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원근감에 대한 물리학적 설명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1.11 21:29:21
조회 61 추천 0 댓글 1


7fed8274b4836af151ee81e14e8476732e01c3c8175a3e92b27016e6e368


원근감이 생기는 이유에 대한 의문을 물리학적으로는 다르게 표현할수있죠


'왜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호작용이 약해지는가?' 라고 물리학적인 의문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죠.


거리에 따라 왜 중력은 다르게 작용할까요? 다른 힘들도 마찬가지고 말이죠.


또 이중슬릿 실험에서 전자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 왜 전자는 파동성을 띄게 될까요?


위의 모든 의문들은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 질량이 임의의 기준과의 거리에 따라 상대적이기 때문이란 설명으로 해결됩니다.


사실 여기 이곳의 전공자들은 아마도 이중슬릿 실험이 행해졌던 그 당시의 사람이었다면


아마 반양자역학파중에 한명이었던 아인슈타인처럼 끝까지 그 실험의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았을 부류의 사람들입니다.


학술갤에서 존재하고 존재했던 여러 사이비들과 마찬가지로 말이죠.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권위적으로 학습을 해왔기 때문에


머리로는 도저히 이해하지 못하는 이중슬릿실험을 받아들인척 하고 있을 뿐인거죠.


사실 저는 수학계와 물리학계 그리고 근본적으로는 철학계가 저지른 가장 큰 실수를 제논의 역설이 틀렸다고 설명한 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빛이 절대속도인 이유는 제논의 주장이 참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상대론적으로도 생각할 수 있어요.


아인슈타인의 시공간 이동의 설명을 통해 우리(질량체)는 계속적으로 시간이동을 하고 있습니다.


매순간 이전과 달라진다는 겁니다. 물리학적으로도 수학적으로도 달라진다는 거죠.


따라서 당연히 이전과 다른 새로운 내가 있을 뿐이고 따라서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것이죠.


즉, 상대론의 공리였던 빛의 절대속도와 그 결과인 시공간이동을 통해서도 물리학계나 수학계나 철학계나


제논의 역설이 옳다고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고 그랬다면 양자역학은 등장하자마자 인간은 이해를 했을 겁니다.


하지만 현재 양자역학을 이해한 물리학자가 누가 있나요? 심지어 양자역학엔 그 이론의 공리조차 없는 상태죠.


양자역학을 이해한 사람은 저와 제 글을 이해한 사람 외에는 없을 겁니다.


사실 이곳의 몇몇 전공자들도 제 설명을 이해를 했을 겁니다. 단지 인지부조화의 상태인거죠.


그러니 양심이 없는 인간들이란 겁니다.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것은 애니매이션의 캐릭처럼 매순간 정지해있으면서 불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떠올려봅시다.


일단 가속도를 측정하려 할때 위의 애니메이션의 예처럼 정확히 한순간의 정지된 상태일 경우 가속도를 측정할수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 눈에는 마치 그 캐릭터가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죠.


결국 위의 설명처럼 우리 눈에는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불연속으로 변화한다고 해보자는 겁니다.


그럼 무중력의 공간에서 질량이 서로 다른 정지된 물체에 힘을 가해서 같은 속도로 움직이게 해본다고 합시다.


그럼 두 물체엔 결국 다른 힘이 가해진겁니다. 그런데 변화가 불연속이라면 매순간 그저 같은 위치에 두 물체는 정지해있을뿐이게 되죠.


결국 초기에 두물체가 정지해있다고 했을 때의 순간과 힘을 주어 같은 속도가 되었을때의 한순간을 비교해보려고 하면 비교할 수가 있을까요?


분명 두 물체엔 다른 힘이 가해졌기 때문에 그 다른 힘이 가해졌다는 그 증거가 필요합니다. 그게 과연 무엇일까요?


상대론의 길이 수축입니다. 그럼 그 길이가 수축되었다는 증거가 무엇일까요? 바로 두 물체의 질량의 증가가 되어야 합니다.


즉, 길이가 수축했는데 물체의 질량이 늘어야 한다는 겁니다. 즉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와 e=mc^2이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된다는 것이죠.


다시 말해서 한순간의 정지 상태라 가속도를 구할 수 없을 때 그 힘의 증거가 길이수축이 되어야 하고 질량과 공간이 등가가 되어


질량체의 질량이 증가하게 된다는 겁니다. 그럼 질량의 상대성은 어떻게 설명될까요?


