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세계화의 재구성: 세계화가 저물가 기조를 만들지는 않았다?앱에서 작성

낭만자산운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19 11:10:01
조회 11038 추천 46 댓글 58

23bcc322e4c375aa61b8d9f801d92d29eee0127860da25fa8d70a08cb42c58

2bb4d733f7d707f751f2e9e746837402005c7c68219a3f154dc8f621815c080c5d3aae6bb4daba6ace25bd55

세계화가 지금까지 물가안정기 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인식은 널리 퍼져있는 상황이다

1dafdf22f0d13db4518fc4bc15d41b14f09c410a112d42a389bab5e15832890d7f0d96731bcef0d1d65b14efd01280ed1f469d

왜냐하면 원자재를 비롯한 생산요소를 비교적 저렴한 다른 국가로부터 대체함으로써 물가에 하방압력을 미쳤다는 사실은 대단히 직관적인 사실이기 때문이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5cfb1b4c2c403550c899b44ff12db87bf4e727e91139e0057c4

실제로 중국의 WTO 가입 이후 GVC(Global Value Chain)는 지속적으로 성장해왔고 대침체 이후 Slowbalization(세계화 정체) 국면으로 진입하긴 했지만 세계화의 영향력은 여전하다

2010년 이후 GVC 성장이 둔화하다 못해 하락하는 그래프를 올려두고 무슨 정체냐고 할수있을테지만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483d3decab6b3c6c4014e179a98d50b8476eb9044fcfdfa3609600fd78d9b91

위의 그래프가 단순히 무역 통계로만 집계해서 무역 통계로만 세계화의 정도를 측정하는 건 한계가 있기에(Grabner et al. 2018)

정량적 세계화 지수, 제도적 세계화 지수를 모두 포함한 KOF 세계화 지수를 보면 세계화는 감소하지 않고 정체됐다고 나타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5cfb6b6c4c403550c899b4d5f0e8052b5d037b04f683c6b5745fc

Auer 외의 연구에 따르면, 원자재나 노동력 등 국내외 생산요소 대체성의 증가는 GVC의 발전으로 설명된다

생산요소 대체성이 증가하게 되면 국내 경제여건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약해지고, 그 결과 저물가 기조가 형성됐다는 것이 이러한 인식을 뒷받침하는 사실이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ab6b3c2c403550c899bfa74d9d1b827786d08b6b99b05ebf864

실제로 Bianchi&Civelli의 연구에서는 국내 유휴생산력에 따른 산출갭과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ab7b7c9c403550c899b354af23ebbd5a80e8216bc48a5e54729

글로벌갭 간의 관계를 비교해봤을때 (실업과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필립스곡선이 평탄화돼 세계화가 저물가 기조에 기여했음을 보여줬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9b2b5c2c403550c899bef1c6ff773819823c482aa1ea701e333

Ahmad&Civelli의 연구에서도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8b3b7c7c403550c899b68e6b322695d4b19cebc05d000e3731a

하지만 Milani의 연구에서는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미친 영향이 '무시할만큼 작은 수준'으로 결론지었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8bab4c3c403550c899b755a6f54387b0963af16c23258c135a0

Mikolajun&Lodge의 연구에서도 글로벌갭은 원자재 가격에 대해서는 설명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대인플레이션에는 제한적인 설명력만 가졌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8bbb7c9c403550c899b65c06e08ef94e368d0c51580c7ffd9f2

데이터를 '02 Q1부터 '14 Q3까지 한정했을 경우 설명력은 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eb0b2c2c403550c899b77b059e3b07b71fef34024117cd0d966

Lodge&Pérez 외의 연구에서도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9b2b7c9c403550c899b297aefa291d17afa3d8b17abf5360caf

CPI 상승률을 변수로 했을 경우, Forbes의 연구에서는 GVC가 CPI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Core CPI에는 설명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9b6b6c8c403550c899b59938fbfb0c507993f20abcf177be7c0

Forbes의 다른 연구에서는 43개국의 1990년 Q1부터 2017 Q4까지의 인플레이션을 순환 요인과 추세 요인으로 분해하고 세계화가 인플레이션에 미친 영향을 다시 분석한 결과

순환 요인에서 세계화의 설명력은 유의했으나 추세 요인에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기대인플레이션이 강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8b0b2c7c403550c899b6537fc1092827453d7a216bf98045d61

이같은 혼재된 연구결과들이 의미하는건 무엇일까?

