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공략에서 댓글에 어떤 초보 분이
다른 동료용 빌드도 올려주면 좋겠다고 하셔서
그거 보고 마음이 움직임.
그래서 오랜만에 주인공 아닌 동료용 빌드를 ㄱㄱ함.
(그것도 있고, 맨날 똑같은 스탯 공략만 쓰려니 좀 그렇긴 했슴...)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긴 한데, 게임의 시스템 및 Dnd 전반에 대한 설명은
이 글 하나에 담기는 항상 부족해.
지난 공략글에 이런 저런 정보들이 흩어져 있으니까
순서대로 차근 차근 읽어보면 도움이 될 거야.

A. WHAT - 광역 도살자?
결론부터 말하면 이번 빌드는 레인저 빌드임.
Dnd5판에서의 유명한 격언이, "레인저는 하지 마!"이긴 한데(..)
그래도 그마나 몇몇 경우에는 나름의 쓸모를 가지긴 함.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bg3&no=48819

-------------------------------------------------------------------------------------------------
씨프랑 조합하는 글룸스토커라거나,
어쌔씬이랑 조합하는 글룸스토커라거나(..)
(특정 서브클래스만 쓰는 것 같은 착각이 드는 건 고갱님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빌드는 글룸스토커가 아니라, 헌터 기반의 빌드가 될 거야.
이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핵심만 보려면 E/F로 바로 갈 것.
B. WHY - 헌터 빌드를 왜 하는 거?
이번 빌드를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음
먼저, 해당 요청자 분이 민스크 빌드를 해달라고 하셨기 때문이고
두 번째로는, 이전 빌드인 헥스버클러의 동료로 잘 맞기 때문임.
헥스버클러의 강점이 '소규모 난전'에 강한 거라고 했잖아?
그런데 적들이 개떼로 몰려온다 그러면 선 타다가 훅 감.
알다시피 DnD의 '방어'는 사실상 일반RPG에서의 '회피'이기 때문에
시도횟수가 많아질수록 치명타 얻어 맞는 총 횟수는 증가할 수 밖에 없어.
개 중에 몇 번은 자원을 소모해서 무마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계속해서 적들에게 공격당하는 상황이 지속되면 결국 자원 다 털리고 GG임.
특히, 적들이 "암흑"에 면역인 상태에서의 대규모 전투에서는
헥스버클러로 잘못 깝치다간 진짜 훅 가니까 조심해야 해.
(샤 신도 <- 와의 싸움을 겪어 보면 알겠지만, 얘네는 지들이 암흑걸고 싸우는 전문가임)
그래서 헥스버클러는, 적의 수를 줄여줄 광역 딜러 or CC 요원을 거의 필수 급으로 필요로 함.
그리고 민스크.
원작인 BG1/2에서는 버서커의 능력도 가지는 힘 기반 레인저였는데
(그래서 3막 전투에서는 힘 기반으로 싸움)
이번 3탄에서 동료로 영입하게 되면 민첩 레인저로 합류해.
그래서 민첩 레인저 기반의 빌드를 만들어 볼거임.
민스크 원작에서는 버서커&힘캐 였는데 Lore하지 않게 왜 민첩 기반으로 가냐고?
지금까지의 공략 시리즈를 보면 알겠지만,
작성자인 본인이 나름 빌드를 짤 때 몇 가지 기준이 있기 때문이야.
1. 최초 클래스를 유지한다.
2. 가급적, 스탯을 고치지 않는다.
3. 리스펙을 전제로 빌드를 짜지 않는다.
4. 특정 아이템 기반의 빌드를 강매하지 않는다.
"어휴 꼰대 ㅉㅉ"라고 할 수도 있는데,
이건 왜 그러냐면 본인이 발더스3로 입문한 사람이 아니라,
CRPG의 시작을 1세대 : 발더스1/2 및 2세대 : 네버윈터나이트 등의 작품으로 시작했고
더 나아가서는 DND 기반의 TRPG 플레이어이자 그 문화를 존중하는 사람이기 때문임.
우선, 캐릭터의 최초 클래스를 바꾸는 건
해당 캐릭터 시트를 짠 사람의 의도를 완전히 무시하는 행위라고 생각해.
(특히, 초보 시트 보고 "그거 약하니까 이렇게 바꾸세요"같은 고나리질을 하면,
그 즉시 세션에서 쫓겨날 만큼의 치명적인 결격 사유임. 심지어 저러는 DM도 있었음. )
그래서 힘몽크로 변신해서 모두를 패고 다니는 할신이
'드루이드'로서의 대사를 하는 걸 보면 많이 짜치기도 하고,
발더스게이트3 라는 작품의 서사 완성도를 깎아먹는 행동을
"초보"에게 권유하는 것 자체가 난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내 공략글에서는 안 할 거야.
'행동의 일관성을 무시하고 위력만을 추구하겠다!'
ㄴ 는 건 그래서 어디까지나 주인공에 한정하는 거고 (저것도 RP긴 하잖아?)
서사를 무너뜨리지 않은 채 클래스를 고치고 싶다면, 용병을 쓰는 걸 추천해
그것도 종족/직업 전부 다 다르게 해서 한 다스 씩 있으니까 괜춘함.
(심지어 설정마저도, 영혼이 없는 빈 육체이니 너 님 맘대로 해도 괜찮다 식임)

