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뉴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ㅇㅇ(182.230) 2024.05.02 13:36:09
조회 173 추천 2 댓글 3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65196

 



2bb88427b38168a36dec85b01580723875d3a6d09cd9a287ffa1cdbbced15bfce847deb58f2c856c121661c15550d4

비만 치료제 위고비.



지난해 학술지 '사이언스’가 올해의 연구 성과로 GLP-1 모방 비만 치료제를 선정한 것은 뜻밖이었다. 제품명 위고비로 유명한 이 의약품의 효과가 워낙 대단해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지만 그래도 과학 학술지인데 후보에 오른 업적 9개 가운데 하나로 넣는 정도가 무난해 보인다. 2000년대 들어 지구촌 비만이 가파르게 늘고 있고 특히 '사이언스’를 발행하는 미국은 심각한 수준이라 가산점을 얻어 선정된 게 아닐까.


🌑 맛있는 정제 음식이 주범?


2차 세계대전 이후 지구촌의 부와 권력을 독점하면서 풍요로워진 미국은 비만이 보건 문제가 되기 시작했고 그 원인을 밝혀 해결책을 제시했다. 바로 지방 섭취를 줄이는 것이다. 지방은 칼로리 밀도가 높고 무엇보다 체지방의 성분이므로 대중이 직관적으로 받아들였다. 그 결과 1980년대 지방을 낮추고 탄수화물을 높인 권장식단이 나왔지만 그 뒤 비만이 오히려 더 가파르게 늘었다.


결국 당과 정제 탄수화물(위와 장에서 당으로 쉽게 분해되는)이 진범이라는 가설이 우세해졌고 소위 '구석기 식단’이라는 진화론적 설명이 곁들여지면서 저탄고지 다이어트 붐이 일기도 했다. 그럼에도 비만화 추세는 꺾이지 않았다.


그 뒤 지방과 탄수화물이 알고 보니 공범이라는 가설이 나왔다. 식품산업이 발달하면서 식단에서 정제된 지방과 탄수화물이 적절히 배합된 상태인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의 비중이 높아졌다. 이들 음식은 맛도 좋은데 각종 첨가물을 적절히 배합해 음식의 풍미를 더한 업체의 노하우 덕분이다. 



2be8d424e48b6df13fbad2b14687776f4254f95e7d0298d97a9e093a3f7c29cfd3720d8bb3fba6066c5b89a40e947b01

과거에는 구강은 맛을 통해 더 먹으라는 양의 피드백을, 소화기는 음식이 채워짐에 따라 그만 먹으라는 음의 피드백을 제공해 식사를 멈추는 시점이 정해진다고 봤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화기에서도 영양을 분석해 양의 피드백을 하고(low road) 그 기여도는 구강의 정보(high road)보다 큰 것으로 밝혀졌다. 



식사량은 구강의 감각 기관이 음식의 맛에 대해 보내는 '먹으라는 신호’와 음식이 들어와 배가 찼을 때 위와 장에서 보내는 '그만 먹으라는 신호’ 사이의 힘겨루기의 결과다. 음식으로 배를 채우면서 그만 먹으라는 신호가 점점 커져 먹으라는 신호를 넘어서면 식사를 멈추게 된다. 그런데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는 맛이 좋아 먹으라는 신호가 센데다 영양 밀도도 높아 그만 먹으라는 신호가 우세해졌을 때는 이미 칼로리 균형이 무너진 상태라는 이론으로 꽤 그럴 듯 하다.


그런데 몇몇 동물실험이나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은 위의 가설과 다른 결과를 내놓았다. 맛이 있다고 해서 더 많이 먹는 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현상은 우리도 늘 경험하는 것으로 과일을 좋아한다고 과일만 배불리 먹는 일은 거의 없고 생크림을 아무리 좋아해도 생크림만으로 배를 채우려다가는 곧 물린다.


게다가 음식이 들어갔을 때 위와 장에서 보내는 신호가 음성 피드백, 그만 먹으라는 신호뿐인 것은 아니라는 사실도 밝혀졌다. 예를 들어 포도향과 오렌지향이 있는 물에 대한 선호도가 비슷한 생쥐에게 포도향 물을 줄 때는 주사기로 위에 설탕물을 넣어주고 오렌지향 물을 줄 때는 위에 맹물을 넣어주는 조작을 수일 동안 실시한 뒤 선택하게 하면 포도향 물을 선호한다. 


