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World Class Universities. 2차대전 결과와 상관없이,

macmac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7.05.24 07:01:50
조회 330 추천 1 댓글 0

. 제목: World Class Universities.  

2차대전 결과와 상관없이,세계사와 한국사를 바꾸지 못하면, 교과서(백과사전,학습서), 학술서적상의 기득권 대학 학벌들은 바뀌지 않습니다.



I. World Class Universities. 

한 태학(太學)과 이후의 국자감[國子監. 원.명.청의 국자감을 대체하여 설립된 경사대학당은 북경대학(北京大學, Peking University)으로 이어짐], 볼로냐 대학(Università di Bologna), 파리대학(Université de Paris).


2차대전 결과와 상관없이,세계사와 한국사를 바꾸지 못하면, 교과서(백과사전,학습서), 학술서적상의 기득권 대학 학벌들은 바뀌지 않습니다.

 

참 복잡한 특성인데, 2차대전 결과와 세계사(World History) 및 국사(National History)와 연관지어 이 대학 학벌 문제를 명쾌하게 해결할 수 있는 나라나 출판사, 학술단체,개인들이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대학 학벌문제는, 수많은 갈등과 반복을 통하여 오랫동안 定說.正論으로 유지되어온 교과서.백과사전.학습서(中高生 학습서 포함), 학술서적상의 유서 깊은 대학들이나 기득권을 가진 측에서 설립한 대학을 기준으로 하는게 가장 정통성을 인정받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필자의견은 이전에 알려드린대로 다음과 같습니다.

 

- 세계사.한국사 교과서(참고서),사전,학술서가 바뀌지 않는한 유구한 역사의 기득권들도 바뀌지 않음.

 

시중에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교과서(참고서),사전,학술서에 바탕한 대학들을 비교해도 유구한 역사의 대학들이 바뀌지 않는한 이에 연관된 대학들의 기득권도 그대로 유지됨. 

 

 

필자는 世界史 4대 文明,유교,중국 漢 太學, 韓國史 成均館중심임. 
 

 

II. World class Universities. Final. It based on World History Text books,Encyclopedia,Korean History Textbooks,Reference Books,scholarly books, etc.

 

 

 

현대에 사는 우리들은 세계사에 나오는 대학들을 먼저 알아야 현대의 세계적인 대학들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세계 4大文明은 존중하지만, 세계의 대학들은 기존 인식대로 아래의 대학들이 적절한 것 같습니다.

 

필자는 중국(中国,中國) 한(汉,漢) 태학(太学,太學), 이태리 볼로냐 대학(Università di Bologna)등 世界史에 근거를 둔 대학들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대학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 중국(中国,中國)은 한(汉,漢)나라를 알기이전 세계 4大 文明을 형성시킨 漢나라 이전의 은(殷).주(周) 시대와 그 이전 先史時代 및 孔子님(BC 551 ~ BC 479, 天子國이던 周나라가 명목상 유지되던 시기 중국 魯나라에서 태어나심. 중국의 혼란기인 春秋時代에 태어나신 원시유교의 전승자)이 태어나신 春秋시대도 같이 알아두면 좋습니다. 

 

중국 周나라는 西周시대와 東周시대가 있음.

周왕실이 쇠퇴하면서, 여러 제후들이 등장, 세력을 다투는 군웅할거시대인 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들었지만, 周나라가 天子國이었던 탓에 아무리 힘이 없어도 東周의 공식 멸망때까지는 周나라가 東周로 명칭되며 유지되던 시대임(그러나 춘추전국시대 군웅할거의 혼란기로 접어들수록 이전 주나라에 비해 동주의 정치체제나 지배력은 완전히 상실되어 결국 멸망하게 되었음).

  

周나라는 (B.C. 1046~B.C. 771)까지 유지되었는데 이 시기는 西周라고도 부름. 그리고 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든 이후의 시대는 東周(B.C. 770~B.C. 256)라고 부름. 東周는 周가 B.C. 771년, 견융의 난을 피해 동쪽의 낙읍으로 도읍을 옮긴뒤의시대를 말하며 춘추전국시대로 접어든 시대임.

