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번 창비 신인상 시가 왜 구리냐고?

ㅁㄴㅇㄹ(112.154) 2022.08.28 23:16:44
조회 1923 추천 30 댓글 20

시 전문은 여기서 확인 ㄱㄱ 말하는 희망 외 | 계간 창작과비평 (changbi.com)

저는 표제작 「말하는 희망」만 놓고 대체 이번 시들이 뭐가 구린지 찌끄려 보려 합니다.



1연의 "빵을 구웠다"와 그 뒤 문장 "오븐에서 부푼 빵을 꺼내면"이 동어반복입니다. 시의 시작으로는 치명적으로 루즈해질 위험이 있지요. 특히 생판 남한테 시로 평가받는 신인상에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차라리 2,3,4행만 보여주는 것이 좋았을 듯하네요.


2연에서 "붙잡고 소리 지르고 싶어도/입을 다물게 되는 사람들의 표정". 무슨 말인지는 알겠는데 문장이 복잡합니다. "붙잡아도 표정을 보면/목소리가 안 나오겠지" 이 정도만으로도 깔끔하게 정리가 되지 않을까요.


3연은 1연의 연장이네요. '네'가 왜 감격스러운지는 5연에 나오지만, 이걸 굳이 3연에서 등장시켜야 했나 하는 의문이 듭니다. 쓸데없는 복선같이 느껴져요. 그냥 빵 이야기 정도만 넣어도 됐을 것 같습니다.


4연은 진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 미래를 생각할 수 없었다"는 너무 뻔한 진술이네요. 그 다음 문장도 개인적으로는 별로입니다. 앞의 두 문장들이 "트랙의 저 멀리에도/밟혀 죽을 것 같은 작은 것들은 너무 많았다"의 동어반복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네요.


5연의 진술도 많이 뻔합니다. "사랑하는 것들 나열하기/마지막엔 꼭 죽음이 붙었지만" 그 이후에 나오는 진술들은 앞에서 나온 떡밥들을 갈무리하는 것에 지나지 않네요. 1연에서 5연까지 올 동안 시가 전혀 전개되지 않는다는 것은 문제가 큰 것 같습니다. 3연에서 '감격'이라는 것이 5연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등장합니다만, 독자의 입장에서는 화자(들)과 함께 감격해주고 싶지는 않네요.


차라리 6연이 시의 시작이어야 했습니다. "빵을 접시에 담는다/할머니가 침대에 쪼그려 누워 있는 모습이다". 시에서 그나마 상상력이 보이지 않습니까...


문제는 다시 7연에서 상상력이 사라집니다. "자정이 되자 공원의 모든 불이 꺼진다"와 "저 불은 다시 켜질 것이다". 인간과 다른 생활 주기를 가지는 가로등의 이미지가 이 두 문장으로 끝난다는 건 화자의 역량이 많이 딸린다고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8연에서는 1연의 '희망'을 수미상관적으로 가져 옵니다. 근데 시는 끝났는데, 뭐가 희망인지 모르겠어요. 그냥 '깨끗하게 닦인' 접시의 이미지에 의지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화자가 너무 무기력해 보여요. 맨날 공원 걷는다고 절대 부지런한 게 아니라는 걸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요약하자면 시의 군더더기가 너무 많고, 그것들을 모두 덜어내고 나면 그저 산책하고 있는 소시민 1의 상념밖에 남지 않습니다. 뭐 충분히 그런 시들도 많고, 꽤 시적으로 있어 보이게 썼다는 것도 인정합니다. 하지만 이게 더 치열하게 쓰는 화자 내지 시인들을 제치고 신인상을 타서 300만원을 꿀꺽할 만큼의 가치가 있는 시인가? 하고 묻는다면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이 결론입니다.



귀찮아서 표제작만 리뷰합니다. 어차피 다른 시들도 이거랑 비슷한 결이라서 딱히 더 지면을 낭비할 가치가 없을 것 같네요.

일부 글에 문갤러들이 심술이 나서 그냥 까고 본다고 하는 말이 있던데,

대충 리뷰 쓰긴 했지만 하나하나 뜯어보고 나니 차라리 저도 그냥 덮어놓고 까는 쪽이었으면 좋겠네요.

