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TIP] 필력에 관하여. (장문)

ㅇㅇ(39.117) 2018.08.14 06:44:48
조회 17694 추천 81 댓글 24

안녕 칭구들?

모두들 글은 잘 쓰고 있는지 모르겠다.


나는 최근 들어서 존나게 안써지더라. 그런데 오늘 유난히 잘 풀렸음.


아침에 끝날 것이 새벽에 쫑을 치부렸다.

그래서 남는 시간에 잡글이나 하나 싸지를라고 함.


저번에 '프롤로그' 관련으로 글을 올렸는데, 이번에는 '필력'에 관련해서 적어 볼깽


그런데 알다시피 '필력'이라고 불리는 놈은 뭔가를 딱 지칭해서 하는 말이 아니여.




스토리, 전개, 문장, 흡입력, 소재 살리기 등등... 독자가 글을 읽게 만드는 것이 바로 '필력'이여.




그러니 이 쪼맨한 DC 게시글 하나에 저 모든 것을 담는 것은 무리지라.


그래서 내가 보여주고 싶은 것은 그 중의 하나인 '이음동의어'에 관해서 설명하려고 함.



글을 쓰기에 앞서서 언제나 그렇지만,

자기 입맛에 맞으면 먹으면 되고, 안 맞으면 뱉으면 됨.


비꼬거나 하는 것이 아니다.

어차피 글은 자기가 쓰는 거다.

웹소 시장은 항상 진검승부로 네임드들도 모가지가 날아가는 세상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 전쟁터에서 기어다니는 놈들이지.


생로가 왼쪽인지 오른쪽인지는 움직여 본 놈만 알지 않겠냐?

맞다 싶으면 글에 적힌 내용대로 해보면 되는 거고, 아니다 싶으면 그냥 자기 주관대로 밀고 나가면 된다.


생각에 의한 결과는 항상 자기 몫이여. 그러니 알아서 판단하드라고.






-----------------------





1. 이음동의어라는 놈이 뭐임?


일단 설명을 하려면 이음동의어라는 놈이 뭔지 알아야 겠지?

그런데 이것은 사실 너희들 대부분이 알고 있는 내용임.

문제는 여태 그것을 '뭐라고 해야 하는지 몰라서' 이음동의어라는 말을 안쓰고 있던 것 뿐임.


백번 말하는 것 보다. 한 번 보는 게 좋다는 말이 있지?


밑에 예시를 만들어 뒀으니 한 번 보셈. 보자마자 단박에 이해가 될 거야.




1. "박건영씨. 강둑에서 아버님의 시체를 발견했습니다."

2. "박건영씨. 강둑에서 아버님의 시신을 발견했습니다."

3. "박건영씨. 강둑에서 아버님의 유해를 발견했습니다."

4. "박건영씨. 강둑에서 아버님의 연시를 발견했습니다."

5. "박건영씨. 강둑에서 아버님의 송장을 발견했습니다."



어떠냐? 뭔지 알겠음?


이음동의어라는 것은 풀이 그대로야. 발음이 다른데 뜻이 같은 단어를 말하는 거임.


위의 예시와 같이, 우리가 흔히 '시체'라고 부르는 단어.


그것만해도 시신, 유해, 연시, 송장, 시사, 주검 등등 많음. 더 있던 걸로 아는데 기억이 안난다.


어쨎든, 우리 같은 망생이들은 이 이음동의어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어.




왜냐고?




이걸 모르면 글이 개판 5분전이 되기 때문이야.


이음동의어를 '잘 못 쓰는' 작가는 있어도 '안 쓰는' 작가는 없다.


이건 필력에 곧장 연결되는 부분이라 반드시 익혀야 하는 테크닉 중의 하나임.

과장해서 말하는 게 아니라 진짜 기초중의 기초. 건물로 치면 철골 올리는 것과 같은 거야.

별거 아니라고 천대시하면 안됨.



그러면 일단 이음동의어가 뭔지는 확실히 알았을 거라 믿는당.






2. 이음동의어가 왜 필요함?



뭔지 알았으면! 왜 필요한지를 알아야지!


사실 이것이 가장 핵심적인 내용 아니것냐.



그러면 일단 밑에 적어둔 문장을 다시 보자.



1. "박건영씨. 강둑에서 아버님의 시체를 발견했습니다."

2. "박건영씨. 강둑에서 아버님의 시신을 발견했습니다."

3. "박건영씨. 강둑에서 아버님의 유해를 발견했습니다."

