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략] 롤토체스 입문 참고서

판다사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6.27 16:22:29
조회 65046 추천 126 댓글 58
														

요즘 제 실친들 중에 롤토체스를 많이 시작하였습니다. 9시즌이 재밌긴 하죠 ㅎ_ㅎ 그래서 친구들한테 좀 알려주려고 교재로 사용하고자 글을 썼는데, 솔직히 조금 아까워서 여기도 올려봅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0. 들어가며


솔직히 롤토체스는 잘할 필요가 없는 게임입니다. 게임을 잘하고 이기고 티어가 높아야 재밌는 게임이라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저는 롤토체스를 사랑합니다. 사랑해서 관심이 많고, 관심이 많아 잘하고 싶습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도 저와 같은 마음이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사랑하는 법을 알려드릴 수는 없습니다. 사랑을 글로 배울 수는 없지요. 단지 여러분이 롤토체스를 조금이라도 사랑하신다면, 제가 할 수 있는 건 잘하는 쪽으로 조금이라도 도와드리는 것입니다.


또 죄송스러운 것이, 저 또한 깨달음이 부족하여 완벽하게 잘하는 법을 알려드릴 수는 없습니다. 한편으론 또 다행인 것이, 알려주는 쪽이 꼭 무엇인가에 통달할 필요는 없긴 합니다. 제 말이 맞으면 맞는 대로 아, 이렇게 하면 좋겟구나-하시고, 틀리면 틀린대로 배워가시는 게 있을 겁니다. 부디 이 글을 비판적으로 읽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이 글은 롤토체스를 아예 처음 접하는 분들을 포함하여 브론즈, 실버, 골드 분들을 위해 쓰여진 글이니만큼 메타 분석이나 꿀덱과 같은 것을 다루지 않고, 레벨업과 리롤이란 무엇인가, 빌드업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정말 기초적인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 위의 수준의 분들은 읽으시면 재미는 있으시겠지만, 아마도 큰 도움은 되지 않을 것 같네요. 또한 심화과정을 다루지도 않고 플레 정도면 다 알만한 것들을 다루는 만큼 플레 이상 유저분들을 위한 글은 절대 아님을 미리 밝힙니다.


먼저 레벨업이란 무엇인가에 다루고, 초반 운영과 빌드업, 그리고 레벨업 타이밍, 리롤과 덱파워를 서술하겠습니다.


0. 롤토체스라는 게임에 대한 이해


롤토체스는 제 생각에는 자원 매니지먼트 게임입니다. 혹시 아이러브커피라는 게임을 해보셨나요? 제가 옛날에 꽤 좋아했던 게임인데, 카페를 경영하는 게임입니다. 흔히 말하는 팜류 게임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이 카페를 경영하다보면 수익이 생겨요. 이 수익을 좋은 커피머신을 사서 더 많은 이윤을 꾀할 수도 있고, 아니면 카페 크기를 늘리거나 아바타를 살 수도 있어요. 어떤 선택지가 가장 많은 이윤을 줄까요? 그건 까봐야 알죠. 그 선택지들 중에서 자신이 판단하고 결과를 피드백하는 게 자원 매니지먼트 게임의 핵심적인 재미 요소입니다. 롤토체스의 재미도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꼭 자원 매니지먼트 게임이라고 이해하지 않으셔도 돼요. 일단 한 겜 해보고 아~ 이런 게임이구나, 하고 내가 지금 까지 했던 게임 중 비슷한 걸 비교하시는 게 롤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실 거에요.


1. 레벨업이란 무엇인가


롤토체스의 챔피언(이하 기물)에는 1골드, 2골드, 3골드, 4골드, 5골드 기물이 있습니다. 좀 당연한 이야기지만 골드가 비싸질수록 성능(이하 밸류)도 높아집니다. 초반에는 1~2골드 기물만 등장하고, 시간이 갈수록 높은 밸류의 기물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높은 기물이 등장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레벨업입니다. 따라서 레벨업을 빠르게 할수록 높은 밸류의 기물을 먹을 수 있고, 이 시점이 이를수록 게임의 템포가 빠르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러면 레벨업을 빠르게 할수록 좋은 건가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롤토체스에는 ‘이자’라는 시스템이 있어서, 수중에 가지고 있는 10골드 당 다음 라운드에 1골드를 더 줍니다. 최대 5골드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0골드를 가지고 있다면 다음 라운드에 5골드, 50골드를 가지고 있다면 다음 라운드는 10골드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레벨업을 빠르게 하면 수중에 골드가 없어 이자를 받지 못하므로 자신의 미래를 기대하기 힘들어집니다. 또 이자를 최대한 땡겼을 때, 만약 다른 사람들은 빠른 레벨업을 하여 게임의 템포가 빠르다면, 그 이자를 들고 폭사하기 쉽상입니다.


