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지] 공무직 최소한의 정보글

듣지않습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28 17:21:36
조회 12216 추천 32 댓글 16

? 공무직 최소한의 정보글 ?




┏◎ 정보글 목차 (①~⑤)


① 공무직 채용

② 아니 선생님, 공무직되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합니까?

좋은 공무직인지 판단 근거

공무직 장단점

그 외 공무직 관련 기타 정보




① 공무직 채용


가장 먼저 말하고 싶은 점은, 전국 모든 공무직 채용공고를 한 자리에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은 없다.


그렇기에 공무직 채용 관련 정보는 각각의 다른 사이트에 일일이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조회해야 한다.


해당 사이트에 대해서 약식으로 설명해주자면,


1. 나라일터 https://www.gojobs.go.kr/mainIndex.do // 그나마 전국 단위로 가장 많은 내용의 공무직 채용 공고가 올라오는 사이트.


2. 지자체별 시청, 구청 홈페이지 채용공고&구인공고


3. 이외에도 기타 공공기관이나 공기업 홈페이지 채용공고&구인공고


※ 상기 기술한 1~3번만 평소에 수시로 확인하더라도 놓치는 공고는 없을 것이다.




② 아니 선생님, 공무직되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합니까?


정해진 방도는 없다. 그러나 채용 루트에 대해서 대략적인 서술은 가능하다. 일단은 본인이 지원하고 싶은 공무직 채용공고 내용을 확인해서 다음 내용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파악하고 그에 맞춰 준비하는 게 최선이다.


1. 1차 서류전형 - 2차 면접전형


일단 보기엔 1차 서류 2차 면접, 2가지 과정밖에 없어서 존나 쉬워보인다. 그런데 그렇지가 않다. 서류전형과 면접전형 단 두 가지로 합격자를 가르겠다는 말은 즉슨, 경력과 자격을 존나게 보겠다는 의미이다. 사실상 해당 관련 업무를 몇 년씩 꾸준히 해온 경력직이 아니고선 최종합격까지 이뤄내기 매우 어렵다.


2. 1차 서류전형 - 2차 필기전형(NCS) - 3차 면접전형


1번에서 필기전형이 추가되었다. NCS시험이라고 해서 겁먹을 필요는 없다. 공기업 기준으로 보훈&고졸 전형의 필기시험 레벨로 나오거나 그보다 더 쉽게 나온다.

1번보다 고무적인 점은, 자격이나 경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사람이라도 필기전형(NCS) 점수로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점이다.


→ NCS 공부는 어떻게 하나요 선생님? 공무직 NCS는 문제집이 따로 없다. 대비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맞다. 그렇지만 일단 가능한 포털사이트에서 해당기관 공무직 NCS 필기시험을 검색해서 정보가 나오는지 확인하자. 관련 채용 후기글이라도 있으면 참고하자. (거의 안 나옴.)


"그리고 존나 상관없어도 뭐라도 공부하면서 대비하고 싶어요 제발 방법을 알려주세요!" 라고 말할 사람들이 있을 것 같아서 전해주는 건데, 채용공고상에 필기전형 관련 과목이 기재되어 있을 것이다. 공고 내용에 해당하는 과목을 시판 공기업 NCS 문제집을 통해서라도 공부하자. 물론 공기업 NCS 문제집이 훨씬 더 어렵다. 그리고 지자체 공무직인 경우엔 지자체 관련 상식 문제가 나올 수도 있다는 점 염두해두자. 관련 뉴스 존나 검색해서 봐라.


ps)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이다. 본인 경험으론 서류 합격은 쉽다. 그러나 필기 - 면접을 거쳐 최종합격되기는 어렵다. 어디 경력으로 하나 걸쳐놓고 존나게 지원해라. 그리고 존나게 떨어져라. 어차피 잃을 것도 없는 상태이지 않은가? // 그리고 진짜 운 좋으면 지방 같은 경우엔 지원자 자체가 없어서 미달로 인해 날먹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좋은 공무직인지 판단 근거


공무직은 근로 조건이 천차만별이다. 정년까지 지낼 수 있는 좋은 공무직이란 어떤 걸까?


(여기서 실근무시간이나 업무 난이도 관련 내용은 워낙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 배제한다.)


1. 호봉제 공무직

흔히 호봉제 공무직이라고 통칭하여 부르는데, 같은 호봉제라도 연차별 호봉에 따라 임금 상승분이 보장되는 공무직이다. 본인 기준으로는 대략 호봉당 월급여 기본급 기준 10~15만 원 정도의 임금 상승분이 보장된다. 특수한 별정직과 경력이 인정되어 호봉이 가산된 소수의 사람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공무직은 초봉 기준 월급여 기본급 210~230만 원+추가 수당+상여금의 레벨로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모든 호봉제 공무직이 좋은 것은 아니다. 호봉제라고 하더라도 임금상승분이 1~2만 원에 그치는 경우가 허다하고, 또한 임금상승분이 높다고 하더라도 호봉 최대 상승 제한이 10호봉 밑으로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가장 좋은 공무직인지 판단하는 근거는, 호봉당 임금상승분과 최대 호봉 인정 횟수, 그리고 보장된 상여금으로 판단하자.