* 중국 漢나라 太學이나, 서양 최초의 대학인 볼로냐 대학등은 세계사 교과서에 등재되었기 때문에, 누군가 합의하여 漢나라 太學과 볼로냐 대학을 세계사 교과서에서 삭제하기 까지는 그 세계 최초의 대학(볼로냐는 동일 이름 가진 세계 최초의 대학) 정통성을 잃지 않음.

* 중국은 세계 최초의 대학인 漢나라 太學이후 魏나라 太學, 隋나라 國子監, 唐.宋 國子監, 元.明.淸 國子監, 淸나라 말기 京師大學堂, 중화민국 시대 北京大로 이어짐. 天子國의 수도에 세워져 天子의 子弟들이 공부하던 대학계보라 할 수 있음..

* 이태리 볼로냐대학은 수도원의 대강당에서 시작된 동일 이름 가진 세계 최초의 대학인데, 볼로냐가 敎皇領이었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중세시대 서양세계 최초의 대학으로 교육되어 온것 같음. 교황령이던 볼로냐는 이태리에 합병되었으나, 지금도 世界史 敎科書에서는 중세시대 서양에 세워진 최초(漢나라 太學이 세계사 교과서에서 세계 최초 대학으로 가르쳐지기 때문에, 볼로냐가 세계 최초대학이라면 동일 이름가진 세계 최초 대학을 의미할것)대학으로 교육되고 있음. 敎皇聖下 윤허의 프랑스 파리대학도 중세시대에 교황성하 윤허받은 Royal대학임.   

* 한국은 高句麗 太學부터 유교 최고대학이 있는데, 조선(대한제국) 최고대학이던 成均館은 해방이후 成均館大學校로 600년 전통이 이어지고 있음.    

 

 

[2]. Global Universities(Writer's Opinion). Royal, Historic, First Class.  It based on World History, Korean History, Encyclopedia, etc.


1]. 세계사(世界史,World History).


1. 중국(中國, China):세계 최초의 대학,漢나라 太學(유교대학). 이후 魏나라 太學, 隋나라 國子監, 唐.宋 國子監, 元.明.淸의 國子監으로 이어지다가 淸나라말기 京師大學堂으로 명칭이 바뀌고 나중에 다시 北京大學(Peking University)으로 명칭바뀜.

中國 漢나라 太學:세계사에 나타나는 世界 最初의 대학임은 定說. 한국의 두산백과에 나타난 바로 필자의 주관을 조금 더 가미하면, 淸나라말기 元.明.淸의 國子監을이어 설립된 京師大學堂은 태학과 국자감에서 이어진 대학 계보고,京師大學堂에서 이어진 중국대학이 北京大學(Peking University)입니다.

 

 

1-1. 경향신문 홍인표의 차이나 투데이 2011.4.26 보도기사임. 홍인표는 베이징 특파원을 지낸 경향신문 기자임.

 

베이징대가 태학, 국자감의 전통을 이어받은 국립대학이다...

 

 

1-2. 두산백과에 나오는 베이징 대학교 설명.

 

1898년, 원·명·청 시대에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던 국자감()을 대체하여 ‘경사대학당()’으로 창설하였다. 1902년 경사대학당의 교육학원이 오늘날의 베이징사범대학교로 떨어져 나갔고 1912년 중화민국 성립에 수반하여 국립 베이징대학으로 개칭되었다. 1917년 학장으로 취임한 차이위안페이[]의 개혁으로 신문화운동의 중심이 되어 근대 학술연구와 토론의 자유 학풍을 확립하였고, 특히 1919년의 5·4운동이 재학생들에 의해서 추진된 이후 학생운동의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20년 난징대학교에 이어 중국에서 2번째로 여학생 입학을 받아들였다. 중일전쟁 중인 1937년에 국민정부가 칭화대학, 난카이[]대학과 함께 후난성 창사[]의 오지()로 모아서 합병하여 창샤임시대학교로 만들었다가 1938년 다시 윈난성[] 쿤밍[]으로 옮겨 시난[西]연합대학을 조직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946년 연합대학은 해산되어 각각의 학교로 분리되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2년의 대학 재편성에 의하여 옌징[]대학을 합병하고 칭화[]대학과의 조정이 단행되어 문·이과계의 기초이론을 중심으로 한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출처: 베이징대학교 [Peking University, 北京大學(북경대학)] (두산백과)

1-3. 중국어판 북경대학 소개자료.

