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게이들아 일전에 SVM (Server Value Modifier) 관련 글 쓴 게이야.
앞서 글이 꽤 길거야. 최대한 뉴비들 폐사하지 말고, 맴 아프지 말라고 하나하나 찬찬히 설명하려고 해
처음 뭣도 모르고 머리 밖에 내밀었다가, 머리통 현무암되서 멘붕터지고, 여름철 거북알 마냥 피 줄줄새는데 출혈 못막아서 서거하고
이제 좀 알겠다 싶어서 밖으로 뛰쳐나갔다가 PMC가 존나 우렁차게 깐땈뜨!! 소리지르면서 또락스 벌집핏자 만들어서 멘붕 온 뉴비들 개많을거야.
그런 뉴비들을 위해 좀 더 덜 매운 맛으로 즐길 수 있었으면 해서 글을 써본당
근데 왜 다들 Server Value Modifer는 안 쓰는거야? - SPTarkov 미니 갤러리 (dcinside.com)
평소 싱글 타르코프를 즐겨서 하는데, 아직 json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건 많이 어려워 보이는 게이들이 많더라고,
그래서 그런 뉴비들을 위해 기본적인 설정등등 왠만한건 만질 수 있는 삶의 질 향상 모드툴인 SVM 툴 사용법을 소개해 볼까 해.
봇의 난이도 설정등이나 총기 반동제어 등등 그런 복잡한건 불가능하지만, 빤스크기 조정, 보관함 크기 조정 같은 기본적인 것 부터
왠만한 모든 값들을 손쉽게 만질 수 있는 툴이야.
우선 SVM이 먼지부터 알아야겠지?
KMC Server Value Modifier - AKI Mods Workshop (sp-tarkov.com)
요 사이트에 들어가면 모드를 다운 받을 수 있을거야.
모드 설치 경로는 SPT폴더 안에 있는 user/mods 에 넣어서 사용 하면 돼.
그럼 이제 기본적으로 내가 아는것만 한번 정보글로 남겨볼게 도움이 되면 좋겠다.

처음 다운받고 보다싶이 저 위치에 압축을 풀면 GFVE.exe 라는 파일이 있어.
이걸 실행하면 본격적으로 시작이야.

처음에 이런 화면이 반길텐데, 여기서 우리가 필요한건 세번째 부터인 Stash and Item 항목이야. 이 위에것들은 크게 쓸일이 없어.