2. 직무급제 공무직

연차가 쌓여도 보장 받는 임금 상승 금액이 거의 없다시피 한다. 그만큼 업무적으로 편해서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필자가 말했듯이 공무직 초봉이 정년까지 간다고 가정했을 때 사실상 최저임금 고정이라는 소리이다. 최저임금 상승분이 본인 임금 상승분의 전부일 확률이 높다.


기본급+수당+상여금+복지포인트 등 임금 구성은 호봉제 공무직과 같다. 하지만 기본급이 고정이라 사실상 최저임금을 받고 정년까지 일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여기에 걸쳐놓고(상대적으로 들어가기 쉬움) 호봉제 공무직·공기업·공무원으로 이직을 준비하거나, 좋은 워라벨에 만족하고 그냥 그대로 산다.




공무직 장단점


장점)

1. 대체로 워라벨이 좋다. (필자 기준, 실근무 2시간 이내, 2023년 기준 연장근로 총합 10시간 이내)

2. 정년이 보장된다. (기관마다 다르지만, 보통 직렬별로 만 60세 ~ 65세라고 생각하면 된다.)

3. 고용노동부가 시행하는 각종 근로자 복지 정책의 수혜를 눈치보는 일 없이 누릴 수 있다. (육아휴직·병가·공가·법정근로수당·임금체불X)

4. 공공기관 특성상 같이 근무하는 직원들의 질이 어느 정도 보장되어 있다.

5. 호봉제 기준으로 급여가 적지 않은 편이다. (30세 임용 기준으로 정년까지 근로소득총액 세전 14~15억 정도 찍힌다. 9급 공무원 입직 기준 세전 18~19억, 기본급과 기본적으로 보장되는 상여수당 합산 기준)


단점)

1. 매너리즘에 빠지기 쉽다. (상대적으로 쉬운 잡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자괴감 느끼는 사람들도 많음.)

2. 동료들에게 무시받는다. (본인은 원래 남한테 관심이 없어서 딱히 느껴본 적 없는데, 그렇다고 주장하는 공무직이 많음.)

3. 직무급제 기준으로 사실상 최저임금 수준으로 급여가 적은 편이라 많이 힘들다.

4. 현실적으로 자력으로 결혼하기 힘듦.


※ 단점 더 있을 거 같은데 솔직히 나는 매우 만족 중이고, 남들이 말하는 단점도 잘 못 느껴서 모르겠다;




그 외 공무직 관련 기타 정보


🌕 공무직 티오는 계속해서 줄어드는 중. (결심이 섰으면 바로 준비하자.)

🌕 사무·미화 직렬의 경우엔 여성 우대하는 경향이 있고, 기술·시설·보안 직렬의 경우엔 남성 우대하는 경향이 있다.

🌕 노조 가입 안 하고 노조 회비 지불 안 해도, 공무직 임금협상 내용은 보장 받는다.

🌕 일반적으로 호봉제 공무직이라 함은, 지자체(시청·구청) 소속 공무직이 보장 받는다.

🌕 공무직은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 신분이기에 노동법 관련으로 아는 만큼 본인이 꿀빨 수 있다. 할 거 없으면 노동법 공부하자. 그게 전부 자기한테 피와 살이 되는 자양분이다.




ps) 그래도 명색이 공무직 갤러리인데 공지에 정보글 하나 없는 게 너무 짜쳐서 대충 끄적임.