또한 레벨업에는 두 가지 효과가 있는데, 첫 번째 효과는 필드에 놓을 수 있는 기물의 수를 한 칸 늘려주는 것이고 두 번째 효과는 상점의 단계를 높이는 것입니다. 기물의 수가 별로 없고 다른 사람의 기물 밸류가 다 고만고만한 초반에서는 한 마리를 더 넣으면 덱이 많이 세집니다. 따라서 첫 번째 효과만 보고 레벨업을 누릅니다. 하지만 중반(흔히 6레벨 타이밍)에서 한 마리 더 넣어봤자 덱이 드라마틱하게 세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6레벨부터는 레벨업을 할 때 두 번째를 고려하여 내가 레벨업한 후 높은 등급의 상점을 이용해 어떻게 세질 수 있을까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럼 레벨업은 언제 해야할까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초반 운영을 이해한 후에 하겠습니다.


2. 초반 운영과 빌드업

제가 말하는 초반은 정말 극초반입니다. 1-2, 1-3, 1-4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1-2에는 시작할 때 2골드가 주어지고, 크립 라운드의 보상으로 3골드 이상 혹은 그 골드와 동일한 가치의 기물을 지급합니다. 그럼 일단 그 골드로 1코스트 기물을 다 사는 겁니다. 만약 챔피언이 떳는데 탱커 챔피언이라면 팔고 사줍니다. 1-3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여기서부터는 ‘페어’를 만드는 데 집중합니다. 페어란 동일한 기물이 2개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떤 기물이든 좋으니 페어 위주로 만드는 데 집중하고, 그 다음부터 사는 기물은 페어인 기물과 시너지를 맞출 수 있는 기물 위주로 구매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오니아/도전자인 이렐리아가 페어일 때, 녹서스/도전자인 사미라, 슈리마/난동꾼인 레넥톤 둘 중 하나만 살 수 있다면 사미라를 구매하는 것입니다. 1-4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2-1에 도착했을 때 페어가 풀려 2성 챔피언이 만들어졌다면, 그 2성 챔피언을 중심으로 시너지를 맞추어 구매하여 초반을 운영해나가면 됩니다. 이 과정을 ‘빌드업’이라고 하며 빌드업의 기준은 세 가지입니다.


1. 초반 사기 시너지

2. 만들어진 2성 챔피언

3. 럭키로 나온 3성 챔피언이 빌드업의 기준이 될 수 있을 때


먼저 1번은 초반에 좋은 시너지를 말합니다. 이에는 공허, 3아이오니아(세트와 이렐리아의 아이오니아 추가효과를 보고) 정도가 있습니다. 2성이 붙지 않았어도 초반 사기 시너지를 이용하여 빌드업을 억지로 이어나갈 수 이습니다. 2번은 빌드업의 기본이며 시너지를 점점 켜나가고 또 밸류를 높여가고, 중후반쯤에 덱을 정제하여 완성덱을 만드는 것이 빌드업의 정석입니다. 3번은 크립 보상으로 3코 기물이 나왔는데 그 기물이 칼리스타와 같은 빌드업에서 매우 좋은 기물이면 그 기물을 중심으로 빌드업을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 기물은 보통 경험으로 알게 됩니다만, 만약 자신이 박을 수 있는 판수가 적다면 메타마다 다르니 유튜브나 커뮤니티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내가 만든 2성 챔피언에 어울리는 아이템을 주려고 하고, 내가 앞으로 갈 덱의 방향성을 정합니다. 덱의 방향성은 기물과 아이템 두 가지를 보고 정합니다. 예를 들어 기물 기반 덱 방향성은, 아이오니아 빌드업을 택했을 때, 6아이오니아덱을 목표로 가는 것입니다. 아이템 기반 덱 방향성은, 구인수를 만든 빌드업이라고 치면 제리/아펠/아지르덱 같은 덱을 목표로 가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덱 방향성은 기물을 중심으로 가는 게 좀 자연스럽죠. 하지만 살다보면 럭키 제리를 만날 수도 있고 럭키 아펠을 만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도전자 기반 빌드업을 한다고 해서 그 럭키를 못 먹는 감 셈치고 놓치긴 아깝잖아요. 그럴 바에 과감하게 덱 방향을 틀어도 괜찮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3. 레벨업 타이밍


위와 같은 마인드를 가지고 진행하면서, ‘레벨업을 해야해’라고 생각하는 기준은 크게 다음과 같은 3가지입니다.


