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크립토 퀵서치] 거래소에 원화 예치하면 이용료를 준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0.18 13:12:43
조회 5094 추천 3 댓글 4
[IT동아 한만혁 기자] 예치금은 현재 진행 중인 국정감사에서 언급되는 가상자산 관련 키워드 중 하나입니다.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 많은 예치금이 몰리는 것을 보고 업비트의 독과점 의혹이 다시 제기됐습니다. 상장을 앞둔 업비트 제휴 은행 케이뱅크의 대량연쇄인출(뱅크런)에 대한 우려도 나왔습니다.

그런데 예치금과 가상자산 거래소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이번 시간에는 거래소의 예치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양한 가상자산 / 출처=셔터스톡



가상자산 업계에서 말하는 예치금은 가상자산 거래소 이용자가 원화마켓을 운영하는 거래소에 맡기는 원화를 말합니다. 기존에는 이들 예치금에 대한 규제가 없었습니다. 거래소가 자체적으로 관리하거나 별도 금융기관에 보관했죠. 하지만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면서 예치금에 대한 규제가 확정됐습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가상자산사업자(VASP)에게 고객 예치금을 공신력 있는 관리 기관인 은행에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하고, 이용자에게 예치금 이자 성격의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하도록 규정했습니다. 참고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말하는 예치금은 가상자산을 제외한 원화만 해당됩니다.


가상자산 거래소는 이용자에게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해야 한다 / 출처=엔바토엘리먼트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예치금 이용료 산정 기준 및 지급 절차는 VASP 별로 마련하도록 했습니다. 이에 원화마켓을 운영하는 거래소 간의 눈치작전이 펼쳐졌습니다. 예치금 이용료는 가상자산 거래 이익 외에 얻을 수 있는 또 하나의 혜택입니다. 아무래도 이용료율이 높은 거래소에 이용자가 몰리겠죠. 실제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된 지난 7월 19일 오후 11시경 업비트와 빗썸, 코빗이 경쟁적으로 이용료율을 높이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거래소들은 이용료율 외에 지급 주기나 지급 방법을 차별화 요소로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보통 3개월로 책정한 지급 주기를 1개월로 단축한 곳도 있고, 이용자가 원할 때마다 수시로 지급하는 곳도 있습니다.

거래소별 예치금 이용료 관련 정책은 각 거래소의 공지사항을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지난 7월 19일 처음 정책을 발표한 이후 바뀌거나 추가된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떨까요? 10월 18일 기준 각 거래소의 예치금 이용료율과 지급 주기, 지급 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


업비트는 지난 10월 8일 첫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했다 / 출처=업비트



우선 업비트의 예치금 이용료율은 연 2.1%입니다. 처음에는 연 1.3%로 공지했다가 2시간 만에 연 2.1%로 높였습니다. 지급 주기는 3개월이며 매 분기 첫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원천징수 세액(15.4%) 공제 후 업비트 계정을 통해 지급합니다. 업비트는 지난 10월 8일 첫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했습니다. 대상은 7월 19일부터 9월 30일까지 예치금 이용료가 발생한 회원입니다. 다음 지급은 내년 1월입니다.


빗썸의 예치금 이용료 수시 지급 서비스 ‘즉시 받기’ / 출처=빗썸



빗썸의 예치금 이용료율은 연 2.2%입니다. 빗썸은 첫 공지에서 연 2.0%로 발표했다가 한때 연 4.0%까지 올렸지만,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준수를 위해 추가 검토할 사항이 발견됐다며 연 2.2%로 낮췄습니다.

빗썸은 지난 7월 이용료율만 발표했다가 첫 지급일인 10월 10일에 지급 주기 및 지급 방법을 발표했습니다. 빗썸의 지급 주기는 업비트와 같은 3개월이며, 1월, 4월, 7월, 10월의 10일에 원천징수 세액(15.4%) 공제 후 지급합니다.

