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2학년 과탐 공부가이드

ㅇㅇ(118.221) 2024.07.19 10:37:47
조회 1938 추천 8 댓글 0

과학탐구

 

2학년 지구과학 1

 

1학기 중간 – 1,2단원

1학기 기말 - 2단원 지사학의 법칙 - 4단원 엘니뇨와 라니냐

2학기 중간 - 4단원 전체~5단원 별의 특성과 진화

2학기 기말 - 5단원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6단원 전체

 

지구과학1은 다른 과학과목에 비해서 수학적 계산이나 공식암기가 적은 편이나기타 암기해야할 것들이 좀 있음. (암석 종류대기 대순환해류별 분광형은하이해를 바탕으로 암기를 잘하면 추천.

 

공부 방법 – 별도의 학원이나 인강은 필요 없음수업시간에 집중만 잘 하면 충분함.

문제집 같은 경우엔 수능특강기출pick, 자이스토리완자 이 네 문제집을 다 풀면 충분히 맞음그러나 시간이 없을 수 있는데이럴 경우엔 완자와 기출픽 그리고 수능특강 정도로 타협완자로 개념 공부 – 기출픽으로 내신대비

 

시험 3주전부터 시작하는 걸 추천하고교과서 정독은 필수수능형 문제가 많지만 내신형 문제도 섞여 나오는데교과서 꼼꼼히 암기하면 틀릴 일 없음.

 

수능특강은 선택적으로 풀기학교 시험에 나올 일 없는 문제가 꽤 있음그래도 자이스토리수능특강에 나온 문제 유형이 시험에 킬러로 나올 때가 많으니 다 푸는 것도 나쁘진 않음.

 

지구과학은 문제 난이도가 언제나 쉬우면서도 분별은 될 정도이고서술형도 합리적인 편임다만 수행평가가 실수하기 쉬운 편이므로 준비 철저히.

 

나머지 팁으로는 분광형 외울 때 Oh Be A Fine Girl Kiss Me 이런 식으로 외우는 것과 대기 대순환이 형태를 띈다는 것 정도방향을 따라 바람이 분다.

 

꽤 재미있는 과목이고 문과의 경우 3학년 때 성적을 올리려고 한다면 지구과학을 선택하자생명과학 선택했다가 피본 친구들이 약간이지만 있다문과도 맞을 수 있는 유일한 과학 과목이다.

 

2학년 생명과학 I

 

1학기 중간: 1 ~ 3-1단원

1학기 기말: 3-2 ~ 3-3단원

2학기 중간: 4-1단원

2학기 기말: 4-2 ~ 5단원

 

생명과학은 크게 생명 활동유전생태계로 나눌 수 있는데생명 활동 파트에선 전반적인 생명 활동과 막전위근육수축과 이완 등을 배운다막전위근육수축과 이완에서 꽤 어렵게 나올 수 있으니 열심히 공부하자.

 

악명 높은 유전 파트에서는 체세포 분열감수분열비분리 등을 배우고가장 어려운 문제가 출제된다시간 내에 빠르게 추론해야 한다과목 선택하기 전에 유전이 있음을 주의하자.

 

생태계 파트에선 생태계에서 일어나는 전반적인 작용을 배우는데추론력이 필요한 문제보단 단순 계산 문제가 많이 출제되므로 계산 실수에 주의하자.

 

안그런 과탐 과목이 없겠지만 개념이 중요하다개념을 탄탄히 공부하고 나서 문제를 많이 풀어야 하고당연한 소리같지만 방심하지 말고 개념을 정확하게’ 공부해야 한다그리고 막전위근육 수축과 이완유전 파트에서 출제되는 문제들은 난도가 상당히 높으니 정말 많이 풀어봐야 한다.

 

또 문제를 풀 때 시간 관리를 하며 정확하게 답을 내야 하니 공부할 때 타이머 키면서 공부하는 것이 좋다평가원-교육청 기출뿐만 아니라 학교 기출 문제도 꼭 풀어봐야 하고마더텅/자이스토리와 수능 특강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다.

 

2학년 화학 I

 

1학기 중간: 1단원

1학기 기말: 2단원

2학기 중간: 3단원

2학기 기말: 4단원

 

문제집은 마더텅/자이스토리수능 특강을 추천한다.

 

화학1의 1단원은 양적 관계를 배우는 단원으로여러 정보들을 통해 원자분자의 몰(개수)를 구하는 것이 주이다개념은 쉽지만 고도의 추론을 요구하는 문제들이 출제되기에 가장 어려운 단원이기도 하다연습을 많이 해야 하는데단순 개념만 공부하는 것보단 평가원-교육청 기출을 통해 연습하는 것이 추론력 향상에도 좋다.

