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거시는 뉴턴역학과 상대론? 미시는 양자역학?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11 18:31:59
조회 39 추천 0 댓글 1


7fed8274b4836af151ee81e14e8476732e01c3c8175a3e92b27016e6e368


https://www.youtube.com/watch?v=MfskBjPQnzc


viewimage.php?id=3db5c935ecd139aa7dbcdfb018d221&no=24b0d769e1d32ca73ded80fa11d028310c0dd27a92083f8186361ad12ee4c0c8839ef8e717b4efad386cea99281094fb7a4450615834a4a0513f29e525ece19157ed4bf95474eada8cea




글의 제목과 짤에서 알 수 있듯이 일부 과학자들은 거시는 뉴턴역학과 상대론으로, 미시는 양자역학으로 설명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저는 저런 식의 설명이 굉장히 문제가 많은 설명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만약 미시의 변화가 연속일 경우 미시의 변화도 뉴턴역학이나 상대론으로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미시는 현상적으로 불연속으로 변화하고 따라서 확률적으로 해석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즉, 올바른 구분이 되려면 변화를 연속으로 해석할 경우 뉴턴역학과 상대론을 적용할 수 있고


변화를 불연속으로 해석할 경우 양자역학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설명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기존의 설명은 마치 미시세계의 변화만 불연속이고, 거시세계는 연속의 변화인 것처럼 생각하게 만들죠.


그게 의도적이던 아니던 그렇게 생각하게끔 유도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위의 영상에서 김상욱 교수가 말한 것처럼 빛뿐만 아니라 모든 물질들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가지고 있죠.


즉, 당연하게도 모든 물질은 서로간에 공통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어떤 (거시)물질은 연속으로 변화하고 어떤 (미시)물질은 불연속으로 변화한다? 라는 건 잘못된 설명이란 것이죠.


또 전에 설명했듯이 빛의 절대속도가 물질의 변화가 연속으로 설명될 경우 이상한 현상이지만


변화가 불연속으로 설명될 경우 매우 자연스런 현상이었죠.


즉, 미시나 거시나 변화는 불연속이 맞다는 겁니다. 또한 양자역학이 물리학의 최종이론이란 것이죠.




변화가 불연속이면 왜 공간과 질량이 등가가 되고 질량이 상대적이게 될까요?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것은 애니매이션의 캐릭처럼 매순간 정지해있으면서 불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떠올려봅시다.


일단 가속도를 측정하려 할때 위의 애니메이션의 예처럼 정확히 한순간의 정지된 상태일 경우 가속도를 측정할수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 눈에는 마치 그 캐릭터가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죠.


결국 위의 설명처럼 우리 눈에는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불연속으로 변화한다고 해보자는 겁니다.


그럼 무중력의 공간에서 질량이 서로 다른 정지된 물체에 힘을 가해서 같은 속도로 움직이게 해본다고 합시다.


그럼 두 물체엔 결국 다른 힘이 가해진겁니다. 그런데 변화가 불연속이라면 매순간 그저 같은 위치에 두 물체는 정지해있을뿐이게 되죠.


결국 초기에 두물체가 정지해있다고 했을 때의 순간과 힘을 주어 같은 속도가 되었을때의 한순간을 비교해보려고 하면 비교할 수가 있을까요?


분명 두 물체엔 정지상태일 때완 다른 힘이 가해졌기 때문에 그 다른 힘이 가해졌다는 그 증거가 필요합니다. 그게 과연 무엇일까요?


상대론의 길이 수축입니다. 그럼 그 길이가 수축되었다는 증거가 무엇일까요? 바로 두 물체의 질량의 증가가 되어야 합니다.


즉, 길이가 수축했는데 물체의 질량이 늘어야 한다는 겁니다. 즉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와 e=mc^2이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된다는 것이죠.


다시 말해서 한순간의 정지 상태라 가속도를 구할 수 없을 때 그 힘의 증거가 길이수축이 되어야 하고 질량과 공간이 등가가 되어


길이 수축으로 인해 질량체의 질량이 초기 상태일 때보다 증가하게 된다는 겁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물체에 에너지가 가해졌다>물체가 길이를 더 수축시킨다>그로인해 질량이 증가했다. 따라서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가 성립합니다.


그럼 질량의 상대성은 어떻게 설명될까요?


이번엔 두 물체를 관측하는 관측자의 위치를 바꿔보죠. 그럼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진다는 것은 즉, 길이수축이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겁니다. 따라서 질량이 상대적이게 되죠.