이와 함께 원하는 때 즉시 받을 수 있는 수시 지급 서비스 ‘즉시 받기’를 오픈했습니다. 즉시 받기는 매일 1회 언제든 이용료 지급을 신청하는 서비스입니다. 빗썸 내 '자산 현황' 혹은 '원화 입출금' 화면에서 예치금 확인 후 '지급받기'를 선택하면 수시로 받을 수 있습니다. 빗썸은 즉시 받기를 통해 이용자가 이용료 지급 시기를 정할 수 있어 유연한 자산 운용이 가능하고, 이용료를 더한 금액으로 다시 이용료가 산정되는 복리 효과까지 누릴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거래소 중 처음으로 예치금 이용료 수시 지급 서비스를 시행한 코인원 / 출처=코인원



코인원은 연 2.3%의 이용료율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7월 19일에는 연 1.0%로 발표했으나 지난 8월 20일 연 2.3%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10월 18일 기준 거래소 중 가장 높은 이용료율입니다. 코인원 역시 지급 주기는 3개월이며, 각 분기 다음 월 첫 영업일에 원천징수 세액(15.4%) 공제 후 코인원 계정을 통해 지급합니다. 코인원은 지난 10월 2일 첫 지급을 완료했습니다.

코인원은 7월 19일 처음 예치금 이용료 정책을 발표할 때부터 수시 지급 서비스를 시행했습니다. 코인원 내 ‘이자 바로 받기’ 기능을 이용하면 전날까지의 이용료를 모두 합산해 받을 수 있습니다.

코인원에 따르면 예치금 이용료 지급이 시작된 7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 이자 바로 받기 기능으로 지급된 예치금 이용료는 약 3500만 원입니다.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받은 고객은 누적 4만 6000명 이상입니다.


코빗은 매월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한다 / 출처=코빗



코빗은 7월 19일 이용료율을 연 1.5%로 공지했으나 이튿날 연 2.5%로 올렸습니다. 당시 가장 높은 이용료율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10월 1일 연 2.1%로 낮췄습니다. 참고로 코빗은 예치금 이용료율을 매월 공지하고 있습니다.

지급 주기는 1개월로, 거래소 중 가장 짧습니다. 변동성이 큰 가상자산 시장의 특성을 반영해 짧은 주기로 책정했다는 것이 코빗의 설명입니다. 코빗은 지난 8월부터 매월 3영업일에 원천징수 세액(15.4%) 공제 후 지급합니다.

고팍스는 첫 공지 이후 꾸준히 연 1.3%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급 주기는 3개월이며 각 분기 다음 월 10영업일 이내에 원천징수 세액(15.4%) 공제 후 지급합니다. 고팍스는 지난 10월 10일 3분기에 원화 예치금을 보유한 고객에게 이용료를 지급했습니다.