처음 켜게되면 모든게 검정색일텐데, Enable 로 체크해주자.
각각 하나씩 뭐 하는건지 설명해줄게.
All items examined - 모든 아이템 확인 완료 된 상태. * 이걸 활성화 하면 옆에 키 도 포함시킬 건지 말지 할 수 있어. 키는 중복키가 많이 나오니까,
아예 확인이 안 된 상태로 두는게 중복키인지 아닌지 확인 하기에 좋은 기능이겠지?
Allow Armored Rigs with armors - 이건 방탄 기능이 있는 조끼류 있지?? 그거랑 일반 아머랑 동시에 착용이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이야.
듣기로는 타르코프 초창기에는 이게 가능해서 엄청나게 방탄효율이 좋았는데, 어느순간부터 안되게 패치가 되었다고 하더라고,
Remove Backpacks Restrictions - 이건 가방관련 옵션인데 한 레이드에서 왜 필그램 두개 시체가방에 넣으려고 하면, 레이드당 한개밖에 못가져가셈 ㅈㅅ 하고 안되는거 그걸 풀어버리는거야.
Remove secure container filters - 이건 우리 생명줄 빤스에 들어갈 수 없는 아이템을 해제해주는거야. 그래서 빤스에 총도 넣고다닐 수 있어.
Remove in raid restrictions - 이건 인레이드 관련 옵션이야. 원래 레이드 안에 못 들고 갈 수 있는것들이 있어. 뭐 무기상자나 기타 상자류들. 이걸 키면 그것도 다 들고댕길 수 있어.
No gear penalty - 타르코프에는 각 장구류 마다 이동속도 제한이 걸린다던지, 캐릭터 움직임이 굼떠진다던지 하는 패널티가 있는데, 그걸 없애버리는 모드야.
Remove Key usage limits - 이건 키가 1회용이 아니라 무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아예 키 횟수 제한을 삭제해 버리는 옵션이야.
Remove "can't be dropped in raid" - 이건 아이템 중에 레이드 도중 버릴 수 없습니다. 하는 아이템들을 버릴 수 있게 해 주는 옵션이야.
Allow pistols on primary slots - 이건 권총을 주무장 슬롯 1 2 번에 사용 가능하게 해 주는 옵션이고
Allow SMGs in holster slot - 이건 반대로 기관단총을 권총 슬롯에 장착 할 수 있게 해주는 옵션이야.
Turn off Weapon overheat - 이 옵션은 총기를 연발로 사용하면 총열이 붉어지면서 아이템 내구도에 영향을 끼치는데, 왜 빨간색 생기는거 있지? 그걸 없애주는거야. 내구도는 정상으로 소모되지만, 여러발 사용한다고 해서 아이템 전체 내구도가 100짜리면 100에서 더이상 줄지 않는다는소리야.
Currency Stack / Ammo Stacks 는 돈과 총알을 한번에 얼마까지 묶음으로 할 수 있는가를 정해주는 옵션이야. 예를들어서 Currency Stack 를 10만으로 하면 돈이 5만이 아니라 10만 단위까지 묶음으로 만들 수 있고, Ammo Stacks 도 수치를 조절하면 한번에 총알을 몇발까지 묶게 할 수 있는지 정할 수 있어. (예를들어 Shotgun rounds 를 100으로 해두면 샷건 총알이 100개 까지 묶임으로 있게 된다는 소리)
그리고 오른쪽으로 넘어가서 각 수치는 배수야. 1.0 은 기본값이고 여기서 더 높이거나 낮추는걸로 전체적인 값을 조정 할 수 있어.
이건 간단하게 설명할게
Global price of items - 아이템 가격
Items weight - 각 아이템 무게
EXP acquired for looting - 루팅으로 얻는 경험치량
EXP acquired for examining - 아이템 확인으로 얻는 경험치량 (모르는아이템 확인할때 주는거)
Weapon Malfunctioning chance - 총기 기능고장 확률
Weapon misfire chance - 총기 오발확률
Rounds Load/Unload time - 탄창에 삽탄하는 시간
Examining time - 아이템을 식별하는데 걸리는 시간.
각 값들은 모두 1.00인데 이게 100%랑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돼.
예를들어서 아이템 무게들을 반으로 줄이고 싶으면 Items weight 항목의 1.00을 0.5 로 바꾸면 모든 아이템들이 50% 무게를 가지게 되는거지.
당연히 0 으로 바꾸면 모든 아이템이 0킬로그램이 되는거야

그 다음은 Hideout 메뉴야
여기서는 Hideout 관련된 것들을 조절 할 수 있어.
주의 사항으로는, Hideout 에서 뭔가 제작 중일때는 이 옵션을 건들지 말라고 써있네,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하니, 무언가 제작중이라면 제작을 중지하던가,
전부 제작이 완료된 후에 건드리도록 하자.
Fuel Consumption rate - 연료 소모 속도야. 낮을 수록 시간당 연료를 적게 소모해.
Speed multiplier with no fuel - 연료가 없을때 작업 속도가 얼마나 느려질 건지를 세팅하는거야.
Air filter rate - 공기정화 필터가 소모되는 속도를 말하는거야.
GPU Boost Rate per unit - 비트코인 파밍할때 그래픽카드 갯수 당 효율이 얼마가 될지 설정하는거야. 높을수록 더 빨리 캐겠지?
Water filter spent per purified water - 수질정화기로 물을 정화할때 한번에 얼마만큼의 내구도가 까이는지 설정하는거야.
Time per filtered water in minutes - 하나의 정화된 물이 나올때 까지 걸리는 분 이야. 325니까 325분이 걸리는거겠지?
Maximum amount of stored bitcoins - 한번에 몇개까지의 비트코인을 저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상한치야. 기본은 3개까지 획득하면 더이상 채굴이 작동 안돼.
Time per bitcoin in minutes - 비트코인이 채굴하는데 걸리는 분 이야. 하나 채굴하는데 2416 분이 걸리니 줄이면 빨리 획득할 수 있겠지? 이건 아마 그래픽카드 갯수에 따라서 달라질거야. 그래픽카드 효율이 좋아지면 저 2416분에서 퍼센테이지로 까이는게 아닐까 싶어.
*비트코인 관련은 내가 건드려보질 않아서 잘 모르겠다 ㅎㅎ
그리고 하단으로 가서
Hideout production time - 하이드아웃에서 아이템을 제작하는 등의 행위를 할때 걸리는 시간을 배수로 조절 할 수 있는거야. 0.5로 바꾸면 평소보다 2배 빨라지는거지.
Hideout construction time - 이건 뭐 Hideout에 뭐 지을때 걸리는 시간이야. 이것도 위와 동일해.
Scav case time - 스케브캐이스가 돌아오는 시간에 관련된 옵션이야. 위와 동일
Scav case prices - 스케브 상자가 도착하는 시간이야. 줄일수록 빨리 오겠지?
그리고 Regeneration 항목은 하이드아웃이 개조됨에 따라 체력, 에너지, 수분량 등등이 로비에 있을때 점차 증가하는데, 이거에 대한 배수야.
기본은 1.0 (100%) 고 각각 옵션을 높이고 낮춤으로써 조절 할 수 있고, 아예 이런 자동 회복기능을 꺼버릴 수 있게 아래에 체크박스가 존재해.

