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과목별 1차시험팁 세법모바일에서 작성

ㅇㅇ(110.70) 2017.09.03 15:12:27
조회 5289 추천 5 댓글 16

교재선택-필자는 나무경영 종합반테크를 탔기 때문에 노랭이 세법책으로 수업을 들었음. 하지만 이철재 저 세법강의 라는 책도 읽어봄. 두 교재를 비교해본 결과 가독성면에서 이철재 선생의 책이 더 낫다고 판단함. 노랭이책을 이용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이 책은 강의 순서로 편집되어있지 않고 법조문과 유사하게 편집되어 있어서 나무경영에서도 강의시에 책을 앞뒤로 왔다갔다 해가면서 읽어야 했고 회독을 늘리기에 구린면이 있음. 따라서 필자는 노랭이 책은 강의시에 일회독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내용정리는 이철재 세법책으로 하였슴. 이승철, 이승원 강의를 듣는 사람들은 노랭이 책을 사용해야 겠지만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이철재 책으로 회독수를 늘리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듯.

강사-이승철 선생은 강의시에 주로 서브노트를 이용해서 강의하고 설명이 비교적 자세한 편임. 여러 과목 강사들을 비교해보았을 때 가장 표준적인 강의 스타일인듯함. 이승원 선생은 비교적 버리고 가야할 주제를 명확히 언급하는 편임. 학원강사 입장에서 어떤 주제를 버려야 할지 언급하는 게 리스크가 큰편인데 일차 합격만 염두해둔다면 목적적합한 강의 스타일이라고 생각함. 하지만 올해 이차 세법문제를 보면 망하기 좋은 공부방식임. 따라서 일차에서는 이승원 강의를 이용하고 이차에는 이승철 세무회계강의를 수강하는 것도 괜찮은 방식일듯함. 종합반을 이용한다면 두 강사의 강의를 반반씩 듣게 될텐데 본인 성향에 따라 한쪽을 버리고 인강으로 보충하는 방법도 있을듯. 이철재 선생의 인강을 들어본적있는데 개인적으로 비추함. 굉장히 지엽적인 부분도 자세히 가르치고 빈출되는 주제와 중요성에서 차별을 두지 않고 강의하는 느낌임. 예를 들면 소득세 최저한세 나 기부금장려제도와 같이 기출된 적 없는 지엽적인 주제도 거르지 않고 강의하는 스타일임.

제껴야하는 부분(?)-이건 솔직히 케바케임. 기본적으로 법 소 부는 반드시 해야 함. 국기법과 상증세법 중 하나를 제낄 수 있을 것 같은데 반드시 제껴야할 상황이 된다면 상증세법을 제낄 갓을 추천함. 상증세법은 암기해야 할 숫자가 너무 많고 투입해야하는 시간에 비해 출제분량이 굉장히 적음(보통 2문제 나오지만 올해 3문제 기출됨). 하지만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은 일차때 제낀 주제는 동차기간에 새로 공부할 수 없다는 사실임. 상증세는 요근래 이차시험에 매년 기출되지만 국기법은 이년 연속으로 쉬고있는 주제임. 이차시험에서 칠점정도 버리고도 합격할 자신이 있다면 상증세법을 제낄 것을 추천함.

공부해야하는시기-종합반에서 커버하는 범위는 법 소 부 임. 법 소 부를 늦어도 추석연휴 전까지 이회독 이상할 것. 가을종합반의 경우 이러한 전략이 사실상 불가능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반드시 객관식 교재를 구입해서 강의진도에 맞춰서 주요문제를 풀어봐야 함. 주요문제 리스트는 학원 홈페이지에서 구할 수 있음. 국기법이나 상증세법은 추석연휴나 주말 같이 공부 스케줄이 느슨해지는 시기에 반드시 수강할 것(상증세법을 제낀다면 국기법만 수강). 국기법의 경우 객관식 문제를 여러번 풀어볼 필요는 없음. 어차피 다맞추기도 힘들고 국기법을 다맞출려고 공부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임. 그냥 기본서에서 해당부분만 도려내서 이동중이나 집가기전 같은 붕뜨는 시간에 여러번 읽어보는 것으로 충분함. 국기법강의는 나무경영에서 온라인으로 무료 제공하므로 해당강의를 통해 여러번 읽을 부분을 따로 정리할 수 있음. 만약 법인세 중 각사소득이외의 법인세나 연결납세제도, 소득세 최저한세, 외국법인과 비거주자 과세체계, 비영리법인과세체계를 챙겨갈 생각이라면 십이월부터 준비해도 늦지 않고 이런부분은 객관식문제를 풀지 않는 것을 추천함. 해당 부분을 공부하고자 한다면 각 강사의 서브노트에 나오는 정도만 암기하고 있으면 충분할 것.(언급된 부분은 올해 일차시험에 출제되지 않았음)