1. 이 등급의 상점에서 더 가져갈 것이 없을 때(이미 충분히 강할 때)

2. 한 마리 더 넣으면 파멸적으로 세질 때

3. 진짜 억지로 레벨업하지 않으면 피관리가 어려울 때


1번을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2-1에 1코 2성이 하나라도 붙으면 4렙 칩니다. 2-5에 페어 없으면 5렙 칩니다. 이 말은 즉, 상점에서 기대할 만한 좋은 기물이 없거나 기대하기엔 그 확률이 기대하기 어려울 정도로 낮을 때 레벨업을 친다는 의미입니다.


2번은 한 마리 더 넣으면 덱이 파멸적으로 세지는 타이밍이 있긴 합니다. 2-1 4렙이 그렇고, 무지개 특성이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7렙에 7공허가 켜져 있는데, 갑자기 럭키 벨베스가 뜬 겁니다. 그러면 8렙에 벨베스를 넣으면 바론이 나오죠. 파멸적입니다. 굳이 롤을 칠 필요가 없죠.


3번은 조금 특이사항입니다만, 같은 게임에 2-1부터 필트오버를 시작하는 선택받은 자들이 있습니다. 이런 게임에서 기물 안붙었다고 바닥에 배 깔고 누우면서 연패운영을 하면 진짜 골로 갑니다. 최대한 높은 피를 유지하는 게 필트오버에 대항하는 핵심이거든요. 근데 3-5 기준으로 피가 30이다? 필트오버는 45스택 들고 나를 만날 때마다 확정적으로 이길 겁니다. 그럼 8등 확정이 되는 겁니다. 이런 걸 방지하기 위해 2-1 필트오버를 발견하는 순간 이 게임의 장르가 폴가이즈가 됐다 생각하고 억지로 피관리를 해야 합니다. 이럴 땐 지옥에 있는 템포라도 끌어 올려서 버텨야 합니다. 그럼 레벨마다 언제 쳐야 하는지 현재 메타에 겉들여 설명하겠습니다.


보통 2-1에 4렙, 2-5에 5렙, 3-2에 6렙, 4-1에 7렙을 정석 렙업 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입문자라면, 또 즐겜러라면 이 타이밍에 근거 없이 업을 눌러도 남들 하는 만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석이 아니라 자기 나름대로의 방향성이 있으면 게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도 생각합니다. 저 또한 나름대로의 방향성이 있습니다. 제가 언제 치는지 간단하게 적어보겠습니다.


- 4레벨 타이밍


그냥 어지간하면 누르긴 합니다. 하지만 1코 페어가 많이 잡혔을 경우는 2-1에 그냥맞고 갑니다. 2-2 3렙 상점을 보기 위해서인데요, 여기서 연승운영을 할지 연패 운영을 할지 갈립니다. 1코 2성이 잘 붙었다 - 연승운영각을, 잘 안붙었다 - 연패운영각을 봐줍니다. 근데 촤근에는 그냥 무지성 피관리 플레이를 자주 하긴 하는데요, 5레벨 타이밍에서 후술하겠습니다.


- 5레벨 타이밍


보통은 2-5에 찍긴 합니다. 근데 가끔 1라운드 크립라에서 각이 하나도 안보이고 돈만 나오는 판이 있어요. 그럴 땐 2-1에 렙업 3번 눌러서 2-2에 5렙 도착을 할 수 있게 합니다. 1코 2성을 기대하기는 어려우니 5렙 상점이라도 봐서 빌드업 가닥이라도 잡으려고 하는 플레이입니다. 3코 기물들 중에 빌드업 방향을 결정하게 도와주는 것들이 많기 떄문입니다(칼리스타, 아크샨, 벨코즈 등등).