이번엔 두 물체를 관측하는 관측자의 위치를 바꿔보죠. 그럼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진다는 것은 즉, 길이수축이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겁니다. 따라서 질량이 상대적이게 되죠.


참 쉽죠? 저는 변화가 불연속일때 시간이 불변이고 질량이 상대적이라는 것을 총 4가지 방법으로 설명했습니다.


대우는 그저 그 중 하나일뿐이고 말이죠. 대우의 설명이 가장 쉽고 불완전성정리의 가장 쉬운 예가 되기에


대우무새가 된 것뿐이죠. 그냥 여러분이 제 이론을 반박하고 싶다면 반박하려하지 말고


그냥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에 대한 논문을 써보세요. 그게 제 이론과 겹치지 않는다면 그게 새로운 이론인겁니다.




빛이 절대속도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바로 기준이 달라져도 항상 같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그런 불변(절대성)을 가진 것이 공리에 새롭게 추가될수록 '(에너지의) 대칭성'이 지켜지기 위해서는


기존에 불변인줄 알았던 것 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합니다.


즉, 상대속도를 가질줄 알았던 빛이 절대속도라면 기존에 불변이라 생각했던 것 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그게 상대론에서의 길이의 (수축)가변입니다. 그런데 저는 변화가 불연속이라고 했고 그로인해 시간이 불변이 되면


마찬가지로 기존에 기준이 바뀌어도 불변이라 여겼던 것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게 바로 질량의 상대성이죠. 그리고 이를 시각적으로 자명하게 보여주는 영상이 있습니다.




위의 영상처럼 매순간 모든 것이 정지해있다고 가정된 상황에서 포커스(기준)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크기는 크게보이거나


작게보이게 되는데 결국 상호작용이 임의의 기준과의 거리에 따라 상대적이게 될 경우 그 상호작용의 상대성으로 인한 어떤 현상이


발생해야합니다. 그게 바로 질량의 상대성이란 것이죠. 즉, 기준에 따라 질량이 다르다는 것이 질량의 상대성의 의미란 것이죠.


즉, 초등학생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제 이론입니다. 또 뉴턴역학과 상대론도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했고 말이죠.


그럼 이곳의 사이비는 중학교 수준의 대우도 모르는 걸 보면 초등학교 수준도 안되는 인간들이라는 걸까요?



