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음향] 퍼스트 와트가 뭐냐면(음향산업 기초지식)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1.02 01:24:11
조회 668 추천 16 댓글 16
														

https://gall.dcinside.com/m/speakers/320176

 


지금 갤에 쓴 유동이가 한 거에서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전에 누가 이 제목을 물어보기도 했고 유사접근 방식으로 인기끌던 마케팅이기에 간단하게 써봄.


나도 정확한 어원은 모르는데 고전적으로 dac던 앰프던, adc던 이걸 비교할 때 cea2034나 2010같은 의무는 아니지만 학자들과 오디오엔지니어링소사이어티 등에서 산업표준으로 만든 '기준' 이 없음. (그래서 옛날 음향기기 - 컨슈머용이든 생산자용이던 - 보면 어떤 것은 thd 10%, 어떤건 1%... 지금도 제각각임)


아미름은 유일하게 5w 기준을 하는데, 이건 요즘 장비들의 수준과 더 다양한 환경에서 청취하는 것을 포함해 퍼스트와트의 개념을 발전시킨 방식이라고 생각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좀 더 높은 출력, 그리고 다이나믹 레인지도 넓어졌고 일반적인 청취음압의 범위를 좀 더 넓게 본거임(이정도까지는 음질이 잘 나와야 한다 라는 의도로 보임)



지금 스테레오파일(미국에서 년식도 오래되었고 주관주의자들도 함꼐 보지만 '오래되고 데이터 만큼은 주관/객관 상관없이 신뢰도를 유지'해와서 예시로 들겠음) 을 보면 John Atkinson 은 1w기준 스윕과 레벨별 스윕을 같이 제공함.


1w 기준이 한 때 유행했던 '퍼스트 와트'에 영향받았을 확률이 큼.


이 1w의 발단은 아래와 같은 배경이 있음

-----------------------------------------------------------------------------------------

1) 고음압이 아니라 일반적인 근거리 청취 환경에서 70~90db 사이로 듣는 경우가 많다

2) 앰프던 뭐든 음향기기의 특성상 저출력 상태에서는 소음 및 기타 잡음이 주도적이고 출력이 높아질 수록 왜곡이 커지다가 클리핑지점에 도달하기 때문에

저출력에서도 좋은 앰프가 좋은 앰프다

3) 옛날에는 일부 좋은 수준의 ab클을 제외하고 a클과 진공관이 좋은 음질제품의 기준이었기 때문에 홈오디오에서 대출력의 음질기준이 높지 않았다.


따라서


'1w가 중요하다, 가장 처음 출력해서 듣는 지점이 노이즈와 왜곡으로부터 자유로운 좋은 음질을 선사해야 한다'

의 개념이 합쳐져 마케팅적인 'First Watt' 가 탄생해버림.


예시로 First Watt 시대의 대표적인 회사이자 지금도 애호가 층에서 인기 있는


'Pass Labs' 그리고 언어유희적으로 'First Watt' 라는 명칭을 그대로 상호명으로 쓰고 있는 두 회사를 들겠음.



a0500caa0f16b54cb6332f559b3bfc65aff7b22d4dd89e7179383d4bd001855d1a3c2d

이게 First Watt 사의 8옴 기준 1khz 1와트.

준수해 보임.



a0500caa0f16b54cb6332f559b3bfcb13a3fdad6cc0e4e20e81564bf032c5955f36c4eb31d39

마찬가지로 imd 에서도 2차 하모닉을 일부러 좀 넣은것 같아 보이는데 그래도 준수해 보임.


a0500caa0f16b54cb6332f559b3bfcb13a3fdad6cc13103ee1327a850411472d4a3ba75a

이 회사는 해당 앰프가 8옴 18와트까지 출력할 수 있다고 광고하지만... 보라

앰프 자체가 A클이고 출력이 낮은것을 감안해도 ...






a05118aa0f16602a966b84fb06df231dd7e7014c3d650e5667d80e

패스 랩스 역시 마찬가지임. 스펙시트에는 8옴 최대 200W나 되는(모노앰프임) 출력을 표기하지만

전형적인 First Watt 시대 애호가들을 위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음.


a05118aa0f16602a966b98a518d6040318ede5dc07bf10d08b70

물론 1와트 기준에선 아주 멋지게보인다.