- 6레벨 타이밍


연승 중이라면 3-1에 찍고, 보통 상황이라면 3-2에 찍습니다. 변칙 플레이는 3-5에 6레벨을 찍는 상황인데요, 피관리가 적절하고, 럭키 3코 2성이 붙었는데 돈관리가 거의 안되어있을 때는 배에 힘 딱 주고 5렙인 상태로 3-5까지 버팁니다. 그게 아니라면 3-2에 6레벨을 찍는 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 7레벨 타이밍


타이밍은 4번입니다. 3-2, 3-5, 4-1, 4-2. 3-2는 게임이 너무 지나치게 잘 풀렸을 때 올립니다. 3-5는 내가 만약에 가는 덱이 아펠,제리 말고는 없고 따라서 프렐요드 핵심 기물인 세주와 아펠,제리가 필요한데 겹치는 사람이 둘 이상이라면 일단 큰 결심을 하셔야합니다. 짐승이 되겠다는 마음을 먹으세요. 짐승처럼 3-5에 7렙을 박고 바닥리롤을 칩니다. 이런 상황이 있긴 합니다. 그래서 세주아니/아펠/제리가 무조건 필요한 게임은 어지간하면 피하는 게 좋습니다. 도망칠 낙원을 하나 마련해두는 게 필요합니다. 4-1은 겹치는 사람이 한 명 정도일 때 칩니다. 이때는 바닥까진 치지 않고 10골드 정도는 남겨놓습니다. 4-2는 내가 가는 집이 빈집일 때, 혹은 모든 빈집을 다 찔러볼 수 있는 상황일 때 칩니다.


‘어, 빈집이라고 하셨잖아요. 그럼 늦게 칠수록 좋은 거 아닌가요?’라고 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 메타는 4라운드 피관리를 하지 않으면 순방 확률이 극단적으로 내려가는 메타인지라, 4-1은 맞고 가준다고 하더라도 그 이후로도 째는 플레이는 조금 위험합니다. 그래서 7레벨을 찍고 덱의 윤곽 정도는 잡아주셔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8레벨 타이밍


메인 탱커 기물과 메인 딜러 기물이 2성이 붙었을 때 가면 됩니다. 예를 들어 프렐요드 아펠덱이라면 아펠리오스 2성, 탱커 2성일 때 8렙으로 넘어가주면 되겠습니다. 혹은 겹치는 사람이 없어서 굳이 7레벨을 갈 필요 없이 8레벨 가서 찾아도 늦지 않다(물론 피관리가 된다는 전제 하에)라고 생각한다면, 한번만 더 고민해보세요. 그 다음에 오케이가 나오면 지릅니다.


- 9레벨 타이밍


지금 메타에서 9레벨 타이밍은... 신이 점지해준 판에서만 가능합니다. 이런 판은 직감적으로 자기가 압니다. 다만 한 가지 첨언해드리자면 9레벨 각을 보기 위해서는 엄한데 돈을 쓰시면 안됩니다. 약하게 맞겠다 or 이제 버틸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면 롤을 멈추고 돈을 모으기 시작합니다.


3. 레벨업 타이밍


현재 시즌 11 중반기는 극단적인 8렙 4코덱 메타로 모든 돈 관리의 의미는 4-1, 4-2에 8레벨을 찍고 이 타이밍을 위해 더 많은 돈을 가져가서 더 많이 리롤을 치는 것입니다. 그래서 모든 리롤 기회를 8렙에 박아넣을 수 있는 흥청망청이 사기 증강인 거고요. 그래서 레벨업 타이밍도 돈 관리를 목적으로 합니다. 특히 2라운드는 피관리도 배제하고 돈관리를 해도 괜찮아요.


2라운드에 레벨업을 치는 타이밍은 딱 한 가지입니다. 2라운드 5연승이 가능할 때만, 그것도 확실할 때만 칩니다.

안 그러면 3라운드에 돈 관리를 위해서 6레벨 쳐야하는 데 5레벨에서 멈추는 타이밍이 오는데, 3라운드부턴 피관리에 신경써주지 않으면

4라운드에 파멸적인 강력함을 가진 덱을 만들지 않는 이상 7, 8등을 하게 된다고 봐야합니다.


2라운드 5연승은 언제 가능하느냐, 1. 초반에 좋은 기물이 2성이고 2. 그 기물에 어울리는 시너지를 켜줄 수 있을 때 3. 어울리는 템을 줄 수 있을 때 입니다.

현재 좋은 1코는 다리, 시비르 정도 있습니다. 그리고 럭키 2, 3코 기물에선 일라오이, 키아나, 다이애나, 볼리베어 정도가 초반에 강한 기물입니다.