그리고 제 이론에서 길이수축은 공간의 질량화입니다. 중력이 강해진다면 공간이 질량이 되고 그 반대로 중력이 약해진다면


질량이 공간화 된 것입니다.. 참 쉽죠? 저는 변화가 불연속일때 시간이 불변이고 질량이 상대적이라는 것을 총 4가지 방법으로 설명했습니다.


대우는 그저 그 중 하나일뿐이고 말이죠. 대우의 설명이 가장 쉽고 불완전성정리의 가장 쉬운 예가 되기에


대우무새가 된 것뿐이죠. 그냥 여러분이 제 이론을 반박하고 싶다면 반박하려하지 말고


그냥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에 대한 논문을 써보세요. 그게 제 이론과 겹치지 않는다면 그게 새로운 이론인겁니다.



왜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까지만 통합될 수 있을까?


물리학자들은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고 싶어했습니다. 그 이유는 두가지 이론이 평행하게 존재하기 보단 하나의 이론이


다른 이론을 포함해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와 그게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설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었죠.


그런 의도로 물리학자들이 연구했던 대표적인 이론이 바로 양자장론이라고 불리는 이론입니다.


저는 사실 양자장론을 전혀 모릅니다. 그런데 제가 말하고 싶은건 이 양자장론이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수학적으로 합치는데


성공했지만 일반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는데는 실패했다라는 겁니다. 관련해서 제가 쓴 책에도 이미 쓴 적이 있지만 다시 써보자면


상대론은 변화가 연속, 양자역학은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현상적인 공리가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즉, 공리가 모순되므로


통합된 이론이 만들어질 수 없다고 했었죠. 쉽게 말해서 변화는 연속이면서 불연속이다란 공리를 쓸수는 없다는 겁니다.


그럼 여기서 생기는 의문은 바로 왜 그럼 특수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합칠 수 있었던 건가?가 됩니다.


그럼 도대체 왜일까요? 바로 특수상대론은 관성계를 설명하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즉, 관성계는 등속운동과 정지 상태를 설명하는것이고 양자역학의 불연속도 결국 관성계를 의미하죠.


따라서 합쳐질수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사실 이건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론을 설명할 때 세웠던 가정 2가지중 하나와 관련되어있습니다.


1. 모든 관성 좌표계에서의 물리법칙은 동일하다, 2. 모든 관성계에서의 빛의 속력은 동일하다


결국 위의 가정중 바로 1번이 바로 양자역학과 특수 상대론이 통합될 수 있던 이유가 됩니다.


그런데 결국 왜 일반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통합될 수 없는걸까요? 이 우주에 비관성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연속으로 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제논의 주장처럼 인간 감각의 착각이다라는 것이죠.


화살의 역설처럼 매순간 모든 물체는 정지해있고 가능한 것은 오직 허수시간동안의 기준의 변화에 따른 질량의 상대적인 변화뿐입니다.


물론 기준의 변화를 연속이 아닌 불연속으로 설정하면 이마저도 역시 관성계가 되어버리죠.


결국 양자장론의 한계는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는 것까지라는 겁니다.


그리고 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제 시간대란 개념이고 말이죠.