그럼... 요즘의 잘 만든 것은 어떤데?


를 불문하고 서두에서 말했듯이 음향기기의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클리핑 전까지 왜곡과 잡음으로부터 가능한 일관된 음질을 유지해야 한다' 라고 했지?



a66f18aa3c0ab540aee75a4dc29f34338eeb25d67239d68805c77694

비싸긴 하지만... 예전부터 상대적으로 비싼 브랜드 중에선 기술지향적을 표방한 벨칸토를 예로 들겠음

해당 앰프는 내가 알기로 벨칸토 자체 모듈이 아니라 하이펙스 커스텀으로 알고 있음.

1khz 8옴이 매우 조용하고 깨끗함.




a66f18aa3c0ab540ae333c719a2dd1732a8f68206988521e25533add97781d

그리고 명기된 사양(8옴 최대 250w) 인 클리핑 지점까지 스윕에서 잘 나오는걸 볼 수 있음.




즉 결론적으로 요약하면


'퍼스트 와트는 중요하다'


는 맞는 말이지만


'퍼스트 와트 뿐만 아니라 앰프의 스펙 내에서 음질을 유지해야한다'


가 맞는 말이라는 거임.


시대의 기술과 마케팅이 합쳐져 만들어진 용어!




암튼 '앰프의 스펙 내에서 음질을 유지해야한다' 는 Bruno Putzeys, Lars Lisbo, Peter Lyngdorf 로 시작한 퓨리파이 인사들 뿐만 아니라


KEF에서 스피커 벤치할때 쓰는 '가장 조용한 앰프' 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는 Bechmark AHB2도 이러한 특징을 당연하게 갖고 있음.


물론 D클에서는 스위칭문제, 로드 디펜던스 문제 등을 잘 처리해야 고주파수에서도 임피던스별 평탄한 주파수와 낮은 thd+n을 유지해야 하지만,

지금은 이게 퓨리파이에서는 해결되었고 잘 만든 D클에서는 가청범위 이하라서 차이를 못느끼는 수준으로 발전한 상태임.

(암튼 계속 발전하고 있음. 그 이상은 나도 모름)