추천 비추천

30

고정닉 0

1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36615 나는 올해 문예지 시 다 좋았음 [3] ㅇㅇ(117.111) 22.08.30 799 10
236610 나도 올해 문예지 소설 다 좋았음 [3] ㅇㅇ(112.154) 22.08.29 756 8
236598 아래 글 같이 제목 한줄로 지 수준 드러내는데 [3] ㅇㅇ(117.111) 22.08.29 370 5
236560 전어 먹고싶은 사람 추천 안땡기면 비추천 [4] ㅇㅇ(59.10) 22.08.29 194 10
236541 창비 왜 까냐? [31] ㅂㅂㅂㅂ(210.115) 22.08.29 721 7
이번 창비 신인상 시가 왜 구리냐고? [20] ㅁㄴㅇㄹ(112.154) 22.08.28 1923 30
236463 솔직히 상식적인 사고가 가능하면 고민해볼듯. [18] ㅇㅇ(117.111) 22.08.28 598 10
236455 창비 신인 시 등단작들 좋은데? [7] ㅇㅇ(118.235) 22.08.28 706 12
236432 창비 당선작 중에서 [18] ㅇㅇ(117.111) 22.08.28 1088 19
236414 문갤에 병싱들만 모여서 등단작 까는 거 존나 웃김 [9] ㅇㅇ(117.111) 22.08.28 478 12
236406 중앙대 문창과 누가 시 가르치냐 [2] ㅇㅇ(106.101) 22.08.28 969 16
236389 창비 시 왜 뽑혔는지 이해 되는사람? [2] 문학의고수(59.17) 22.08.27 726 18
236382 윤치규 정말 나쁜 사람임. [3] ㅇㅇ(39.7) 22.08.27 891 41
236277 문학계는 끝났다 [2] ㅇㅇ(115.31) 22.08.25 745 12
236227 올해 문예지 당선자들 어리네 [7] ㅇㅇ(110.14) 22.08.24 1268 5
236203 어제 쓴 시 [4] (223.38) 22.08.24 468 14
236185 경향신문 당선작 ㅈ같네에 대해서 [15] ㅇㅇ(118.235) 22.08.24 1074 64
236125 논란 없는 한국 문학 5대 시인 [17] ㅇㅇ(210.115) 22.08.23 844 9
236106 시인 전여친 썰 [7] ㅇㅇ(211.252) 22.08.23 997 11
236102 이 ㅅㄲ는 도대체 뭐가 문젤까? [15] ㅇㅇ(117.111) 22.08.23 534 5
236096 여기서 시 쓴다고 하는 놈은 일단 걸러라 [10] ㅇㅇ(210.123) 22.08.23 512 11
236071 오늘 쓴 시 [11] 아야(223.38) 22.08.23 443 8
236048 황병승이 써달라고 한 <깝ㄴ> [21] ㅇㅇ(106.101) 22.08.22 415 5
236022 한강 산책갔다가 뽕두봤다 [3] ㅇㅇ(125.187) 22.08.22 298 3
236007 심심한데 질문 받는다 [51] 뫼르달(223.33) 22.08.22 695 11
236006 국문학 시인 다섯만 꼽아줘 [8] ㅇㅇ(223.39) 22.08.22 583 3
235966 시도 못 쓰는 시인들이 좆목질로만 영향력 키우는 세상 [20] ㅇㅇ(106.101) 22.08.21 960 27
235965 응모작 유출되는문제.....관리 잘하나? [8] ㅇㅇ(211.193) 22.08.21 367 5
235874 역겨운 시인 하나 안다 [13] ㅇㅇ(122.42) 22.08.18 1660 60
235800 요즘 한국소설에 대한 단상 [19] ㅇㅇ(1.225) 22.08.18 2220 27
235498 미래파에 대해서 [36] 뫼르달(61.98) 22.08.16 887 12
235464 광복절기념특집) 교과서에서 가르치지않는 임진왜란의 진실 [8] ㅇㅇ(222.103) 22.08.15 277 7
235387 문붕이들아 내가 예전부터 생각했던건데 [11] ㅇㅇ(112.160) 22.08.15 551 3
235363 문예란 너무 뜬구름같아서 [15] ㅇㅇ(106.102) 22.08.14 402 11
235085 윤치규 신춘문예 당선되자마자 '한남' 타령했네 [8] ㅇㅇ(221.148) 22.08.11 1284 34
235042 22년 신춘문예 당선작 중 최고는. [3] ㅇㅇ(175.203) 22.08.11 716 4
234987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작 좆같네. [23] ㅇㅇ(175.203) 22.08.10 2444 94
234876 미안한데 질문 하나만 더 하자 아직 소설 초짜 새@기라 [30] ㅇㅇ(115.95) 22.08.10 468 6
234867 오늘의 역사 txt [1] ㅇㅇ(223.38) 22.08.09 324 5
234607 시 써봤다 쉐끼루들아 [11] ㅇㅇ(106.101) 22.08.06 533 9
234456 최근에 읽은 시집들에 대한 생각 [11] ㅇㅇ(117.111) 22.08.03 1531 23
234453 젊은 시인들 대부분 마인드는 [13] ㅇㅇ(119.196) 22.08.03 1325 28
234425 신철규 조선일보 당선작 유빙 느낌 좋지 않냐 [14] ㅇㅇ(223.62) 22.08.03 610 10
234373 계약에 묶인 천재작가 [5] ㅇㅇ(110.8) 22.08.02 820 11
234371 세계문학을 읽는 내가 아직 등단을 하지못하는 이유는 [5] ㅇㅇ(211.246) 22.08.02 759 11
234367 김연수 한물 간 건 맞지 [4] ㅇㅇ(117.111) 22.08.02 500 5
234364 3년의 습작기중 등단작 읽은 적 한번도 없음 [17] ㅇㅇ(211.246) 22.08.02 846 7
234271 '자살하면 그만이야'는 최고의 문학작품이다.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1 852 15
234173 일의 기쁨과 슬픔, 일인칭 컷 이런 작품들 난 별로였음.. [5] ㅇㅇ(223.62) 22.07.30 717 14
234113 김연덕인가 하는 시인 책 선물 받아서 [7] 1111(61.102) 22.07.29 548 1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