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미장 하락의 이유 (feat 폴볼커)

메르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4.23 16:50:01
조회 67057 추천 396 댓글 414

​ ​ ​ ​

7fed8274a8826ceb3cec96e4478a706d5e64ef24b84ec2dac69428f572080c7dcf8db1





  1. 1971년 이전까지만 해도 미국 정부는 35달러당 금 1온스를 교환해 주는 금본위제를 하고 있었음.


 ​​ 2. 월남전으로 막대한 전쟁비용이 발생함. ​ ​


 3. 금은 늘어나지 않는데, 달러를 마구 찍어내는 것을 보는 프랑스 등 몇몇 나라는 정말 미국에 달러를 바꿔줄 만한 금이 있을지 의문이 생김. ​ ​


 4. 미국 달러를 돌려줄 테니, 약속한 대로 금으로 바꿔달라고 요청하기 시작함. ​ ​


 5. 당시 미국 대통령 닉슨은 금과 달러 교환을 못해주겠다고 선언하며 금본위제를 포기하였고, 이것을 닉슨 쇼크라고 부름. ​ ​


 6. 닉슨쇼크 이후 금 1온스의 가치는 35달러에서 1,000달러까지 올라감. 다르게 말하면 미국 달러 가치가 1/30 토막이 난 것임. ​ ​


 7. 달러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은 물건 가격인 물가가 올라간다는 것임. ​ ​


 8. 당시 연준 의장은 닉슨의 충실한 개였음. 닉슨은 재선이 필요했고, 재선을 위한 부양책이 필요했음.


 ​​ 9. 기준금리를 올리며 긴축을 하는게 아니라 기준금리 인하를 해버리며 양적완화를 시작함. ​ ​


 10. 여기에 오일쇼크까지 와서 유가가 3불에서 12불로 4배나 오르고, 곡물가격도 올라가기 시작함. ​ ​


 11. 닉슨은 유가와 곡물을 뺀 근원 소비자 물가를 만듦.


 ​​ 12. 근원 소비자 물가 항목에서 유가, 곡물 외에도 식음료, 주택 등 물가가 오르는 항목들을 하나씩 빼기 시작하니, 결국은 의식주 중에서 의만 남게 됨. ​ ​


 13. 닉슨이 워터게이트로 실각하고 카터 정부가 들어섬. ​ ​


 14. 폴 볼커가 구원투수로 연준 의장에 오름.


 ​​ 15. 물가를 잡으려면 당장 보이는 인플레뿐만 아니라, 앞으로 물가가 계속 오를 것이라는 기대 인플레까지 죽여야 함.


 ​​ 16. 폴 볼커는 성장을 포기하고 인플레에 올인하기 시작함. ​ ​


 17. 일단 금리를 하루에 11.5%에서 15%로 4% p를 올림. ​ ​


 18. 요즘 연준이 0.25%를 올리다가 0.5%를 올린다고 빅 스텝이라고 하는데, 그 몇십 배를 한방에 올린 것임. ​ ​


 19. 실업률이 올라가기 시작했고, 주식시장도 폭락이 시작됨. ​ ​


 20. 지미 카터 대통령은 재선에 실패함.


 ​​ 21. 그래도 지미 카터는 연준의 폴 볼커가 하는 일에 터치하지는 않았음. ​ ​


 22. 다음 대통령인 레이건도 재선 실패 우려가 있다는 참모들의 조언에도 연준에 터치를 하지 않는 기조를 유지함.


 ​​ 23. 폴 볼커는 금리를 더 올려버림 ​ ​


 24. 레이건이 되면서 금리가 21.5%까지 올라 감. ​ ​


 25. 금리가 엄청 오르자 이자를 낸다고 물건 살 돈이 줄어들어 경기가 박살 남. ​ ​


 26. 장사가 안되니 미국 중소기업의 40%가 망했고, 대기업도 대출받아서 투자를 해봤자 이자 내면 남는 게 없다고 보고 투자를 포기함. 실업률도 10%를 넘기 시작함. 


