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에서 이어짐.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참고로 세종 801번 전의 9:00 출발 차는 10:20에 도착함.
이를 통해 전의 9:20 차는 세종터미널에 10:40에 도착한다는 추론이 가능하므로, 10:30 3002 탈 때 9:20 801 탔다면 절대로 801을 세종터미널까지 타면 안됨.

처음 담아보는 세종 BYD.

12. 계룡 3002번: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10:29 승차(승차 450원)(총합 7130원)(환승할인)
이제 계룡으로 넘어 감과 동시에 일반적인 대둔산경유와는 다른 경로로 진행함.
학봉삼거리 까지는 무정차 이기에 1번 국도 타고 빠르게 이동.

1번 국도와 갈리는 박정자삼거리.

10:50 계룡시 진입.

계룡시내인 엄사 쪽.
본인은 양정에서 내리긴 했는데 양정은 길을 건너야 해서 차라리 엄사입구에서 내리는게 더 편함.

양정 11:09 하차(하차 0원)
이제 여기서 길을 건너야함.

길 건너 양정 정류장.

계룡 2002번.
2002번은 그 동안 주황색 밖에 없는 줄 알았는데 파란색 2002번도 있네.

13. 논산 303-1번: 양정 11:19 승차(승차 1180원)(총합 8310원)
사진은 논산시외터미널 하차 후 찍은 사진.
여기서부터 강경까지 연계가 약간 아슬아슬함.
논산시외터미널에 11:57 정도 까지는 가야 하는데 안그래도 바쁜 구간인데 평소보다 1분 늦게 들어옴!
그래도 논산버스 답게 속도는 그래도 나름 밟아 승하차 승객이 조금 있었지만 11:31에 연산정류소 통과.

연산면내 구간.
은근 연산면내 구간에 차량이 많았음. 이날은 연산장날이 아님에도.
암튼 연산 통과 이후에는 속도가 조금 느려짐.

논산시외터미널 11:51 하차(하차 0원)
그래도 연산 이후로는 신호도 잘 안 걸려
승하차 승객도 종종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논산시외터미널에는 예상시간보다 1분 빠른 11:51 도착. 의외로 계룡에서 논산까지 타는 승객은 많이 없었음.

14. 도보 341m
계룡/연산 쪽에서 오는 버스에서 하차하는 논산시외터미널 정류장과
강경방면 버스를 타는 금호고속 정류장은 다르기 때문에 도보로 조금 걸어야함.
문제는 버스가 언제올지 몰라 뛰어감;;

15. 논산 101번: 금호고속 12:00 승차(승차 0원)(환승할인) / 대흥교 12:12 하차(하차 0원)
버스 사진을 못찍어 캡처 사진으로 대체함.
암튼 강경행 버스를 탔는데, 예상 시간인 11:58 보다 2분 늦게 도착한 12:00에 101번이 옴!
12:17 까지 강경터미널에 가야하는데, 여기도 연계가 아슬아슬한데 예상 시간보다 늦게 도착해 당황함.
당장 12:17에야 대흥교에 도착한 사례도 있고, 그래서 x줄 타며 이동함.
그래도 의외로 승하차 승객도 별로 없고 신호등도 별로 안 걸렸고
논산과 강경은 그리 안 멀어
예상시간인 12:15 보다 3분이나 더 빠른 12:12에 대흥교에 도착해 12:17 익산가는 39번을 탈 수 있었음!

16. 익산 39번: 강경시외터미널 12:13 승차(출발 12:16)(승차 1250원)(총합 9560원)
암튼 12:17 39번을 무사히 탑승!
사진 찍고 올라타자 기사님이 왜 찍냐고 물어보셨음. 본인은 거기에 대답했고,
익산까지 시계외요금을 내고 탐.
그렇게 12:16에 예정시간보다 1분 조발함.
그리고 12:18에 강경법원을 통과했는데 여기서 타는 승객이 2명 정도 있었는데
익산이라고 말했는데 정작 교통카드가 안찍히는 버그가 있었음;; 결국 기사님은 할머니 분들께 일단 앉으라고 하셨고,
잠시 후 단말기를 다시 조작하더니 그제서야 카드를 찍게됨;;
암튼 강경 떠나고 잠시 후 전라북도에 진입함.

이곳이 낭산면 쪽.

석불사거리. 여기서 익산 5600을 타면 금마로 갈 수 있음.

중간에 이렇게 손님이 보이면 그냥 미리 개문하기도 함.

황등면내. 여기서부터 3330/3331 - 3100 루트와 똑같이 이동하게 됨.

익산시내 진입.

익산역 동부광장 13:24 하차 (하차 0원)
함열경유에 비해 전반적으로 돌아가는 데다가 속도도 그리 빠르지 않다 보니 무려 1시간 7분이나 걸림.
사진은 익산역.

익산시내 모습.
암튼 익산역 부터는 본래 신루트 였던 구간임.