다음은 상인 관련 옵션인 Traders 야
Repair price multiplier - 수리에 대한 가격 비율을 정할 수 있어. 낮을 수록 싸지겠지?
Fence's items on sale - 펜스가 아이템을 팔 확률이야. 안 건드려봐서 모르겠는데, 낮아지면 이미 판매되었거나 아이템이 없어지는 식으로 동작하는게 아닐까 해.
Fence's gun preset percentage - 펜스가 프리셋이 있는 총을 팔 확률인가봐. 뭐 예를들어서 MCX.300 중에 Neptune Star 붙은 그런 이미 따로 타르코프 내에서 프리
셋이 있는 무기들을 말하는건가봐.
Fence's preset price multiplier - 이건 그 프리셋이 있는 총을 팔때의 가격배수야. 낮을수록 싸지겠지?
* 근데 사실 이 프리셋 관련은 펜스를 총살때 잘 안써가지구... 잘 모르겠당....
Min.Durability for sale - 아이템 판매시에 최소 내구도를 의미해. 낮을수록 내구도 걸레짝인것도 사가준다ㅏㅏㅏ 이거지
Quest reedem times in hours - 이건 아마 일일퀘스트 관련인거 같은데, 새 퀘스트를 주는 시기가 아마 48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는걸 말하는건가봐. 시간을 조절하면 일일 퀘스트를 주는 시기가 더 늘어나고 줄어들겠지?
New stock time in minutes - 상인의 재입고 시간 주기야. 수치는 분당이니 60이면 1시간 마다 상인이 재입고를 한다는 거지.
"Found in Raid" tags from fleamarket and traders - 거래상이나 플리마켓에서 산 물건들에도 In Raid 태그가 적용되게 하는 옵션이야.
All Quests avaliable - 모든 퀘스트가 활성화 되어있게 해주는 옵션이야.
All clothes free - 모든 의상을 공짜로 만들어 주는 옵션이야.
All clothes of any side - USEC 이든 BEAR든 원하는 의상을 진영에 상관 없이 쓸 수 있게 해 주는 옵션이야.
All traders LV4 - 모든 상인을 LV4 등급으로 만들어줘
No "Found in Raid" restrictions in quest - 퀘스트에서 In Raid 태그가 달린 아이템을 요구하지 않게 돼.
Remove all trade limits - 이건 안 건드려봐서 모르겠는데, 아마 수량 제한이나, 그런걸 말하는게 아닐까 싶어. 그게 아니라면, 취급하지 않는 물건도 사간다던지..?
Trader Markup Percentage - 이건 상인이 매입하는 단가야. 원가 대비 얼마를 쳐줄건지 퍼센테이지로 정해주는거지. 즉 프라퍼는 원가의 반값, 테라피스트는 63% 비율로 받아준다는 뜻이네
Healing Markup Percentage - 이건 레이드 끝나고나서 체력 회복할때 드는 비용에 대한 비율이야.
Fence assort blacklist - 이건 펜스가 판매하지 않는 상품을 의미해. Item Finder (sp-tarkov.com) 여기에 아이템 이름이나 ID를 검색해서 특정 아이탬을 밴 하거나 밴되어있는 아이템을 없앨 수 있어.
현재 확인해보니 코드로 나와서 정확히는 알 수 없는데, 맨 아래거는 Grenadelauncher 로 나오는걸로 봐서 유탄발사기 관련인가바
이건 나도 잘 몰르겠당 미안 ㅎㅎ
Weapon/ Armor repair doesn't make permanent damage - 아이템 수리를 받을때, 최대 내구도가 깎여서 빨간색으로 변하는걸 없애줘.
즉 내구도가 100이면 돈만 내면 계속 새걸로 입을 수 있는거지.