 27. 미국 제조업이 무너지기 시작한 것임. 


 28. 미국 기준금리가 올라가니, 제조업은 폭망했지만, 비싼 이자를 노리고 미국으로 돈이 몰려오며 달러 환율이 다시 높아짐. 


 29. 미국 달러 환율이 크게 올라가자 일본이 혜택을 가장 크게 봄. ​ ​


 30. 미국보다 환율이 낮아진 일본은 싸게 수출을 할 수가 있어서 수출이 대박이 났고, 독일을 넘어 제조업 최강국에 올라감. ​ ​


 31 미국의 무역적자 40%를 일본이 내는 상황이 됨. 


 32. 미국은 일본을 그냥 두지 않았음 


 33. 1985년 9월 22일 미국 플 라자 호텔에서 G5 회의가 열렸고 타깃은 일본이었음 


 34 미국은 일본에 엔화 가치를 높이라고 압박을 했고, 수출 대부분을 미국에 하고 있었던 일본은 어쩔 수 없이 받아들임. 


 35. 플 라자 합의로 달러당 250엔이던 환율이 몇 달 만에 120엔으로 반 토막이 남. 달러당 엔화가 두 배 이상 올랐다는 말이고, 일본 수출품 가격이 두 배로 올랐다는 말임. 


 36. 일본 수출이 줄어들어 플 라자합의 다음 해인 86년에 일본은 마이너스 성장을 함. 


 37. 수출로는 답이 안 나오자, 일본은 내수를 살려서 성장을 하려고 함 


 38. 내수를 살리려고 기준금리를 6%에서 2.5%로 낮추고 부동산 규제를 풂. 


 39 저금리와 규제완화 콤보로 부동산과 주식에 돈이 몰림. 


 40 돈이 싼 이자로 쉽게 대출되니 대출을 풀로 받아 부동산을 샀고, 그 부동산은 금세 가격이 올라감. 


 41. 부동산 가격이 오르자 다시 대출한도가 생겼고, 그 부동산을 담보로 추가 대출을 받아 또 다른 부동산을 구입하는 부동산 광풍이 시작됨 


 42. 도쿄의 부동산가격은 87년과 88년 사이 3배가 오름 


 43 우리로 치면 2호선 역세권인 도쿄 메트로 역세권은 더 크게 오름. 


 44 신바시, 아사쿠사는 10배, 아오야마는 15배가 1년 만에 오름. 부동산 졸부들이 넘치게 됨 


 45. 저금리와 대출 경쟁은 부동산도 올렸지만 일본 주가도 폭등시킴. 


 46. 세계 시가총액 20대 기업 중 16개 기업이 일본 기업인 상황이 됨. 


 47. 부동산과 주식이 오르자 졸부들이 넘치는 돈을 마구 쓰는 거품경제 시기가 시작됨. 


 48. 90년이 되자 일본 정부는 거품경제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대책을 발표함 


 49. 금리를 다시 올리고 부동산에도 규제를 함. 


 50. 2.5%이던 기준금리를 다시 6%까지 올렸고, LTV를 70%까지로 제한하는 등 부동산 대출에 규제를 때림 


 51. 부동산 시장이 한방에 가버림 


 52. 경기 침체에 노령화가 더해지며 20년간 회복을 못하는 장기 침체가 시작됨 


 53. 미국의 금리인상은 1981년 중반에 접어들면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함. ​ ​


 54. 은행 예금이자가 높으니 돈들이 은행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것임.


 ​​ 55. 기준금리가 21.5%까지 올라가니, 인플레이션 14%를 감안해도 은행에 예금하면 7% 포인트가 넘는 수익이 생기는 것임.


 ​​ 56. 시중 유동성이 은행으로 들어와 줄어드니 인플레이션이 잡히기 시작함. ​ ​


 57. 인플레이션율이 1980년의 14.6%에서 9%로 꺾였고, 1982년에는 4%, 1983년에는 2.4%까지 떨어짐. ​ ​


 58. 인플레가 잡히자 미국은 긴축을 풀고 경기 부양을 다시 시작함. ​ ​


 59. 미국의 장기 호황이 다시 시작됨.