15


-끗-

추천 비추천

16

고정닉 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359724 공지 스피커 및 앰프 추천 목록 (v2024.03) [95] 306xx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2 36290 56
291917 공지 2024 REW 측정 결과 그래프 셋팅 & 캡처 [8] 8751(220.76) 23.02.10 13396 28
155002 공지 스피커 정보/자료 모음집 [기초] [29] 별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1 140401 25
154994 공지 스피커 정보/자료 모음집 [심화] [8] 별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1 48604 15
168570 공지 스피커 갤러리 운영 원칙 [24] 별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26 20554 12
45128 공지 스피커 추천 요청글 양식 [7] 306xx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28 39500 19
57857 공지 툴박사 강연 (자막 완료) [21] as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3.19 22591 50
485 공지 스피커 측정치 / 리뷰 사이트 [35] 더네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7.26 42338 20
377960 🔊 mr4 음소거는 왜있는지 모르겠네 ㅇㅇ(115.93) 03:37 25 0
377959 🔊 필터 만든다고 용량 맞는 콘덴서를 썼는데 소리가 이상해요 신입(119.149) 03:36 27 0
377958 🔊 테트리스 개망함.. [7] 하루카남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1 57 2
377957 🔊 wiim pro plus 산다 ultra 기다린다 [3] ㅇㅇ(58.29) 02:25 49 0
377956 🔊 서브 우퍼 데시벨 -5.5 DB 로 쓰는데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9 43 0
377955 🔊 룸 어쿠스틱이니 뭐니 기술 개발 할 시간에 [6] ㅇㅇ(180.68) 01:38 90 0
377954 🔊 근데 가정에서 스피커 반쯤 매립?하는 것 도 좋을 것 같기도 한? [2] ㅇㅇ(180.64) 01:13 63 0
377953 🔊 mr4 최근 생산된 제품은 [4] ㅇㅇ(1.231) 00:52 109 0
377952 🔊 책상크면 플로어스탠드 의미없나?? [1] 이시카와미오(175.210) 00:37 52 0
377951 🔊 이 스피커도 유툽에 오지게 나오는데 별로임? [7] ㅇㅇ(121.160) 00:32 104 0
377950 🔊 mr4로 7.x.4 구성하는게 의미있을까 ㅇㅇ(211.234) 00:29 27 0
377949 🔊 페블3 -> mr4 업글 체감 됨? [1] ㅇㅇ(112.171) 06.09 70 0
377948 🔊 lp6 v2 와서 듣는데 히스 심하다길레 걱정했는데 1도 없네 [3] ㅇㅇ(121.161) 06.09 72 0
377947 🔍질문 r3 meta 갑자기 지지직 노이즈가 생겨 [8] ㅇㅇ(175.200) 06.09 135 0
377946 🔊 요즘 엘락312.2가 왜이리 사고 싶지 [3] 개똥이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57 0
377945 🔊 스피커 케이블 이거 사면 되는거지?? [5] ㅇㅇ(125.130) 06.09 115 0
377944 🔊 이건 블랙의 압승이다. [5] ㅇㅇ(121.160) 06.09 191 0
377943 🔊 R11meta 회절문제로 1.2k 딥 있는거 맞음? [4] ㅇㅇ(180.64) 06.09 114 0
377942 🔊 우리나라 사람들 블랙 왤케 싫어하냐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72 0
377941 🔊 이 스피커 유투브에서 광고 오지게 하는데 별로임? [3] ㅇㅇ(121.160) 06.09 94 0
377940 🔍질문 aes 디지털케이블 연결하면 소리 더 좋나요? [1] dd(61.77) 06.09 31 0
377939 🔊 블루투스 리시버 추천좀 D9pa(116.37) 06.09 31 0
377938 🔊 설레는 크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70 0
377937 🔊 블랙이라 인기 없냐 [8] xodbs090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75 0
377936 🔊 Eris e3.5 VS BR-Monitor4 / 뭐가 좋을까요 [1] ㄴㄴ(211.57) 06.09 55 0
377935 🔊 알리에서 이 케이블 사려고 하는데 어떄요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70 0
377934 🔍질문 스피커에 선두개꽂으면 뭔일생기나 DassBul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52 0
377933 🔍질문 lp6 샀는데 케이블 질문점! [2] ㅇㅇ(210.221) 06.09 53 0
377932 🔍질문 1600bt에서 mr4로 넘어갈만함? [7] ㅇㅇ(59.2) 06.09 106 0
377931 🔊 후 다끝냈다 [4] 하루카남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05 4
377930 🔊 수백 질러서 세팅하면 뭐 체감 되냐? [6] ㅇㅇ(221.157) 06.09 144 0
377929 🔊 아이폰으로 윈도우 앱뮤를 컨트롤할수있다면 [6] 비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71 0
377928 🔊 유튜브에 보니 모 프로작곡가가 스피커 막 비교하던데.. [8] ㅇㅇㄹㄹ(121.182) 06.09 185 0
377927 🔊 멀티채널 볼륨이 미묘하게 다름 비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42 0
377926 🔊 이모티바 액티브 스피커 관심 있는 분? [2] ㅇㅇ(121.142) 06.09 112 0
377925 🔍질문 (진지) 요새도 pc에 외장 사운드카드 많이 달고있나? 훈남노노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54 0
377923 🔊 본인스피커추천좀해주셈ㅠㅠㅠㅠㅠㅠ [20] 야옹이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95 0
377922 🔊 스피커 스탠드 추천좀.. ㅇㅇ(211.36) 06.09 26 0
377921 🔍질문 스피커 파워 연결방식이 usb인데 엑박에만 꽂으면 노이즈가 너무심함 ㅇㅇ(117.111) 06.09 24 0
377920 🔊 싱글벙글 현직여고생 근황 신입(119.149) 06.09 97 0
377919 🔍질문 마샬 사면 병신이야? [10] 야옹이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50 0
377918 🔊 내 시스템좀 평가? 좀 큐ㅠㅠㅠ [6] 롯데코코낫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4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