다음은 아이템 파밍관련 항목인 Loot 항목이야.
여기서는 맵별로 아이템이 얼마나 등장할 건지 정해줄 수 있어.
전부 배수로 동작해 위에처럼 1.0 = 100% 기본값이야. 당연히 크면 많이나오고 적으면 더 안나오는 거야.
Dynamic Loot - 이건 땅바닥이나 책장같은데에 랜덤으로 떨어져 있는 아이템의 총량을 결정해.
Container Loot - 이건 서랍장 더플백 상자 등등 까봐야 아는것들의 양을 정해줘.
Airdrop - 이건 공중보급 관련 옵션이야.
%Chance for pl/ane to appear in location - 각 맵에 보급이 등장할 확률이야.
In Minutes - 등장 최소, 최대 분수 설정이야.
Min - Max Height - 이건 항공기의 높이야. 낮을 수록 빨리 아이템이 떨어지는거지.
Amount of item in airdrop crate - 이건 공중보급시 총 아이템의 갯수야. 최소 / 최대를 설정할 수 있어.

Players and Skills 창에서는 플레이어에 관한 걸 설정할 수 있어.
Disable fall damage - 낙하 피해를 없애줘
Unlimited stamina - 스테미나 무한을 설정할 수 있어.
Maximum stamina - 무한 설정과는 별개로 아예 맥스 값을 정할 수도 있어.
Skill Progress - 스킬 획득 관련 경험치량인거같아
Weapon skill - 총기 사용시 획득하는 경험치량이야. 왜 총기마다 마스터링 하는거 있잖아? 그거야
Hydration loss rate / Energy loss rate - 에너지/ 수분 소모량이야.
No stomach rate - 배때지 뚫렸을때 몇배로 달게 할 건지 정하는 수치야. 5 니까 5배인가봐.
Skills leveling effeciency 는 스킬 경험치 획득량을 조절하는 구간이야.
이건 잘 만져보질 않아서 정확히 뭐 하는건진 모르겠어
Min.Skill point multiplier - 최소 습득 경험치 배수야
Skill fatigue added per point - 스킬 피로가 누적되었을때 몇퍼센트의 경험치를 받을지야. 왜 힘작하는데 계ㅖㅖ속 하면 경험치량이 줄잖아? 그거야.
Progression while fresh multiplier - 새로운 스킬 경험치를 획득 할때 주는 배수야
Amount of fresh skill points / Skill points before fatigue starts - 이 두개는 뭔지 잘 모르겠어.
Skill fatigue reset time in seconds - 스킬 피로 누적이 얼마나 유지 되는지야. 짧을 수록 스킬 피로도가 빨리 사라지겠지?
Limb health after died in raid - 레이드에서 죽었을때 최소 보정해주는 수치야. 예를들어서 Death= 죽었을 시 최대 체력의 30%를 준다는거고, Blacked = 불구되었을때는 최대 체력의 10% 만 준다는 이야기야.
Save Health after raid - 죽은 뒤에 체력을 보존하는지 여부야. 끄게되면 항상 피 만땅인 채로 레이드 시작하기 전 상태로 레이드가 끝나게돼
Save effects after raid - 골절이나 출혈 등등의 상태를 보존하는지에 대한 여부야.
Enable Health Section - 각각 부위의 최대 체력을 조절 할 수 있어. 이 구간은 체력이 프로필에 저장이 되는거라서, 다시 되돌리려면 기본값을 다시 입력하고 저장하고 꺼야지만 원래대로 돌아온데, 해보니까 각 부위별로 최대 체력은 5천까지 줄 수 있어. 즉 최대 피통이 3만5천이 되는거지.
(이렇게 해봤는데 일부러 개쳐맞고 힐링할라니까 그리즐리 다처먹는데 한세월이더라 ㅋㅋㅋㅋ)