추천 비추천

32

고정닉 1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AD 메가로이어스 온앤오프 설명회 OPEN 운영자 25/04/14 - -
AD [필독] 전기기사 1회 필기 미공개 복원문항 大공개 운영자 25/04/17 - -
공지 공무직 되는 방법 정확히 알려주니 되고 싶으면 꼭 따라하삼!! [102] ㅇㅇ(121.174) 24.03.03 20787 77
[공지] 공무직 최소한의 정보글 [16] 듣지않습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8 12216 32
공지 공무직 만족도 조사 (투표) [7] 듣지않습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3 2087 16
8577 임업기계장비운전원 무슨일하는거임? [2] ㅇㅇ(211.234) 01:31 30 0
8576 코레일테크 역환경 해본사람있어? [1] ㅇㅇ(106.102) 01:03 42 0
8575 도로보수원 1년 근무 후기 [13] ㅇㅇ(118.235) 04.25 142 1
8574 이새끼한테 인사 계속 할까말까? [4] ㅇㅇ(121.185) 04.25 124 0
8572 선거지원 나가는 공무직게이들 있노? [3] ㅇㅇ(211.36) 04.25 130 0
8571 공공기관 지방연구원 행정사무원 공무직 넣었다 [1] ㅇㅇ(59.8) 04.25 126 0
8570 공무정규직이랑 무기계약직 같은말아니야? ㅇㅇ(211.194) 04.25 85 0
8569 우체부도 공무직임? [1] ㅇㅇ(211.253) 04.25 179 0
8568 특별휴가 겟또다제 [4] ㅇㅇ(118.235) 04.25 200 0
8567 기간제 근로자 합격 연락 보통 오전에 오지? [2] ㅇㅇ(210.182) 04.25 101 0
8565 인적성 검사 ㅇㅇ(221.143) 04.24 66 0
8564 이번에 공무직시험볼건데 최근 4년간 수능기출 올100점 나왓는데 [1] 빗갤러(118.235) 04.24 140 0
8563 33세랑 42세랑 체력 차이 많이남? [3] ㅇㅇ(121.185) 04.24 218 0
8562 태권도 4단이면 싸움 잘하는거냐? [3] ㅇㅇ(121.185) 04.24 112 0
8561 응디 ㅇㅇ(219.240) 04.24 49 0
8559 직무급 미화지만 편하게 일함 ㅇㅇ(58.229) 04.24 158 0
8558 등산스틱 샀는데 너무 좋다. [1] ㅇㅇ(121.185) 04.24 111 1
8556 아래 저친구는 진짜 가관이네ㅋㅋㅋ [7] ㅇㅇ(211.60) 04.24 261 3
8555 공무직 또 떨어졌네 [9] ㅇㅇ(121.169) 04.24 432 0
8554 공무직 필기시험 합격 어렵나? 준비기간은 얼마나 됨? [1] ㅇㅇ(121.145) 04.24 136 0
8553 공무직 vs 용역업체 [3] ㅇㅇ(211.36) 04.24 138 0
8552 같이 일하는 공무직 삐돌이새끼 [6] ㅇㅇ(121.185) 04.24 278 0
8551 여기 오늘 올라온 글들보니 진짜 배려라고는 일도 없는 놈들 천지네ㅋㅋㅋ [13] ㅇㅇ(211.234) 04.24 374 10
8550 공무직 꿀도 적당히 빨던가 해라 [4] ㅇㅇ(106.101) 04.24 355 4
8549 코레일네트웍스 가산점 시스템좀 알려줘!!!!! [1] ㅇㅇ(210.182) 04.24 95 0
8548 공무직 연차 마음대로 쓸 수 있나? [22] ㅇㅇ(61.106) 04.24 346 0
8547 밑에 글 보고 생각난건데 면접 답변 길게 하는거 [11] ㅇㅇ(106.102) 04.24 170 0
8546 원래 면접 이렇게 짧게함?? [28] ㅇㅇ(221.158) 04.24 331 0
8545 공무직도 감사받음? [29] ㅇㅇ(118.235) 04.24 449 0
8544 감시 단속적 근로 공무직 뭐 있음? [4] 공갤러(180.182) 04.24 160 0
8543 형들 합격했는데 문제가 있다.. [1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75 1
8542 진심으로 결혼못하는게 직업떄문인거같음? [2] ㅇㅇ(119.69) 04.23 250 0
8541 운전직도 감단직이네 [2] ㅇㅇ(121.169) 04.23 183 0
8540 계약직+실업급여 인생만 4년짼데 졸업하고 싶다 [10] ㅇㅇ(112.149) 04.23 413 0
8539 군부대 시설관리 공무직 VS 환미 [14] ㅇㅇ(221.143) 04.22 319 0
8538 대구시 공무직원 봉급표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1] ㅇㅇ(211.235) 04.22 187 0
8536 주변에 공공기관 생각보다 많네 ㅇㅇ(124.49) 04.22 204 0
8535 공무직 vs 공인중개사 [5] ㅇㅇ(119.194) 04.22 302 0
8532 공무직 인강 질문 ㅇㅇ(211.198) 04.22 94 0
8531 공무직은 서류전형 불합격 하면 연락해줘? [2] ㅇㅇ(112.164) 04.22 223 0
8530 공무직 공고 어디까지 서치함? [1] ㅇㅇ(211.253) 04.22 221 0
8529 하 역시 사람 많이 탈주하는곳은 먼저그만듀는게 답인듯 [1] ㅇㅇ(106.101) 04.22 185 0
8528 공무직중에 시험치는곳이 그리 많음? [4] ㅇㅇ(223.39) 04.22 297 0
8526 비 엄청 오네 ㅇㅇ(118.235) 04.22 103 0
8524 잡알리오에서 어디서 봐야함? [1] ㅇㅇ(180.182) 04.21 248 0
8523 기간제인데 무기 면접 기회 있으면 [7] ㅇㅇ(182.225) 04.21 335 0
8522 주4일제 실행되면 개꿀 아니냐? [1] ㅇㅇ(39.7) 04.21 359 0
8521 군부대 시설 공무직 합격해서 한달 돼 간다 [12] 탈모어(117.111) 04.21 491 3
8520 근처 공무직 어디어디있나 어떻게 알아봄? [3] ㅇㅇ(211.198) 04.21 331 0
8519 군부대 공무직은 어떠냐? [7] ㅇㅇ(223.39) 04.21 346 0
뉴스 중국 간 푸바오, ‘가짜 임신’ 판정…식욕·활동량 줄어 걱정 확산 디시트렌드 04.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