 

2단원은 원자의 구조와 모형전자의 배치그리고 주기율을 배운다. 1단원보다 쉬운 편이지만 2단원에도 추론이 필요한 문제들이 많고시간 내에 빨리 풀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하기 때문에 개념 공부를 철저히 해야 한다따라서 개념 위주로 공부하고개념의 틀이 완전히 잡힌 다음에 기출을 푸는 것이 좋다.

 

3단원은 화합 결합분자의 구조그리고 탄소 화합물에 대해 배운다. 3단원 역시 쉬운 편으로개념 공부만 오류 없이 정확히 하면 충분하다교과서에 나온 예시들을 통해 심화적으로 공부하면 더 좋다특히결합각 문제와 그에 따른 분자의 특징을 물어보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므로 역시 기출을 통해 연습하는 것이 좋다.

 

4단원은 산화-환원 반응과 중화 반응을 배우는데, 1단원 다음으로 고난이도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 범위이다따라서 문제를 통해 많이 연습해야 하고특히 중화 반응 부분에서 많이 출제되므로 문제를 풀면서 매끄럽게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2학년 물리학 I

 

크게 역학(1단원)과 비역학(2,3단원)으로 나뉘는데역학의 경우는 당연한 얘기지만 허수마냥 잡다한 스킬만 공부하지 말고 일단 정직하게 푸는 연습이 중요개인적으로는 같은 문제를 여러 번 푸는 것이 도움된다고 생각함비역학의 경우공식 암기와 현상을 이해하는 본인만의 논리 구조를 갖는 것이 중요함.

 

운동량과 충격량 단원의 경우 운동량 보존 법칙과 두 물체 사이의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표를 작성하면 웬만한 문제는 다 풀린다연습하면 금방 느는 유형 중 하나이다.

 

물리학에서 가장 어렵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인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일과 에너지)은 모의고사나 수능에서도 20번 문제로 출제된다두 종류의 퍼텐셜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가 무엇인지어떤 상황에서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고 손실되는지부터 정확히 알고 문제를 풀어야 한다뉴턴 운동 법칙과도 연결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운동량과 충격량과 엮어 문제가 출제되기도 한다계산량이 가장 많은 단원인 만큼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다.

 

열역학과 상대성 이론은 역학 부분 중 그나마 가벼운 부분이다열역학의 경우열역학 유형들과 열역학의 세 가지 법칙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크게 피스톤 유형과 그래프 유형이 있다최근 모의고사와 수능에는 주로 후자만 출제된다열역학 제 1법칙과 열효율을 동시에 묻는 것이 특징이다이 유형의 경우 열량내부 에너지 변화량일에 대한 표를 작성하면 금방 풀 수 있다특수 상대성 이론의 경우 정확한 논리를 가지고 문제를 접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며 본인의 논리가 적절한지 확인해보자.

 

시험범위는 전범위 누적된다이전 고사 시험범위에서도 충분히 어렵게 나오니 이전범위 공부 소홀히 하면 안됨.

 