 ​​ 60. 1980년 817포인트까지 내려갔던 다우지수가 1983년 3월 1,130포인트까지 상승했고, 1987년 1월 8일에는 2,000선을 돌파함. ​ ​


 61. 볼커가 유발한 국제적 금융 긴축은 소련의 경제 상황에 치명타를 가하면서 소련 붕괴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함


. ​ ​ 62. 미국이 양강이 아닌 제1의 초강대국으로 올라서게 만든 계기 중 하나로 평가받음. ​ ​


 63. 반면 금리를 인상하면서 중남미와 동유럽, 아프리카 상당수 국가들의 달러가 전부 미국으로 회수됨에 따라 외채 부담이 커지며, 국가 부도가 연이어 일어나기 시작함


. ​ ​ 64. 이번에 연준 의장이 언급한 폴 볼커는 이렇게 무서운 말인 것이고, 미 중시가 금요일 밤에 들썩인 이유임. ​




7fed8274a8826ceb3cec96e4468a756f1da8f4e4e684ef116e65f43db3bb88d90dec7b1a





출처: 코스피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96

고정닉 64

5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해외에서 겪는 불합리한 대우에 대응 잘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11/03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4342/2] 운영자 21.11.18 16269857 641
3785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중국 시골 여행촌
[10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0 12072 51
378525
썸네일
[의갤] (긴글주의) 내년 전국민 실수령액이 줄어드는 진짜 이유
[2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0 20143 137
378523
썸네일
[이갤] 민주당 70대 지지율이 정말 놀랍습니다
[369]
묘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14718 26
378521
썸네일
[국갤] 일녀들이 삼일한을 알까?
[255]
ㅇㅇ(183.104) 01:20 13538 128
37851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역사상 관측된 가장 큰 지진해일
[9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21900 84
378517
썸네일
[야갤] 수천억대 자산가가 말하는 '행복'의 개념..jpg
[242]
앤드류테이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0 16510 79
378515
썸네일
[이갤] 페미니스트 인터뷰: ‘뭐라도 하지 않으면 무기력에 익사한다’
[338]
ㅇㅇ(140.248) 00:50 14163 20
378513
썸네일
[닌갤] 극히 개인적인 왕눈무쌍 엔딩 후기 (매우 불호)
[66]
젤스퍼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0 18579 83
378511
썸네일
[유갤] 한혜진이 8살 연하 기성용과 결혼해서 좋은 점
[135]
ㅇㅇ(175.119) 00:30 16492 24
378507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공무원 월급 jpg
[40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0 24053 21
378505
썸네일
[카연] 닥터 화이트와 타임머신.manhwa
[28]
비비탄99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0 9303 93
378502
썸네일
[이갤] 결혼은 남편이 혼나는 것
[257]
ㅋㅋㅋㅋ(211.246) 11.08 14205 128
378499
썸네일
[야갤] 인싸한테 빼앗긴 영포티? 영포티아재 늙어가는속도 ㄷㄷㄷ
[212]
마루스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22761 73
37849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케이팝콘서트 외국녀
[20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20823 86
378493
썸네일
[누갤] 부고니아 개봉기념 볼만한 리메이크/속편 호러물 10편 추천
[64]
ㅇㅇ(175.209) 11.08 9438 33
378490
썸네일
[디갤] 베를린 24pics
[17]
사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4726 15
378488
썸네일
[이갤] 현재 9급 교도관들의 충격적인 근무현실.jpg
[657]
ㅇㅇ(117.111) 11.08 23965 275
378484
썸네일
[카연] 인형술사와 7가지 저주.manwha
[30]
닭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7857 30
37848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같은 재단 여부를 결정짓는 법은?
[6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12984 12
378475
썸네일
[기음] 오타루의 밤문화.jpg
[116]
dd(183.100) 11.08 20224 73
378472
썸네일
[이갤] 낮은 실업률 부정적 신호... 20대 쉬었음 인구의 역설적 함수
