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공문] 화차에 적혀있는 하중, 자중, 용적, 계산, 환산 영, 공의 의미앱에서 작성

ㅇㅇ(118.38) 2023.05.27 15:50:02
조회 721 추천 14 댓글 1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bdba77d802a6bc07d5dadb52bf3b1dc6d56d

기차를 이용하다보면 종종 화물열차를 볼것이다 그런데 화차에 적혀있는 이것을 본적이 있는가? 아는 사람도 물론 좀 있겟지만 유심히 보지 않는이상 잘 모를것이다 이게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이 많을건데 지금부터 알아보자

0c96e274b5836ff63bee81e443867d6d22e92650dbddd3b51acb8fe257692ead8325d896bbd6251f2c177ebe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bdbc77d802a6bc07d5dadb52bc38cf880716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bdbd77d802a6bc07d5dadb52bf3bb86aa3cf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bdb077d802a6bc07d5dadb52bc3c75439478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bdb177d802a6bc07d5dadb52bc39d8d05a68

1bbcf419b0fe6fab6ba7fff82cf80c2cd414ff2043dc6fb301d325afaf34f478d08f6a9afbb381f3ddf1f1860f0be65eb1d7992039ef3972d10c71320ae587bb966964d733bd0420

1b9fc07ec9d12cb76186fcbe10c61514597032c07eb4dadfc2587711a5cd99e5a79bfb5dc84eee771cae1201199c979d89312cf8ec23c94e21c5eef1437b75185586146d0a90d75f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bdb9699c18b19b19efdde64cce3f805c22bb11

1deb8219e2e7308064a6c6862c871b38b5e07afb8a8397a2fc7c45d4f67ff5655264b93c251d65825fce40ff47192ce477d02559537feb18af1da85752f8f2c08bcba0e04d60e6

7dedf522ede83ca57bb6868d0fe80612af59976161d2be91d8b1ce969fccb3366a68737bbea4ee41e3f0ce808812e76a77041ce737ff108f1d8bf16b63003b6bac546babda22015d

7cec8777b48769fe39f2d4b11287273e2d2af892dd6d706d635e3d850776c8d120ccda832c7e0952c7d7c129645e62e7c7aaa714d954462a87fba354a126

08aee035dded75904b9ef3a315e33773d155b7b019fd97a8efe2167643ee296ea50945a3493669c6ec

이러한 화물들을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해선 정확한 수학적 계산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철도차량은 객차는 물론 화차에도 측면에 제원표가 적혀있다.

각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 용어들은 철도운송산업기사 문제에도 단골로 출제된다.

하중(荷重)은 화차에 적재 가능한 최대 중량, 즉 짐의 무게를 나타내는 것이다. 단위는 t(톤)으로 표기한다.

자중(自重)은 공차(空車, 빈차) 상태로 화차의 순수 자체 무게(중량)이다. 즉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적재정량을 말한다. 단위는 t(톤)이다.

용적(容積)은 차량에 적재 가능한 최대 부피를 말한다. 내용적(안쪽 부피)으로 체적을 뜻한다. 단위는 m³(세제곱미터/입방미터)이다.

계산(計算)이라는 것은 먼저 차장률(車長率)이라는 단위를 알아야 하는데, 철도차량에 쓰이는 단위로, 14m를 1량으로 환산한 것이다. 차량의 길이를 차장률로 나눈 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차량 길이가 12m라고 할 때, 12 ÷ 14 = 0.85714... 이므로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9가 된다.

환산(換算)은 기관차의 견인력을 계산할 때 중요하게 쓰이는 환산 단위로 화물을 가득 적재한 영차(盈車) 값과 적재하지 않은 공차(空車) 값으로 나눈다. 이 때는 차중률(車重率)이라는 단위를 사용한다. 차중률은 철도차량의 종류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는데, 기관차 : 30t, 동차&객차 : 40t, 화차 : 43.5t이 적용된다.(철도차량의 종류에 맞게 환산을 하면 된다.) 차중률 환산 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는게 아니라 그냥 소수점 두 번째 자리에서 무조건 올림(절상)을 한다. 그러나 환산 값은 실제 계산과 ±2톤 정도 오차범위가 있다. 이렇게 복잡한 환산율을 계산하는 이유는 열차의 견인력, 속도, 제동거리 등을 산출해서 열차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맨 윗짤 시멘트 화차의 제원은 이러하다.

하중 : 52t(톤)
자중 : 19.3t(톤)
용적 : 44㎥
계산 : 0.9 (0.9 × 14m=12.6m)
환산 영 : 1.6 (하중 52톤+자중 19.3톤=71.3톤÷ 43.5톤=1.6399...)
※ 화차 차중률 43.5t
환산 공 : 0.5 (자중 19.3톤÷ 43.5톤= 0.4436...)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bdbb77d802a6bc07d5dadb52bf38fa6dcb20

이 호퍼카의 제원은

하중 : 50t(톤)
자중 : 26.8t(톤)
용적 : 42㎥
계산 : 0.9 (0.9 × 14m=12.6m)
환산 영 : 1.8 (하중 50톤+자중 26.8톤=76.8톤÷ 43.5톤=1.7655...) 즉, 43.5톤의 180%(1,8배) 미만으로 적재할 수 있다는 뜻이다. ※ 화차 차중률 43.5t
환산 공 : 0.7 (자중 26.8톤÷ 43.5톤= 0.6160...)이다.

