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데이터] 당신이 모를 수도 있는 섬머슬램에 대한 사실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8.08.18 14:30:44
조회 3515 추천 52 댓글 30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8f391b46ccde5966ee430c752c396499e2f6e1727390450b08dacb


올해 열리는 섬머슬램은 30주년을 맞이한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2570488dcc2d4569591111b8


이는 WWE PPV 역사상 4번째로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8f391b46ccde5966ee430c752c39649ee5a6e22075c6120b08dacb


킥 오프 경기를 포함해 


지금까지 총 296명의 슈퍼스타들이 


섬머슬램에 모습을 드러냈고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5771e1dd51c94352df4c0de


그 중에는 명예의 전당 입성자 57명도 포함되어 있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2324223e645cae189e58ee87


언더테이커는 섬머슬램에서 10승 5패 1무를 기록해


섬머슬램 역사상 가장 많은 승수를 보유하고 있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8f391b46ccde5966ee430c752c39649fb0f7e57a20c0100b08dacb


참고로 언더테이커의 섬머슬램 기록들 중


'가짜 언더테이커'에게 패한 1994년 경기는 


포함되어있지 않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202113042bb852a54c0dacf6


섬머슬램에서 6연승을 기록한 헐크 호건은


섬머슬램 역사상 가장 긴 무패 행진 기록을 갖고 있는데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8f391b46ccde5966ee430c752c396497e5a6e2722795100b08dacb


반면 그가 1991년부터 2005년까지 14년 동안 


섬머슬램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것은 


역대 섬머슬램 역사상 가장 긴 공백기간이기도 하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7745bd7f5790db5d0752ac6


14년 연속으로 섬머슬램에 참가했던 존 시나는


이 부문 최장기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2474d42e97272896ce65bcda


그 덕분에 존 시나는 섬머슬램 최다 경기 소화 부문에서


언더테이커를 2위로 밀어냈는데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2523fc8c06c8e70b89fa517d


이는 존 시나가 작년 섬머슬램이 열리기 전까지


6연패를 당했던 경기들도 모두 포함되어 있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776c28baf54ab64ba63310f


섬머슬램에서는 모두 114번의 타이틀 경기가 펼쳐졌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42ced4ed4be1fb4c7aeed0f


섬머슬램에서 챔피언들은 근소한 우위를 차지했는데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8f391b46ccde5966ee430c752c39649ae7f2b07a70c5430b08dacb


그들이 섬머슬램에서 타이틀을 유지한 사례는 총 58번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8f391b46ccde5966ee430c752c3964cab5a4e77774c4150b08dacb


나머지 타이틀이 변경된 사례 56번 중 2번은


머니 인 더 뱅크 캐싱 인을 통해 이루어졌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8f391b46ccde5966ee430c752c396498e3f7b0757dc5100b08dacb


여성 챔피언들의 섬머슬램 전적은 1승 6패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92543bb9e772e53848425ad


이는 올해 여성 챔피언 벨트에 도전하는 


도전자들에게 무척이나 반가운 기록이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8f391b46ccde5966ee430c752c39649fe5f0e57572ca400b08dacb


작년 섬머슬램은 도전자들이 빛난 한 해였는데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127495aeb5e1f64d12fe3e9


5개의 타이틀 주인이 변경되어


섬머슬램 역사상 2번째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2523fddb519ee75e89fa517d


이는 2001년 진행됐던 섬머슬램에서 


6개의 타이틀 변동 다음으로 많은 횟수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4708143d2e941b4d706c8ae


반면 1996년, 2003년, 그리고 2006년 섬머슬램에서는


챔피언 벨트의 주인이 모두 그대로 유지됐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25717fd804267b06bc2289c9


브록 레스너, 그리고 랜디 오턴


두 사람은 모두 섬머슬램에서 첫 월드 타이틀을 차지했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20239a1d8a274a6b64467ef4


그들은 섬머슬램에서 첫 월드 타이틀을 획득함과 동시에


똑같은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는데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8f391b46ccde5966ee430c752c39649fe0f5b7707cc0460b08dacb


