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6

1. 브랜드 : Damoshark
2. 배열 : TKL
3. 결합방식 : 탑마운트
4. 기판방향 : 역방향
5. 기본 보강판 : 스틸
6. 기본 흡음재 : 기보강 하부 모두 실리콘
7. 연결방식 : 2.4, 블투, 유선
8. RGB : O
9. 맵핑 : 자체소프트웨어 (중국어)
10. 가격 : 369위안 (7.3만)
11. 링크 : https://m.tb.cn/h.U6qhJUo?tk=ptkEdXkfVKQ
싸게 탑마운트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맵핑 프로그램은 완전히 중국어고, 스테빌도 평이 별롭니다.
디자인도 묘하게 요상스럽습니다. 끼워넣을 게 도저히 보이지 않아서 넣었지 죽어도 TKL을 쓰셔야 하는 게 아니라면 75배열에서 선택하시는 게 좋아보입니다.
V3

1. 브랜드 : Keychron
2. 배열 : 87
3. 결합방식 : 트레이마운트
4. 기판방향 : 정방향
5. 기본 보강판 : 스틸
6. 기본 흡음재 : 기보강 EVA + 하부 실리콘
7. 연결방식 : 유선
8. RGB : O
9. 맵핑 : VIA
10. 가격 : 368위안 (약 7.4만)
11. 링크 : https://m.tb.cn/h.USPKHAO?tk=sWOtdXKtpRd
TKL 라인업이 얼마나 가뭄인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키크론이 다시 나왔습니다.
트레이 마운트라도 괜찮은 사용성과 깔끔한 디자인을 원하시면 사시면 됩니다. 사용성이 좋은 VIA지원까지 필요하다면 말입니다.
크게 권하지는 않습니다. 말했다시피 EVA라는 저렴한 소재로 기보강 흡음재를 채우고, 스틸 보강판에 여러가지 부분에서 원가절감이 보입니다.
GG87 (키캡 스위치 포함된 완제)

1. 브랜드 : GOPOLAR
2. 배열 : TKL
3. 결합방식 : 가스켓
4. 기판방향 : 정방향
5. 기본 보강판 : PC
6. 기본 흡음재 : 실리콘 기보강, 하부 실리콘 패드
7. 연결방식 : 유선
8. RGB : O
9. 맵핑 : QMK VIA
10. 가격 : 게이트론 은축 옵션 699위안, GOPOLAR 특주 게이트론 Azure dragon 스위치 599위안 (각각 14만원, 12만원)
11. 링크 : https://m.tb.cn/h.U6qfRec?tk=OCNEdXkW1Dx
베어본 밖에 없는 이 글에서 드문 완제품입니다. 사진의 키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본 스위치는 두 가지입니다.
정방향에 기본 탑재 스위치가 스피드 축인 게이트론 은축과 고폴라 사에서 게이트론에 특주를 낸 청룡축입니다.
후자의 청룡축은 평가가 나쁘지 않습니다. 걸림이 강하고 소리가 시원한 택타일로 소수 사용자들이 좀 보입니다.
정방향 TKL이 많이 없다보니 끼게 되었습니다. via 되고, 흡음재 넣어주면서 감성용 LED액정까지 있습니다.
기본에 약간 곁들인 감성입니다. 하지만 기본 치고는 좀 비쌉니다. 이제 TKL보다는 흐름이 75로 넘어가는 추세라서 가능하다면 75를 고르시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게이밍 키보드를 표방하긴 하는데 어디가 그렇게 게이밍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CMK87