이 기물들에 어울리는 템을 줄 수 있을 때, 그리고 시너지를 킬 수 있을 때 2-1 4레벨, 2-5 5레벨을 쳐야합니다.

예를 들어 초반에 다리가 붙긴 붙었는데, 다리에 줄 수 있는 템이 없거나 결투가/암영을 못키면 F키에서 손 떼야합니다.

대충 2라운드에 레벨엡에 소모하는 리스크를 F 1번당 4-2 5골드 정도로 생각해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이게 2라운드 풀연승이면 괜찮게 리턴이 오는 거고,

진짜 퐁당퐁당하는 순간 게임이 골치 아파지는 겁니다.


이하부턴 레벨마다 누르는 타이밍을 서술하겠습니다.


- 4레벨 타이밍


앞서 말했듯 2라운드에서 정말 강한 필드를 낼 수 있을 때 빼곤 절대절대 누르지 않는데, 다만 '프리즘 연회'라는 맵에서 돈이 좀 여유가 있을 거 같으면 눈 딱 감고 칩니다 .왜냐면 롤토체스는 피관리와 돈관리의 곱이라고 생각하는 편인데, 돈 관리가 이미 보장이 되어 있다면 피관리가 더 중요해지는 거라서요. 물론 정말 극단적인 상황에서고 보통의 경우는 덱이 세냐, 세지 않냐로 레벨업 타이밍을 조절하시면 되겠습니다.


혹시라도 '저는 덱의 강약을 잘 모르겠어요'라고 하시는 분들을 위해 3가지 상황을 말씀드리자면

1. 필연 - 럭키 쓰레쉬+3필연+딜러가 있을 때 레벨업

2. 결투가 - 2성 다리우스+어울리는 완성템+최소 2결투가

3. 이야기꾼 - 2성 시비르+탱라인 or 자이라+자이라템+탱기물


정도면 업 치셔도 돼요. 다만 이것도 예외가 있는게 상대방에 이자 없는 대신 10골 주는 증강이나 레벨업 증강 있으면 치지 마세요.


- 5레벨 타이밍


2-1에 업을 치고 3연승을 했다면, 기호지세입니다. 어지간하면 치세요.

노노 F 메타로 3라운드에 도착했다면, 3-1 정도에는 5레벨 눌러주셔도 괜찮아요.


옛날엔 2-1에 이기고 돈 여유 있으면 템포 올리겠다고 2-2에 5레벨 쳤는데, 이제 그렇게 치시면 진짜 인생 나락갑니다.

단 예외는 '파이트 머니'(집으면 사실상 레버리지 선물투자하는 느낌), '다리우스 조우자 전리품'때는 업 치셔도 돼요.


- 6레벨 타이밍


연승 중이라면 3-1에 찍고, 보통 상황이라면 3-2에 찍습니다. 변칙 플레이는 3-5에 6레벨을 찍는 상황인데요, 피관리가 적절하고, 럭키 3코 2성이 붙었는데 돈관리가 거의 안되어있을 때는 배에 힘 딱 주고 5렙인 상태로 3-5까지 버팁니다. 돈 관리가 안되어있다-라는 부분은 3-2에 6레벨을 찍고 40골을 못 모을 거 같으면 그냥 5레벨로 맞는게 4라운드 8롤을 치는 데 좋습니다.


- 7레벨 타이밍


타이밍은 2번입니다. 3-5, 4-1입니다. 3-5에는 게임이 잘 풀려서 7레벨 찍고도 40골이 남을 때 찍습니다. 40골을 남겨 놓는 이유는-이렇게 올리면 게임 전체 골드에서 1골드를 손해보는 것과 다름 없는데, 그럴 바에 3-6, 3-7, 4-1에서 7렙 상점 3번 보고 피관리도 되니 꽤나 유효한 전략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게 아니면 4-1에는 반드시 치셔야 합니다.



- 8레벨 타이밍


타이밍은 2번입니다. 4-1, 4-2입니다. 4-1은 내가 가려는 덱의 경쟁자가 최소 1명 이상 있을 때입니다. 또 경쟁자 수에 따라 롤을 얼마나 치냐가 갈리는데, 2명 이상이면 바닥 하이퍼롤, 1명이면 20~30골을 남겨놓고 롤을 쳤다가 4-2에 바닥을 긁읍니다.

4-2는 내가 가려는 집이 빈집이거나 경쟁이 어렵지 않을 것 같을 때 치면 됩니다.