소화기 역시 들어온 음식물의 영양 정보를 감지해 뇌에 더 먹으라는 신호, 양성 피드백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셈이다. 소화기에 분포한 미주신경을 통해 뇌의 선조체로 신호가 가면 도파민 분비가 늘어 섭식 행동이 강화된다. 맛을 감지한 구강의 의식적 신호와 영양(칼로리)을 감지한 소화기의 무의식적 신호가 합쳐져 어떤 음식을 먹으라는 신호의 '강도’가 결정되는 것이다.


후속 연구 결과 놀랍게도 구강의 의식적 신호보다 소화기의 무의식적 신호의 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비만의 만연 역시 음식의 맛보다는 영양 때문이라면 소화기가 더 먹으라는 강력한 신호를 보내게 만드는 영양의 비밀은 무엇일까.


🌑 부실한 장의 영양 정보 시스템


지난 2월 학술지 '셀 대사’에는 이 물음에 대한 명쾌한 답을 제시한 논문이 실렸다. 소화기에서 뇌로 가는 영양 신호가 영양소, 당(탄수화물)과 지방에 따라 분리돼 있어 두 경로가 동시에 활성화될 때 신호가 증폭돼 뇌에서 도파민을 많이 만들게 되고 그 결과 더 먹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 동물실험 결과도 탄수화물만으로 이뤄진 먹이나 지방만으로 이뤄진 먹이보다 탄수화물과 지방이 섞인 먹이를 더 많이 먹는다. 



7fea8972b6d73aa73fe7d2b04682213c7be886fb502060dfe195d644bda641d89ce5f9b99e63c2d9d0e86d1c13e1c2

오늘날 과식으로 인한 비만의 원인은 장에서 보내는 영양 신호 시스템의 결함 때문으로 밝혀졌다. 즉 소화기는 들어온 당과 지방 신호를 별개의 경로로 뇌에 보내기 때문에 두 영양소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먹을 때는 신호가 증폭돼 뇌에서 도파민 분비가 크게 늘어 더 먹게 된다.



공교롭게도 가공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대부분이 탄수화물과 지방 모두 꽤 들어 있는 조성이다. 밀크초콜릿, 아이스크림, 케이크의 영양성분을 보면 각각이 전체 칼로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해 두 경로 모두를 최대한 자극하는 조성이다. 햄버거의 경우 보통 세트 메뉴로 많이 먹는데 콜라(당분)와 프렌치프라이(지방과 탄수화물)가 시너지 효과를 낸다. 그렇다면 왜 소화기는 섭취한 당과 지방의 칼로리 정보를 통합해 뇌로 전달하는 별로 복잡해 보이지도 않는 시스템을 진화시키지 못해 이런 오류를 낳는 걸까.


인류의 게놈 대부분은 여전히 수렵채집인의 삶에 적합하게 진화한 상태로 남아있다. 1만 년 농업을 시작한 뒤 녹말분해효소 유전자 복제 수 증가나 유당분해효소 발현 유지 변이 등 일부 적응을 보이기는 했지만 미미한 수준이다. 하물며 100년 남짓한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 역사에는 전혀 대응하지 못한 상태다.


수렵채집인의 식단에서 알 수 있듯이 자연에는 당(탄수화물)과 지방 모두를 풍부하게 함유한 음식물이 거의 없다. 고기에는 지방이 많지만 당(탄수화물)은 거의 없고 열매와 덩이줄기(또는 뿌리), 꿀에는 당(탄수화물)이 많이 들어있지만 지방은 거의 없다. 물론 요리를 통해 어느 정도 같이 먹을 때도 있지만 오늘날 가공식품이나 패스트푸드처럼 하나의 음식으로 얽혀 있는 상태는 아니다. 


