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빌게이츠 “한국, 탄소제로 하려면 원전 필요하다”

ㅇㅇ(175.223) 2021.02.15 14:32:07
조회 191 추천 0 댓글 0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0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원자력이 필요하다.”


빌 게이츠(66)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국과 독일 등이 탄소 배출량을 줄이려면 탈(脫)원전 정책을 재고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기후변화는 가능한 모든 방법을 추구(pursue)해서 대응해야 하는 너무나도 중요한 문제다. 핵분열(원자력발전소), 핵융합, ‘그린 수소’(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친환경 수소) 등 모든 가능성을 탐구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런 생각을 담은 그의 책 ‘빌 게이츠, 기후 재앙을 피하는 법’(김영사)이 16일 출간된다. 억만장자에서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행동가로 변신한 그를 지난달 29일 화상 인터뷰로 만났다. 인터뷰에는 게이츠와 한⋅중⋅일 등 아시아 지역 6국 기자 11명이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인류가 2019년 한 해 지구가 처리 가능한 용량 이상으로 배출한 온실가스가 510억t에 달한다고 보고 있다. 이 중 전기를 생산하면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4분의 1 수준으로 138억t(27%) 수준이다. 그러나 ‘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전기 사용량이 더 늘어나야 한다. 게이츠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전기차, 전기 난방, 공장 생산 과정 전기화 등을 고려하면 ‘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전력이 현재의 2.5배 이상이 필요해진다”며 “지난 수십년간 주요국들은 전력 생산량을 거의 늘리지 않고 있었는데 그 전기를 어디선가는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원전은 여러 나라에서 논란이 되고 있지만, 현세대 원전은 화석연료 등 다른 어떤 발전소보다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이보다 더 안전한 차세대 원전도 개발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책에서 “원자력은 매일 24시간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원전만큼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전력 생산 방법은 없다”고 했다. “안전에 대한 우려 때문에 미국에서는 1979년 스리마일섬 사고 이후 새로운 원전 건설이 거의 중단됐다. 한 해에 모든 원자력 관련 사고로 사망하는 사람보다 석탄발전소에 의한 오염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더 많은데도 그렇다. 대중이 열린 마음으로 원자력을 바라보길 희망한다.”

“탄소 안줄이면 기후재앙… 코로나 사망자의 5배가 숨질 것”

“대중이 원전(原電)을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 어렵다. 기존 원전과는 드라마틱하게 다른 안전한 원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5년만 기다리면 신형 원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입증하는 게 가능하다.”

화상으로 만난 빌 게이츠는 검은 뿔테 안경을 쓰고 와인색 카디건에 푸른 버튼다운 셔츠를 받쳐 입은 편안한 차림이었다. 한 단어씩 끊어 가며 또박또박 말했다. 그는 요즘 유행하는 화상회의 플랫폼 ‘줌’ 대신 자신이 창업한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팀즈’를 통해 만나자고 했다. 기사에는 인터뷰 사진을 쓰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다.


―태양광·풍력·지열 등 다른 재생 에너지도 있는데 굳이 원전을 고집하는 이유는.

“미국이나 유럽 일부 국가처럼 대규모 태양광·풍력 발전이 가능한 운 좋은 나라는 별로 없다. 아프리카와 아시아는 재생에너지를 대량으로 확보하기 불리한 지형과 기후를 갖고 있다. 태양광과 풍력은 같은 면적에서 생산하는 전력량도 원전에 못 미친다. 날씨와 계절 영향도 받는다. 한번 생산한 전력을 보관해놓을 방법도 현재 배터리 기술로는 마땅치 않다. 영국은 국토 전체를 지열발전소로 만들어도 전체 에너지 수요의 2%밖에 공급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당신이 일본 총리라면 원전 도입을 설득할 수 있겠나.

“지금 당장 일본 국민을 상대로 원전을 홍보하긴 어렵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내가 개발하고 있는) 다음 세대 원전은 자동화돼 인간의 실수가 개입될 여지가 없고, 원자로가 지나치게 뜨거워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기술이 적용돼 있다. 미국 정부와 협력해 아직 설계도만 있는 이 원전의 첫 시제품을 이르면 5년 안에 만들 계획이다. 안전한지, 얼마나 싼값에 전력 공급이 가능한지 확인되면 일본도 다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신형 원자로를 개발하는 기업 ‘테라파워’를 2008년 만들었고, 현재 이사회 의장으로 있다.