내신 공부의 경우 완자로 개념을 잡고기출픽까지 풀면 2는 나올 만함거기에 자이스토리/마더텅 둘 중 하나까지 하면 끝.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6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1966 일반 ㅎㅇㅌ ㅇㅇ(1.224) 00:47 23 1
1964 일반 하ㅅㅂ [2] ㅇㅇ(14.39) 04.25 236 1
1963 일반 고1 1학기 중간고사 망치면.. [5] ㅇㅇ(121.173) 04.24 281 0
1962 일반 노브라 ㅇㅇ(118.235) 04.24 271 15
1961 일반 중간고사 ㅇㅇ(218.152) 04.24 157 4
1960 일반 아니 [2] ㅇㅇ(125.177) 04.22 277 1
1959 일반 ㄹㅇ 이해안되는거 [1] ㅇㅇ(119.192) 04.21 219 2
1958 일반 양심적으로 남이 마시는건 건들지말자 [3] ㅇㅇ(115.93) 04.19 324 13
1957 일반 이새끼들은 [11] savior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498 11
1956 일반 학교에 정상인 선생이 없네 [6] 푸바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579 22
1954 일반 요번 고3들 개빡셈 ㅇㅇ(110.11) 04.12 404 1
1953 일반 진지하게 딱 한마디만 한다 [1] ㅇㅇ(211.169) 04.11 323 0
1951 일반 광성고 졸업생들 잘 들어라 ㅇㅇ(211.36) 04.11 434 18
1947 일반 클로는 내가 1등인듯...? [2] ㅇㅇ(211.36) 04.09 468 9
1946 일반 졸업생 형님들 광성이 무너져갑니다.. [14] ㅇㅇ(211.169) 04.07 802 27
1943 일반 체육대회 [1] ㅇㅇ(175.123) 04.07 316 0
1942 일반 학교가기 싫다 [1] ㅇㅇ(39.124) 04.06 282 1
1936 일반 정인철 [3] ㅇㅇ(116.39) 03.26 669 0
1935 일반 솔직히 광성고 [4] ㅇㅇ(125.177) 03.26 805 11
1934 일반 학교쌤중에 [7] ㅇㅇ(125.177) 03.25 695 4
1932 일반 엘베타는 1학년 애미뒤진년들아 [9] ㅇㅇ(106.101) 03.20 942 39
1928 일반 교복.. [1] 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466 11
1927 일반 수업시간에 아이패드 못쓰지? [1] ㅇㅇ(211.234) 03.17 361 3
1926 일반 누가 더 유명함 저스틴 비버 네이마르 [1] 디바(59.28) 03.14 302 0
1925 정❗️ 2025년 2월에 졸업한 졸업생이다 그냥 고트들 대가리에 박아라 [3] ㅇㅇ(211.244) 03.13 933 15
1924 일반 예끼 이놈 [2] ㅇㅇ(58.29) 03.12 353 0
1923 정❗️ 졸업생이 각 과목 고트들 알려줄테니까 대가리에 박아라 [3] ㅇㅇ(212.102) 03.07 990 33
1922 일반 일본어쌤 [7] ㅇㅇ(14.39) 03.06 622 15
1921 일반 전체적으로 이번 2학년 쌤들 [3] ㅇㅇ(211.36) 03.06 695 13
1920 일반 체육 김ㅎㄱ [3] ㅇㅇ(175.123) 03.06 472 4
1919 일반 영어 구ㅎㅇ [4] ㅇㅇ(175.123) 03.06 630 3
1918 일반 광붕이들 잘봐라 저년은 뭘했다고 비추 100개 넘은거냐 [2] ㅇㅇ(106.101) 03.05 686 17
1917 일반 아직 안자는 광붕이면 개추 ㅇㅇ(58.29) 03.05 216 0
1916 일반 자자 실시간 본인이 랄부떨리는 광붕이면 개추 ㅋㅋ 덴지의체인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4 406 2
1915 일반 광성 고3 정시파이터 인식 어떰? [3] ㅇㅇ(211.234) 03.02 498 2
1912 일반 남녀공학 포기한고 광성고 갈까요? [2] 맥날사서와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1 472 0
1911 일반 내신에서 좋은 성적 얻기 어려움? [1] 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9 397 0
1908 일반 기숙사에 계신 분 계신가요 [6] ㅇㅇ(1.225) 02.16 490 1
1907 일반 광성고는 교복 단속 엄격함? [3] 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534 0
1906 일반 광성에서 저평가 심한 대통령 [6] 덴지의체인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826 19
1904 일반 광성 신입생들 꼭 봐라 [6] ㅇㅇ(58.29) 02.13 931 27
1902 일반 광성vs숭문 [3] ㅇㅇ(125.186) 02.10 600 6
1901 일반 이번에 광성고 가려는 학생인데 [1] ㅇㅇ(182.172) 02.08 450 0
1899 일반 게이들 반배정 ㅁㅌㅊ ㅇㅇ(118.221) 02.07 336 1
1898 일반 광붕이기들아 [5] ㅇㅇ(110.15) 02.05 436 0
1895 일반 ㅂㅇㅎ ㅅㅂ련 생기부 8글자 써줌 [3] ㅇㅇ(118.221) 02.04 942 38
1894 일반 광붕이 아다땟다 [9] ㅇㅇ(223.38) 02.03 791 6
1893 일반 집앞 경성고인데 광성고 됬어요 ㅠㅠ 광성고 좋나요? [8] ㅇㅇ(183.96) 02.01 589 0
1892 일반 광성고 축구 [2] ㅇㅇ(211.36) 02.01 473 0
1890 일반 반배정 [1] ㅇㅇ(175.123) 01.24 397 0
뉴스 ‘너의 연애’ 리원, 알고보니 레즈비언 아니다?…벗방 BJ 논란까지 디시트렌드 04.2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