‘어, 빈집이라고 하셨잖아요. 그럼 늦게 칠수록 좋은 거 아닌가요?’라고 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 메타는 4라운드 피관리를 하지 않으면 순방 확률이 극단적으로 내려가는 메타인지라, 4-1은 맞고 가준다고 하더라도 그 이후로도 째는 플레이는 조금 위험합니다.


- 9레벨 타이밍


이번 11시즌은 반드시, 반드시 5라운드에 9레벨을 올린다는 마인드로 가야 3등 이상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라운드에 적정한 덱을 만들어 놓고 5라운드로 가야하고, 그럴려면 4-2 8롤에서 4코가 잘 붙어줘야 합니다. 결국 9레벨을 가야한다는 것때문에 8롤이 너무너무 중요해진 건데, 제가 9.5와 10시즌을 쉬어서 그때도 이렇게 겜했는지 잘 모르겠네요.


하여튼 9레벨은 최대한 빨리 갈 수록 좋습니다. 다만 '언제부터 9레벨을 갈 돈을 모으냐'는 것은 꽤 중요한 고민 포인트인데, 제 생각은 '탱기물 2성 하나, 딜기물 2성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피관리가 잘 되어있고 내 기물이 다 팔린 상태라면 그냥 피관리를 포기하고 9렙 짼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는데, 이건 경험이 좀 쌓여야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가 있습니다.


- 10레벨 타이밍


신이 점지해준 판은 알아서 10레벨 타이밍이 보입니다

4. 아이템 각


저는 템을 초반에는 팍팍 만들고 후반에는 째는 편입니다. 더 정확히는, 초반에 바로 만들어도 되는(혹은 덱의 방향을 정해주는) 템은 바로바로 만들고, 그 이후에 만든 템을 기준으로 하여 거기에 맞는 템을 만들어 주는 쪽의 플레이를 선호합니다. 물론 지금은 구인수 재료템은 조금 아끼려고 하긴 하는데... 예를 들어 초반에 음전자, 검, 지팡이를 먹었을 때, ap기물 빌드업이면 이온을 바로 만들고 남은 검은 총검이나 거학 쪽의 각을 보고 최우선 조합템은 여눈으로 블루를 찾으려는 쪽으로 생각합니다. ad 근접기물 빌드업이면 피바를 바로 만들고, 지팡이는 구인수로 만들 생각을 합니다.


후반에 템을 짼다는 소리는 피바를 만들고 지팡이가 남았는데 음전자가 나왔다고 해서 바로 이온을 주지 않는다는 소리입니다. 템을 바로바로 만들어주는 플레이는 피관리에 도움이 되지만, 큰 그림을 그리지 않는 템소비는 후반에 덱파워를 약하게 만듭니다. 탱/딜 판단도 잘 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6개의 조합템이 떴는데 그게 다 딜템으로 갔다면 (물론 좋지 않은 상황은 아닙니다. 6탱템보단 낫죠) 그 이후로는 탱템을 계속 생각해주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보통 딜템으로 쓰이는 여눈을 수호자의 맹세 쪽으로 돌리고, 음전자는 가고일쪽으로, 지팡이는 솔라리쪽으로 돌려먹겠다는 생각을 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5. 돈관리 구간에 대하여


앞서 설명했던 롤토체스의 시스템 중 ‘이자’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이자와 관련하여 롤토체스에는 돈관리 구간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바닥 / 10골드 / 20골드 / 33골드 / 41골드 / 50골드 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를 설명해드리자면 20골드에서 라운드가 두 번 지나면 32~33골드, 거기서 한번 지나면 41골드, 또 한번 지나면 50골드가 되는 조금 이쁜 상황이 연출됩니다. 만약 제가 23골드로 다음 라운드를 맞이한다고 생각해보죠. 그럼 다음 라운드는 30골드, 다음 라운드는 38골드네요. 좀 불쾌하죠? 물론 연승/연패 보너스나 크립, 초밥에서의 변수도 있지만 보통은 그렇습니다. 그래서 최적의 돈관리 구간은 위의 5개의 구간을 좀 참고하시고, 활용하는 방법의 예시를 들어드리겠습니다. 만약 제가 80골드를 가지고 3-5에 진입한다고 생각해보죠. 레벨업에 36골드를 투자했습니다. 44골드가 남았습니다. 리롤 2번 – 40골드에서 한번 브렠. 리롤한다는 판단이 나왔으면 33골드까지. 33골드에서 더 리롤해야한다는 판단이 나왔다? 20골드까지 돌리고 또 브렠. 20골드에서도 더 돌려야하면 고, 아니면 브렠. 이런 식으로 구간마다 브렠를 밟으면서 돈을 쓰면 감정적인 파멸은 최소한이나마 막을 수 있습니다. 당연히 브렠을 거냐 마냐는 현재의 피관리와 나의 미래에 대한 가치 비교가 필요합니다. 그 브렠를 거는 게 맞았는지, 안 거는 게 맞았는지는 나중에 판단하시고, 일단 브렠를 걸면서 게임을 한다고 생각하면 돈 관리에 큰 어려움을 겪진 않으실 거라고 예측합니다.