글 /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가상자산 지갑 운영관리 모범사례 ‘지갑 업무는 월렛룸에서’▶ DAXA, 디지털자산보호재단 설립 ‘영업 종료 거래소의 이용자 자산 반환 지원’▶ [크립토 퀵서치] 블록체인 콘퍼런스 어떤 것이 있나요?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1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대물보다 사극에서 더 빛나는 남자 배우는? 운영자 25/09/08 - -
5832 레노버-솔트룩스 "AI 혁신, 혼자서는 불가능...파트너십이 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115 0
5831 [투자를IT다] 2025년 9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106 0
5830 [리뷰] 휴대성과 전문성 모두 잡았다, DJI 마이크3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8465 0
5829 KT 소액결제 사고, 무엇이 밝혀졌나…현재 대응 방법은?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8198 4
5828 팜캐드 “양자컴퓨팅ㆍAI 접목한 파뮬레이터로 신약 개발 혁신 이룰 것”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135 0
5827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2] AI 글쓰기 프로그램 ‘생글방글’, 현직 초등교사가 써본 후기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92 0
5826 [스타트업-ing] 팀스파르타 “사내 AI 활용 노하우 담아 맞춤형 기업교육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131 0
5825 5만 농가 위한 특산품 가공의 길 여는 '한국특산물유통' [농업이 IT(잇)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83 0
5824 유망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트라이 에브리싱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122 0
5823 퓨리오사AI, 오픈AI 코리아 출범식서 'RNGD' 저력 선보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145 0
5822 두께 5.6mm 아이폰 에어부터 심박수 측정하는 에어팟 프로 3까지 애플 신제품 총출동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1 6547 0
5821 "혼자 고민 마세요" AI 노동법 상담, 가입 없이 24시간 무료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1 155 0
5820 육아 코칭의 새로운 접근법 제안하는 ‘포텐티보 랩’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1 114 0
5819 독자 기술 '자동소화시스템'으로 전기차 화재까지 잡는다...'파이어킴ES'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1 106 0
5818 안젯텍 "양자 AI로 의료·금융 혁신"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1 117 0
5817 비아이매트릭스 “AI 에이전트 플랫폼 트리니티로 팔란티어와 경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1 106 0
5816 [주간스타트업동향] 플렉스, '멀티클라우드와 AI 통합' 테크 세션 23일 개최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2391 0
5815 애플 아이폰 17 인공지능 승부수 “실시간 통역”에 시장 분위기는 싸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257 0
5814 갤럭시 S25 FEㆍ갤럭시 탭 S11 공개, 갤럭시 AI는 구글과 어떻게 다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88 0
5813 오픈AI 코리아 공식 출범…"한국을 AI 허브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78 0
5812 Arm 모바일 루멕스 CSS 플랫폼...NPU 뺀 정공법 통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65 0
5811 [리뷰] 플립형 OLED로 실용성 잡아낸 'HP 옴니북 X 플립 14'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6612 0
5810 [GPA 2025] ‘AI 시대 개인정보’ 논의의 장 서울서 열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61 0
5809 CIT, 반도체 패키징용 구리 증착 유리 기판 개발···속도·비용·효율 개선 [스타트업-ing]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26 0
5808 조각투자 유통플랫폼 신규인가 추진, 투자 선택지 확대 기점 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9 159 0
5807 [자동차와 法] 자동차 리콜, 법적 절차와 소비자의 대응전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9 161 0
5806 UDC 2025 “가상자산 적극 수용하지 않으면 뒤처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9 161 0
5805 [스타트업을 위한 회계·세무] RCPS·CB의 가치 및 리픽싱 조항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9 148 0
5804 넷플릭스·컬리·우버와 손잡은 네이버, 단골 고객 잡는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9 8558 0
5803 [위클리AI] 챗gpt, 무료 버전 사용자도 프리미엄 기능 제공 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9 149 0
5802 제이디솔루션 청력보조 스피커 '하룬제' IFA 2025 베스트 오디오 혁신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9 138 0
58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드레이퍼스타트업하우스, 유망 스타트업의 북미시장 진출 전력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8 157 0
5800 오픈AI에 도전장 낸 한국 스타트업 인포플라의 '다윗 전략'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8 2520 0
5799 [신차공개] ‘BYD 씨라이언 7’ 계약 시작·'더 기아 EV5'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8 266 0
5798 [주간투자동향] 프렌들리AI, 275억 원 규모 시드 익스텐션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8 6284 1
5797 콘진원 "2025 K-콘텐츠 엑스포 in 튀르키예, 유럽·중동으로 한류 물꼬 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8 167 0
5796 "스냅드래곤 아닌 엑시노스 2500" 품은 갤럭시 Z 플립 7 게임 실력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374 0
5795 [투자를IT다] 2025년 9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241 0
5794 '기업 95% AI 도입에 어려움'··· AI 개발·도입은 물론 '전문적 관리 방안'도 필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5318 0
5793 사내 유무형 자산 관리·디지털화, '셀파스'가 돕습니다 [서울과기대x글로벌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262 0
5792 [민원제로] 6. 핵심성과지표를 분명히 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230 0
5791 디노티시아, VLDB 2025서 핵심 논문 공개··· 'VDPU 고유성 명확해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261 0
5790 [기고] AI와 미래 산업기술 - 6/완. AI 시대, 산업기술자는 세상을 바꾸는 사람이 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218 0
5789 시제 “모노리스·모노로그로 의류 생산 공정 디지털 전환 주도”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228 0
5788 기술로 지역 농산물 가치를 높이는 농업회사법인 ‘새뜸’ [농업이IT(잇)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216 0
5787 미래인테크놀러지 "20여년 HR 노하우, ‘큐피트 HR’에 담았다”[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246 0
5786 마키나락스 어텐션 2025 “산업 현장에는 지식과 경험 겸비한 인공지능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6181 0
5785 중소여행사의 디지털 전환, ERP 도입 돕는 '어딩'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231 0
5784 AI 반도체 해외실증 사업, 일본 진출하는 '더존·퓨리오사AI' 사례 눈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279 0
5783 이노디테크, AI 덴탈 솔루션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235 0
뉴스 뉴진스-어도어 2차 조정 결렬…10월 법원 선고로 최종 판가름 디시트렌드 09.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