 분탕 한마리가 굴러들어왔다 [1] ㅇㅇ(106.101) 04.29 200 2
74635 일반 갤럭시 공기계 미리 하나 구비할까 [5] 생붕이(211.36) 04.29 250 0
74633 일반 어라? 8만원짜리 판초보다 은박담요가 더 유용..해? [4] 생붕이(118.130) 04.29 183 0
74632 일반 님들 bob에 파라코드 몇미터씩 챙김 [4] 목격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249 0
74631 DIY 노가다 목격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77 0
74630 일반 현금 구비해도 쓸수있을까? [8] 생붕이(221.138) 04.29 240 0
74629 일반 개인적으로 북한만 없었으면 한국이 [17] 목격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370 0
74628 일반 후지산, 엘로스톤 터질거 같다 [16] 고대사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327 0
74627 정보/ 이제와서 스파오 슈퍼팔콘 사는거 괜찮음?? [4] 생붕이(106.101) 04.29 149 0
74626 일반 중국 대만 전쟁에 관한 질문 [7] 생붕이(106.101) 04.29 202 2
74625 일반 새집을 지어서 자동사냥돌리고 위생도 얻고 [2] 만력제_mk.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213 2
74624 일반 유럽정전 사태 내 관심점 [34] 생붕이(118.130) 04.29 461 1
74623 일반 전쟁이든 재난이든 존버한다고 할때 아파트 빌라면 역시 시내 역내 근처는 [7] 분주한존버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227 0
74622 일반 유럽연합 전역이 정전중이네 [7] 만력제_mk.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315 0
74621 일반 스페인 포트루칼은 아직도 정전이네.. [3] 생붕이(211.235) 04.29 265 0
74620 일반 정전 존나 공포던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362 3
74619 일반 외국 생붕이 짤 [3] 만력제_mk.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319 2
74618 일반 나만 이런거 좋아하나 [3] 만력제_mk.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309 0
74617 일반 생존 실패함 [8] 물개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303 1
74616 일반 스페인 대정전이라네요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244 0
뉴스 유니스, 오늘(29일) ‘더쇼’서 수록곡 무대 최초 공개 디시트렌드 04.2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