1. 브랜드 : FL CMMK
2. 배열 : TKL
3. 결합방식 : 트레이 마운트
4. 기판방향 : 역방향
5. 기본 보강판 : 스틸
6. 기본 흡음재 : 실리콘 기보강, 하부 흡음재
7. 연결방식 : 유선, 무선버전 별도 존재
8. RGB : O
9. 맵핑 : 자체 소프트웨어
10. 가격 : 모바일 279위안 (약 5.6만원)
11. 링크 :
(cmk87) https://m.tb.cn/h.UhvsASW
(사제 보강판) https://m.tb.cn/h.USKiLZB
플라스틱 TKL의 황제였던 CMK87입니다. 트레이 마운트라고는 믿을 수 없게 단단한 타건감은 마치 예전 기성 알루의 명기 AR87같기도 합니다.
FL사의 검증된 스테빌과 타건감, 그리고 플라스틱 키보드임에도 무게추를 달아서 1.2kg가 넘는 무게가지 보유했기에 많은 사람들이 입문기로 선택한 하우징입니다.
그러나 시대가 플라스틱에서도 가스켓을 중시하기 시작하면서 부드러운 타건감이 유행하다보니 단단한 타건감의 cmk87은 조금씩 뒤로 밀려나기 시작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역방향이라는 점입니다.
이런 실정이다 보니 FL도 어느 정도 단종 내지 리버전을 고려하고 있는 듯 합니다. 최근엔 기존 물량 이후에 더이상 물량을 더 채우고 있지 않습니다.
남은 재고분을 처리하고 있는 것 같으며, 그래서 그런지 가격이 매우 저렴합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예전 베어본은 유선만 지원하는 대신 보강판이 황동이어서 매우 단단했으나 이건 남은 물량을 베어본 그대로 파는 것인지 보강판이 스틸입니다.
아쉬운 대로 사제 보강판을 파는 상점 링크를 같이 걸어놨습니다. 트레이 마운트에 단단함이 특징인 하우징이다 보니 가스켓에 좋은 궁합을 보여주는 PC나 POM 보다는 FR4를 권해드립니다.
역방향이라도 롱폴 스템 스위치와 함께하면 체리 프로파일 키캡도 낄 수 있고, 단단하고 소리가 시원한 플라스틱 조합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Tiger80 lite

1. 브랜드 : KBDfans
2. 배열 : TKL
3. 결합방식 : 리프스프링 가스켓
4. 기판방향 : 정방향
5. 기본 보강판 : PC
6. 기본 흡음재 : 포론 하부+기보강, 스위치패드, 전용 테이프모드용 테이프
7. 연결방식 : 유선
8. RGB : X
9. 맵핑 : QMK via
10. 가격 : 749위안 (약 15만원), 사제 보강판과 기판, 흡음재 사용 시 413위안 (8.3만)
11. 링크 :
(베어본, 하우징만) https://m.tb.cn/h.USP4WUe?tk=OyDidXKhsgF
(수트 사제 기판) https://m.tb.cn/h.U7Hb7ok?tk=pB8ndXxo650
(사제 보강판과 기보강, 하부 포론 흡음재 판매) https://m.tb.cn/h.U7He5Rn
플라스틱 폼떡에서 가장 높은 완성도를 자랑하는 타이거80 라이트입니다.
원래부터 자체 베어본을 많이 만들어왔던 kbdfans 이기 때문에 이미 어느 정도 검증된 부분이 있습니다.
플라스틱이라고 하지만 초저가 엔트리 알루미늄 하우징보다도 비쌉니다. 다만 설계 자체가 아울랩의 수트를 고대로 베낀 수준이라 어느 정도 보장되어 있는 타건 퀄리티가 장점입니다.
물론 플라스틱 베어본 치고는 상당히 높은 가격을 자랑합니다.
그러나 이 제품의 장점은 사실 '베어본' 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수트의 설계를 거의 1:1로 베낀 수준이라서 수트의 부품이 호환됩니다.
즉, 플라스틱 하우징 껍데기만 사고 안에 부품을 수트용 부품을 사서 넣으면 된다는 말입니다.
정품 아울랩은 비싸니깐, 수트용 사제 기판과 사제 보강판을 사서 끼워넣으면 잘 작동합니다.
현재 수트 사제 기판은 품절입니다만 조만간 재입고가 된다고 합니다.
KBDfans 상점에서 플라스틱 하우징만 있는 옵션 + 가스켓 양말을 구매하면 154위안, 이후 드린 링크에서 기판 (현재는 품절) 구매시 169위안, 보강판과 흡음재를 파는 hyperboring에서 PC보강판 + 3종흡음재 구매시 90위안
154+90+169 = 413 위안입니다.
이러면 가성비가 엄청납니다.
이렇게 사용하면 tkl플라스틱에서는 경쟁자가 없는 수준입니다.
3). 75배열
중국은 현재 75배열과 98배열이 대유행입니다. 두 배열은 각각 TKL과 풀배열을 컴팩트하게 만든 배열이다 보니 사용성이 좋은 편입니다.
하지만 역시나 중국답게 대부분이 역방향이며 완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최대한 조건에 맞는 친구들로 추려왔습니다.
X75

