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1/3
- 터키 여행기 1 (이스탄불) 족발이족와
- "막차 빨리 끊기겠네" 서울시, 지하철 시간 30분씩 앞당긴다 ㅇㅇ
- SK하이닉스 前직원, 中 이직하려 영업비밀 사진 5900장 촬영해 유출 ㅇㅇ
- 故 김새론 측 "아이돌 남친? 왜곡…털털해서 남사친 많았다" ㅇㅇ
- 피멍 들게 맞고 응급실 갔다 왔는데, 당장 일하라는 사장 ㅇㅇ
싱글벙글 스타링크 근황
스페이스X가 최근 4개월동안 1,029대의 스타링크 위성을 발사해 한달마다 평균 250대의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렸다고함. 올해 4월까지 발사된 스타링크 위성은 총 8,367대이고 그중 수명이 다해 대기권에 재진입한 위성은 1,103대로 약 7,264대의 위성이 대기권에 남아있는데, 이는 전세계 활성위성의 60% 이상임. 스페이스 X의 연간 로켓 발사횟수도 매년 늘어나 2014년 6회 발사 2015년 7회 발사 2016년 9회 발사 2017년 18회 발사 2018년 21회 발사 2019년 13회 발사 2020년 25회 발사 2021년 31회 발사 2022년 61회 발사 2023년 98회 발사 2024년 136회 발사 2024년 기준으로 2.7일마다 로켓 1발이 발사됐고 2025년에는 175회 이상 발사가 목표로 잡혀있음. 또한 스페이스X는 로켓 재사용 기술과 대부분의 부품들을 자체적으로 조달하여 다른 우주발사체 대비 발사 비용이 저렴한데 미국 델타IV 헤비 로켓의 kg당 발사비용 10,000달러 유럽 아리안V 로켓의 kg당 발사비용 8,200달러 중국 Long March 5B 로켓의 kg당 발사비용 6,000달러 러시아 안가라 A5 로켓의 kg당 발사비용 4,400달러 정도일때 스페이스X 펠컨 9 로켓의 kg당 발사비용은 2,900달러 스페이스X 펠컨헤비 로켓의 kg당 발사비용은 1,500달러 스페이스X 스타쉽 로켓의 kg당 발사비용은 약 200달러로 타 발사체보다 가격경쟁력에서 상당한 우위에 있음. 현재 스타링크는 북미, 남미, 중미,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지역등 전세계 110개국에서 서비스 중이며 특히 통신 인프라가 적은 아프리카에서는 54개국중 22개국 이상이 스타링크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이용 예정이라고함. 그중에서 나이지리아, 르완다, 콩고등은 아예 스타링크를 주요 ISP로 (ex 한국의 KT, LG U+) 채택했고 한국에도 2025년 상반기부터 들어온다고 함.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