4. "박건영씨. 강둑에서 아버님의 송장을 발견했습니다."



단도직입 적으로 물어보자.


너희는 저 대사에서 가장 어울리는 단어가 뭐라고 생각하냐?


보통 2번이나 3번을 택할 거다.


저렇게 보면 알겠지만 1번과 4번은 전혀 대사와 어울리지 않아.

(1번은 좀 양보해서 봐준다 쳐도 4번은 진짜 아님)



그러면 다시 새로운 문장들을 봐보자.



1. 나는 눈앞에 벌어진 참상에 입을 다물 수 없었다. 사방도처에 시체가 널려 있었다.

2. 나는 눈앞에 벌어진 참상에 입을 다물 수 없었다. 사방도처에 시신이 널려 있었다.

3. 나는 눈앞에 벌어진 참상에 입을 다물 수 없었다. 사방도처에 유해가 널려 있었다.

4. 나는 눈앞에 벌어진 참상에 입을 다물 수 없었다. 사방도처에 송장이 널려 있었다.



그럼 이 문장에서 가장 어울리는 단어는 뭐라고 생각하냐?

아마도 1번 아니면 2번이 대부분이고 4번도 있을거다.


그런데 3번을 고른 사람은 없을 거야.



자, 이제 내가 뭘 말하고자 하는지 알겠냥.



글의 분위기와 문장에 따라서 같은 뜻을 가진 단어라도 어감과 느낌이 다르다는 거다.



'유해'라는 것은 뭔가 좀 더 정중한 이미지야.

'송장'이라는 건 무겁고 딱딱한 이미지고.


둘다 같은 '시체'를 말하는데 사용하는 곳은 완전히 다르다는 소리지.



글을 쓸 때는 이것을 적제적소에 집어 넣어야 문장이 깔끔해지고 가독성이 올라가.

거기에 내가 원하는 이미지를 명확하게 전달 할 수 있어.



영결식 같은 곳에서 '송장'이라는 단어를 쓰면 어떨 거 같아? 존나게 안 어울리잖아.


반대로 주인공이 철천지 원수를 죽였는데 '유해'라는 단어를 쓰면? 이상하지?



이런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이음동의어를 써야됑.




다만!!!





앞에서 여태 설명한 것들은 조금 고도의 테크닉이야.

꼴랑 단어 바꿔치기 하는 주제에 무슨 고난도냐고 할 수 있는데.


이제부터 의식하고 써보면 암. 내가 '시체'하나만 예로 들은 거지 단어라는 게 얼마나 많냐?


그것들 전부 이음동의어 구사하려면 단기간에 절대로 안 된다.




그래도!!!




단기간에 글을 한층 유려하게 가다듬을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위에 설명한 것 처럼 일일이 하나씩 단어를 생각하며 바꾸는 것이 아니야.


중복되는 것만 최대한 피하는 거지.


소모되는 정신력은 위에 소개한 작업의 2할도 안들이고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어.

(근데 그것도 무시 못함.)



예를 들어서 총 5줄에 걸쳐서 글을 작성했다고 치자.


그런데 거기에 '시신'이라는 단어가 네 번이 나와.


이건 조금 많은 거거든? 그러면 저 '시신'이라는 단어를 다른 걸로 봐꿔야 하는 거야.



여기서 방법이 두 가지로 나뉘어.


'유해', '송장', '시체'와 같은 이음동의어로 바꾸던가, 아니면 묘사자체를 바꿔서 씌워버리는 거임.

왜 흔히들 '싸늘한 고깃덩이' 뭐 이런 거 있잖아.

그런 식으로 묘사하면서 넘겨버리는 거지.


둘다 좋은 방법이기는 해.


그런데 묘사의 경우에는 너무 난발하면 '글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어.

단문 형식의 웹소설에서 저런 것이 누적되면 글이 지저분해지고 가독성이 심각하게 떨어짐.

한두번이면 색다른 표현으로 독자들이 추천을 누르겠으나, 계속 저런 표현이나오면 독자가 지쳐버린다는 거야.


요즘에는 잘 안 보이지만, 일주일 전만해도 묘사가 DC기준으로 2줄을 한 호흡으로 쓰는 친구도 있었어.

미안한데, 그렇게 올린 글들 중에서 호평 받은 건 하나도 없을 거야.


그러니 묘사로 중복어를 덮어버리는 것은 가끔씩만 써야 해. ㅇㅋㄷㅋ?