몸에 밴 습관을 좀처럼 고칠 수 없는 이유는 습관이 무의식의 지배를 받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식습관이라는 말도 과학적으로 정확한 표현인 셈이다. 예전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음식의 영양 정보를 뇌에 알려주는 장의 무의식적 신호 체계의 부실함이 오늘날 과식으로 인한 비만 만연의 배후라는 사실을 알게 됐더라도 이를 개선하는 데 별 도움은 안 될 것이다. 작심삼일이라는 말처럼 의식이 무의식을 이기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문득 GLP-1 모방 비만 치료제가 지난해 '사이언스’의 연구 성과로 선정될만했다는 생각이 든다. 의지력에 기댄 다이어트는 십중팔구 실패하는 현실에서 무의식의 신호 회로를 건드려 식욕을 낮춤으로써 덜 먹게 해 살을 빼는 해법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욕망은 누르는 게 아니라 가라앉혀야 극복할 수 있다는 말이 진리임을 다시 한번 느낀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479800 정보/ phi-3 vision 벤치마크 성능 [12] ㅇㅇ(119.77) 05.22 388 6
479747 정보/ 오... phi-3 멀티모달 버전도 나왔네 [1] ㅇㅇ(119.77) 05.22 100 2
479729 정보/ Phi3-medium 가중치 공개 [1] ㅇㅇ(119.77) 05.22 182 2
479587 정보/ 앤트로픽 새로운 해석 가능성 논문 [6] ㅇㅇ(125.191) 05.22 348 4
479582 정보/ Microsoft 나머지 Phi-3 모델 출시 [1] ㅇㅇ(125.191) 05.22 180 1
479580 정보/ 95% 효율로 물을 전기 분해하는 새로운 기술 [2] ㅇㅇ(182.230) 05.22 269 2
479539 정보/ 젠슨 황 "AI 확장 중심은 'AI 공장'...델과 협력" [2] ㅇㅇ(182.230) 05.21 155 1
479537 정보/ 인터넷에 퍼지는 '새우 예.수'...AI만 가득한 '죽은 인터넷' 이론 [2] ㅇㅇ(182.230) 05.21 336 1
479521 정보/ MS, PC에서 일어난 모든 것 기억하는 '리콜' 출시 [2] ㅇㅇ(182.230) 05.21 413 1
479518 정보/ 바이트댄스, '두바오'로 중국 AI 챗봇 중 최고 인기...수익은 없어 [2] ㅇㅇ(182.230) 05.21 124 1
479513 정보/ 영국, 자율주행차 법 제정…”자율주행차 사고는 제조사 책임” [6] ㅇㅇ(182.230) 05.21 217 2
479498 정보/ OAI, AI 서밋 서울참가, 차세대 프론티어 모델 [4] ㅇㅇ(119.77) 05.21 278 1
479179 정보/ 룬붕이 "알트만은 잘못한 게 없다" [3] 선갤러(125.191) 05.21 369 5
479118 정보/ 클로드가 생각하는 스칼렛 요한슨 목소리 사건 [13] ㅇㅇ(211.109) 05.21 411 2
479090 정보/ 이것이 클로드님 외모시다. [1] ㅇㅇ(175.209) 05.21 258 1
479089 정보/ 미라 무라티 "스칼렛 요한슨처럼 들리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3] ㅇㅇ(125.191) 05.21 466 5
478929 정보/ 말하지 않고도 내면의 목소리를 해독하는 뇌 판독 장치 [30] ㅇㅇ(182.230) 05.21 4117 27
479079 정보/ 클로드님.. 저 밥먹고 와도 될까요.. [3] ㅇㅇ(211.109) 05.21 230 1
478979 정보/ 샘알트만 "Sky의 목소리는 스칼렛 요한슨의 것이 아니다" [11] ㅇㅇ(125.191) 05.21 468 1
478850 정보/ 삼성전자 DS 부문장 교체 [1] ㅇㅇ(59.26) 05.21 266 2
478806 정보/ 챗GPT '스카이' 목소리가 스칼렛 요한슨?…오픈AI "모방 아냐" [4] ㅇㅇ(125.191) 05.21 399 2
478793 정보/ DTW 무대 선 황성우 삼성SDS 대표 “생성형 AI로 업무자동화” [1] ㅇㅇ(124.56) 05.21 173 2
478104 정보/ '저작권 문제 없는' 그림 ai, 마침내 출시 [32] 한가운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036 21
