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인챈트 간단 설명 :
■ 종결 인챈트 및 선호 인챈트 :
■ 약탈 인챈트에 따른 아이템 드롭 확률 :
마크를 하면서 행운 인챈트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행운이 어디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드물 거임.
알아도 쓸데는 딱히 없겠지만 알아서 나쁠 건 없으니
설명글 써 보려함.
자료는 대부분 영문위키를 참고했고,
거기에 흩어져 있는 내용들을 정리하는 느낌으로 써봄.
긴 글 싫어하면 그냥 사진만 대강 훑어봐도 됨.
행운이 적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블록이 광물과 작물임.
레드스톤을 제외한 모든 광물은 배수로 행운이 적용됨.
즉, 행운III 곡괭이로 석탄을 캐면 최대 4개가 나오고,
청금석을 캐면 최대 36개가 나옴.
이때 원래 개수만큼 나올 확률과 배수로 나올 확률은 무조건 2:1이어서, 행운 1~2레벨과 3레벨의 효과 체감 차이가 클 거임.
레드스톤의 경우에는 최대 드롭량이 레벨당 1씩 더해지는 방식으로 행운이 적용되고, 각각의 개수가 나올 확률은 모두 동일함.
작물의 경우에는 확률이 적용되는 방식이 조금 다름.
이항분포를 모르는 급식 스붕이들을 위해 쉽게 설명하자면,
다 자란 작물을 캘 때 세 번의 아이템 생성 시도를 하는데,
각각의 시도에서 57%의 확률로 아이템이 생성됨.
이때 행운 인챈트는 이 생성 시도를 레벨만큼 추가시킴.
위의 표는 각각의 개수가 나올 확률을 그냥 이런저런 방법으로 계산한 것.
여기서 감자와 당근은 캘 때 각각 1개, 2개의 아이템이 확정적으로 드롭됨. 그에 따라 드롭되는 개수도 밀과 비트와는 차이가 있음.
확률 계산 안되면 대충 이런 게 있구나 하고 넘어가면 될 거임.
나머지 기타작물들은 대체로 각각의 개수만큼 나올 확률이 모두 동일함.
독특한 점이 있다면, 달콤한 열매는 다 자란 상태가 아니어도 행운 인챈트의 효과를 받을 수 있다는 점과
잔디의 경우에는 행운 레벨당 최대 드롭량이 +2씩 늘어난다는 점이 있음.
이 외에도 행운이 적용되는 블록은 발광석, 바다 랜턴, 수박이 있음.
표를 보다시피 얘네 셋은 블록 하나 만드는 분량을 초과해서 드롭될 수가 없음.
그래서 수박 조각이나 발광석 가루가 필요한 것이 아닌 이상, 위의 세 블록은 무조건 섬손으로 캐는 것이 이득임.
결론적으로 광질할 때나 농사지을 때를 제외하면 행운이 큰 가치가 없음. 그래서 야생 후반으로 갈수록 행운보다는 섬손 인챈트가 붙은 도구를 더 자주 들고다니게 될 거임.
이때까지 본 표들은 아이템을 많이 캘 확률을 높이는 경우라면,
위의 사진은 특정 아이템을 캘 확률을 높이는 경우들임.
삽에 행운을 붙이면 부싯돌을 대량으로 수급할 수 있음.
초반에 라이터를 만드는 것을 제외하면 부싯돌의 용도는 화살 제작과 주민 거래 딱 두 가지밖에 없어서 선호되지는 않는 편임.
괭이에 행운을 붙이면 묘목을 대량으로 수급할 수 있음. 특히 잎이 적게 붙어 있는 짙은 참나무의 묘목을 얻는 작업을 수월하게 만듦.
사과는 행운3 괭이로 캐도 수급량이 많지 않음. 나무 세 그루는 캐야 하나 나오는 수준이라 사과 모으기 전에 괭이가 먼저 녹음. 사과 많이 필요하면 걍 주민작을 하셈.
황금이 박힌 흑암은 금조각이 나올 확률만 늘려줄 뿐,
금조각이 나오는 개수를 늘려주지는 않음. 막대기도 마찬가지.
여기 표에 없는 코코아 콩이나 버섯 블록 같은 것들은 전부 행운 인챈트 영향을 안 받음.
ㅖㅏ 여하튼 긴 글 읽어줘서 고맙고 다음 번엔 행운만큼 많이 쓰이는 약탈 인챈트에 대해 정리해서 오겠음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