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STX 소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STX 소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후배 연습생들에게 일본어를 가르쳐주는 아이돌 ㅇㅇ
- 오싹오싹 폐장된 놀이동산.jpg 아르님졸라
- 오늘자 카리나 워터밤 dd
- 2016년 세상을 떠난 유명인사들 ㅇㅇ
- 나혼산 이장우 근황....jpg ㅇㅇ
- 세계대전의 숨겨진 배경.jpg 네거티장애
- 전세계에서 수배 걸린 북한 해커 ㅇㅇ
- 싱글벙글 역대급 금수저 파이터라는 UFC 파이터 ㅇㅇ
- 싱글벙글 포켓몬 지우의 성이 '한'인 이유.jpg Chart_Manager
- [뉴스] 민자구간 공사비 급증… 인천 GTX-B 사업중단 ‘위기’ 묘냥이
- 와들와들 오늘자 창원 미용실에서 아들이 어머니 살해시도 ㅇㅇ
- 자연분만 무서워 편하게 낳을래 제왕절개 '이 병' 걸릴 가능성 뉴스봇
- 95년생 추억의 학창시절 게임들 knb143
- 피 흘리며 쓰러진 아내 두고 테니스 치러 간 남편 ㅇㅇ
- 김구라 과거 신지 사건 ㅇㅇ
복싱이 mma보다 위험한 이유
인류의 주먹과 역사를 같이한 스포츠 복싱 정통성도 나름 인정되고 투기라는 종목이면 복싱이 먼저 떠오를 만큼 정통성 있는 종목이다 하지만 복싱은 2200명중 1명이 사망하는 종목이고 모든 통합 스포츠중 사망률 5위를 기록하는 종목이다 mma와 복싱의 글러브 격투기를 잘 안보는 사람들은 이렇개 말할꺼다 "당연히 맨주먹에 가깝고 위력이 쌔고 다채로운 공격이 있는 mma가 더 위험한거 아니냐?" 할수있다 하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둘의 차이는 바로 룰에 있다 당연히 얇고 단단한 mma글러브는 골절, 컷팅 출혈, 찢김등 부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하지만 mma룰은 과도한 부상을 입으면 중간에 심판이 중단한다 위 정찬성vs볼카노프스키 타이틀전이였는데 당시 정찬성은 전방위 적으로 안면에 타격을 허용했고 끝내 ko되지 않았지만 심판의 판단하에 뇌진탕등 위험으로 인해 경기를 중단한것이다 위 입이 찢긴 오브레임도 입으로 인해 경기를 중단한것 ufc도 당연히 ko도 잘 나온다 펀치로 인한 ko는 주로 턱을 맞고 뇌의 흔들림과 충격이 더해져 ko가 나오는데 이로인한 다운이 일어나고 경기를 진행시킬수 없다 판단하면 경기를 중단시키고 승패가 난다 하지만 복싱은? 두꺼운 글러브로 인해 충격이 고스란히 뇌를 흔들며 전달이 되고 ko는 안당해도 충격이 뇌에 여러번 누적이 된다 심지어 펀치로 인한 다운이 발생해도 "10초안에 회복하여 일어나면 경기를 재개한다" 는 룰때문에 계속해서 뇌에 충격이 누적되는것 이 경기는 앤서니 조슈아vs다니엘 뒤부아 경기 지속적으로 다운후 일어나도 머리에 충격을 먹는 조슈아 계속 해서 다운을 당해도 경기를 재개하지만 결국 수도없이 안면에 타격을 당한다 뇌에 충격을 먹고 일어나려는 모습은 기괴함 그자체..... 그리고 과거 한국인 복서 김득구는 wba 타이틀전중 감량고+지속적인 뇌의 충격으로 ko패배를 당하고 일어서지만 결국 뇌진탕으로 뇌사상태에 빠지며 5일후 부모님의 동의를 받아 장기기증후 호흡기를 떼 사망한다 김득구의 사망이후 닥터스톱 및 라운드 단축, 휴식시간 증가 등 룰이 변경 되었지믄 아직까지도 익스트림 스포츠를 제외하고 올림픽에 등재된 종목중 가장 많은 사망률을 기록하는 종목중 하나이다 게다가 살아남아도 뇌진탕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무하마드 알리또한 뇌손상으로 추정되는 파킨슨병을 앓다가 사망하였다 한국에서도 23의 프로복서 배기석이 사망하는 사례도 있고 아직까지도 매년 13명의 복서들이 사망하기도 한다..... ufc 두체급 챔프 다니넬 코미어 조차 "복서들은 mma선수와 비교하지 못할만큼 뇌손상을 입는다" 라고 말하기도 하였음 결론:혹시나 복싱에서 스파링은 살살하자 뇌손상 직빵이다