478753 정보/ 속보) GPT-4o 음성 모드 출시 지연 (+수정) [32] Ad_Astr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961 3
478751 정보/ "최적의 프롬프트 단어 수는 21개" 제미니 가이드북 발간 [3] 디시콘발사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247 4
478749 정보/ 앤트로픽은 ASL-3에 도달시 모델 학습,배포 중지 약속 [7] ㅇㅇ(119.77) 05.21 400 1
478748 정보/ 앤트로픽, claude 3 opus의 4배 컴퓨팅 모델 교육 중 [2] ㅇㅇ(119.77) 05.21 323 3
478747 정보/ 코파일럿(by gpt-4o)와 함께하는 마인크래프트 [5] ㅇㅇ(119.77) 05.21 397 4
478733 정보/ AI가 고래 통신을 해독하는 방법 : 단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65 3
478729 정보/ Copilot, 최신 OAI 모델 지원 예정 [1] ㅇㅇ(119.77) 05.21 421 1
478655 정보/ 삼성전자 휴머노이드 AI 로봇개발 가속화 자율주행 우주항공에 주력할것 [2] ㅇㅇ(39.7) 05.20 401 6
478579 정보/ "최적의 프롬프트 단어 수는 21개"...구글, 프롬프트 가이드북 발간 [2] ㅇㅇ(182.230) 05.20 419 3
478497 정보/ 구글, LLM 내부 살펴볼 수 있는 '모델 익스플로러' 공개 [2] ㅇㅇ(182.230) 05.20 256 1
478496 정보/ "빅테크, 5년 내 AI 투자액 5배 증가 예상...연간 1360조" [2] ㅇㅇ(182.230) 05.20 236 1
478379 정보/ gpt-4o 주요 연구자, "얀르쿤 지겨워" [27] ㅇㅇ(119.77) 05.20 4901 34
478232 정보/ 양천구, 경로당 운영업무 자동화로 바꾼다…전국 최초 QR 코드 관리시스템 [2] ㅇㅇ(124.56) 05.20 206 1
478116 정보/ 누출 LLM 시스템프롬프트 몇가지 번역.txt [1] e/linea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263 4
478023 정보/ KISTEP, 비만치료제 브리프 [1] 슈퍼130클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56 3
478001 정보/ 머스크 "두뇌 칩 두번째 환자 신청 받아"...올해 11명 수술 목표 [2] ㅇㅇ(182.230) 05.19 336 2
477974 정보/ 얀 르쿤은 LLM의 창시자이자 AGI의 희망이나 마찬가지임 [6] ㅇㅇ(119.197) 05.19 323 3
477969 정보/ 영국, MS-미스트랄 AI 제휴 승인..."영향력 확보한 것 아니야" [1] ㅇㅇ(182.230) 05.19 167 2
477965 정보/ 바이두 "GPU 부족 돌파법 찾아내…중국산 칩 다수 조합 성공" [8] ㅇㅇ(182.230) 05.19 498 1
477954 정보/ 생성형 인공지능의 빛과 그림자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90 2
477923 정보/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 세포 노화 유발 가능성 [6] ㅇㅇ(182.230) 05.19 408 1
477915 정보/ 허깅페이스, 오픈 소스 위한 무료 GPU 공유 프로젝트 추진 [4] ㅇㅇ(182.230) 05.19 275 3
477908 정보/ “GPT-4o로 스타트업 1천개 사라질 것”…오픈AI 직접 서비스 파장 [1] 연맛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26 1
477649 정보/ Gpt4o에 커스텀 영상통화 [2] 초존도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43 1
477597 정보/ 제프리 힌튼 교수가 생각하는 GPT [8] 자연어프로그래밍(59.26) 05.19 2320 31
477570 정보/ 얀르쿤 "초지능 정렬? 꼴값떨지마셈 ㅇㅇ" [54] ㅇㅇ(59.17) 05.19 5656 46
477515 정보/ 수도 검침원 116년 만에 역사 속으로… AI가 사용량 확인 [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65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