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진위여부가 매우 궁금해지는 등갑군에 관한 실험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9.06 18:29:56
조회 149 추천 0 댓글 0

https://www.jjang0u.com/board/view/fun/14393802

 

삼국지 등갑병 사실로 밝혀져

《삼국연의》중에 한가지 값옷과 관련된 전쟁이 있다. 그것은 소설 속에 90회에 제갈량이 파촉지방의 남만 맥획 맹획 부족의 등갑을 태워 칠종맹획하여 후방 걱정을 제거한 후 북벌을 성취하는 것이다. 다만 오과국을 만나 칼과 창이 등갑 대군을 뚫지 못했다는 것이다. 몸에 딱딱한 껍데기가 있어 창과 화살이 뚫지 못했다. 한때 촉한 군대가 속수무책이었다. 남만 부족은 정말 창과 칼이 뚫지 못하는 값옷이 있을까? 남만 귀주의 등갑군 후대의 부족에는 정말 여러번 쪼개도 꼬재지지 않는 등값에 대한 이야기는 문장 기록에는 없고 구전을 통해서 대대로 이어져오고 있었다. 올해 5월 북경 방송국에서 제작한 프로그램 《제갈량의 수수께끼 사건 등갑병의 부활》 기자는 부족을 찾아가서 등갑의 방어능력을 시험해보았다. 기자는 돌로 강하게 내리 찍어보았지만 등갑을 손상입히는데 실패하였고, 기자등 사람들이 날카로운 칼로 절단해보았다. 힘을 내어 등갑을 난도질했다. 마을 사람 머리털 하나 손상입히지 못했고, 등갑은 칼자국만 날뿐이었다. 돌과 칼의 공격을 막아낸후, 기자는 청등나무로 만든 투구와 방패를 북경 국가 군사박물관으로 다시 가지고 가서 테스트 하였다. 궁노로 연거푸 등나무로 만든 방패에 쏘았다. 결과는 쇠뇌화살을 막았다. 올해 7월 국가 군사박물관에 정식으로 귀주로부터 온 왜채 포의족의 등갑옷이 전시되었다. 등갑옷의 위력은 왜 이렇게 강한가? 등유에 담근 등갑의 제조방법에 있다고 생각한다. 주민이 밝힌 것은, 그들은 귀주 청등나무 상품을 이용하여 특수하게 가로세로로 엮는 법으로 가로 세로 뒤얽히는 모양으로 청등나무는 힘을 분산시킨다. 다시 등유에 최소 48시간을 담구고, 햇볕에 한달을 말린다. 일반적으로 9번 담그고 9번 말린다. 이렇게 해야만 매우 좋은 등갑이 완성된다. 제조 하는데는 2년정도 소요가 된다. 등유는 콜로이드와 유사한 성분이 있기 때문에 줄기 사이를 끈적끈적한 한 덩어리로 만들어준다. 칼 같은 날카로운곳에 유용하다. 등유는 식물줄기를 달라붙게 하는 것을 도와 줘서 탄성에 특별이 좋다. 만약 등갑에 화살을 쏘아 정확하 등나무 줄기 사이에 정확하게 꽂아진다하더라도 두 개의 등나무 줄기는 화살촉을 막아낸다. 화살촉이 등갑 표면에 맞아도 등유에 담궜기 때문에 화살촉이 미끄러진다. 게다가 강을 건널 때 가라앉지 않고 물의 습기에도 견디기 때문에 몹시 유용하다. 실제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www.jjang0u.com


철제갑주 착장자와는 달리


물에 둥둥 뜬다는 건, 참 매력적인 요소인 듯.


진위여부가 궁금하다.


https://blog.naver.com/kkumi17cs1013/221346837400

 