그런데 생각보다 중복어가 많이 나오니 이음동의어를 써야 하는 것이고.




참고로 이것은 '명사' 중복과도 긴밀한 상관이 있어.




흔히 소설을 쓰다보면 명사나 대명사를 더럽게 많이 쓰게 되는데,

이것을 잡아 줄 생각을 안하면 소설에 과잉으로 그 단어가 노출 당해버려.





밑에 문장을 봐보셈.




케이크의 ------ 남자는 검을 휘----. 케이크는 남자의 --------- 올라---. 곧바로 남자가 ------,
쩍 소--를 -------. 케이크는 ------ 남자에게 달----------었다. 남자는 케이크의 ---------- 쳐내----대로 ------.
케이크는 ------- 벽에 -----혔다. 나는 -------- 단검을 ------ 남자에게 달----다. 남자는 ---- 검을 휘---- 두동강 --------렸다.

"덤빌거여!? 팍! 쒸바!"

-----------말했다. 그 순간 남자가 ---------켜 뒤에서 ---------- 케이크를 넘어---다. 나는 ------- 케이크 옆으로 -------다.

"마지막경고임! 칼버려어!!"

남자가---------- 소리------다. 케이크는 거친----------
남자를 노-------다. ---------고 ----------는 순간, 케이크가-------다.





진짜로 감평글에 올라왔던 것 중의 하나임.


---- 부호는 중간에 있던 문장들 전부 내가 빼버린거양. (누구건지 모르게.)


그리고 케이크랑 남자는 중복되는 언어를 다른 걸로 치환해둔 거임.

위의 글에서는 2가지 단어가 지나치게 많이 나온 거라는 뜻이지.



지금 내가 알아보기 쉽게 '케이크'는 굵게 표시해뒀고, '남자'는 붉은 바탕으로 만들어뒀음.



이 글의 문단의 경우 총합 200글자도 채 안됨.


그런데 '케이크'가 9번이나 나온다.

그리고 '남자' 라는 단어도 9번이나 나옴.



200글자도 안 되는데 벌써 중복 단어가 9개씩 2놈이 나왔다는 소리다.(심지어 1인칭.)



이건 조금 극단적인 경우지만,

진짜로 글을 쓴지 얼마 안된 칭구들 연재작을 보면 중복어가 장난 아니게 튀어나옴.

그런데 스토리나 다른 문장 다듬기에 바빠가지고... 그걸 해결 할 생각을 못하는 거야.


다작, 다독 경험이 부족하면 글이 이렇게 꼬여버려.


왜냐하면 '명사'나 '대명사' 같은 걸로 시작하는 문장들은 진짜로 쓰기가 쉽거든.

글을 적으면서도 자기도 모르게 쉬운 길을 선택하게 되는 거야.

조금이라도 막히면 바로 명사랑 대명사 때려박아 버리는 거지...


그런데 이러다가 명사를 빼고 글을 적어보려고 하면 드럽게 힘듬.

이거 초반에 버릇을 잘 못 드리면 진짜로 오래간다.


3인칭의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명사, 대명사가 많이 쓰이지만, 1인칭은 자제 좀 해야돼.


독자눈에 슬슬 거슬리기 시작하는데 그게 안 고쳐지면.... 독자는 그냥 떠나감.



'필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거야.



아까도 말했지만, 명사나 대명사를 넣고 문장을 만들면 진짜로 쉬워.


그런데 그걸 독자도 알아차리는 거야. '성의가 없다' 라고 말이지.




대부분의 단어들은 '차선'이 마련되어 있어.

쓰다가 조금 아닌 것 같으면 이음동의어를 때려박으면 됨.

정말로 심각한 정도가 아니라면 그 정도로 급한 불은 끌 수 있어.


그런데 이음동의어를 때려박아도 안된다?


그건 글의 기초부터가 문제인 거야. 습작 오지게 써보고 연구해야 돼...





3. 공부법.




여기까지 봤으면 이음동의어의 중요성은 인지했을 거야.

그런데 인지는 했는데, 어떻게 연습해야 되는지는 잘 모를 수도 있어.



공부법은.... 정말로 다양함. 내가 들어 본 것만 3가지 정도 되는 듯?



그 중에서 제일 추천하고 싶은 것은... 역시나 '다독'이다.

다른 필력의 요소도 공부를 겸할 수 있고 질리지도 않는 방법이지.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이. '다독'에 대해서 착각하는 친구들이 있다.