 

http://wenku.baidu.com/view/3c077fda6bec0975f465e290.html

 

위에 나타난 baidu. 필자가 첨언하면 Baidu는 중국의 百度文库(백도문고)입니다.

북경대학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北京大学
 
 
北京大学,
中国最高学府,
创办于
1898
年,
初名京师大学堂,
是中国第一所国立大学,
也是中国近代最早以

大学

身份和名称建立的学校,其成立标志着中国近代高等教育的开
端。
北大是中国近代唯一以最高学府身份创立的学校,
最初也是国家最高教育行政机关,

使教育部职能,
统管全国教育;
并开创了中国高校中最早的文科、
理科、
政科、
商科、
农科、
医科等学科的大学教育,
是近代以来中国高等教育的奠基者。
北大传承着中国数千年来国家
最高学府
——
太学(国子学、国子监)的学统,既继承了中国古代最高学府正统,又开创了
中国近代高等教育先河,可谓

上承太学正统,下立大学祖庭

。在中国近现代史上,北大始
终与国家民族的命运紧密相连,深刻的影响了中国百年来的历史进程。

 

필자가 주안점을 두는 문구는 다음 문구임.

北大传承着中国数千年来国家
最高学府
——
太学(国子学、国子监)的学统,既继承了中国古代最高学府正统,

북경대는 중국 수천년의 국가 최고학부를 전승해오고 있다. 태학(국자학, 국자감)적 학통-  
 중국고대 최고학부정통을 이전에 계승했었다. 

 


@ http://www.125edu.com/puyan/zhinan/201508/647c98380.html

 

125edu.com은 중국어판  125教育网【中国研究生招生信息网입니다. 125교육망 중국연구생 (학생모집) 정보네트워크입니다.

一、北京大学

  北京大学,中国最高学府,创办于1898年,初名京师大学堂,是中国第一所国立大学,也是中国近代最早以“大学”身份和名称建立的学校,其成立标志着中国近代高等教育的开端。北大是中国近代唯一以最高学府身份创立的学校,最初也是国家最高教育行政机关,行使教育部职能,统管全国教育;并开创了中国高校中最早的文科、理科、政科、商科、农科、医科等学科的大学教育,是近代以来中国高等教育的奠基者。北大传承着中国数千年来国家最高学府——太学(国子学、国子监)的学统,既继承了中国古代最高学府正统,又开创了中国近代高等教育先河,可谓“上承太学正统,下立大学祖庭”。在中国近现代史上,北大始终与国家民族的命运紧密相连,深刻的影响了中国百年来的历史进程。

필자가 주안점을 두는 문구는 다음 문구임.

北大传承着中国数千年来国家最高学府——太学(国子学、国子监)的学统,既继承了中国古代最高学府正统 


2. 이탈리아(Italia,Italy,이태리):Università di Bologna(볼로냐대학교)


3. 프랑스(France,불란서) :Université de Paris(파리대학교)


2]. 한국사(韓國史,Korean History)
한국 국사 교과서(참고서 포함)에서 가르치는,조선 성균관을 승계한대학은 현재의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SungKyunKwan University)로
600년 전통을 인정받고 있음.



@ 한국사는 아니지만, 한국사와 세계사를 결부하여 필자는 교황 윤허대학인 예수회의 서강대를 Royal대로 인정해 오고 있음. 이는 영구적인 방침임. 필자가 주장해 온 한국의 Royal대학.  성균관대(宮성균관대, 국사 성균관의 정통 승계하여 6백년 역사 인정)=서강대(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물게 교황 윤허로 시작된 Royal대학. 御서강대(西江大學校,Sogang University).


[3]. Writer가 백과사전, 참고서,주요 학술서적에서 보고 익힌 세계의 대학들.


1]. 유교권(儒敎圈, Confucian Culture).