https://drive.google.com/file/d/1Ns4wdYS-DHVyPmwSW54km3DHw6W43_04/view?usp=sharin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72300 창의도전 22% 연구비 삭감 씨부레 [3] ㅇㅇ(210.107) 01.23 153 4
72299 학계에 현타느끼고 인더빠지는 사람도 있긴한데 ㅇㅇ(118.235) 01.23 116 0
72298 비응신 좃대가리 국박따리년들 또 몸비틀며싸우노 [1] ㅇㅇ(73.103) 01.23 51 1
72297 울 연구실 교수 9명 배출함 [7] ㅇㅇ(118.235) 01.23 354 3
72296 대학원 서열질이 더욱 의미가 없지 [3] ㅇㅇ(118.235) 01.23 168 2
72294 예전에 사람죽어나가는 복지 ㅆㅎㅌㅊ삼전이 아니잖아 이제 [6] 대갤러(118.235) 01.23 203 1
72293 국박따리년들아 탑 4미박 취침전 단 4분간 질문받는다 [2] ㅇㅇ(73.103) 01.23 62 0
72292 지거국교수 vs 삼전급 대기업 [51] 대갤러(192.153) 01.23 395 1
72291 서열질은 한국사람이면 어쩔수없는거다 싫으면 이민가든지 [2] 대갤러(118.235) 01.23 80 0
72290 대학원선배님들, 학부생따리인데 수강신청 결정장애와서 좀 도와주세요 [5] ㅇㅇ(211.36) 01.23 122 0
72289 서열에 미친새끼들은 보통 좆밥새끼들일때가 많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70 0
72288 하루라도 서열질 안하고는 못버티나 [2] ㅇㅇ(174.230) 01.23 62 1
72287 대학원 와보면 기본교육 인성 병신인 새끼들 천지 아님? [5] ㅇㅇ(165.132) 01.23 159 4
72286 요즘 논문 리젝 좀 심해지지 않았냐? [4] 대갤러(211.234) 01.23 323 0
72285 우리쪽 분야는 직업선호도가 다음과 같음 [8] 대갤러(223.38) 01.23 206 0
72283 국박따리년들아 탑 4미박 단 4분간 질문받는다 [1] ㅇㅇ(128.210) 01.23 52 0
72282 바이오만 rnd예산 없이면 안됨? [1] 대갤러(220.94) 01.23 152 2
72281 생물쪽 실험실들은 삼성 SK 구경도 못함 ㅋㅋㅋㅋ ㅇㅇ(180.67) 01.23 238 1
72280 망한 랩 특징) alumni가 삼전같은 국내대기업들로 도배됨 [17] ㅇㅇ(211.246) 01.23 389 0
72279 부산대 박사과정 어떤가요 [6] 163 52(114.71) 01.22 259 0
72278 교수는 진짜 아무나 하는게 아닌거 같음 [5] 대갤러(1.234) 01.22 319 1
72277 토익 800만 넘기고 토플 공부하기vs토익 900넘기기 [2] ㅇㅇ(211.36) 01.22 164 0
72276 회로 대학원 지거국(자대) vs ist(신생) [20] 대갤러(211.36) 01.22 367 0
72275 물질 반물질의 양은 같을까요 다를까요?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2 61 0
72273 요즘에 커뮤니티에서 삼성애들 조용해진거 보면 경제 심각한거 같긴해.. [5] 대갤러(218.155) 01.22 214 1
72272 카이스트 삼성 선호도 진짜 미친듯 [19] ㅇㅇ(180.67) 01.22 1434 10
72271 ‘과학·기술·공학·수학’ 박사, 74.2%가 학업에 전념 [1] ㅇㅇ(106.102) 01.22 207 0
72270 연구 삭감했음 됐지 뭔또 협의회냐 진짜 ㅇㅇ(118.235) 01.22 121 0
72269 물리학과 애들 진짜 천재냐..?;; [2] 대갤러(118.235) 01.22 312 0
72268 대학원 질문좀 받아주세요.. [1] ㅇㅇ(211.36) 01.22 158 0
72267 다시한번 말하지만 미국 대학원은 일단 “영어”가 되야함 [4] 대갤러(106.101) 01.22 334 1
72266 정출연 정규직 연구원이 되면 성공했다고 생각했는데 [17] 대갤러(223.39) 01.22 342 1
72265 서양은 예의 없이 수평으로 하는 줄 아냐 ㅋㅋ [4] 대갤러(114.71) 01.22 171 0
72264 2035,40년엔 소득세 70퍼센트시댄데 왜 학벌로 줄세우는거? ㅇㅇ(223.39) 01.22 78 1
72262 미국 대학원 유학가는데 돈 안들이고 가는방법은 [4] 설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2 235 0
72261 애플투애플 비교를 좀 하자 ㅇㅇ(118.235) 01.22 45 0
72260 미박 생각 중인 막학기 학부생 [2] 대갤러(118.235) 01.22 136 0
72259 미국에서 대학원질 하는게 압도적으로 좋은 이유 깐다 [9] ㅇㅇ(113.30) 01.22 318 1
72258 미국 유학 [2] 대갤러(115.126) 01.22 147 0
72257 졸업하는 석붕이 Q1 저널 1저자 억셉되니 기분 좋네 [4] ㅇㅇ(223.38) 01.22 232 2
72256 공부라는 노력도 투자와 같다 [3] ㅇㅇ(223.38) 01.22 119 0
72255 ㅈㅇㅅㄹ [1] ㅇㅇ(118.235) 01.22 59 0
72254 국박따리년들아 탑 4미박 단 4분간 질문받는다 [4] ㅇㅇ(73.103) 01.22 105 0
72253 미국 대학원생들 있음? [10] 대갤러(129.59) 01.22 254 0
72252 분야가 배터리면 대전 정출연 vs 수도권이나 대전 대기업 연구소 [3] 대갤러(118.235) 01.22 176 0
72251 또 포항에 내려가서 그짓을 할 순 없어 [1] ㅇㅇ(203.233) 01.22 123 0
72250 (진지하다 한번만 봐줘라) 노재능 노베이스로 연구원 가능하냐? [8] ㅇㅇ(116.122) 01.22 200 0
72249 야 김박사넷 글 댓글 안써지는데 차단당한거임?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2 148 0
72248 잡대 출신 박사인데 서울대 출신 박사는 다르긴 다르네 [6] ㅇㅇ(192.55) 01.22 242 0
72247 카이스트 자대생들은 사회성부족한 찐따들 왤케 많냐 시발 [15] 대갤러(118.235) 01.22 2057 2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