열차를 이용하면서 이런 상식쯤은 알아뒀으면 한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4

고정닉 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612452 공지 교통갤러리 이용규칙 (2023.05.24) [7] (주)본전려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24 11738 52
637644 공지 완장 호출벨 [5] 화도터미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9 28719 42
679021 공지 교갤 갱차리스트 240510갱신 교갤용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30 2441 16
640465 공지 일반공지 모음 [2] 상록수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30 5749 14
713355 일반 37 [1] 동네형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8 81 0
713354 일반 뭐탈래?? [3] 루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9 134 2
713353 일반 1종 소형이랑 버스면허(대형)중에 뭐가 더 어려워요? [1] ㅇㅇ(118.40) 01:58 98 0
713352 사진 양원역 철길 [1] 피칸아메리카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4 159 1
713351 일반 크드 5000번 문서 ㅋㅋ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3 363 2
713350 일반 싱글벙글 어케 들어갓노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257 1
713349 일반 보쌈 8-1이랑 60이랑 88은 올 일렉되기 일보 직전이더라 [2] 양주부천8906번(59.12) 01:21 96 0
713348 일반 제주해저터널(고속도로) 개통 시 제주 착발 고속버스 예상 수요-4. 대전 [3] 광주제주고속도로(220.85) 01:06 129 0
713347 일반 뉴그랜버드 슈퍼프리미엄 일반 고속버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1 264 2
713346 일반 짭 하나로카드 제작중 [1] 수산업협동조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1 262 2
713345 일반 하모 [5] 라.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9 255 2
713344 일반 ㄱㅇㅇ) 경남에도 재난 문자 날라옴 [2] 차돌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8 223 0
713342 일반 타시도 제일 많이 경유하는 노선이 8109 맞나? [2] 양주부천8906번(59.12) 00:26 185 0
713341 일반 솔직히 전기차보다 수소차가 더 안전하지않나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1 213 1
713340 일반 경남 승진만 타다가 390 타면 ㅇㅇ(182.225) 00:11 119 0
713338 일반 제일704 대체 경기버스가 과연 제대로 다녀줄까? [9] ...(211.202) 00:03 479 0
713337 고전짤 달라진 점 or 사라진 점 찾기 [3] 피칸아메리카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2 259 0
713336 일반 제주도처럼 버스 감차한다는곳 또 없냐 [9] ㅇㅇ(211.248) 06.09 357 2
713335 일반 이게 왜빠지노? [2] ...(222.98) 06.09 397 3
713334 일반 전용필드나 다름없는걸 가진 아파트 서울 5호선 양평역 양평동3가 경남1 [9] 구경(111.118) 06.09 205 3
713333 일반 M5556 예약제 첫날 근황 ㅇㅇ(175.196) 06.09 457 3
713332 일반 울산 형님 오신다 Delo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288 2
713331 시간표 3600번 시간표 ㅇㅇ(220.72) 06.09 274 5
713330 일반 제일여객 인수되면 궁금한게 704랑 9714 행방임 [7] ㅇㅇ(175.194) 06.09 471 2
713329 일반 개집 742번은 향동로 타고 어디가는거임? [2] ㅇㅇ(211.217) 06.09 350 2
713328 일반 ktx 셔틀버스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389 4
713327 일반 지방 중소도시에서 그저그런 면 지역 가는 노선 [10] ㅇㅇ(119.199) 06.09 289 2
713325 일반 여기는 왜 코드를 복잡하게함? 어제 버스좀 물보러 했더니 [4] ㅇㅇ(112.172) 06.09 254 3
713324 일반 파주 07x, 07x [1] ...(211.202) 06.09 199 2
713323 일반 ㄱㅇㅇ) 전북도 문자 옴 가리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261 2
713322 일반 ㄱㅇㅇ)충북,대전에서도 옴 은발미소녀치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235 2
713321 일반 함평 500번 변경점(6/1~) [2] MJ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282 2
713320 일반 고전짤 [2] 은발미소녀치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244 3
713319 질문 고속버스 무궁화 장수 [1] 영진(110.14) 06.09 230 2
713318 질문 경제학 3402번 노선도…? Mu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338 2
713316 일반 ㄱㅇㅇ) 대구도 재난문자옴 유빈교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240 3
713314 일반 기흥구청-> 서울월드컵경기장 [3] 츄파춥스(121.165) 06.09 326 3
713311 일반 누가 내차에다 출발시간표시기 달아줬으면 좋겠다~~~ [14] ㅇㅇ(1.216) 06.09 741 5
713310 일반 인천-동경 에어프레미아vs아시아나vs대한항공 [13] 시네마테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244 4
713309 여행/ 동양고속 7950 [11] 김민(110.14) 06.09 514 5
713308 여행/ KD 경□기 고 속 [10] 「목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616 6
713307 일반 화성여객은 언제 멸망하냐? [3] ㅇㅇ(219.248) 06.09 434 6
713306 일반 유니시티 M버스 [3] ...(211.202) 06.09 856 5
713304 일반 윗나라 근황 [2] ㅇㅇ(112.148) 06.09 669 5
713303 일반 ㄱㅇㅇ) 북한이 오물풍선 날린다고 함 [6] 묘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705 5
713302 일반 다시온 재난문자 [13] 포천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640 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