1. 中華人民共和國(중국):北京大學(Peking University,북경대학교),淸華大學(Tsinghua University,칭화대,Power Elite배출로 유명해짐). 그리고 北京師範大學(Beijing Normal University, 북경대처럼 淸나라 京師大學堂이 모체). 중국 태학이나 국자감,경사대학당은 유교권 천자가 세운 전통으로, 황제들이 황태자때 공부하고 천자(황제)가 됨.


1-1. 태학에서 공부하던 천자의 아들들. 연암집 제 10권 별집. 原士편


천자의 원자(元子)와 적자(適子)가 태학에 입학하여...


.출처:한국 고전번역원/신호열 김명호 공역/2004


1-2. 태학생의 선발과 출로.


태학생의 선발과 출로[편집] 太學生-選拔-出路 한대 박사의 임명 및 태학생의 선발은 태상경(太常卿)의 권한에 속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태상경이 18인 이상을 선발하여 '박사제자'로 충당하는 규정을 세웠으나, 그 뒤에는 지방의 관리들이 추천한 학생도 태학에서 면학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공경(公卿) 자제들은 정식추천을 거치지 않고 입학할 수 있어 다소의 문란을 초래하였다. 그래서 태학 학생들의 출신성분은 다양했다. 공경 자제, 지방정부에서 추천한 공사비(公私費) 평민학생, 부호출신, 빈한한 가정 출신도 있었고, 외국인 흉노 유학생들도 있었다. 이들이 졸업한 뒤의 진출상도 다양하여 하급관리로부터 공경·제왕(帝王)도 있었다. 


. 출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1-3. 중국에서 황태자등을 가르치던 국자감 설명. 국자(國子)와 연관되어 설명하고 있음. 國子監과 國子 두가지 설명.

 

(a). 국자감(): 중국에서 황태자()와 태자 및 귀족 자제()와 민간 수재() 들을 가르치던 대학(). 여기의 교수()를 국자박사()라 했는데 당()의 한유(, 자 퇴지退)가 국자박사를 지냈음.<사물기원><한유 진학해>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성종() 때부터 유학()을 가르치던 관아로 후에 성균관()으로 명칭이 바뀌었음.

 

(b). 국자[ ]: 공경대부()의 자제.<주례>

 

.출처: 한시어 사전, 전관수, 2007.7.9, 국학자료원


1-4. 주나라 천자가 건립한 벽옹


벽옹(雍): 중국 주(周)나라때 천자(天子)가 도성(都城)에 건립한 대학(大學)


.출처: 벽옹(雍) (한국 고전용어 사전,2001.3.30,세종대왕 기념사업회)


1-5. 한 무제가 세운 한나라 태학


무제는 동중서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가 사상을 국가 통치의 원리로 삼았다. 이에 따라 수도 장안(오늘날 시안)에 국립 대학인 태학을 설치하고 오경 박사를 두어 유교 경전을 가르치게 하였다.

.출처: 중국문화의 기틀을 다진 한나라(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2011.9.5, 휴머니스트)


1-6. 국립국어원의 국자학 설명

국자학 國子學.