6. 마치며


언제 가장 롤체를 많이 배운다고 생각하세요? 사기판을 했을 때? 피 100 우승을 했을 때? 제 생각에는 ‘질 때는 억까당해서 졌다고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내가 못했을 때’여요. 그 당시에 내가 잘못됐는지, 잘못한 건지 알아채고 바로 피드백을 하는 건 참 힘들어요. 그래서 누군가에게 패배의 이유는 돌려야하니 내가 그 때 진 거를 억까라고 생각하고 운의 탓으로 돌려버리죠. 물론, 운의 탓일 수도 있어요. 정말 세상이 나를 지라고 등을 떠밀었을 수도 있어요. 그리고 그게 정신건강에 좋기도 해요. 하지만 귀 만큼은 열어두세요. 나보다 못한 사람의 말도 들을 게 있어요. 내가 좀 억지를 부리는 부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피드백을 해나가다 보면 마스터 정도는 알아서 가있지 않을까요?


저 또한 제 생각에 대한 피드백 백퍼센트 환영입니다. 근데 사실 뉴비들 보라고 쓴 건데 뉴비한테 피드백 들었을 때 그걸 받아들일 자신이 솔직히 말해서 없긴 하네요,,, 미안합니다...


내세울 티어는 아니지만 옛날 티어 찍어놓은 사진과 현 티어 사진을 첨부하겠습니다. 다들 롤체 재밌게 입문해봐요~ image.png 롤체 나름대로 공략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b6f6b983522