개정세법과 객관식 강의-겨울부터 하는 객관식 세법강의는 듣지 않는 것이 좋음. 혹자는 객관식 강의에서 개정될 만한 내용을 미리 강의하기 때문에 객관식을 반드시 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객관식강의는 말대로 문제풀이강의임. 기본강의를 성실히 수강하고 진도에 맞게 객관식 주요문제를 풀어왔다면 전혀 필요없는 강의고 오히려 겨울에는 강의갯수를 극히 적게하고 기본서 회독이든 문제풀이든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더 필요함. 개정사항이 걱정이라면 일월중순부터 각학원에서 제공하는 무료 개정세법 강의를 이용하는 것이 훨신 효율적임. 이경우 반드시 개정이 반영된 객관식책을 다시 구입하여 개정사항만이라도 전국모의고사 전에 한번이상 풀어봐야함. 필자의 경우 이승원 선생의 개정강의를 이용했고 강의시간은 세시간정도로 짧은 편임. 개정강의를 이용하는 경우 그전에 반드시 법 소 부 전체 내용을 숙지하고 있어야함.  물론 이때까지도 법 소 부에서 얼타는 경우 그년도 일차시험은 물건너간 것.  

객관식문제집-세법의 경우 객관식 문제를 반드시 풀어야 하는 과목중 하나임. 기본내용을 암기하는 것만으로는 말문제 정도만 대비할 수 있음. 아직까지 세법 기본 강의를 수강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여유부리지 말고 진도에 맞춰서 객관식 책을 꼭 풀어야 함. 늦어도 각주에 수강한 범위는 주말을 이용해서 반드시 풀어 볼 것. 올해는 개정이 많이 이루어지겠지만 개정사항이 확정된 후에 문제푸는 것과 미리 한번이상 객관식을 돌리고 내년 초에 개정사항만 다시 풀어보는 것은 멘탈적인 면에서 확연히 차이남. 문제는 가급적 전수로 푸는 것이 좋겠지만 처음에는 주요문제만 풀이하는 것도 힘들기 때문에 나름의 규칙(예를들어 홀수번만 푼다던지)을 정하고 풀어볼 것을 권유함.