다시 Lodge&Pérez의 연구로 돌아가서, 저자들은 재화의 추세 인플레이션과 서비스의 추세인플레이션을 나눠봤을때 세계화는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8b1b6c3c403550c899b9a9515ea7d74eb5300403499d17e95

재화의 추세 인플레이션에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으나 서비스의 추세 인플레이션에는 양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어째서 세계화가 서비스 추세 인플레이션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은 없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483d3deceb3b3c6c403550c899b5d3ac73eb26695d25bd71ca8219df356

한편 Eo 외의 연구에서는 '90s 이후 재화 추세 인플레이션은 0% 내외에서 좁게 변동하는 반면 서비스 추세 인플레이션은 3% 이상으로 형성돼있었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eb7b6c3c403550c899b86a6e3661a1addf756d1fb22c14a6a88

이로부터 추세 인플레이션을 설명하는 건 재화가 아닌 서비스 인플레이션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fb5b2c4c403550c899bd75c9682d3f620da7ee53f4e742d8b26

또한 Adbith 외의 연구에 따르면 Core Goods, 근원 재화 물가는 국외 경제여건과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이,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fbab6c0c403550c899b18eccdc0f8074038c48eaa573e06e3de

Core Services, 근원 서비스 물가는 국내 경제여건과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으로이 주요한 결정요인인것으로 분석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483d2d7cbb4b6c3c403550c899b7df9750d70a0cabde84dd193e81e3c6f

마지막으로 Kamber&Wong의 연구는 선진국 및 신흥국 7개국, 21개국을 대상으로 추세 인플레이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기대인플레이션이 추세 인플레이션의 지배적인 설명력을 가졌다는걸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미친 영향을 제한적이거나 작은 수준으로 결론짓는 연구들도 통계적으로 음의 영향을 보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 세계화는 저물가기조에 기여한건 사실이다