추천 비추천

126

고정닉 8

15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6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3002 AD 작혼X페스나 헤븐즈필 콜라보 개시! 운영자 25/04/22 - -
2069747 공지 전략적 팀 전투 공략&정보&사이트 모음 [3] 규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9 102968 16
3007497 공지 2025년 TFT 패치 일정 & 시즌 정보 [5] 롤체하는찐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04 29398 15
2336068 공지 전략적 팀 전투 갤러리 차단 및 삭제 기준 규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6 18958 1
1918149 공지 호출글 [5] ㅇㅇ(211.246) 23.07.16 33331 4
1427746 공지 7월 22일 삭제된 념글 복구 목록 [21] MacGuff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4 57291 42
3248730 일반 신규고득점 먹었는데 플레기미로 베이가를 쳐먹은새끼가 있네 [1] ㅇㅇ(115.21) 14:13 11 0
3248729 일반 베인 타는애들 싹다 순방 못했네 모르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3 10 0
3248728 일반 이번 시즌 황소 고점 안보면 1등 못하겠음 [1] ㅇㅇ(14.34) 14:11 19 0
3248727 일반 지금메타 ㅈ같아서 패치하면 돌아올려는데 ㅇㅇ(106.101) 14:09 28 0
3248726 일반 엑소 희귀한판 오랜만이라 재밋엇다 일일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9 36 0
3248724 일반 뇌정지 ㅈㄴ와서 어버버 거리다 8등했네 [1] ㅇㅇ(218.152) 14:05 31 0
3248723 일반 마스터 갔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4 62 0
3248722 일반 패치 후 4사격 4선봉 1티어 되겠노 ㅇㅇ(220.77) 14:04 34 0
3248721 일반 아 트페조우자 때문에 졌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 18 0
3248720 일반 베인 아니면 순방도 못하겠어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 65 0
3248719 일반 그래도 8기술광이 낭만임 ㅇㅇ(211.235) 14:03 18 0
3248718 일반 매칭운 좆같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 13 0
3248717 일반 결과창 띡올려놓고 뭔훈수를 하라는거지 [1] 항상고맙습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 37 0
3248716 일반 의미없이 판수만 늘어나네 ㅇㅇ(218.153) 14:02 20 0
3248715 일반 부캐올리는중 지금까진 모든판 순방 [1] 얏바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 55 0
3248714 일반 기술광폐급인덴 피들이한몫하죠 고순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 39 0
3248713 일반 순방 몇연속까지 해봤음? ㅇㅇ(221.154) 14:00 12 0
3248712 일반 다음패치 유미메타 될거같지않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0 69 0
3248711 일반 아 황금황소 왤케 재밌지 씨발 ㅇㅇ(211.235) 14:00 17 0
3248710 일반 패스코인은 그냥 안쓰고 매시즌존버탈수잇음? 푸디이이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0 15 0
3248709 일반 3엑소 유동이면 덱풀이 반으로 줄어드네 씨발ㅋㅋ [2] ㅇㅇ(118.235) 13:59 61 0
3248708 일반 진지하게 황소로 빌드업하지마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7 59 0
3248707 일반 그러고보니 이번시즌은 다른태생없네? [2] 롯갤러(118.235) 13:55 48 0
3248706 일반 나는 워모그가 왜이렇게좋을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5 74 0
3248705 일반 그냥 지금 게임이 존나 불쾌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ㅇㅇ(125.131) 13:54 139 0
3248704 일반 황소는 2,3증강 돈증강 먹는게 나아? ㅇㅇ(110.11) 13:53 20 0
3248703 일반 뉴비인데 아이템은 보통 누구한테 줌? [4] ㅇㅇ(119.56) 13:50 68 0
3248702 일반 100판 마스터미션! [2] 볼붕이임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8 92 0
3248701 일반 베이가 트루뎀이 마방 적용된 이후 피해량의 30% 인거임? [2] ㅇㅇ(121.161) 13:47 43 0
3248700 질문 안녕하세요 왜 졌는지 훈수 부탁드려요 [11] 123(49.168) 13:42 191 0
3248698 일반 담패치 요약본 메모용 [1] ㅇㅇ(180.70) 13:40 128 0
3248697 일반 예예밖으로 재조정기에 오로라 2성 먹은 사람 있네 [1] ㅇㅇ(182.209) 13:40 36 0
3248696 일반 근데 지금 8기술광은 왜 평가가 별로인거임? [8] ㅇㅇ(39.7) 13:40 165 0
3248695 일반 배패사서 잔나 뽑았다 [1] ㅇㅇ(211.36) 13:38 55 0
3248694 일반 신성기업 상징 나오면 바루스줌? 누구줌 [4] ㅇㅇ(221.168) 13:38 75 0
3248693 일반 에메랄든데 그마가 잡힐 수가 있나? [4] 강민아또너냐(49.143) 13:37 161 0
3248692 일반 7엑소할때 9렙에 뭐넣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7 56 0
3248691 일반 벡스 끝배치가 맞음?? [6] ㅇㅇ(112.170) 13:36 141 0
3248690 질문 챌린저만) 베인덱 제드 특성 개조체 질문 [6] ㅇㅇ(106.101) 13:34 98 0
3248689 일반 막상 그마유지 점수 되니까 왜이리 돌리기가 싫지 [3] ㅇㅇ(116.126) 13:34 102 0
3248688 일반 이번시즌 영브덱은 별론가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3 61 0
3248687 일반 너프 이후 트페는 걍 대천사가 더 나은거 아닌가? [1] ㅇㅇ(169.211) 13:30 84 0
3248686 일반 베이가 [2] ㅇㅇ(125.246) 13:30 62 0
3248685 일반 사미라 존나쎄길래 뭔가 했네 라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9 111 0
3248684 일반 홀로그램활 + 불운방지 좆버그네 [5] ㅇㅇ(182.228) 13:29 198 1
3248683 일반 썬파 얘 평가 바뀔 때마다 뭔가 뭔가임 [5] ㅇㅇ(58.142) 13:29 139 0
3248682 일반 며칠안남았으니까 대깨바루스벡스 전략푼다 [4] ㅇㅇ(211.234) 13:29 117 0
3248681 일반 찬스태틱 송곳니 바루스 진짜 재앙이네 [2] ㅇㅇ(182.209) 13:28 90 0
3248680 일반 개쓰레기게임 옐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7 48 0
3248679 일반 걍 이번시즌은 끝났다 [3] ㅇㅇ(118.33) 13:26 142 0
뉴스 ‘천국보다 아름다운’ 한지민, 기억 잃었다… 깊은 연기로 진한 여운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