Raids Option 구간은 레이드 관련 세팅을 할 수 있어.
Enter Lab for free - 키카드가 없어도 연구실에 언제든 입장 할 수 있어. 블루키카드 레드키카드 이거 말고, 그냥 연구소 출입 흰색 카드 말하는거야.
Working insurance for Lab - 연구소에서도 보험이 동작 할 수 있게 하는 옵션이야.
Extended raids - 레이드 시간을 4시간 까지 늘려줘
Safe exit / Softcore / Midcore - 각각 설명을 하자면, Safe exit 은 게임에서 강제 접종을 하면 아이템은 고대로 남는데, 인레이드 태그가 다 지워진 상태로 보존이되고
Soft core은 죽었을때 아이템은 다 보존되지만, 인레이드 태그가 제거 된 상태가 된 상태로 보존이 되고, Mid core는 실험적 기능이라는데, 죽었을때 조끼랑 가방만 없
애버리고 나머지는 돌려주는거야.
No 'survived' run requirements - 이건 정확히 모르겠는데, 퀘스트 중에 살아서 나가기! 같은걸 죽어도 해결이 되게끔 해 주는 설정 같아.
Raid time acceleration - 레이드내에서 시간이 얼마나 빠르게 흐를지 조절하는 옵션이야. 느릴 수록 시간이 천천히 가. 1로 바꾸어도 완전 현실 시간처럼 초 분이 맞진 않고 약간 배수가 있긴 있는데, 레이드 한두시간동안 열라 뛰다가 밤되서 아무것도 안보여서 오늘내일 해지진 않을거야.
Extraction settings - 이 구간은 탈출구 관련 옵션이야.
All chance based extracts always avaliable - 확률로 열리는 탈출구들이 항상 열려있게 돼
Default extracts avaliable from anyside - 어디서 스폰했던지, 어떤 탈출구 들을 사용 할 수 있게 해줘
No climb gear required on climbing extracts - 리저브 같은데에 보면 파라코드/ RR 이라는 무기가 있어야 탈출되는거, 이런걸 없애줘.
Allow armor on climbing extracts - 아머 벗어야 탈출 할 수 있는 구간을 그냥 탈출 할 수 있게 해줘
No backpack related extracts restrictions - 하수구 들어갈때 가방 버려야하는데, 그 제한을 없애줘
No Coop extits restrictions - 협동으로 탈출해야하는 제한을 없애줘. 혼자서도 탈출 할 수 있어.
Make Coop extracts - paid extracts - 협동탈출을 할때 대신 비용지불을 하게 바꾸어줘.
Car extraction time in seconds - 차량 탈출시 탈출에 걸리는 시간을 정해줘.
Coop exit / car exit prices - 각각 탈출할때 소비하는데 사용되는 비용이야.
Chages all SCAV to Raiders - 모든 스캐브를 레이더로 바꿔줘. 이 옵션은 보스까지도 레이더로 바꾸는 옵션이야.
Cultists everywhere - 보스포함 모든 적을 컬티스트로 바꿔줘. 이 옵션을 활성화 하려면 Tagged and cursed 옵션을 꼭 켜놔야 작동해.
Killa in Factory / All boses in Reserve / Glukhar in Laboratory - 각각 킬라가 공장에 등장하게 만들고, 모든 보스가 리저브에 등장하게 만들고(지랴키,군 제외) 글루하가 실험실에 등장하게 해 주는 옵션이야.
Halloween - 할로윈 기간 옵션이야
Christmas - 크리스마스 옵션이야
End of raid multipliers - 레이드가 끝났을때 각각 주는 경험치 배수야. MIA- 레이드 시간 초과됐을때 경험치량, Killed- 사망했을때 경험치량, Survived- 살아남았을때 경험치량, Run Through- 너무 빨리 탈출했을때 주는 경험치량 배수야.
Raid startup settings - 이건 처음 레이드 시작할떄 그 옵션 설정하는걸 자동으로 맞춰주는거야. 크게 건들 필요 없는거같아.