다독을 그냥 풀이 그대로 많이 읽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야.



그 문장이 '어떻게' 쓰였는지, 이 연출이 '어째서' 대단한지, 이 단어를'왜' 선택했는지.


이런 것들을 '인식'하고 봐야됨.


그냥 작품만 줄줄이 읽는 건 '다독'이 아니야. 걍 웹소 보는 거지.




솔직히 웹소 유저들이 서브컬쳐 집합에 어느 정도 맞아 떨어져.

웹툰, 애니, 영화 이런 것들 즐기는 사람이 의외로 많단 말이야.

그런 사람들은 수십 가지의 작품을 보고, 듣고, 즐겼어.



그런데 막상 글을 쓰려고 하면 막혀버려.



왜냐하면 여태까지 본 것들은 '즐기기 위해' 본 것이기 때문이지.

배울려고 하는 입장에서 본 것이 아니기 때문이야.


두 가지의 차이는 존나게 심해.


물론, 즐기기 위해 본 것도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야. 분명히 실력은 늘어. 존나 쪼금씩 말이지.




그래서 공부 할 때 선택하는 작품은 무조건 네가 봤던 걸로 해야 해.

새롭게 보는 웹소들은 문장 분석을 하기도 전에.. 네가 이미 즐기고 있을 공산이 크거덩.



자기가 좋아하고, 자기가 닮고 싶고, 오래봐도 질리지 않는! 그런 작품을 찾아서 공부해야 됨.




할 말은 여기까지임.


망생이 아조씨들 파이팅하셈.


맞춤법 개판이라도 이해해라. 졸려서 눈감기는 거 버티면서 씀 ㅠ






요약.


1.중복어가 많으면 가독성, 독자의 몰입에 이상이 생김.