작성자 : 알버트웨스커고정닉
애니메이션 속 다양한 전투장비들..gif
입체기동장치 (진격의 거인) 방벽 안의 인류가 강대한 적인 거인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거인전 무기. 병단의 표준 장비로, 훈련병단에 입단한 병사가 입체기동 훈련을 마치게 되면 입체기동장치를 보급받는다. 입체기동장치를 통해 가능한 기본적인 이동은 물체를 향해 앵커를 조준하여 사출한 다음, 입체기동장치에 탑재된 가스 봄베와 와이어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여 해당 물체를 향해 꽂힌 와이어를 감아서 착용자를 빠르게 이동시키는 것이다. 모빌슈트 (건담) 거대한 인간형의 기동병기이며, 대개 한 명의 파일럿이 복부나 흉부에 위치한 조종석에 탑승해 조종하며, 총포나 도검 형태를 한 무기를 손에 들고 싸운다. 물론 이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그 외에도 각양각색의 모빌슈트가 있다. 수많은 SF에 로봇형 병기가 등장하지만 모빌슈트라는 표현은 오직 건담 시리즈에서만 쓰이는 고유명사다. 스카우터 (드래곤볼) 상대의 전투력을 측정하거나 통신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외부 설정상의 수치가 아니라 기(氣) 자체를 에너지로 보고 "기계" 를 써서 정확하게 측정한다는 아이디어는 상당히 독창적이다. 무협의 세계와 SF의 세계를 결합한 신선한 아이디어였다. 쿠나이 (나루토) 닌자들이 사용했다고 알려진 무기. 성인 남성 손바닥만한 길이의 단검 손잡이 끝에 고리가 달린 형태를 하고 있다. 폭발물이나 차크라를 부여하는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일륜도 (귀멸의 칼날) 귀살대가 도깨비 사냥 시에 사용하는 주요 무기이며, 작품 제목인 귀멸의 칼날(鬼滅の刃) 그 자체이기도 하다. 데스노트 (데스노트) 사람의 이름을 적으면 이름이 적힌 사람이 죽는 노트다. 인간사에 별 관심 없이 지극히 스스로의 수명 연장을 위해 무작위로 대충 사용할 뿐인 사신의 손에 있을 때 이 노트는 그저 사신의 수명 연장 도구일 뿐이다. 허나 그것이 인간계로 떨어져 본인의 수명과 전혀 상관없는 개인적인 잣대로만 사용하게 될 인간의 손에 들어가는 순간, 이 노트는 "사상 최악의 살인 병기"로 변모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듀얼 디스크 (유희왕) 카드를 놓고 듀얼을 하면 솔리드 비전으로 만들어진 입체영상이 나와서 진짜로 몬스터들이 싸우는 것 같이 보여주는 증강현실 장치. 처음 등장한 이후로 유희왕을 상징하는 물건이 되었다. 프로텍트 기어 (인랑) 케르베로스 사가에 등장하는 강화복이자 갑옷. 방탄 기능 및 방검 기능과 화생방 방호 기능이 갖추어져 있다. 플러그 슈트 (신세기 에반게리온) 에반게리온에 탑승할 때 착용하는 일종의 전투복이다. 에반게리온의 등장인물을 떠올리면 바로 연상되는 상징적인 복장이다. 특히 등장인물인 레이는 하얀색 플러그 슈츠로, 아스카는 빨간 플러그 슈츠로 매우 유명하다. 세일러 전사 복장 (세일러 문) 세일러복이지만 현실의 세일러복과는 상당히 다르다. 세일러 문을 비롯한 태양계 내 전사들은 하얀색 레오타드에 세일러 옷깃, 짧은 치마와 긴 장갑, 그리고 리본 장식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전사복의 색이 다른 이유는 수호성으로부터 영향을 받기 때문이며, 내열 및 충격 흡수 기능이 있어 총알에 맞아도 끄떡 없을 만큼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날카로운 공격에는 약하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leeloo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