플리마켓 관련 옵션이야.
Lvl to access Fleamarket - 몇 레벨부터 플리마켓이 뚫릴지 설정하는거야.
Player sell offers - 플레이어가 판매할때 관련한 옵션이야.
Enable fees - 수수료 낼지 여부를 결정하는거야.
Reputation Gain/Loss - 명성 얻는거야. 팔때 싸게팔면 얻고, 비싸게 팔면 잃는거.
Sell Chance / Overpriced / Underpriced - 각각 아이템이 팔릴 확률이야. 50%의 확률로 팔리고, 비쌀때는 x0.5 / 쌀때는 2배 확률로 팔리게 되는거지.
Average time to sell in minutes - 몇분안에 아이템이 팔릴지 최소, 최대 분수를 정하는거야. 평균적으론 15분에 팔리고, 최소 5분/ 최대 15분 사이에 아이템이 팔리게 돼.
AI Generated Offers - AI가 만든 플리 품목들이야.
Offers Ratio beetween currencies - 각각 목록들이 유로/루블/달러 로 치환될 확률이야. 루블이 78%니 대부분 루블로 팔고 14%확률로 달러, 8%확률로 유로로 아이템을 파는거지.
Non- Stackable item offer amount - 총알같이 겹처지지 않는 물건을 팔 때 최소/ 최대 수량을 정해주는거야.
Stackable items offer amount - 겹쳐지는 아이템의 최소/최대 판매 수량이야
Offers per item - 아이템을 검색했을때 최소/ 최대 판매자 수야
Price range - 아이템의 가격의 범위야. 최소 80%부터 120%까지야
Offer lifespan in minutes - 목록이 갱신되는 최소 / 최대 분 수야
Disable BSG Fleamarket blacklist - 플리마켓에서 왜 안 구해지는 템들 있지? 그걸 다 없애버리는거야. 고급탄이고 고급총이고 그런것들 전부 다 없애줘. 그래서 모든걸 다 살 수 있어. 대신 파는건 안돼. 그리고 옆에서 수동으로 저 블랙리스트 아이템을 아이템 코드로 찾아서 제한 해 줄 수 있어.
Trader static offers - 이건 내가 안 찍었는데, 플리마켓에 상인이 파는 품목도 같이 올라오게 해 주는 옵션이야. 각각 상인마다 체크박스가 있어서 빼버리면 해당 상인은 플리마켓 검색시에 등장하지 않아.

Insurance 는 보험 관련을 설정 할 수 있는 창이야.
Starage time in hours - 보험이 돌아왔을때 최대 보관 해 주는 시간이야.
Price Multipliers Return chance - 아이템 가격에 배수 및, 돌아올 확률이야.
Insurance Retuin Time - 아이템이 보험에서 다시 돌아올 때 걸리는 시간이야.

일일 / 주간 퀘스트 관련 옵션이야.
너무 쓰기 귀찮아서 그냥 영어 안쓰고 각각 설명할께
일간 / 주간 퀘스트로 나뉘고
각각 기간은 얼마나 줄 건지, 몇개 씩 받을 수 있는지 몇 레벨 부터 접근이 가능한지, 킬수는 최대 몇이고, 아이템을 내야하는 퀘스트면 최대 몇 까지 필요한지
출구는 최대 몇개 까지 지정해줄건지, Reward Spread 는 잘 모르겠다.
그리고 그 하단에 Reward scaling by level 은 레벨 당 획득량 조절이야. 각각 1 20 45 100 당 달라지고
경험치 루블 아이템 명성 획득치도 바꿀 수 있어.

Case Space Manager 는 각각 보관함들의 크기나 설정을 바꿀 수 있어. 심지어 너의 주머니와 빤스 크기까지 정할 수 있어.
각각 행, 열 을 뜻하고, 해보니까 행이나 열이 너무 길면 사용을 할 수가 없어. 최대로 해보니까 20/16 까지는 쓸만 했어. 이게 너무 길면 왜 안되냐면 원래 애초에 상자 내부가 그렇게 클걸 예상을 안 해서, 상자가 아무리 공간이 많아져도 일반 스태쉬 처럼 스크롤이 안 생겨서 위에 있는 아이템을 손을 댈 수가 없게 되버려.
그리고 열도 너무 많으면 창을 벗어나 버리는데 이걸 옮길 수가 없어. 그러니 적당히, 필요한 만큼만 하자.
Remove Filters - 각각 상자가 가지고 있는 담을 수 있는 아이템 종류의 제한을 없애버려. 즉 지갑에 저걸 클릭해놓으면 지갑에 총도 막 넣을 수 있고 그런거지.
Custom Pockets - 너의 주머니를 건드리는 옵션이야.
Amount of spec slot - 스페셜 슬롯의 갯수를 바꾸어 주는 옵션이야. 너무 많아도 어차피 인벤토리에서 건들 수가 없으니, 4개까지 정도는 괜찮아.
주머니는 각각 4칸의 할당을 바꿀 수 있어. 해 보니까, 행을 추가하는건 괜찮은데, 열을 추가하면 스페셜 슬롯으로 커서를 옮길 수 없어서, 사용을 할 수가 없으니,
필요하다면 행만 늘리자.