https://drive.google.com/file/d/1Ns4wdYS-DHVyPmwSW54km3DHw6W43_04/view?usp=sharin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76708 외국인 많은 랩실 적응 어떻게하나요? [1] 대갤러(122.47) 05.08 119 0
76707 원갤러들 이 자료 어떻게 생각함? [7] ㅇㅇ(117.111) 05.08 195 0
76703 석사 취업 [6] ㅇㅇ(223.62) 05.08 251 0
76701 5월 10일 금요일 디지스트 축제 대갤러(114.71) 05.08 161 0
76699 일반적으로 연구주제 정할때 [9] 대갤러(220.95) 05.08 296 0
76698 jcr 5.8% [8] ㅇㅇ(106.101) 05.08 203 0
76697 뉴진스는 안무가 무도 파쿠리던데 대갤러(118.235) 05.08 80 0
76693 지사립 지방국립대는 진짜 아닌거같은데 [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452 0
76691 교수님 인품이 너무 좋으셔서 부끄럽네 [1] 대갤러(61.72) 05.08 196 0
76690 영어잘알들 들어와바라 [4] 대갤러(192.55) 05.08 201 0
76689 메이저 리비전이면 사실상 억셉인가 [7] 대갤러(211.234) 05.08 254 0
76688 커피 내리다 드리퍼 깨졌다 AssetBubb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75 0
76687 uai란 학회 어떠냐? [5] 대갤러(172.226) 05.07 162 0
76686 학부생 회로설계 논문읽는데, 대학원 서열이랄게 무색하단걸 느낌 [11] 대갤러(221.158) 05.07 412 0
76685 님들 그 옛날에 초전도체 쫌 궁금한게 있는데 [2] 하위(210.94) 05.07 141 0
76684 해외 논문 번역한거 국내 논문에 쓰는거도 표절임? [5] 대갤러(175.214) 05.07 175 0
76683 인문대 박사애들은 교수말고 뭐 할거없지않냐? [3] ㅇㅇ(118.235) 05.07 172 0
76681 논문 R&R 해석좀 앙망함 [5] 대갤러(223.38) 05.07 176 0
76680 아주대 교수임용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6] ㅇㅇ(221.140) 05.07 448 0
76679 형들 논문 읽을때 파파고 돌리는거 어떻게 생각해? [9] 대갤러(59.21) 05.07 216 0
76678 퍼듀 게이 박사과정 입학 스펙에 탑티어 논문 없다 대갤러(118.235) 05.07 98 0
76677 보내준거 또보내고 대갤러(203.251) 05.07 43 0
76676 올해가 마지막 환급이구나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85 0
76675 학사 정출연 장기실습 신청했는데 ㅇㅇ(175.114) 05.07 72 0
76674 S 박사 vs K,Y 박사 [7] 대갤러(106.245) 05.07 198 0
76673 컴공은 포공이 yk보다 딸릴걸? [2] ㅇㅇ(118.235) 05.07 243 0
76672 여기 직장인 야간대학 관련은 물어보면 안되나요? [2] 대갤러(1.233) 05.07 138 0
76671 rf 안테나 이쪽은 어느곳이든 인기 없는 편인가요 [3] 대갤러(118.235) 05.07 174 0
76670 박사과정 6년차.. 졸업논문 주제 바꾼다.. [10] ㅇㅇ(113.199) 05.07 333 0
76669 유기합성 분야 미래가 있냐 ㅇㅇ(223.39) 05.07 77 0
76668 내 상황에서 도피성대학원 어떻게 생각함 [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301 0
76667 서울대 비인기랩vs연고대 평범한 랩vs자대 [3] ㅇㅇ(117.111) 05.07 198 0
76666 고대 CV vs 포공 CV, 고대가 이김? [8] ㅇㅇ(125.138) 05.07 239 0
76665 대학원 진학 문의 형님들 도와주세요 [1] 대갤러(183.101) 05.07 90 0
76664 컨택 자소서 분량은 어느정도가 좋을까 [1] ㅇㅇ(210.119) 05.07 103 0
76663 오예 논문 또 됐땅 [10] 하위(58.120) 05.07 370 4
76661 중위권 대학 조교수가 장점이 있음? [32] ㅇㅇ(223.39) 05.07 413 0
76660 컴공은 대학원 어느 분야로 가도 백수안되고 먹고살 수 있지? [3] ㅇㅇ(211.234) 05.07 220 0
76659 대한민국 연구원의 평균 수준 [4] 대갤러(121.160) 05.07 290 2
76657 국어국문조차도 미박>국박임? [3] ㅇㅇ(223.39) 05.07 146 0
76656 노트북 추천좀 [8] 대갤러(223.39) 05.07 123 0
76649 박사되고 존나 조용하게 살아도 좋으니까 대갤러(112.219) 05.07 138 0
76648 미박이고 국박이고 박사를 하지마라 [4] 대갤러(192.55) 05.07 613 12
76647 죽ㄱ고싶다 시밯 대갤러(203.230) 05.07 75 0
76645 나졸려 메호대전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54 0
76643 학점 낮아도 미박 간 케이스 많지 [34] AssetBubb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341 0
76642 인가경 ai인공지능학과 다니고 있는데 대학원 ㅈ된거임? [3] ㅇㅇ(218.50) 05.07 250 0
76640 논문 돌려쓰는 랩실 뭐냐 ㅋㅋㅋ [8] ㅇㅇ(223.62) 05.06 345 1
76639 경상대, 창원대 이런데 교수도 되기 힘드냐? [5] ㅇㅇ(223.39) 05.06 238 0
76638 연구생 수시모집은 뭐야 [3] ㅇㅇ(58.230) 05.06 11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