―당신의 원전을 홍보하려는 전략처럼 의심할 수도 있다.

“테라파워가 개발하는 차세대 원전은 이론적으로는 4분의 1 값으로 지을 수 있다. 미국은 천연가스를 통한 전력 생산비가 너무 싸서 현세대 원전은 가격 경쟁력이 없다. 천연가스가 싸서 원전 경쟁력이 떨어지는 미국, 앞으로 원자력발전이 필요할 저개발 국가는 새로운 원전이 필요하다.”

게이츠는 “원전은 밤낮과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대규모 전기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유일하게 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에너지원이다. 그 어떤 다른 청정 에너지원도 원자력과 비교할 수 없다”고 책에 적었다. “우리가 더 많은 원자력발전소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가까운 미래에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망을 탈탄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보이지 않는다. MIT는 2018년 1000가지 탄소 중립 시나리오를 분석했는데 그중 가장 싼 방법은 모두 원자력을 활용한 방법이었다.”

―이미 만들어진 원전은 상대적으로 위험한 것 아닌가.

“현세대 원전도 다른 어떤 전력 발전 수단보다 안전하다. " 그는 책에 더 상세한 설명을 남겼다. “자동차가 사람을 죽인다고 자동차를 없애자고 하지는 않는다. 지금 사용하는 원자력발전소는 자동차보다 훨씬 적은 수의 사람을 죽인다. 테라와트시(TW·h)의 전력당 석탄은 24.6명, 석유는 18.4명의 사망 사고가 났다. 원전은 0.07명이 숨졌다. 직접 사고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 등을 모두 포함한 수치다.”

―'기후 재앙'을 막기에는 늦었다는 지적도 있다.

“기후 재앙은 아직 오지 않았다. 기후변화로 사망하는 사람은 말라리아, 에이즈, 결핵 등으로 숨지는 사람보다 적다. 물론 지금도 산불·기근· 허리케인 등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숫자를 봐야 한다. 지금은 코로나 팬데믹이 훨씬 더 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다. 코로나는 백신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인류가 아직 모르는 것이 많다. 그렇지만 지구 평균 온도가 2도 이상 올라갔을 때 어떻게 되는지를 겪어보고 판단할 수는 없다. 코로나로 여러 분야에서 국제 공조가 이뤄졌다. 마찬가지로 기후변화 대응에서 더 잘 협력할 필요가 있다.”

