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자축합
쥐(자수)는 소(축토)와 궁합이 좋다.
쥐(자)는 시궁창(축)에 있을 때 행복감을 느끼고 진가가 발휘됨.
축미충이나 축술형, 축진파 할때, 자는 축 속으로 입고되어 들어가버림.
0 무 0 0 건명
0 자 축 0 <-- 미 대운. 축미충.
무토 일간(남자)의 부인 자수(마누라)는 축토(겁재.경쟁자.라이벌)와 합되어있다.
부인이 일단 바람이 나있는 상태.
자 는 축에서 관대지에 놓이니,
바람난 축토 이남자한테 반하게 된 이유는 마누라한테 이쁘다고 멋있는 옷을 자꾸 사주므로 둘이 정분이 남.
이 때 축미충이 일어나면, 자수가 축 속으로 입고되어 들어가버리므로
축미충의 시기에 끝끝내 자수 마누라는 축토 남자와 아예 짐싸고 도망가버린다.
2. 인해합
호랑이(인목)은 멧돼지(해수)를 보면 먹이가 나타났으므로 미친듯이 달려간다.
인해합은 그래서 상당히 빠르게 나타남.
그러나 호랑이는 결국에 멧돼지를 갈기갈기 찢어먹고 만다. (중간에 멧돼지도 몇번씩 반항은 하겠지)
그러므로 인해합 이 인해 파 로 변하는 것이다.
인해 는 선합 후파 (먼저 합한 후에 나중에 깨짐.)
처음에 마음에 들어서 미친듯이 달려가서 빛의 속도로 합한 후 결국엔 깨져버리는 것.
결국 종합하자면, 인해합은 인 입장에서는 이득보고, 해 입장에서는 손실이다.
3. 묘술합
개(술토)는 토끼(묘목)을 보면, 사냥개 본능으로 돌변한다.
묘는 현침의 물상으로 섹시하므로 개는 침을 질질 흘리면서 잡으려고 쫓아감.
하지만 토사구팽(사냥개가 토끼를 잡아왔으면, 그다음엔 사냥개가 삶아져서 개고기탕이 됨.)
이므로 역시 합한 후에 서로 골치 아픈 상태가 된다.
묘술 은 합후 질기 (합한 후에 서로 이별하지도 못하고 시기질투가 계속 되는 상태)
4. 진유합
독수리(유금)이 거대한 물고기(진토)를 낚아챈다.
하지만, 원샷원킬의 독수리도 수면에 올라온 거대 물고기를 낚아채서 들고 가기엔 무거워서 부담인것이다.
독수리 입장에서는 계속 운반해서 가져가고 싶고 놓지 않고 싶다.
물고기 입장에서는 물 속으로 돌아가고 싶은데 놔주지 않으니 답답하다.
합한 후에 서로 짜증나는 상태가 되는 것임.
진유 도 역시 합후 질기.
물상의 천재였던 부산 박도사는 진유합와 묘술합이 "지랄같은 합" 이라고 하였다.
합해서 서로 괴로워지면 속시원하게 떨어지면 되는데, 떨어지지도 않는 요상한 관계를 계속 끌고가는 것.
그리고, 진유합의 경우에도
독수리나 물고기 둘다 그다지 형편이 좋은 상황에서의 합이 아니다.
독수리가 얼마나 잡아먹을 게 없었으면, 물가에 돌아다니면서 물고기나 거들떠보고 다니겠는가.
거대 물고기는 원래 깊은 물 속에 살아야하는데 얼마나 정신이 빠졌으면 수면에서 멍청하게 떠다니고 있었겠나.
진유합의 육친도 서로 흐리멍텅한 상태에서 합을 한 것이다.
5. 오미합
사슴(오화)와 양, 염소(미토)의 조합은 굉장히 아름답고 평화롭다.
午(오)는 말(馬)의 형상도 되고 사슴의 형상도 된다.
오는 사슴이고, 丙(병) 의 물상도 사슴이다.
옛날부터 임금은 태양(丙)에 비유했고, 군주끼리의 싸움은 중원지록 이라고 했다.
중원에서 사슴들이 서로 싸우는 형상을 뜻하는 것이다.
사슴은 예쁘고 순수하지만, 사슴끼리 놔두면 서로 뿔을 치받고 싸우고 경쟁한다.
맹렬히 싸우면서 시냇물이 피범벅이 흐를 때까지 또는 다른 한마리가 죽을 때까지 싸운다.
그래서 午午(오오)형이 장난 아니게 무서운 것이다.
하지만, 오미합이 되면 사슴과 염소는 다투지 않고 평화롭게 잘 지낸다.
오는 말을 뜻하고, 미(未)는 염소,양 말고 기러기를 뜻하기도 한다.
옛부터 오미합의 조합을 "마홍주비" 라고 해서 "말은 달리고 기러기는 멀리 난다." 라고 했다.
사주팔자 안에 오미합이 있는 것 만으로도 " 이 사주는 굉장히 발전합니다." 라고 해도 상관없는 것이다.
팔자 안에 오미합은 존재해야 좋은 것이다.
오미합은 다른 육합과 다르게 굉장히 긍정적인 합이다.
오미합 역시 자축합처럼, 축술미진 운에 형충해서 오가 미 속으로 입고된다.
6. 사신합
뱀(사화)는 고양이(신금)에게 잡아 먹힌다.
( 고양이 키워본 사람은 알겠지만, 가끔씩 고양이가 밖에서 새끼 뱀을 잡아와서 잘했다고 칭찬해달라고
애처롭게 쳐다보는 경험이 있을 것이다. 주인은 끔찍한데 고양이는 뿌듯해함. )
지렁이(사) 는 고양이에게 잡아먹힌다. 고양이는 뱀보다는 지렁이를 훨씬 잘 잡아먹는다.
사실은, 고양이는 배고파서 잡는 게 아니라 흥미로와서 잡는 것임.
신(申) 은 고양이를 뜻하기도 하지만 원숭이를 뜻하기도 한다.
원숭이(신) 는 큰 뱀에게 통째로 잡아 먹힌다.
사신합은 무서운 것이다.
사 가 신에게 잡아먹히기도 하고, 신 이 사 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앞의 합들은 하나가 하나를 잡아먹고, 다른 하나는 당하고 하는데 이것은 서로 잡아먹힌다.
그래서 사신합은 사신 刑(형) 이다.
巳(사) 는 신(申)에서 병지에 앉아 병든다.
신(申) 은 巳(사)에서 생지에 앉아서 생생하게 활발하다.
그러므로, 사신 은 사 보다는 신 의 입장에서 더 이득이다.
---------------------------------------------------------------------------------------------
子丑(자축)과 午未(오미)는 괜찮은 합이다.육합중에 가장좋은합은 午未(오미)합이다.寅亥(인해)와 巳申(사신)은 先合後破(선합후파) 이다.하나는 生(생)하고 하나는 病(병)드는 生病物象(생병물상)이다.辰酉(진유)와 卯戌(묘술)은 合後疾忌(합후질기) 이다. 둘 다 상처를 입는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