SCAV 옵션창은 PMC로 플레이 할 때 말고, 거지가되서 스캐브로 플레이 할때 너의 상태를 결정하는거야.
Enable access to laboratory - 스캐브로 연구소에 진입 할 수 있게 해줘. 근데 현재에는 연구소에 스캐브가 사용 할 수 있는 탈출구가 존재하지 않아서 의미가 없어.
그리고 각각, 모든 스캐브가 언제나 적대적 또는 아군 으로 설정 할 수 있고,
스캐브 보스가 언제나 적대할건지, 언제나 아군일지, 설정 할 수 있어.
Scav respawn timer - 스캐브로 플레이시 대기 시간을 정해주는 옵션이야.
Standing for Car/coop exfill/ Standing for friendly kill/ Standing for PMC Kill - 각각 차량이나 스캐브 사살/ PMC 사살등을 했을 때 얻거나 잃는 펜스의 명성치 양이야.
Enable Scav Health section/ Custom pocket - 위에서 PMC 한테 설정 했던것과 같은 옵션이야. 주의해야할 건, 현재 스캐브 말고, 다음 스캐브 레이드 시 부터 적용이 된대.

Bots - 봇 소환 관련 옵션이야.
USEC/BEAR Ratio - 각각 봇이 PMC 일 경우 USEC 으로 나올지/ BEAR 로 나올지에 대한 비율이야.
PMC of a same faction hostility chance - 이건 각 봇들이 스폰했을때, 서로 같은 소속일 경우 팀으로 있을건지 죽일건지에 대한 확률 같아. 나랑은 관계 없어보이는게 이걸 100으로 해도 또락스 맞고 무조건 사출됐거든...
Bot Spawns - 옵션은 각각 맵에서 봇들이 얼마나 나올지야. Spawns per zone 은 구역당 최대 생성수, Limits per zone 은 맵 자체의 최대 생성 제한량 이야.
Bosses raiders and cultist spawn chances - 각 보스들이 레이드에 등장 할 확률이야. 가끔 뉴비들보면 보스를 못봤다고 하는데, 사실은 보스도 이렇게 확률적으로 등장하고 말고가 정해져 있어. 전부 100%로 두면 무조건 나와. 컬티스트는 대부분 밤에만 나오기 때문에, 100 으로 둬도 오전이나 해 뜰때는 매번 나오지는 않았어.
Bots to PMC Bots converter in % - 이 옵션은 봇이 등장할때, 스캐브로 등장할지 PMC로 등장할지 에 대한 확률을 정해주는 옵션이야. 스캐브는 25% 확률로 PMC로 변한다는 뜻인거지. 각각 퍼센테이지가 있으니, 이건 원하는대로 조정하면 돼. Scav Sniper 쪽은 안 건드는게 좋은게, 보통 닿을 수 없는 위치에 있으니까 PMC로 바뀌어도... 쓸데가 없겠지? ㅎㅎ
AI Gear durablity - 이 옵션은 말 그대로 봇 들이 가지고 올 무장의 "최대" 내구도를 정해줘. Min은 최소 ,Max는 최대인데, 이걸 전부 백으로 해 놓으면 언제나 파손되지 않은 무기를 들고 나오는거야. 예를들어서 스캐브로 치면, 무기 자체는 닳아있는데, 영구적으로 손상되지 않아서, 수리하면 깨끗하게 쓸 수 있다는거지.