http://www.kjournal.co.kr/_PR/view/?aidx=21241&bidx=2261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43593 臣智의 발음표기 [시르티]에 [시리티]를 추가하다. [2]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8 156 0
43592 이북5도 위원회를 보니 황해남/북도가 아닌 그냥 황해도인가 ?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7 136 0
43591 *koesV바위~*kapikutui에서 감상하는 황해남도 벽성군 ぬま城 [3]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2 152 0
43590 반도일본어 馬韓新彌、*御-馬な韓(*みまなから)노동 온가쿠 [2]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2 161 0
43588 馬韓(반도일본어), 善用弓楯矛櫓, 櫓와 Wagon Fort [1]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1 140 0
43586 본래 任那, 彌摩那의 那는 조사 な로서, み-馬な韓이었을까 ? [2]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0 152 0
43584 [馬韓新彌] AquariusなConcord。 [3]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0 156 0
43583 별(辰)의 성채:석성(石城)보단、토성(土城)이 더 맘에 든다。 [2]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0 154 0
진위여부가 매우 궁금해지는 등갑군에 관한 실험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6 149 0
43579 [?] 북괴에서 시유도기, 전문도기가 얼마나 나왔는지가 궁금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6 111 0
43578 반도일본어 마한(馬韓)의 번영을 기리며 감상하는 추억노동요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5 145 0
43575 唐代의 주요 交通路 [1]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2 172 0
43574 宋代의 一尺 [11]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2 165 0
43573 [삭재업] 끝무렵의 갑주 양식들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1 126 0
43572 鴨淥水 또한 반도일본어계 지명인가 ? [3]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1 135 0
43571 황해남북도 東夷馬韓新彌諸國 : 東方聖域締め諸國 온가쿠 [4]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1 130 0
43570 開城은 사실 확실하진 않음. 하지만 豆比鴨岑은 [4]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31 119 0
43569 마한시대 끝무렵의 갑주, 반도일본어의 갑주 [5]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30 204 0
43568 [주절거림] 마한의 갑주 (아마도 목제?) [2]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30 134 0
43566 [PJ*təNpu] 뿐만 아니라 평안남도 남포시 룡강의 이 지명들을 [1]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8 134 0
43565 [저장용] 단 1장으로 開城이란 지명의 어원을 요약한다면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8 97 0
43562 오스트로네시안이 *tənəm(大洋)의 느낌이라면 AA와 PJ는 [2]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4 140 0
43560 종돛 갖춘 죵선(Jong船)과 돛새치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4 113 0
43559 고대 열도일본어의 원시적 범선 ? 아니면 깃대 ? [4]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4 136 0
43558 越国의 こし가 뭔지 알 듯한데 [1]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3 126 0
43557 '듧-'을 빠르게 반박-배제시켜 버리고서 듣는 Veikryss 온가쿠 [1]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2 117 0
43556 [冬比] 노동요에서 제일 마음에 드는 가사 부분 [4]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1 136 0
43555 開城(冬比忽) : 跳び 요충지 ? [6]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0 146 0
43554 [저장용] 사랑하는 사람들과 자신을 재해, 맹수로부터 지키는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9 102 0
43553 엠비씨아카이브결제해서 토토즐보는중이다 내사랑희진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8 96 0
43544 마한의 지배층, 고구려로의 이주와 고구려에서의 활동.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5 145 0
43542 [な] 혹시 반도일본어에서 열도일본어로 차용된 어휘들 ? [2]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3 153 0
43541 저기압+더위먹은 정신으로부터 제정신차리는 온가쿠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31 102 0
43538 금강산 マキナカヒ(馬斤押) : 大楊管의 馬한왕자 출동 온가쿠 [3]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31 144 0
43536 대방군의 지명이 철저히 단절되어 소멸한 것에 비한다면 [1]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9 140 0
43535 PA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8 118 0
43534 부여인들은 외부에서 온 사람들이라 정의되고 있으므로 [1]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8 155 0
43532 충북 槐壤 えなきの(仍斤內)에서 일본민족의 정기가 부활하는 [2]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7 132 0
43528 *par, *Cəˀbáːnʔ, *banua, *pʰaʔ, pûuang [12]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4 142 0
43525 경기 하남 도미나루(渡迷津)의 迷는 무슨 글자일까 ? [3]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3 123 0
43523 만주어 薩哈(*saka~saha?)는 작게 두르는 것.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2 79 0
43522 고구려의 세기말스러운 분위기 한 줄.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2 90 0
43521 역계경 세력이 간 동쪽은 어느 방향인가 ? 에 대한 힌트 한 줄 [2]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2 125 0
43519 그동안 본의아니게 실수했는데, 이젠 한사군의 위치가 보인다.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1 84 0
43517 임예(穢)의 穢가 종족명칭이 될 수 있다면,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1 76 0
43516 임예승인(臨穢丞印) 봉니(封泥) : 遼寧省 大連市 普蘭店區 張店古城遺址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1 123 0
43515 [YouTube] 온갖 스시, すし, 寿司 영상들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1 100 0
43514 신찬(臣瓚)은 臣氏가 아니라는 의견 존재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9 90 0
43513 고구려의 䢘城郡 : 加羅忽 [3]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9 111 0
43511 긿 → 길 / 짉 [1] ひ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5 13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