1. 고려 시대에, 국자감에서 삼품관 이상 고관의 자제만 입학하던 전문 학과.
           2 .중국 ()나라 에, 무제가 귀족 자제나 영재를 가르치기 위하여 만든 교육 기관.()나라 에는 태학이었으    며, 수나라 이후 국자감으로 이름을 고쳤다.
1-7. 국립국어원의 국자감 설명
국자감(國子監)
. 고려 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 2. 중국 수나라 때에, 양제가 국자학을 고쳐 둔 교육 기관. 
2. Republic of Korea(大韓民國,대한민국, 남한과 북한이 분단되어 있으며, 한국헌법상으로는 남북이 같은 국가이지만, UN에서는 별도의 주권국으로 분리되어있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음):성균관대(成均館大學校)는,조선 成均館에서 이어진 600년 전통 대학. 유교 최고 교육기관으로 高句麗 太學설립때 王의 자제들을 교육시키면서 출발하여, 신라 국학, 高麗 國子監으로 이어지고,朝鮮 成均館, 대한민국 成均館大로 유교 최고 교육기관 계보가 이어짐. 대체적으로 王의 子弟들이 유교나 역사,어학.문학등을 공부하고 王이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왕족,귀족 교육기관.
백제나 신라의 최고 교육기관은 고구려 태학, 고려 국자감, 조선 성균관처럼 왕의 자제나 귀족자제에 대한 교육내용이 분명하지 않으나, 학교에서의 제사(석전, 釋奠)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다 음 -
백제는 태학 설립의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오경박사() 등의 명칭이 『삼국사기』에 나오고,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전한 아직기()·왕인()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태학에서 석전의 의식을 봉행하였던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신라에서는 648년(진덕여왕 2)김춘추()가 당나라에 건너가 그곳의 국학()을 찾아 석전 의식을 참관하고 돌아온 후 국학 설립을 추진하였고, 682년(신문왕 2)에 그 제도가 확립되었다. 717년(성덕왕 16)에는 당나라로부터 공자와 10철(: 공자의 제자 중 학덕이 뛰어난 10명) 및 72제자의 화상을 가져 와서 국학에 안치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석전 의식이 국학에서 봉행되고 있었음을 알려 주고 있다. 고려에서는 국학[국자감() 또는 성균관()으로 고쳐 불렀다]에 문묘[선성묘() 또는 문선왕묘()라고도 일컬었다]를 모셔 놓고 석전을 올렸고 왕이 직접 헌작()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1398년(태조 7) 숭교방()에 성균관을 설치하여 국립 최고학부의 기능을 다하게 하였으며, 정전(殿)인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4성()·10철과 송조6현() 등 21위를 봉안하고 동무()·서무(西)에 우리나라 명현 18위와 중국 유현() 94위 등 모두 112위를 봉안하고서 매년 봄·가을 두 차례 석전을 올렸다. 지방에는 고을마다 모두 330여의 향교가 있어 중앙의 성균관과 마찬가지로 매년 두 차례씩 석전을 올렸다.

지금도 성균관과 지방의 향교(남한에 있는 231개소)에서는 해마다 봄(음력 2월)과 가을(음력 8월)의 상정일에 석전을 봉행하고 있다. 1949년 전국 유림대회 결정으로 과거 동무·서무에 봉안하였던 112위 중 우리나라 명현 18위는 대성전에 종향하고 중국 유현 94위의 위패는 매안()하였다.

. 출처: 석전[釋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1. 필자의 의견을 가미하면 현재는 宮 성균관대= 御 서강대. 그 사유는 다음과 같이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의 공식 정설(定說)을 반영하여 그렇습니다.


가. 미군정기 이후의 한국정부에서 조치한 내용(대통령령에 의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발간)으로, 정부입장을 알려드립니다.


ㄱ. 정부출연 연구기관 자료에 나타나는 성균관대학교에 대한 학술적 서술내용.

a.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학 중앙연구원과,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대한 설명.

ㄱ). 한국학 중앙연구원(韓國學 中央硏究院).

한국문화 및 한국학 제분야에 관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는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 사전의 설명자료임.

ㄴ).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韓國民族文化 大百科辭典).

........
발간된 경위를 보면, 1979년 9월 25일 대통령령 제 9628호로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편찬사업 추진위원회 규정>을 공포하였고, 동 규정에 근거하여 1980년 3월 18일에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편찬사업 담당부서를 두었으며, 1980년 4월 10일 제 1차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편찬사업 추진위원회의 개최를 시작으로, 1991년까지 12년의 기간동안 3백여명의 편집진과 3천 8백여명의 집필자가 참여하였다.  
  


ㄴ.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에 나타나는 성균관대학교.


이칭별칭

성균관대, 성대

  • 유형

단체

  • 시대

현대

  • 성격

대학교, 사립종합대학교

  • 설립일시

1398년

  • 설립자

김창숙(金昌淑)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개설

성균관대학교의 연원은 1398년(태조 7) 국립고등교육기관으로 설립된 성균관에서 시작된다. 성균관은 조선 최고의 국립교육기관으로서 국가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전통적인 유학 교육을 실시하였다.

연원 및 변천

갑오경장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1895년 성균관에 설치된 3년제 경학과()가 성균관대학교의 근대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시작이다. 성균관은 제향 기능을, 경학과는 교육 기능을 담당하여 유학 경전을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역사학·지리학·수학 등 근대적인 교과목도 부과되었다.