2002년 섬머슬램 메인이벤트 경기에서 


더 락을 꺾고 첫 월드 타이틀을 획득한 브록 레스너는 


당시 25세의 나이로 최연소 월드 챔피언에 등극했고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027971c99d36537861d6d60


2년 뒤인 2004년, 역시 섬머슬램 메인이벤트에서 *** **를 꺾고 월드 챔피언에 등극한 랜디 오턴은


당시 24세의 나이로 이 부문 기록을 새롭게 작성했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62c33a2bd38bdc7d0b6d04b


한편, 브록 레스너가 복귀한 2012년 이후


섬머슬램은 이른바 '레스너슬램'이라고 불릴 정도였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23270fd10fe391e264f63ce9


브록 레스너는 최근 4년동안 펼쳐진 섬머슬램에서


모두 메인 이벤트 경기를 장식했는데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274dc83a40f9fd3cd91a60c


이전에 출전했던 경기들을 포함해서


그가 총 6번의 섬머슬램 메인 이벤트에 출전한 것은


섬머슬램 역사상 가장 많은 기록이며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72ce0ada6f298bde50f19e8


그 중 브록 레스너가 패한 경기는 단 2번 뿐이었다.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126a3126a24a73febdbad79


과연 올해 섬머슬램에서 로만 레인즈는


브록 레스너에게 3패 째를 안겨다 줄 수 있을까?











viewimage.php?id=3aaad5&no=24b0d769e1d32ca73cef80fa11d028311d91f76561c72d2bb692961bea3858bc3f309ec9654c2dccd15866e6406777769281a053fa36ba63310f


그 결과가 궁금하다면


8월 19일 저녁 7시에 WWE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해보자


※ 한국 시간으로는 8월 20일 오전 8시

(킥 오프는 6시)