17. 익산 15: 익산역 동부광장 13:42 승차(승차 0원)(환승할인)
바로 신루트는 익산 15번을 타고 황경으로 가서 500m 정도 걸은 다음 상정리에서 1445 쯤에 오는 김제 31번을 타는 계획이었음. 이러면 김제 시장통에 1455 경에 도착하고, 1500 5번을 못타더라도 1545 5번을 타면 원평에 1615 경에 도착하기에 1627 241 탑승 충분히 가능.
즉, 전주 미경유를 부활시키려는게 계획이었음.
그런데 이 버스는 상상치도 못한 변수로 인해 원래 계획이 바뀌어버리게 됨 ㅋㅋㅋㅋㅋㅋㅋㅋ 암튼 성공하긴 했는데
암튼 1342에 익산 15번을 탐. 황경리는 김제라 기사님께 황경 간다고 말하고 버스를 탐.

잠시후 만경교 건너 김제에 진입함.(13:51)
만경교 건넌 후 그냥 BIS 살펴봤는데 의외로 김제 25번이 기점인 백구에서 늦게 출발한건지 평소라면 이미 갔을 버스가 익산 15번 바로 뒤꽁무니를 쫓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고, 그렇게 황경까지 이동함 ㅋㅋㅋㅋ

황경 14:00 하차(하차 요금 0원)

18. 김제 25번: 황경 14:01 승차(승차 450원)(총합 10010원)
그렇게 바로 뒤따라 오던 김제 25번을 1분 차로 탑승 성공 ㅋㅋㅋㅋㅋㅋㅋㅋ
이로 인해 본래보다 40분 일찍 김제시내로 들어갈 수 있게 되었고 원평경유가 아닌 화호경유로 가게되었고 옛날 화호경유 광주행 루트를 부활시키게 됨 ㅋㅋㅋㅋㅋㅋㅋㅋ(이거 6년 만인듯)
암튼 김제버스 답게 상당히 빠른 속도로 김제시내로 감.
참고로 이거 못타더라도 그냥 황경입구에서 상정리까지 500M 걷고 상정리에서 1445 경에 오는 김제 31번을 타도 원평경유로 정읍에서 1710 용치-구림-순창행은 충분히 탑승 가능함.
사진은 김제 하차 이후 찍었음.

시장통 14:13 하차(하차 0원)
그렇게 김제에 1413 도착 ㅋㅋㅋㅋㅋㅋㅋㅋ

원평-금산사로 가는 1420 김제 5번.

19. 김제 11번: 시장통 14:31 승차(승차 450원)(총합 10460원)
암튼 원평으로 가는 5번은 떠나보내고, 김제역에서 1420에 출발한 화호가는 11번을 탐.
김제버스 답게 역시 속도는 상당히 빠르게 이동.
사진은 화호 하차 이후 찍은 사진.
그리고, 중간에 유흥리라는 작은 마을을 들렀다 나오고, 다시 화호로 이동.

화호삼거리 14:54 하차(하차 0원)
사진은 화호삼거리 정류장.

화호삼거리 정류장 바로 앞에 있던 마트.

화호마을.

20. 정읍 232번: 화호삼거리 15:16 승차(승차 450원)(총합 10910원)
화호 도착하고 나서 20분 정도 기다려 탄 232번.
출발하자마자 잠시 30번 국도를 이용하다가 빠져나왔고
이후 신태인까지는 타는 승객 없이 이동.
정읍버스 답게 속도는 40km/h 조금 더 가 한계인 등 속도 자체는 느렸음.

이후 신태인터미널에는 15:30에 도착해서 승객만 태우고 바로 출발함.

정우면 초강리.
여기서도 타는 승객이 있었는데 편의점에 시간표가 붙어 있었음.

호남고속도로.

정읍터미널 16:07 하차(하차 0원)
그렇게 무려 정읍에 1607에 도착 ㅋㅋㅋㅋㅋㅋㅋㅋ(시간표상으로는 1609 정읍 도착임.)
대둔산 거쳤으면 지금 금산사 연계 될까 X줄 타고 있는 동안 벌써 정읍 도착함 ㅋㅋㅋㅋㅋㅋ
별개로 79 - 5 연계는 이날 실패함... 진짜 금산사 거쳤으면 ㄹㅇ 큰일날뻔.

이거는 1620에 쌍치로 가는 임순여객 버스인데 물론 쌍치에서 용치로 가는 농어촌버스도 있긴 하지만 시간대가 안 맞기 때문에 이건 안탐.

정읍에서 시간이 1시간 이상 남아 근처 식당에서 점심(맞나?)를 먹음. 오므라이스로 가격은 7000원.