1. 브랜드 : XINMENG
2. 배열 : 75
3. 결합방식 : 가스켓
4. 기판방향 : 역방향
5. 기본 보강판 : PC
6. 기본 흡음재 : 기보강 실리콘, 하부 실리콘
7. 연결방식 : 유선 / 3모드 모델 별도 존재
8. RGB : O
9. 맵핑 : 자체소프트웨어
10. 가격 : 유선 199위안 (4만원), 3모드 349~369위안 (대략 7만)
11. 링크 : https://m.tb.cn/h.USPCXLt?tk=esEDdXq0CRC
역방향이지만 가격에 이점이 있는 키보드입니다. 처음 입문용으로 찍어 먹어보고 다른 걸로 가도 될 만큼 부담이 없습니다.
사실 구조 자체가 명가 FL의 Q75모델을 그대로 베껴온 형태입니다.
키캡도 주지만 높이가 에베레스트이며, 스위치는 제일 싼 게 염백축이라는 것인데 저는 처음 보는 스위치입니다.
가격에 비해 들어갈 건 적절히 들어가준 터라 아주 가볍게 즐기시기에 좋습니다.
그리고 광고 문구에 이중사출 스테빌을 썼다고 하는데 해당 설명 이미지가 아코의 이중사출 용두 설명 이미지와 동일합니다. 실제로 아코의 스테빌을 쓴 것인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MK750

1. 브랜드 : FL CMMK
2. 배열 : 75
3. 결합방식 : 가스켓
4. 기판방향 : 정방향
5. 기본 보강판 : PC
6. 기본 흡음재 : 실리콘 기보강 흡음재, 실리콘 하부 댐프너, 하부 포론 흡음재, 포론 스위치 패드
7. 연결방식 : 유선, 블루투스 5.0, 2.4G 무선
8. RGB : O
9. 맵핑 : 자체 소프트웨어
10. 가격 : 359~379위안 (7만 2천원~7.7만)
11. 링크 : https://m.tb.cn/h.U739hoG?tk=gDoBdX76rLv
플라스틱 하우징의 명가 FL 역시 75붐 분위기에 편승했습니다. 게다가 이제 당연한 소양처럼 여겨지는 가스켓 마운트와 노브까지 장착해서 75 유행에 몸을 맡겼습니다.
발전한 부분이 꽤 많습니다. mk870에 없던 스위치 시트와 하부폼까지 잔뜩 들어가있으며 보강판도 PC 보강판입니다.
다른 걸 더 살 필요가 없는 수준입니다. 딱 베어본 구매 후 스위치와 키캡만 사시면 될 수준입니다.
그리고 가격대가 870에 비해서 좀 있는 만큼 3연결이 모두 지원됩니다.
비교군을 잡자면 당연히 같은 회사에서 나온 q75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mk750을 선호할 것이라 예상합니다.
훨씬 무난한 불투명 디자인에 기판이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FL 사의 원래 강점인 스테빌까지 생각하면 현재로선 가장 무난한 75플라스틱 커스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쉬운 점은 기본 노브가 좌우 유격이 있다고 합니다.
#옵션 선택
옵션 고르기도 쉽습니다. 정방향 단일 모델이기 때문에 색만 고르고 축만 无로 골라주시면 됩니다.
A3