하지만 세계화가 지배적인 요인은 아니었으며, 잘 고정된 기대인플레이션이 지배적인 요인이었다는게 이 글의 결론이다


출처: 나스닥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6

고정닉 19

1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34281
썸네일
[공갤] 영국 징병제 부활
[588]
ㅇㅇ(118.235) 05.26 38734 301
234279
썸네일
[야갤] 야동 볼거면 품번 있는 야동을 보라...JPG
[721/1]
포흐애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07989 578
234275
썸네일
[더갤] "조국당 민생1호법안은 '일하는 사람' 위한 기본법"
[364]
고닉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6886 65
234273
썸네일
[군갤] 그 유난떨던 푸바오 근황
[8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65487 569
234271
썸네일
[무갤] 병원도 약국도 없는데...의사까지 0명 된 마을
[561]
ㅇㅇ(176.83) 05.26 24414 150
23426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양치기 소년
[63]
ㅇㅇ(112.161) 05.26 16618 116
234267
썸네일
[해갤] 🌕 손흥민한테 찿아온 3번의 우승기회 ....txt
[450]
ㅇㅇ(211.46) 05.26 34892 853
234265
썸네일
[걸갤] 민희진 최신 근황...jpg
[609]
걸갤러(220.122) 05.26 65752 989
234263
썸네일
[기갤] 눈썰미가 부족하다고 말하는 배우 오정세.jpg
[13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21641 147
234261
썸네일
[부갤] 스압) 사건 터져버린 대구 아파트.
[622]
라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33567 365
234259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악플 때문에 자살한 이태원 생존자 고등학생
[2126/3]
ㅇㅇ(121.135) 05.26 58516 237
234255
썸네일
[카연] 톱머리 교도소의 우아한 일상
[44]
염승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8584 77
234254
썸네일
[주갤] 사건 반장은 왜 강형욱을 담구려 했을까...?
[1117]
ㅇㅇ(110.15) 05.26 68636 2700
234252
썸네일
[기갤] 임영웅콘 클라스 ㅎㄷㄷㄷ
[394]
ㅇㅇ(106.101) 05.26 28460 141
234250
썸네일
[대갤] 제주서 번호판 없는 차량 도주... 잡고보니 中불법체류자
[210]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9742 309
234249
썸네일
[새갤] '해외직구 금지' 철회하자…소상공인들 '역차별' 호소
[839]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38916 427
23424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어머니의 카레 재현하기.manhwa
[19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26532 269
234245
썸네일
[오갤] 칸 영화제 션 베이커 황금종려상
[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4200 25
234244
썸네일
[무갤] "이젠 안 가도 돼요"...바뀐 분위기에 점주들은 '난감
[738]
ㅇㅇ(118.43) 05.26 46432 204
234242
썸네일
[이갤] 더 현대 광주: 2027년 개점한다...더 현대 서울의 1.5배 규모
[7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24432 120
234240
썸네일
[맨갤] 맨유 우승 사진들
[139]
탄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6807 103
234237
썸네일
[새갤] 野7당, 대규모 장외집회... 최재형, 與 4번째 특검법 찬성 표명
[223]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0722 38
23423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현재 세계를 선도하는 국가들.jpg
[373]
ㅇㅇ(1.218) 05.26 37641 176
234234
썸네일
[이갤] 구름중 제일 위험하다는 살인 구름 "슈퍼셀"...jpg
[320]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40875 256
234232
썸네일
[치갤] 위너즈 반박... 오킹 폭로 인스 떴다 ㄷㄷㄷ
[4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61847 434
234230
썸네일
[스갤] 싱글벙글 Apple Watch 닮아가는 갤워치7 근황
[274]
윰큠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25429 103
234229
썸네일
[새갤] 고민정 vs 최민희, '종부세 폐지' 놓고 설전.. 강성당원 반발도
[363]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6622 110
234226
썸네일
[기갤] 문희준이 홍경인을 무서워하는 이유.jpg
[26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25188 234
234224
썸네일
[해갤] 이강인 트로피샷 고화질 버전.jpg
[373]
해갤러(210.113) 05.26 25941 523
23422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약간 맛이간 힐러.manhwa
[1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29183 267
234221
썸네일
[배갤] 러시아 여행기
[171]
HDH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5363 100
234218
썸네일
[미갤] 침착맨과 주우재 옷 바꿔입기.jpg
[3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37786 220
23421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뉴진스 불러도 욕 먹는 부산대 근황.jpg
[449]
싱벙이(223.39) 05.26 60861 137
234214
썸네일
[미갤] 강형욱이 말하는 노견의 특징.jpg
[34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37863 357
234213
썸네일
[이갤] 영화 역사상 최고의 오프닝씬 TOP 20..gif
[196]
이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27015 45
23421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알고싶지 않았던 불편한 진실.jpg
[200]
안심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43345 120
234209
썸네일
[미갤] 서로 미담 주고 받는 리치 선배 김희선과 리치 후배 한선화.jpg
[7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7483 28
234208
썸네일
[이갤] 급식으로 해산물만 나온다는 고등학교...jpg
[261]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45007 155
23420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국인과 핀란드인
[301]
ㅇㅇ(59.12) 05.26 27641 216
234203
썸네일
[이갤] 저임금에 일본을 떠나는 일본 청년들...jpg
[687]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36588 219
234199
썸네일
[S갤] KC 영리화, 전안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 요약 및 시각화
[305]
페도대장재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6787 172
234198
썸네일
[싱갤] 냠냠쩝쩝 먹으면 위험한 게임
[15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31323 117
234196
썸네일
[이갤] 시대별 태극기의 모양 변화 과정...jpg
[28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8899 151
234194
썸네일
[이갤] 인류 역사상 최고의 문학작품 TOP 20..JPG
[220]
이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21600 58
23419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지방에서 투탑이었던 대학들의 몰락과정.JPG
[368]
ㅇㅇ(103.5) 05.26 38320 306
234191
썸네일
[대갤] 日, 소방단 발전기 49개를 훔쳐다 판 스시부부 체포
[178]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9501 162
234189
썸네일
[쿠갤] 겁나 늦게 쓰는 쿠림픽 참가 후기 만화
[47]
fate070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1812 39
234188
썸네일
[싱갤] 냠냠쩝쩝 잘못 먹으면 위험한 물고기들
[10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25629 173
234184
썸네일
[인갤] 집가면서 쓰는 2024 PlayX4 목요일 갤기장
[47]
김메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0122 19
234183
썸네일
[싱갤] 김성모식 인간극장
[530]
코브라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49929 37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