그 밖에 교육의 목적, 교육과정의 운영, 입·퇴학 절차, 각종 시험 및 학생의 특전, 학기제 채택 등 전통적 교육기관에서 근대학교로의 제도적인 개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국권상실 뒤 일제에 의하여 경학원()으로 개편되어,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주로 문묘()의 제향을 담당하는 기관으로서의 기능만 수행하게 되었다.

1930년 경학원에 로 교명을 회복하였다.

1946년 유림대회()가 개최되어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할 대학 설립을 위한 성균관대학기성회가 조직되고 독지가 이석구()가 재단법인 학린사()의 토지를 희사하였다. 이에 김창숙()의 주도로 종전의 명륜전문학교의 재단을 병합한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이 발족하면서 같은 해 9월 정규 단과대학인 성균관대학이 인가되었다. 문학부와 정경학부를 설치하고, 초대 학장에 김창숙이 취임하였다.

1953년 2월 종합대학인 성균관대학교로 승격되어 문리과대학·법정대학·약학대학의 3개 단과대학과 1개 대학원의 편제를 갖추었고, 같은 해 6월 각 도의 향교재단()에서 재산을 기부함에 따라 재단법인을 성균관으로 확대해 개편하였다.

1958년 야간대학을 설치하였으며, 1963년 재단법인을 학교법인 성균관대학으로 개편하였다. 1965년 삼성문화재단이 대학의 운영권을 인수하였다가 1979년 1월 다시 봉명재단()이 학교의 운영을 맡게 되었고, 경기도 수원시 천천동에 자연과학캠퍼스을 신축하였다.

1981년 8월 자연과학캠퍼스에 이과대학·공과대학·농과대학·약학대학 등을 설치하였고, 같은 해 11월 교육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83년 11월 경영행정대학원을 경영대학원과 행정대학원으로 분리하고, 1987년 11월 유학대학원, 1990년 2월 산업과학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97년 3월 의과대학, 9월 의학연구소, 10월 디자인대학원, 12월 경영대학원을 신설하였으며, 1998년 1월 건학 600주년 공식기 게양 및 현판 제막식 행사를 거행하고, 도봉선수촌 신관을 준공하였다. 같은 해 4월 북한 고려성균관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고, 6월 교수업적 평가제를 도입하였으며. 8월 도서관 100만 장서 확보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9월에는 건학 600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으며, 기념행사로 세계총장학술회의, 조선시대 성균관 재현행사, 동양학 학술회의, 연극공연, KBS 열린음악회 등을 개최하고, 『성균관대학교 600년사』를 발간하였다. 1999년 3월 자연과학캠퍼스에 의과대학 건물을 준공하고, 5월 법학도서관을 개관하였다....

                  

.출처:성균관대학교[SUNGKYUNKWAN University, 成均館大學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나. 출판사들이 편찬하는 백과사전류에 나타난 성균관대학교에 대한 학술적 서술내용들.

ㄱ. 두산백과사전에 나타나는 성균관대학교.

成均館大學校


  • 사립

  • 특성

    종합대학

  • 개교일

    1398년

  •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인문사회과학캠퍼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자연과학캠퍼스)

  • 교목

    은행나무

  • 면적(㎡)

    627,025

  • 홈페이지

    www.skku.ac.kr


성균관은 고려 때부터 있었지만 조선 개국 후 1398년(조선 태조 7)에 현 명륜동 캠퍼스에 설립된 국립 최고학부 성균관의 전통을 계승하여,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1895년 칙령으로 3년제 경학과(經學科)를 설치한 것이 그 시초이다. 경학과는 유학 경전을 위주로 교육하되 역사·지리·수학 등 근대적인 교과목을 부과하여 근대 대학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으나, 국권피탈 후 일제의 탄압으로 교육기능을 박탈당하고 경학원(經學院)으로 축소되었다. 1930년 민족의 교육열 고조로 일제는 부득이 명륜학원을 설립하였고, 1939년 명륜전문학교로 승격시켰다. 