1. 브랜드 : Jamesdonkey
2. 배열 : 75
3. 결합방식 : 가스켓
4. 기판방향 : 정방향
5. 기본 보강판 : PC
6. 기본 흡음재 : 기보강 EVA, 하부 실리콘
7. 연결방식 : 유선, 블루투스5.1, 2.4G
8. RGB : 검은색 모델은 RGB, 화이트(라고하지만 좀 누런) 모델은 흰색 단일 LED
9. 맵핑 : X
10. 가격 : 229~249위안 (4.5~5만)
11. 링크 : https://m.tb.cn/h.U6NxxTr?tk=Gl4YdXiZUfi
가성비로 새로 부상하고 있는 제임스 동키의 A3 모델입니다. FL에서 조금씩 기본기나 마감이 너프된 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본적인 것은 거의 비슷하지만 스테빌에 대한 이슈가 좀 있으니 사용자가 스테빌을 교체하거나, 잡아줘야 합니다. 놀랍게도 무보강 스테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C보강이고, 흡음재 구성도 기보강 EVA라는 조금 비선호되는 재질인 점도 아쉽습니다만 가격이 모든 것을 용서합니다.
저렴하게 75정방향으로 씹고 뜯고 맛보고 싶으시면 괜찮습니다.
마감에 대한 이슈는 중국 내에서도 조금 있는 거 같습니다.
GK75

1. 브랜드 : N/A
2. 배열 : 75
3. 결합방식 : 가스켓
4. 기판방향 : 정방향
5. 기본 보강판 : PC
6. 기본 흡음재 : 기보강+하부 모두 실리콘
7. 연결방식 : 2.4, 블루투스, 유선
8. RGB : O
9. 맵핑 : 전용 자체 소프트웨어
10. 가격 : 275위안 (5.5만원)
11. 링크 : https://m.tb.cn/h.USl4CJj?tk=CB98dXq6zUs
MK750이 너무 잘 나온 바람에 어중간해진 하우징입니다. 실리콘 흡음재에 정방향, 노브까지 있지만 어딘가 어중간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돈을 좀 더 주고서라도 MK750 구매를 추천드립니다.
ACR TOP75 Acrylic

1. 브랜드 : AKKO
2. 배열 : 75
3. 결합방식 : 탑마운트 (상판결합)
4. 기판방향 : 정방향
5. 기본 보강판 : 황동
6. 기본 흡음재 : 실리콘 기보강 흡음재, 하부 실리콘 패드, IXPE폼 스위치 패드
7. 연결방식 : 유선
8. RGB : O
9. 맵핑 : 아코 클라우드 (자체 소프트웨어)
10. 가격 : 599 (12.3만원)
11. 링크 : https://m.tb.cn/h.U6oQy6K?tk=yOP5dX8km5J
보통 가격대보다 좀 더 비싸지만 확실한 특징이 있는 AKKO의 ACR Top75입니다. 단순히 불투명 아크릴 하우징 같아보이지만 분명한 특징이 몇 가지 존재합니다.
우선 첫 번째로 범람하는 가스켓 마운트 키보드 중에서 흔치 않은 상판결합입니다.
심지어 단순 상판결합이라고 표기되어있지만 실제 빌드 과정을 보시면 보강판의 나사홀에 실리콘 삭스를 끼웁니다.
이건 유명한 커스텀 키보드 스튜디오 중 한 곳인 MODE Design에서 자주 보여주던 아이솔레이티드 탑 마운트 방식입니다.
이걸 상대적으로 저렴한 아크릴 하우징에서 구현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보통의 범주는 아닙니다.
두 번째, 흔치 않은 이중사출 용두를 쓴 스테빌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황동보강판이 들어가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런 저가형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상판결합에 단단한 황동보강까지, 이 조합 자체가 이미 평범을 벗어난 것입니다.
가스켓의 천편일률적인 푹신함과 부드러움이 싫으신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해당사진이 아이솔레이티드 탑 스타일입니다.
XJ80