[604]
묘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18533 37
378469
썸네일
[싱갤] 낭만낭만 2000년대의 크리스마스 분위기.jpg
[145]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16597 75
378466
썸네일
[배갤] 산티아고 순례길 8일차 - 휴식 2
[25]
압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8658 8
378463
썸네일
[디갤] 데이터) 편견을 없애기위한 디즈니 노력들...GIF
[119]
ㅇㅇ(175.119) 11.08 12855 17
378460
썸네일
[주갤] 경차라고 무시
[144]
혼술기술사(58.78) 11.08 16146 20
378457
썸네일
[기음] 구미라면축제 다녀옴
[165]
서울고통공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17523 84
378454
썸네일
[3갤] 태엽으로 움직이는 스타워즈 AT-TE 설계함
[23]
샤교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9355 48
378451
썸네일
[카연] 저 히어로가 신경쓰여! 1화 (글: 스파츠 그림:다를로스)
[23]
스파츠[Spat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7894 30
378449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단또의 진실
[1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19713 72
378445
썸네일
[디갤] 소신발언
[29]
우산을들어줄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7227 26
378443
썸네일
[유갤] 요즘 충주맨보다 열심히 뛰는 충주걸(최지호)주무관
[494]
ㅇㅇ(175.119) 11.08 26020 182
378441
썸네일
[이갤] 삼국시대 각 국가들 병력동원 능력.jpg
[428]
ㅇㅇ(211.36) 11.08 17919 98
37843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프로 암살러 조나단
[69]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13520 43
378437
썸네일
[인갤] 라파엘 콜란토니오: 야숨 어떤 겜알못새끼가 만들었노?
[9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11325 31
378435
썸네일
[퓨갤] 스톡킹 갓데노편 ㅈㄴ석재하네요 ㅋㅋㅋㅋ
[3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11409 79
378433
썸네일
[디갤] 주말 청남대(22)
[17]
명반주세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8045 8
378431
썸네일
[유갤] 친구의 먹뱉을 손으로 받아줄 수 있다 VS 없다
[139]
ㅇㅇ(175.119) 11.08 15434 18
378429
썸네일
[도갤] 싱글벙글 세계최고높이가 되는 대성당 근황 ㄷㄷ.JPG
[150]
ㅇㅇ(153.242) 11.08 16716 70
378427
썸네일
[싱갤] 최신 국뽕 방송 트렌드. araboja
[25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26540 125
378422
썸네일
[카연] 시간딱!게임 3화
[29]
sgtHw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8682 41
378420
썸네일
[이갤] 이재명이 말하는.. 이공계가 망한 이유 ..jpg
[500]
3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22512 142
378418
썸네일
[싱갤] 와들와들 일남들이 싫어하는 여자 특.JPG
[2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25380 95
378416
썸네일
[넷갤] 올해 대박난 2026 그래미 KPOP 근황.jpg
[209]
ㅇㅇ(183.108) 11.08 17561 104
378414
썸네일
[새갤] 그저 젊게 살고 싶을 뿐인데…'영포티'에 돌 던지는 그들, 왜
[65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21232 96
378412
썸네일
[이갤] 스윗한 한국남자의 현실... 그리고 해외평판
[296]
ㅇㅇ(1.229) 11.08 22717 87
378410
썸네일
[디갤] 문경 1박 다녀오는동안 갤이 시끌시끌했고만(폰카)
[15]
디붕MK-I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8133 10
37840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넷플릭스 드라마 원작자가 말하는 수익의 진실
[1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25472 69
378406
썸네일
[바갤] 에효 쯧쯔릇쯔쯔 자가정비하는 거지새끼
[83]
AyaseEl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12900 18
378405
썸네일
[이갤] ‘미군 위안부’ 피해자 A씨… "죽기전에 사과받고 싶다”
[281]
ㅇㅇ(172.226) 11.08 13594 4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