임순여객 버스 시간표인데 쌍치 방면은 자판기 때문에 시간표의 일부만 알려주고 있음...(행선지 못봄)

21. 순창 무번호: 정읍터미널 1659 승차(출발 1710)(승차 0원)
이제 다시 일반적인 서울-광주 시내버스 여행 구간의 시작이자
이번 여행에서 처음 타보는 농어촌버스 노선.
승차홈 자체는 1650에 도착해 미리 문을 열어두고 있었음. 몇몇 승객 태우고 1710에 출발했는데
요금은 탈때 안내고 내릴때 지불하는 방식이었음.
그렇게 정읍시내를 거치는데 차의 엔진음이 살짝 이상했음... 암튼 그렇게 정읍시내는 1723에 빠져나오고
만복슈퍼는 1719 쯤에 지나간거 같음. 그런데 차도 힘이 없고 소리낼 때 엔진음도 이상했고
무엇보다 오르막길 오를때는 20km/h 조금 넘는 수준 밖에 안나왔음...
결국 1741에 내장산터미널에 도착했는데 문제는 내장산터미널 이후 차가 오르막을 오를 수가 없었음. 즉, 차가 퍼져버림 ㅋㅋㅋㅋㅋㅋㅋㅋ
결국 기사님께서는 조금 기다리라고 하셨고 반대편 정읍가는 농어촌버스가 오면 장비 받아 차 수리하고 다시 가겠다했음.
그런데 본인은 가마골 1810 출발 60-1을 타야하기에 당연히 X줄 타기 시작함. 그런데도 정비에 생각보다 오래 걸렸고, 본인은 가마골 1810 출발 60-1을 타야한다며 기사님께 말함. 그래도 차 퍼진건 어쩔 수 없기에 계속 기다리다가
1752 경에 어떤 승객이 언제 가냐고 물었는데 지금 출발한다고 했는데도 출발 안하다가
1759이 되어서야 겨우 내장산터미널 출발함.
그래도 내장산터미널 이후에는 차가 고쳐졌는지 차가 빠른 속도로 이동. 그래도 지체된 시간이 너무 많아 1810 60-1은 이미 체념하고 포기했고
중간 이동중 고속버스 표도 바꿨음. 그래도 기사님은 최대한 빠른 속도로 갔음.
이후 중간중간에 승객 몇명이 하차하며 복흥엔 1820 쯤에 도착했는데 어떤 한 할머니가 차가 왜이리 늦게 왔냐며 물음.(참고로 시간표상 원래 복흥은 1750에 통과해야 맞는거라고 함.)
그렇게 용치삼거리까지 빠르게 갔고 어떤 마을에서 용치삼거리까지는 전세냄.

용치삼거리 18:33 하차(요금 0원)
결국 1833 에야 용치삼거리에 도착함... 기사님은 1810 60-1 차 안퍼졌으면 잡을 수 있었다고 안타까워하며 사과의 의미로 돈은 안 받음.
암튼 이 칠흑같은 시골마을에서 30분 이상 기다려야 하게 됨...

22. 담양 60-1번: 용치삼거리 1908 승차(승차: 100원)(총합 11040원)
(차가 통과해버릴까봐 한손으로는 손을 흔들고 한손으로는 동영상을 찍다보니 사진 퀄리티가 이따구임. 양해바람.)
그렇게 35분 기다려 탄 60-1 다음차이자 막전차.
당연히 차 내부에는 본인 혼자였고
빠른 속도로 담양터미널로 이동함.
그렇게 담양호 변을 지나며 월계리에서 승객 1명이 탔고,
이후 용면소재지를 지나는데 다행히 60-1 막차는 결행 안하고 운행함.
그렇게 빠른 속도로 이동해...

담양터미널 19:30 하차(하차 0원)
담양터미널에는 19:30에 도착했는데 당시 311 출발 시간이 언제 출발하는지 몰랐는데 눈앞에 311이 보여 급하게 뛰어감.

23. 담양 311번: 담양터미널 1931 승차(승차 2700원)(총합 13740원)
이날의 마지막 농어촌버스!
그렇게 출발 준비중인 311번이 있었고, 사진만 찍고 후다닥 올라탐.
광주까지 시계외요금을 말핬는데 요금이 생각보다 비쌌음...(이날 탄 시내, 농어촌버스 중 제일 비쌌음.)
암튼 본인 태우고 1932에 바로 출발.
담양읍내를 지나 고속도로로 이동함.

담양IC 19:37 진입

동광주TG 19:44 통과

광주유스퀘어 20:10 도착(하차 0원)
그렇게 광주유스퀘어에 2010에 도착함!
경기도 광주시 광주종합터미널에서 광주유스퀘어까지 19시간 37분이 소요되었고, 오랜만에 자정 이후에 출발한 여행이었고 옛날 루트 부활까지 성공해 히 의미있던 여행인거 같음.
이제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동대구행 고속버스를 기다림.

에필로그1: 동대구행 고속버스
출발: 2100 광주유스퀘어
도착: 2309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복귀는 21시 동대구행 프리미엄으로 함. 원래 20시 우등고속 탈 예정이었는데 아까 임순여객 차량이 뻗어버린 바람에 1810 60-1을 못타 21시 동대구행을 타게 되었음.
프리라 비싸긴 했는데 확실히 돈값은 하더라. 엄청 편했음.
출발전 기사님이 휴게소 무정차로 대구까지 간다고 선언하셨고 정시되자 출발.
이후 빠른 속도로 서대구까지 이동했고 깨어나니 신천대로 나가고 있었음.
그렇게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 23시 9분에 도착함.
에필로그2: 3호선 + 2호선
이후 3호선을 타고 청라언덕역으로 이동해 2호선을 타고 문양역까지 간 다음 어1머니 차를 타고 집으로 복귀함.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함!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