1. 브랜드 : Xiongjiang
2. 배열 : 75
3. 결합방식 : 가스켓
4. 기판방향 : 정방향
5. 기본 보강판 : POM
6. 기본 흡음재 : 기보강, 하부 실리콘, PE폼
7. 연결방식 : 유선, 블루투스5.1, 2.4G 무선
8. RGB : O
9. 맵핑 : 불가
10. 가격 : 289위안 (5.8만원 가량)
11. 링크 : https://m.tb.cn/h.USJMRN6?tk=2P6jdXEX4uN CZ0001
작은 디스플레이에 노브, 75배열, 실리콘 흡음재 가득, 정방향까지, 개념찬 모델입니다.
그러나 출시된지 너무 얼마되지 않아서 평가라고 할 것이 없습니다. 출시 전부터 바이럴을 시끄럽게 해댄 터라 조금 지켜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스펙 자체는 필요한 게 모두 든 것 같아 보입니다.
4). 미니배열
미니배열부터는 어느 정도 사용자화가 필요하다보니 qmk via가 절실합니다. 따라서 정방향이면서도 VIA 지원을 최대한 중점으로 두겠습니다.
Origin65A


1. 브랜드 : Fancy
2. 배열 : 65
3. 결합방식 : 가스켓
4. 기판방향 : 정방향
5. 기본 보강판 : POM
6. 기본 흡음재 : 포론 기보강, PE폼 스위치 시트
7. 연결방식 : 유선
8. RGB : O
9. 맵핑 : QMK VIA 지원
10. 가격 : 389위안 (8만원 가량)
11. 링크 : https://m.tb.cn/h.UhReqhy?tk=pcNDdXRT3gG
흔하지 않은 아크릴 CNC 하우징의 키보드입니다. 폼보강 판을 쓴 것이나, 빅베젤인 점이 특이해서 가져왔습니다.
65에서 흔하지 않게 화살표와 네비키가 떨어져 있는 것도 특징입니다.
하부 폼이 없지만 65배열에 맞는 포론폼은 많이 팔기에 괜찮습니다.
후기에 아크릴 QC가 좋지 않다는 말도 있습니다. 스테빌도 의문점입니다.
그러나 신기하게도 이 가격대의 중국발 키보드에 흔하지 않은 via를 지원한다는 큰 강점이 있습니다.
맵핑을 하는 경우가 많은 65배열에서 VIA가 된다는 것은 보통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한 부분입니다.
CC67

1. 브랜드 : XC
2. 배열 : 65
3. 결합방식 : 가스켓
4. 기판방향 : 정방향
5. 기본 보강판 : PC
6. 기본 흡음재 : 화이트 포론 기보강+하부 흡음재
7. 연결방식 : 유선
8. RGB : O
9. 맵핑 : QMK VIA
10. 가격 : 239위안 (4.9만원)
11. 링크 : https://m.tb.cn/h.U6oh98r?tk=niXrdX8i6lS
이번에는 투명 CNC 아크릴입니다. 이 제품은 스위치 패드는 없지만 요새 유행하기 시작한 화이트 포론을 기본 흡음재로 기보강과 하부용을 모두 줍니다.
이 하얀색 포론 폼은 보통 검은색 포론과는 밀도가 차이가 나서 타건음이 다르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니배열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조건인 VIA 지원도 됩니다.
난잡한 디자인이 단점으로 여겨지지만 평이 나쁘지는 않습니다. 우선 abs재질이 아니라 훨씬 무거운 아크릴이기 때문에 그것 역시 장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타건음도 무거운 재질 덕분에 정갈하게 잘 나온 편입니다.
Alice80