추천 비추천

52

고정닉 10

3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1495882 페이튼 로이스 알몸 ㅇㅇ(119.17) 18.09.03 309 2
1495881 하 이번 서시도 좆같겠네 [1] ㅇㅇ(222.104) 18.09.03 91 0
1495880 벤투감독 펑크닮은듯 ㅇㅇ(110.70) 18.09.03 102 1
1495879 이 애덤콜 디시콘들 존나 유용한 듯 [3] 다이빙엘보드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3 317 1
1495878 아무래도 코디는 랜디한테 영향 많이 받았겠지. [2] dd(220.70) 18.09.03 400 3
1495877 코디 인디가서 적응못할줄 무하마드하산(121.88) 18.09.03 82 0
1495876 언더테이커에게 재경기 권한을 쓰는 바티스타 dd(220.70) 18.09.03 106 1
1495875 코디가 경기력으로 따지면 인디계의 랜디 맞긴 하지만 [3] ㅇㅇ(175.223) 18.09.03 339 2
1495874 올인에 네빌 나왔음 했는데 Οㅅ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3 73 0
1495873 알렉사 블리스 진짜 왜이렇게 이쁜거냐? [1] ㅇㅇㅋ(211.36) 18.09.03 518 6
1495871 내일 리바이벌 챔되고 네빌 복귀함 ㅇㅇ(223.62) 18.09.03 111 1
1495870 [노아 뭐야잖아] 모리시마 타케시 복귀전 상대 [1] ㅇㅇ(211.108) 18.09.03 230 0
1495869 쓸쓸한 뒷모습.TranQuilo [2] YeaO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3 486 14
1495868 덥덥이 최근 부터 다시 보고 있는데 로스터 애지네 ㅇㅇ(175.223) 18.09.03 64 0
1495867 올인 보는방법좀 [2] ㅇㅇㅋ(211.36) 18.09.03 140 0
1495866 그래서 네빌은 어떻게 되는거임? [3] ㅇㅇ(223.38) 18.09.03 231 0
1495865 코디가 경기력은 한계가 있는 편 맞지? [9] ㅇㅇ(39.7) 18.09.03 503 5
1495864 올인 보고왔는데 재밌네 ㅇㅇ(59.11) 18.09.03 59 0
1495863 레슬킹덤 티켓 언제쯤 풀리냐? [2] ㄹㄹㄹㄹ(222.113) 18.09.03 121 0
1495862 지금 e채널에 이노키 얘기 나온다 ㅋㅋㅋ ㅇㅇ(223.62) 18.09.03 84 0
1495860 올인으로 영화한편 찍으면 재미있을듯 아님 다큐라던가 용가리형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3 105 0
1495859 잭세이버주니어랑 이부시는 205 귀신같이 걸렀네 ㅋㅋㅋ ㅇㅇ(112.162) 18.09.03 195 4
1495858 현재 배터리양 상태로 당신이 어느 쉴드멤버인지 정해드립니다 [55] 솩테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3 3958 58
1495857 The Dancing Pig [1] ㅇㅇㅋ(211.36) 18.09.03 188 0
1495856 스맥이 뤄에 비해 로스터 빈약함? [5] ㅇㅇ(188.166) 18.09.03 169 0
1495855 딘앰은 왜 빨리는거지 [4] ㅇㅇ(182.215) 18.09.03 205 1
1495854 루차 언더그라운드에서 얘 목소리 좀 거슬리던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3 230 0
1495853 그러니까 이 사진의 할머니가 빈좆 어머니 되시지?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3 253 1
1495852 205 타이터스 오닐이 캐리하던 쇼잖아 [1] ㅇㅇ(175.223) 18.09.03 144 0
1495851 여기서 투오파 당하는 애가 누구냐 [3] ㅇㅇ(112.167) 18.09.03 355 1
1495850 커트앵글 스맥단장시절에는 악역이라서 좋았는데 츠무츠무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3 64 0
1495849 205의 수혜자 [4] ㅇㅇ(211.36) 18.09.03 360 3
1495847 루언 겐세이넣는다고 만들었으면 홍보든 뭐든 해서 노출이라도 잘 시키던가 [2] ㅇㅇ(221.144) 18.09.03 102 0
1495846 론다도 지금쯤 좋은 경기 보여줘야 하는데 뭐냐.. ㅇㅇ(39.114) 18.09.03 63 0
1495845 용훈이 위상은 머리털수랑 비례하냐 [1] ㅇㅇ(175.223) 18.09.03 97 0
1495843 근데 그놈의 투오파는 ㅋㅋ ㅇㅇ(122.47) 18.09.03 147 1
1495842 리코셰는 시공 안 갔으면 좋겠다. 123(121.157) 18.09.03 65 0
1495840 올인 보고왔는데 [2] ㅇㅇ(122.47) 18.09.03 424 12
1495838 론다 래매 스텝한테 암바 재대로쓰고 나머지는다 가짜로쓰네 ㅋㅋㅋㅋ ㅇㅇ(121.88) 18.09.03 81 0
1495837 근데 요즘 인디 신일본에서 205 언급 제스쳐 하는게 진짜 그 205냐.. [10] 3dd(211.229) 18.09.03 493 1
1495836 유니버셜챔피언 벨트 없애고 차라리 월드헤비웨이트 챔피언쉽 부활 하는게 나을듯 ㅇㅇ(180.66) 18.09.03 78 1
1495835 마크 헨리 & 안드라데 시엔 알마스.gif [10] ㄹㄹ(106.102) 18.09.03 524 6
1495834 히데오 링네임부터가 ㅅㅂ 너무 구림 ㅇㅇ(61.97) 18.09.03 69 0
1495833 진짜 인생사 새옹지마네 [2] YeaO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3 282 0
1495831 [레슬원,핫산,의역] 쿠로시오"이케멘" 지로 트위터 ㅇㅇ(211.108) 18.09.03 192 5
1495830 히데오 이타미의 이름으로 했던 경기들 중에선 최고였다. [4] ㅇㅇㅇㅇ(125.180) 18.09.03 290 14
1495829 겜만들다보니까 한계가 너무 명확해서 [1] 킁카킁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3 245 4
1495828 요즘 포스터나 벨트디자인 보면 존나심각함 ㅇㅇ(223.62) 18.09.03 60 0
1495827 보통 북미에서 활동한 가면 하이플라이어 중 누굴 두번째로 보냐? [1] ㅇㅇ(124.58) 18.09.03 121 0
1495826 진짜 약한 선수들 오버롤을 30부터 두고 시작해야하는 거 아니냐? ㅇㅇ(203.226) 18.09.03 10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