8.15광복이 되자 1946년 재단법인(현재는 학교법인) 성균관대학을 설립하고 정규 단과대학으로 발족하였으며, 초대학장으로 김창숙(金昌淑)이 취임하였다. 교훈은 인·의·예·지이다. 195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고, 1979년 수원에 자연과학캠퍼스를 신축하였다. 1996년 11월에 삼성재단이 성균관대학교 재단을 인수하고 운영해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하 생략.... 



그리고 교육학사전이나, 종교학사전, 학습사전도 성균관대가 성균관에서 이어진 대학이라고 학술적의견을 가지고 있고, 성균관대와 제사기구인 성균관도 그렇게 일치하여 서술하고 있습니다.



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서강대는 교황윤허 대학으로 그 Royal대 역사가 인정되고 있습니다.


....

1960년 2월 재단법인 한국예수회에서 서강대학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같은 해 4월 개교하였다. 1948년 한국 가톨릭교회의 발의와 교황 비오(Pio) 12세의 윤허로 대학 설립이 기획되었고, 예수회 게페르트(Theodor Geppert) 신부의 주도로 1956년 재단법인 한국예수회가 발족되면서 대학의 설립에 이르게 되었다.

초대 학장에 킬로렌(K. E. Killoren) 신부가 취임하였으며, 영어영문학과·사학과·철학과·수학과·물리학과·경제학과를 두었다. 1963년 독어독문학과·생물학과·경영학과를 신설하였다. 1964년 국어국문학과·화학과를 설치하고 제1회 졸업생 62명을 배출하였으며, 같은 해 4월 「사립학교법」에 따라 재단법인 한국예수회가 학교법인 서강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출처:서강대학교[Sogang University, 西江大學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 베트남에는 유교 최고 교육기관인 베트남 국자감이 있었으나, 현대에는 그 명맥을 이은 대학이 분명하게 보이지 않고 있음.   

2]. 기독교권(基督敎圈,Christian Culture),  


1. 서유럽(Western Europe) 


1). Repubblica Italiana(Italy,이태리):Università di Bologna
 (볼로냐대학교).수도원의 대강당에서 시작한 대학,서양최초의 대학이자, 동일 이름 유지한 세계 최초의 대학).  Add Università di Roma(로마대학). 로마대학교는 1303년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가 스투디움 오르비스(studium urbis:도시대학)라는 이름의 문과와 법학과를 가진 일반 대학으로 세웠다고 두산백과에 나옴.

 

2). République française(France, 프랑스): Université de Paris(파리대학).


다음부터는 필자의 주관적 견해가 가미된 의견임.  

 

 

