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염세주의는 삶에 악영향을 끼친다앱에서 작성

김준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15 00:25:39
조회 62 추천 0 댓글 1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434043 나와 세상의 발전은 3가지가 맞물려야 한다. 철갤러(220.121) 04.25 55 0
434042 ~ 하지 마라. 이런 주장 해도 되기는 하지만..... [5] 철갤러(220.121) 04.25 56 0
434041 항상 어중간한 애들이 제일 깝침 [11] ㅇㅇ(121.164) 04.25 140 0
434039 권위 없는 사람이 무가치하다면, 권위있는 사람도 무가치하다. 철갤러(220.121) 04.25 44 0
434038 겉으로 권위를 내세우는 인간들을 조심해라. 철갤러(220.121) 04.25 44 0
434037 권위에 대해서. 철갤러(220.121) 04.25 47 0
434034 정치를 바라보는 눈의 차이 엘리트와 민중. 철갤러(220.121) 04.25 53 1
434032 ㅠㅠ...왜 나는 멋있는 글을 쓸 수 없는거야? [3] 유자나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94 0
434026 인류역사에서 극빈층에서 제왕이 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철갤러(220.121) 04.25 48 0
434015 절대 국가나 기업을 위해 헌신하지마라 [1] 철갤러(220.127) 04.25 61 0
434014 [라엘리안 보도자료] 천재와 정치인, 누가 더 통치할 자격이 있나요? 철갤러(125.179) 04.25 43 0
434012 마녀사냥에 대비하세요. 여러분. 철갤러(220.121) 04.24 66 0
434008 교양) 서양철학사 제33강 견유학파 ㅇㅇ(210.106) 04.24 55 0
434007 방금 시계가 이상했어 [2] 철갤러(117.111) 04.24 69 0
434006 철학자들의 실체. [3] 철갤러(220.121) 04.24 72 0
434005 철학자가 비참한게 아니라, 비참한 사람이 철학을 했던 것일뿐이다. 철갤러(220.121) 04.24 60 0
434004 철학자 중에는 잘사는 사람이 못사는 사람보다 많다. [2] 철갤러(220.121) 04.24 71 0
434002 철학자중에 비참한 인생은 없다. [1] 철갤러(220.121) 04.24 54 0
433994 야 신새끼야 심심한데 찢죄명이나 죽여봐라 [3] 나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63 0
433976 좌파,우파, 중도파의 차이. 철갤러(220.121) 04.24 57 0
433968 믿음과 의심 [14] 철갤러(220.121) 04.24 82 0
433950 지속,변화를 고정적 대상으로 설명할 때의 문제점. 철갤러(220.121) 04.24 46 0
433949 레뽀님이 쓴 결여에 대한 글을 바꾸면. 내 생각속에서. [2] 철갤러(220.121) 04.24 49 0
433948 "없음"은 없다.라는 말은 오류다. [1] 철갤러(220.121) 04.24 54 0
433946 철학자의 이상적 모습. 철갤러(220.121) 04.24 40 0
433931 완전한 것의 불완전성의 증명 [21] 레뽀(1.225) 04.24 91 1
433919 만약 저 3가지중 하나라도 빠진다면. 철갤러(220.121) 04.24 40 0
433918 종합적으로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1] 철갤러(220.121) 04.24 51 0
433916 모든 권력자의 시작의 너머의 시작. [1] 철갤러(220.121) 04.24 35 0
433903 모든 권력자의 시작. [1] 철갤러(220.121) 04.24 40 0
433899 한강의 기적이 끝났다라고, 영국에서 평가했다더군. 철갤러(220.121) 04.24 40 1
433897 윤리와 심리에 대한 철학으로 먼저, 심신을 수양하자. 철갤러(220.121) 04.24 33 0
433895 사람들에게 제일 골치아픈 건 윤리학인거 같다. [1] 철갤러(220.121) 04.24 39 0
433879 신학자= 무신론자, 같은 부류다. 철갤러(220.121) 04.24 41 0
433875 신학을 솔직하게 바라보면. 허울 없이. 철갤러(220.121) 04.24 40 0
433871 이제는 스승이 없고 부모도 없는 [10] 고독사(125.248) 04.24 116 3
433867 나는 신을 믿는다. 하지만 더이상 말하지 않겠다. [1] 철갤러(220.121) 04.24 43 1
433866 인간들이 말하는 신의 정체. 철갤러(220.121) 04.24 44 0
433841 도덕학. 이게 더 적절하다. [4] 철갤러(220.121) 04.23 76 1
433837 신은 배울 필요도 , 생각할 필요도 없다. 철갤러(220.121) 04.23 44 0
433836 신학은 기상천외한 학문이지. 철갤러(220.121) 04.23 45 0
433835 내가 말하고 쓰고, 생각하고, 떠올리는 신은. 철갤러(220.121) 04.23 41 0
433834 절대적 신이 있다. 딱 여기까지만 말해야 한다. 철갤러(220.121) 04.23 47 0
433833 무신론이 망상인 이유. 하지만, 유신론도...... 철갤러(220.121) 04.23 44 0
433832 인간인생의 중차대한 문제 철갤러(220.121) 04.23 36 0
433831 그 모든 종교 행위는 비종교 행위다. 철갤러(220.121) 04.23 45 0
433830 신은 표현할수도, 생각할수도, 입에 담아서도 안된다. 철갤러(220.121) 04.23 44 0
433829 신을 감히 논해? 철갤러(220.121) 04.23 45 0
433820 영국 1901년 노동자들의 모습 철갤러(220.121) 04.23 39 0
433816 1913년 도쿄 철갤러(220.121) 04.23 3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