2.그러니 이음동의어를&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81

고정닉 13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 설문 탈모 걱정 없어 보이는 머리숱 금수저 스타는? 운영자 25/07/14 - -
879671 공지 갤 규칙 통합 공지 V1.00 깜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4 24091 29
1033343 공지 프라이빗 문의 공간 (메일) [1] thisda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08 13987 8
958746 공지 신문고 [1] ㅇㅇ(223.38) 24.06.09 24925 12
434755 공지 유입 뉴비들을 위한 갤통합공지(V1.06) [1] 깜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25 116427 206
447147 공지 웹소설 연재 갤러리 공지사항 (2021.02.24) 밤톨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24 70626 70
956351 공지 웹소설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 ver.1.00 [47] 깜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02 44263 122
1117498 문피아 200화 완결이고 뭐고 모르겠고!!! ㅇㅇ(61.84) 08:30 1 0
1117497 일반 밑᠎에᠎ A᠎V᠎ 찾᠎는᠎ 사᠎람᠎만᠎ 클᠎릭᠎해᠎라᠎.᠎.᠎.᠎.᠎. [1] 잭슨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2 42 0
1117496 노벨피 내 아이를 놓아주기로 했다.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6 90 0
1117495 일반 하루 5천자 힘들지않냐? [2] 빈센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4 66 0
1117494 노벨피 나름 잘 되던 소설 쳐망했는데 급완결 쳐도 되려나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3 82 0
1117493 노벨피 아제 올린거 진짜 재미없었는데 [1] ㅇㅇ(125.143) 07:30 63 0
1117491 일반 게임도 자주하는데 글쓰기는 24-27인치가 좋아서 고민됨 [4] ㅇㅇ(222.98) 07:06 65 0
1117490 카카오 쌩오리 첫달 매출 [2] ㅇㅇ(112.144) 06:43 101 0
1117489 일반 망생이 1화 감평 해보실 귀인 계실까요? [14] ㅇㅇ(61.255) 06:35 98 0
1117488 일반 전업 작가 자취 망생이 좆됨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2 163 0
1117487 일반 독자입니다 꿈꾸는고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54 101 0
1117486 노벨피 정산조회수 20만명 넘었는데 ㅇㅇ(119.200) 05:53 61 0
1117484 문피아 지상최대 캐스팅되면 정연도 되는건가? ㅇㅇ(211.241) 05:31 65 0
1117483 일반 웹소 쓰는 동기부여 지분율이 어떻게 됨?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27 0
1117482 문피아 생업이 바빠서 대상작 이제 보는데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58 196 0
1117481 일반 가연물을 뭐라 부르더라 [8] ㅇㅇ(115.140) 04:42 125 0
1117479 노벨피 잘하면 플러스 가기전에 자랭 상위권 찍먹 할 수 있을지도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4 101 0
1117478 일반 독자 입니다. 혹시 이런 능력 만들어 주실분 있나요? [9] 꿈꾸는고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2 308 0
1117477 노벨피 오늘 조회수 좀 올랐길래 뭔가 했는데 [1] ㅇㅇ(222.102) 03:38 79 0
1117476 문피아 신베는 20화마다 바로바로 빠져서 좋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96 0
1117475 일반 대학을 어디 가야할지 고민이다 [60] ㅇㅇ(124.61) 03:23 302 0
1117473 일반 노벨피아 300위면 한달 50만원은 번다고 보면 되나? [1] ㅇㅇ(119.203) 03:20 137 0
1117472 일반 망생이가 말하는 플랫폼의 괴리감은 이렇게 생각되는데 나는 [8] ㅇㅇ(1.250) 03:03 160 0
1117471 일반 원룸 월세가 70-80이면 너무 과하고 비싼 걸까? [59] 취미적글쓰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2 366 0
1117470 일반 나는 왜 댓글이 안달리냐 [2] ㅇㅇ(116.45) 02:51 94 0
1117469 노벨피 2~3천자씩 연재하는데 괜찮음? [9] Rrr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0 167 0
1117468 일반 망생이 인풋중인데 벽을 느낀다 [2] ㅇㅇ(1.250) 02:47 149 0
1117467 일반 날씨 미춌네 [1] ㅇㅇ(211.200) 02:44 49 0
1117466 노벨피 소재나 문체가 웹소설이랑 거리가 멀다던데 [29] Rrr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39 288 0
1117464 노벨피 입체적인 캐릭터는 몇 명이면 충분할까 [6] ㅇㅇ(124.61) 02:22 165 0
1117463 노벨피 뮤블 왜 야설도 리뷰가 됨??? [7] ㅇㅇ(219.250) 02:18 193 0
1117462 노벨피 걍 19 걸어버리고 싶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97 0
1117461 일반 노피아 1배럭 투하한다. [2] 부키의초코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9 74 0
1117460 일반 ㄱㅇ들아 니들은 아카데미 검머외가 노피아작이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72 0
1117459 일반 뭔 헛소리지 노피아만큼 히로인 입체적인 곳이 없는데 [3] ㅇㅇ(222.114) 02:02 172 0
1117458 노벨피 가슴 흔들리는 의성어 추천좀 [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0 235 0
1117457 일반 그냥 남성향은 그거야 그거. ㅇㅇ(1.243) 01:59 72 0
1117456 문피아 19화 지표좀 봐주실분 [7] ㅇㅇ(182.227) 01:58 139 0
1117455 노벨피 노피아던 어디던 히로인 과거 푸는거 싫어한다? ㅇㅋ [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8 177 0
1117453 문피아 그 동안 문피아에 편견이 많이 쌓였구나 [1] ㅇㅇ(175.124) 01:54 187 0
1117450 일반 글담 진짜 글러처먹었네 [12] ㅇㅇ(183.100) 01:44 300 0
1117449 일반 하남자물이 입체적인 캐릭터가 얼마나 힘든지 교본이다. ㅇㅇ(1.243) 01:43 138 0
1117448 문피아 문피아 독자 층에게 있어 지뢰 같은 거 있음? [20] ㅇㅇ(175.124) 01:43 238 0
1117447 일반 아무튼 간에 싯팔 눈을 뜨게 해줘서 고맙다... ㅇㅇ(175.124) 01:38 68 0
1117446 노벨피 머여 시발 노피아 히로인이 4드론 트로피라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6 93 0
1117445 일반 노피아 히로인은 단색맛이라고 생각해라. [1] ㅇㅇ(1.243) 01:35 89 0
1117444 노벨피 야설은 앞으로 조아라 끼고 가는 게 맞는 거 같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4 143 2
1117442 일반 아카데미물은 홍댕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3 46 0
1117441 일반 어쩐지 씨발 히로인 이야기 푸는 거 싫어하는 사람 많더라 [5] ㅇㅇ(175.124) 01:32 171 0
1117440 일반 장르 짬뽕 [2] ㅇㅇ(118.221) 01:29 58 0
뉴스 ‘엠카’ 윤산하, ‘EXTRA VIRGIN’ 음방 최초 공개…‘힙한 플로우’ 솔로 컴백 완료 디시트렌드 07.1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