그의 책은 이렇게 마무리된다. “나는 낙관주의자다. 기술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대로 된 계획을 세우면 재앙을 피할 수 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3506922 대부회사 10000개정도 만들어서,,건물에 전부 입점시켜서,,소비시키고 ㅇㅇㅇ(61.101) 21.03.13 46 0
3506921 뉴스야 단독)윤석열 "내가 경제, 외교 모른다고?" [1] 레알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257 3
3506920 최악의 정부?? 판관사사77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66 0
3506918 사시출신 법무법인 대표보고 일맡겼는데 [1] ㅇㅇ(182.222) 21.03.13 142 1
3506917 부갤에 허언가들도 있어?? ㅇㅇ(223.33) 21.03.13 37 0
3506915 만들면 뺏고 만들면 뺏고 만들면 뺏고,뇌를 뺏고싶다고 하지 그래 이년아! ㅇㅇㅇ(61.101) 21.03.13 32 0
3506913 대우자동차형 비트 10배 롱 어떰? [2] ㅇㅇ(223.38) 21.03.13 183 0
3506912 일단 제약회사부터 만들어서 전재산을 뺏자 ㅇㅇㅇ(61.101) 21.03.13 63 0
3506911 LH사태 세짤 요약 만화.....jpg [2] ㅇㅇ(183.107) 21.03.13 259 3
3506910 이시국에 인스타그램에서 부동산 투자책 읽는거 사진 올리는 사람은 무슨심리 ㅇㅇ(223.39) 21.03.13 61 0
3506909 31세 순자산6억 대기업사원 vs 26세 무일푼알바 누가낫냐? [3] ㅇㅇ(223.33) 21.03.13 109 0
3506907 LH사태 요약... ㅇㅇ(39.7) 21.03.13 151 2
3506906 인천의 상징이었던 존스턴 별장 ㅇㅇ(116.40) 21.03.13 221 0
3506904 흙붕이 집 뷰 ㅁㅌㅊ노 ㅠ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119 0
3506903 지구를 정복하고 싶은 나라 ㅇㅇㅇ(61.101) 21.03.13 45 0
3506902 반포 3주구 재건축 언제 시행됌? ㅇㅇㅇㅇ(223.38) 21.03.13 85 0
3506901 1:1 로동 수공업은 한계가 있는데 압구원주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41 0
3506900 로스쿨은 짤 몇개면 끝이지 않냐 [1] 11111(121.165) 21.03.13 192 11
3506899 집값이 떨어지려면 [3] ㅇㅇ(203.229) 21.03.13 140 0
3506896 상장되기전에 미리미리 주워두세요 :ㅇ [1] ㅇㄴ(194.59) 21.03.13 149 0
3506894 추억이 많아야 진정한 부자란거 너는 그거 알고 있니? 대왕트래블(86.200) 21.03.13 67 1
3506892 현실적으로 흙수저기준 부모부양하면서 30초반에 1억 못모음? [12] ㅇㅇ(223.33) 21.03.13 164 0
3506891 빨리 20대 30대가 정계 진출해야함 [1] 천재의삶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99 1
3506889 하 좀 더 샀어야 돼 압구원주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81 0
3506888 2020 로스쿨 합격 대학 순위 [1] ㅇㅇ(118.221) 21.03.13 187 0
3506886 나도 돈벌거 하나 알려드림 압구원주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107 0
3506884 집값 폭락 증거 ㅇㅇ(106.102) 21.03.13 252 6
3506883 진지하게 도움없이 남자나이 30초에 5억집 등기쳤음 ㅍㅌㅊ냐??   [3] ㅇㅇ(121.185) 21.03.13 100 0
3506881 586 세대 역겨운점 ㅇㅇ(27.117) 21.03.13 78 2
3506879 LH사태 세짤 요약 만화.....jpg [3] ㅇㅇ(183.107) 21.03.13 207 1
3506878 집값 완만한 상승 예상한다 [3] ㅇㅇ(203.229) 21.03.13 159 0
3506876 삼성전자가 미국에 투자한다는데 ㅇㅇ [5] ㅇㅇ(211.252) 21.03.13 201 0
3506873 전라도 식당 특징.jpg [1] ㅇㅇ(180.71) 21.03.13 281 12
3506871 개나소나 공인중개사 열풍이네 [1] ㅇㅇ(222.120) 21.03.13 194 0
3506870 이대로 휴전했어야 함 [1] ㅇㅇ(106.101) 21.03.13 118 1
3506868 진짜 심심풀이로 산 비코가 이렇게 오르다니 [2] 압구원주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166 0
3506865 애초에 서울에 그많은 인원을 수용할수는없음 [4] ㅇㅇ(125.133) 21.03.13 123 3
3506863 일만하다 인생 끝나는거 아닐까? [3] 압구원주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134 0
3506861 일이 너무 많다 압구원주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52 0
3506860 틱톡아님)먄원 선착순 바로 받는법...txt 고기냄져(223.62) 21.03.13 34 0
3506859 서울 매물이랑 전세 쌓이는듯 [1] ㅇㅇ(223.38) 21.03.13 195 5
3506857 평생강남목동만 살아본 개인적으로 느끼는 목동의 넘사벽 장점 [31] ㅇㅇ(222.108) 21.03.13 2550 43
3506853 여기 갤럼들은 그레이트 리셋에 대해 우찌 생각함? ㅇㅇ(211.206) 21.03.13 82 0
3506850 의사 vs LH 입사 [1] ㅇㅇ(219.249) 21.03.13 85 0
3506849 끝물이 끝나고 있다 [6] 미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515 13
3506847 눈낮추니까 3억정도로 경기도는 가겠지만 ㅇㅇ(182.222) 21.03.13 99 0
3506846 비트코인이 한국 원화를 제치고 세계 8위 화폐에... [6] 대우자동차(223.38) 21.03.13 1276 11
3506845 일부의 일탈에 불과한 투기를 정¹부차원으로 몰아가는 적⁶폐들! [1] 축구는_스브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3 48 0
3506840 전세계 도시 랭킹.jpg [3] ㅇㅇ(118.221) 21.03.13 262 1
3506838 소상공인 급전·대출 규제·빚투… 카드론 3조 늘었다 ㅇㅇ(223.38) 21.03.13 5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