내용이 많으니, 다음 블로그로 더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macmaca/2358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공지 성균관대 갤러리 이용 안내 [108] 운영자 06.07.25 505248 11
307512 취업 성갤러(221.164) 07:25 5 0
307511 성균관대 복수전공 난이도 어느정도임? ㅇㅇ(211.208) 02:54 9 0
307510 개잡사립대 종특 [4] ㅇㅇ(222.105) 06.09 15 0
307509 6월10일은 음력 5월5일로,유교권 전통명절인 단오절 macmaca1(122.34) 06.08 161 1
307508 우리나라 최초 사립공대 1934 광운대 [2] ㅇㅇ(118.235) 06.08 19 2
307506 국민대, 한국공대 성균관대 한양대 경북대와 함께 미래자동차SW 선도 [1] 성갤러(211.36) 06.05 55 0
307505 2024년 6월 5일은 음력 4월 29일로 망종(芒種). 보리는 익어 먹 macmaca1(122.34) 06.05 83 3
307504 위례 대형 의료복합타운 사업 무산‥PF부실·의료공백 악영향 임정수기자 성갤러(211.202) 06.03 38 0
307503 대학원 장학금 지급일 언제임?! 아싸호랑이(115.145) 06.02 46 0
307501 명문대생들 채팅방 모집 [1] 성갤러(1.243) 06.01 75 1
307500 삼성전자 주식사거라 ㅇㅇ(118.235) 06.01 67 4
307499 위례 대형 의료복합타운 사업 무산‥PF부실·의료공백 악영향 임정수기자 성갤러(211.202) 05.31 50 0
307498 [동영상] 2024 성균관대학교 축제 [2] 성갤러(123.111) 05.31 120 10
307497 우주만물과, 만물의 영장인 인간을 창조하신 유교의 하느님. macmaca1(122.34) 05.31 74 3
307496 2024 성균관대 축제 에스파 공연 동영상 성갤러(123.111) 05.30 120 9
307495 오! 불꽃놀이 성대 축제 환상적이다 성갤러(106.101) 05.30 98 6
307493 간만에 축제가려고하는데 오늘 주점함? 성갤러(106.101) 05.30 60 1
307492 일반인 6시 전에 팔찌 받을 수 있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9 1
307491 오늘 성대에 이 처자들이 옵니까? ㅇㅅㅇ(123.111) 05.30 198 13
307490 언론에서 보도한 성균관대학교 축제 성갤러(123.111) 05.30 158 11
307488 시발 지금 밤양갱 부르는 새끼 뭐냐 성갤러(220.65) 05.29 97 3
307487 새끼들아 성갤러(220.65) 05.29 71 1
307486 성대 축제... 대박!!! 성갤러(106.101) 05.29 175 5
307485 오늘 학교 축제하냐? 성갤러(220.65) 05.29 84 1
307483 축제에 외부인들은 1500명 입장 가능 [2] ㅇㅇ(106.101) 05.28 178 2
307482 굿노트 플래너 속지 6종 그냥 가져가네 성갤러(183.98) 05.28 65 0
307481 성균관대... 이 정도였다니! ㅎㄷㄷ [1] (123.111) 05.28 881 12
307480 30일 성대에 이 처자들이 옵니까? 성갤러(123.111) 05.28 167 3
307479 대학 교육이 중요한 이유 [2부] (123.111) 05.27 51 2
307478 대학 교육이 중요한 이유 [1부] (123.111) 05.27 57 2
307477 수원캠 근처 자취하는사람 성갤러(220.127) 05.27 58 0
307476 한중일. 한일중은 너무 생소한데, 밀어붙이더군요. macmaca1(122.34) 05.27 118 2
307474 성균관대 명륜1가 사이 자취방 양도(혜화역 4번출구 도보 5분거리) [2] seong(112.148) 05.26 71 1
307473 오늘도 어질어질한 토익후기... 성갤러(183.98) 05.26 62 1
307472 2024 성균관대학교 인사캠 축제 '청춘전야' 라인업 성갤러(123.111) 05.24 356 15
307471 우리도 인문 편입 영어 시험 말고 사회 논술로 뽑자 [6] 성갤러(61.75) 05.23 90 3
307470 복무자/대상자, 예비군, 민방위 분들 이미지 꼭 참고 바랍니다. 레알병제모(223.39) 05.23 63 1
307469 나 성대.고대법대 다다녔는데... [3] ㅇㅇ(211.234) 05.23 143 2
307468 현재 성대의 수준은 SKY와 거의 동급입니다 [6] 성갤러(123.111) 05.23 505 20
307465 글로벌 성대라고 불러라. [1] ㅇㅇ(211.205) 05.21 137 2
307464 민족성대 vs 친일서울대(경성제대) [1] 성갤러(121.163) 05.21 85 3
307463 떼창 미쳐버린 성균관대 축제 성갤러(123.111) 05.20 221 8
307462 이게 축제고 이게 라이브지 성갤러(123.111) 05.20 142 7
307461 성대 자연캠 여기에 길 있나요? [2] 성갤러(14.7) 05.20 141 0
307460 우리나라 최초 사립공대 1934 광운대 ㅇㅇ(118.235) 05.20 111 3
307459 성대 축제 무대에 올라온 아이쇼스피드 ㄴㅇㅀ(123.111) 05.20 272 6
307457 반도체 학과 다니는 사람? ddd(14.38) 05.19 80 0
307456 5월20일이후 15일간은 소만(小滿)절기.온갖생물 성장하여 조금씩(小) macmaca1(122.34) 05.19 177 2
307455 엔믹스 무대 뒤지게 잘하네 ㅅㅂ [1] (223.39) 05.18 208 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