구체적으로 궁금한 부분은 댓글을 통해 물어보면 성실히 답변하겟슴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새로운 워터밤 여신으로 자리잡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5/19 - -
AD 해커스 지방직9급 합격예측사전예약 네이버페이 증정 운영자 25/04/08 - -
공지 고시, 시험 갤러리 이용 안내 [171] 운영자 05.01.02 96391 41
2059477 아니 공무원이 시시하게 느껴져서? 공시공부에 의욕이 아예 안생기는데 나보 [1] 드루퀸50백수로부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9 36 0
2059476 공무원 시험도 공부하는 습관이 좀 잡혀야 [1] 고갤러(112.171) 16:47 34 0
2059475 열심히 했어야 포기란 말도 쓰는 거지 공시공부를 아예 안했는데 뭘 포기란 드루퀸50백수로부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2 20 0
2059474 공무원 공부 노무노무 하기 싫다 왜이리 공무원이 하기 싫을까? 2004년 드루퀸50백수로부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39 19 0
2059473 55살에 변호사가 된 분이시노? 훌륭하신 분인데 로스쿨 출신이네 공부도 드루퀸50백수로부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36 25 0
2059472 코리안리 vs 세무사 [2] 고갤러(211.234) 16:03 38 0
2059471 법무사는 토익 안되는애들이 한다니까? [2] ㅇㅇ(118.235) 13:14 69 0
2059470 아무리생각해도 드라마제목이 노무사노무현이 아닌게 진짜좆같다 고갤러(223.38) 12:28 32 1
2059468 구급병신은 여길 오질말어 [4] ㅇㅇ(211.234) 03:23 97 4
2059467 법무사 응시료 리트처럼 24만8천원으로 올려야 2만원은 [1] 공갤러(220.80) 05.21 89 0
2059466 20살 9급 VS 30살 손사(원수사) [7] ㅇㅇ(211.234) 05.21 104 0
2059465 TOEIC이 안되고 회계,경제학 숫자 계산안되고 로스쿨,행시,7급 [2] 공갤러(134.75) 05.21 98 0
2059464 나 대기업 생산직인데 [3] 고갤러(118.235) 05.21 98 0
2059463 손해사정사 따고 행정사도 따서 월천 벌어야지~ [6] 고갤러(211.234) 05.21 163 0
2059461 고시3관왕에 도전해보고싶기도 [1] ExLif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11 2
2059460 좆병신새끼들이 보험금청구 성질 물어봤는데 이악물고 쯔엉거리네 [12] ㅇㅇ(211.235) 05.21 194 5
2059459 211235 저새긴 행정사든 고갤러(106.102) 05.21 98 8
2059458 쯔엉이형들 말대로 산재대리청구가 가능하다고 생각해봐도 [7] ㅇㅇ(211.235) 05.21 158 4
2059457 쯔엉이 vs 9급 붙으면 진지하게 누가 이기냐? [4] ㅇㅇ(58.239) 05.21 121 3
2059454 쯔엉이들에게 물어보고 싶은게 있음 [3] 고갤러(211.46) 05.21 135 2
2059452 놈충이 = 법률조무사 ㅇㅇ(211.235) 05.20 67 3
2059451 산재청구가 인허가냐 개 좆병신새끼야 ㅋㅋㅋㅋ [8] ㅇㅇ(211.235) 05.20 252 8
2059450 아니 왜 드라마제목이 노무사노무현이 아니냐고 [1] 고갤러(223.38) 05.20 90 0
2059449 자발적으로 회비 안내는 집단 [1] ㅇㅇ(211.235) 05.20 157 2
2059448 쯔엉이새끼들이 자꾸 산재 대리 가능하다고 우기는데 [11] ㅇㅇ(211.235) 05.20 197 3
2059447 관세사가 세무사보다 돈더잘버네 [1] 고갤러(223.38) 05.20 161 0
2059446 내가 실력이 서울대급인데 학벌이 구려 이경우 어떡해야하냐 [3] ㅇㅇ(118.235) 05.20 113 0
2059445 자발적 삥뜯김 시험: 법무사 공갤러(134.75) 05.20 171 1
2059444 중개사딴 중학생 공갤러(134.75) 05.20 104 0
2059443 아주대, 노무사 1차 합격시 200만원 줌 [1] 공갤러(128.134) 05.19 141 0
2059442 고갤에는 없는 전문직 소득자료 [5] 법갤러(122.128) 05.19 249 4
2059441 손해사정사도 개업 성공하면 월천벌더라 [10] 고갤러(1.233) 05.19 224 2
2059440 왜 드라마이름이 노무사노무진임? [1] 고갤러(223.38) 05.19 153 2
2059439 손해사정사 따고 노무사 공부해야겠다 [8] 고갤러(211.234) 05.19 223 1
2059438 행정고시 교정직 vs 법무사 [4] 고갤러(211.234) 05.19 153 0
2059437 학벌이 구린데 실력은 서울대급이면 최고의방법을 말해주자면 [1] 고갤러(223.38) 05.19 116 2
2059436 학벌은 구린데 실력은 서울대급이라면 어떻게해야하냐? [5] ㅇㅇ(118.235) 05.19 150 0
2059435 그러니까 노무사 법무사 관세사 딸바엔 손해사정사따는게 낫다는거지? [5] 고갤러(223.38) 05.19 293 3
2059432 3700원에 독촉장 써줌 [1] 공갤러(220.80) 05.18 182 0
2059429 공문의 노무서류 접수거부가 [7] 고갤러(106.102) 05.18 313 14
2059428 놈충이는 행정사의 하위호환 고노부가 공문으로 인정! 고갤러(14.39) 05.18 130 7
2059427 이미 해외에선 ai 로펌 등장 [5] ㅇㅇ(221.150) 05.18 208 0
2059426 학벌보단 실력이 더 중시돼야 하는 사회가 맞지 않냐? [2] ㅇㅇ(118.235) 05.18 132 0
2059425 행정사가 법이나 전문직 얘기 할때 사람들 속마음 [2] ㅇㅇ(45.94) 05.18 297 14
2059424 법무사와 법원행시의 공통점(단순, 보조 업무) 공갤러(211.234) 05.18 120 2
2059423 당근 법무사 상담 요청글 답변 모음 [2] 공갤러(211.234) 05.18 198 0
2059422 법행 1차 psat가 교정 행시 76점보다 10~16점 낮음 공갤러(220.80) 05.18 79 0
2059421 재물손해사정사 법인가서 5년차에 세전 7000 받더라 [3] 고갤러(1.233) 05.17 222 0
2059420 법무사 [3] 공갤러(128.134) 05.17 354 1
뉴스 '탄금' 배우 김인하, 조보아를 위기로 몰아넣는 정략결혼! 묵직한 존재감으로 눈도장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