Bots Loadouts - 봇이 생성 될 때 각각 아이템을 들고있을 확률이야. 기본적으로는 SPTarkov 에 있는 봇 컨픽 파일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아이템 종류가 정해지는거 같아.
즉, 어떤 특정한 아이템을 소환시키는게 아니라, bot config 파일에 있는 목록아이템들 중에서, 각각 카테고리별로 확률을 정해주는 옵션인거지.
Adds all containers - 이 옵션은 봇들이 보관함도 들고 나올 수 있게 해줘. 대신 몇몇 보관함은 가방으로 옮길수 없으니까 이걸 사용하고 싶으면 아까 위쪽 Stash and Item 란에서 Remove Backpacks restrictions 옵션을 꼭 켜주자.
Lootable melee - 근접무기도 뺏을 수 있게 해줘.
Override low lvl pmc - 이 옵션은 뭔지 잘 모르겠어.
Switch configs - 각 진형별로 설정 할 수 있는 창이야.
각각 Equipment chances / Attachments chances 가 있는데, 각각 아이템 별로 가지고 나올 확률이야. 이건 잘 모르면 안 건드리는게 좋겠지?
그리고 옆 칸에 Healing / Loose loot / Mag ... 등등은 각각 힐링템/ 잡템/ 탄창/ 수류탄/ 약품/ 주사기 갯수를 정해줄 수 있는거야.
이제 드디어 마지막에 왔어. 이걸 매번 킬때마다 다 다시 입력해 줄 순 없잖아? 그러면 아래에 Save preset 옵션을 사용하면 돼.
빈칸에 쓰고싶은거 암거나 적고 Save Preset 하면 언제든 그 프리셋을 불러 올 수 있어. 그리고, Apply를 하면 이제 적용이 되는거야.
아 참 적용 됐는지 안 됐는지 궁금하면, 처음 서버 켤때 콘솔창을 보면 돼


프리셋은 이렇게 폴더 안에 저장돼

요 파란 글씨로 SVM 어쩌구가 뜨면 동작 하고 있는거야.
그래서 에딧한 캐릭터 예시를 들어보려고 하나 맹가봤어 일전에 심심해서 이거저거 테스트 해 본다고 만들었던 계정이야
타르코프에 있는 모든걸 다 주워처먹어보겠답시고 만든 캐릭터 ㅋㅋㅋㅋㅋ

이건 체력창

이건 총알 스택 바꾼거 창

이건 주머니 바꿔서 해놨던 창 보다싶이 무게도 0 이야!

그리고 탄창 상자에 꾸역꾸역 집어넣은 내 무기 컬렉션...

그리고 최종적으로 수리 할 때 내구도 까이는거 없는것 까지야
지금 세이브파일에 사용했던 프리셋은 그대로 가지고 있어. 여기 올려둘게 필요하면 위에 설명한대로, Presets 폴더에 넣어서 사용해봐
https://drive.google.com/file/d/1Q7EfxEUF-PTvRRwTNA_iEDeFhuCjfCO-/view?usp=share_link
아는건 이정도면 다 설명한거 같다. 이정도면... 그래도 쓸만 하겠지? 가끔 모드 중에, 무게 제한 줄이기, 뭐 그런 간단한건 이 프로그램 하나로 전부 해결되니까
모드 부담도 줄일 수 있고, 나름 직관적이라서 방어구관련 디버프, 무게, 빤스크기, 이런것 등등은 저거 하나로 해결 되니, 처음 입문하는 뉴비들도 이 글을 따라하면 금방 할 수 있을거야. 거기다가 모드 갯수도 좀 줄일 수 있을거고, 처음부터 json 파일 건드리는건 많이 어려우니까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해.
나 처럼 이거저거 다 주워처먹겠다고 저렇게 개쩌는 욕심쟁이 캐릭 만드는것도 나름 재밌어 ㅋㅋㅋㅋ 콜렉션 만드는거 개꿀잼임진짜 ㅋㅋㅋㅋ
가끔 싱글타르코프가 처음이라 너무 팍팍하고 좀 더 학살하는 맛을 즐기고 싶다면 이 글에서 알려준데로 입맛에 맞게 바꿔가면서 하면
너도 PMC가 아니라 둠 슬레이어가 될 수 있어!
처음 입문하는 뉴비들을 위해 쓴 설명이라, 고수들은 이 글이 필요 없을진 모르겠지만, 그래도 열심히 썼으니까 잘 봐줬으면 좋겠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