1. 브랜드 : Feker
2. 배열 : 어고 아리수
3. 결합방식 : 가스켓
5. 기본 보강판 : PC
6. 기본 흡음재 : 하부 실리콘 패드, 기보강 실리콘
7. 연결방식 : 유선, 블루투스, 2.4G
8. RGB : O
9. 맵핑 : QMK VIA
10. 가격 : 469위안 (약 9.4만)
11. 링크 :
(본품) https://m.tb.cn/h.UhJRw7B?tk=MzzxdXqYUih
(포론 흡음재) https://m.tb.cn/h.UhJ80xk?tk=r1qydXqbGDq
(전용 팜레스트) https://m.tb.cn/h.U6DcMyy?tk=h4e7dXqbIBH
말도 안되는 조합과 가격에 적당한 완성도를 가진 아리수 배열 어고입니다. 페커는 짭홀판과 흔히 대머리75로 알려진 IK75를 판매하던 곳입니다.
사진은 역방향이지만 구매 옵션엔 정방향이 존재합니다.
배터리를 양쪽에 4,000mAh를 넣어 총 8천에 달하는 배터리량, 실리콘 흡음재를 잔뜩 넣고 노브까지 달아주는 친절함, 어고배열에 꼭 필요한 QMK 지원, 3도라는 텐티드 경사까지 보유, 어고 배열에 필수적인 양b,y를 모두 가지고 있기까지.
현재 가성비 어고로 이만한 게 없습니다. 게다가 결합방식도 특이해서 하우징 위 아래에 포론 가스켓 스티커를 붙인 후 보강판에도 실리콘 자켓을 장착하는 이중 가스켓입니다.
이게 좋다라고 말하기엔 개인의 취향이 강하게 작용하겠지만 독특한 것은 분명합니다.
전용 팜레스트와 기보강포론+pe폼 스위치패드도 공식샵에서 같이 판매 중입니다. 흡음재 구매시에도 언제나 방향을 잘 보고 사셔야 합니다. 下가 들어간 쪽이 정방향용입니다.
어고 배열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스스로 어고에 잘 적응할지 실험해보는 용도로 사기 좋습니다. 어고 배열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은 사보시길 권합니다.
GAS67 개조버전

1. 브랜드 : CIY
2. 배열 : 65
3. 결합방식 : 가스켓
5. 기본 보강판 : PC
6. 기본 흡음재 : 기보강 실리콘
7. 연결방식 : 유선
8. RGB : O
9. 맵핑 : QMK VIA
10. 가격 : 228위안 (약 4.6만원)
11. 링크 : https://m.tb.cn/h.U7wsGjB
Tester68 같은 저가형 하우징으로 유명하던 CIY에서 출시했던 GAS67입니다.
출시 당시엔 지금처럼 플라스틱 하우징에서의 가스켓이 대중적이지 않았기에 매우 유행했습니다. 게다가 꾹꾹이라고 흔히 부르는 차력쇼 역시 매우 잘되었기에 시각적 만족도도 높았습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역방향으로 인해서 인기가 그렇게 높진 않았습니다.
가격이 매우 저렴해서 장난감으로나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이걸 사제 수트 기판 판매자가 자신들의 정방향 VIA 65배열 기판을 넣어서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면 모든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정방향에 VIA가 되는 기판은 혁명입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기보강 실리콘 흡음재가 전부인 데다가 서드파티 업체에서 따로 흡음재를 만들지도 않기 때문에 한국 벤더에서 포론이나 신슐 같은 흡음재와 PE폼을 따로 사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도 6만원 이내로 꾹꾹이도 잘되고 VIA도 되는 정방향 하우징이라면 메리트가 충분히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