그리고 2번과 3번은 같은 이야기일 수는 있는데, 차원이 살짝 달라.
사실, 리스펙이라는 거 자체가 원래는 엄격히 금지되는 행동임
DM이 해주고 싶어도, 디바인 인터벤션(Divine Intervention, 신격의 개입) 급 시나리오를 만들어야 해줄 수 있을 정도로
가치가 높고(돈법사도 님들이 하고 싶어하는 거 다 앎) 강력한 피쳐임.
명예가 아무리 어렵다고 해도, 솔직히 막말로
초반에 제일 강한 파워 빌드 - ex) 투척바바
중반에 제일 강한 파워 빌드 - ex) 글룸어쌔씬
후반에 제일 강한 파워 빌드 - ex) 무한투명 바다딘
이런 파워 빌드들 죄다 돌려써서(리스펙 해가면서) 깨면, 명예 라파엘 1인플도 껌이거든?
근데 이러면 '서사의 연속성에 기반하는 재미'가 그야말로 박살이 나.
고대 이집트 파라오가 열심히 피라미드 지었더니
중세가 되니까 이집트 버리고 프랑스/러시아 중에서 고르라고 하는 바람에
최근에 문명 7이 평가가 나락을 간 것도 마찬가지.
세션/플레이타임 내 서사의 연속성은 중요해.
그리고 RPG는 그게 알파이자 오메가인 장르이기 때문에
동일 세션 중에 리스펙을 종용하는 거 자체가 RPG의 근본을 무너뜨릴 수 있음.
발더스 3에서 리스펙 NPC를 겨우 100골드에 넣어주겠다 그랬을 때
외국 DND커뮤니티가 뒤집어진 것도 저래서야.

(이 정도로 평점이 박살난 문명 시리즈라니...)
??? : "그런데 님도 공략에 리스펙 하라고 했잖슴?"
ㅇㅇ 맞음. 칼라크 공략에서 민첩 장갑 얻으면 리스펙 해도 된다고 했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bg3&no=313141
요 얘기를 하려면 옛날 얘기를 좀 가져와야 하는데,
25년 전에 만든 발더스게이트2의 동료 중에, 켈돈(Keldorn)이라는 노친네 팔라딘이 있어.
힘 17 건강 17 매력 18 다 좋은데, 하필 민첩이 9라서 지나가는 고블린이 건드려도 휘청거림.
(이 때 당시의 룰이 ADnD 기반이기 때문에, 중갑조차 민첩이 100% 적용되던 시절임. 그래서 민 18찍어야 해)
근데 이 할아범이 성검인 홀리어벤저 - 카르소미어를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내가 성기사 아니면)
반드시, 코볼트 소굴에 있는 DEX18 고정 장갑을 얻으려는 여정을 함께 하게 된단 말야?
힘겨운 사투 끝에 보스를 처치해 장갑을 얻고, 돈을 모아 상점에서 거인의 벨트(STR 19)를 사서 채워주면
골골대던 노친네가 회춘해서 모든 마법사와 강적들을 도륙내는 살육머신으로 변신함.
찐따가 패왕으로 변모하는 이 모든 과정이, 내가 저 동료와 함께 해온 여정이고 서사임.
자 그런데, BG3에 민첩 장갑이 있다는 것도 모르는 초보가 저런 고난을 지나올 수 있을까? (..)
어떻게든 모험을 해쳐오려고 약점 없게끔 캐릭터 시트를 고민 끝에 만들어 지금까지 겨우 왔는데
"사실 처음 만들 때 민첩은 덤핑했어야 했지롱 처음부터 다시 하세요"하면, 초보가 게임을 다시 할까? 접을까?
그래서, '가급적' 스탯을 고치지 않는다고 한 거.
다만, 효율 좋아하는 한국인들은 "DEX18이 고정인데, 스탯을 5나 낭비해야 한다?" 이거 못참그든요.
그러니 그 정도는 초보님들도 재량껏 괜찮다 생각하고 하시라는 거.

(카르소미어 + 자이언트 거들 + 덱스 장갑 = GOAT)
??? : "아니 너님이 특정 아이템 기반의 빌드를 강매하지 않는다면서요?"
특정템 기반 빌드는, 이 동네(나름 역사가 오래됨)에선 대부분 빌드로 취급하지 않아.
TRPG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그냥 알 텐데(..)
왜냐면, 특정 아이템 기반의 빌드는 "DM" 앞에서 무력화되기 때문이야.
공명석 빌드? 특정 아이템 의존도가 100%인 모 아니면 도인 빌드?
그 가장 중요한 키 아이템을 DM이 안 주면 어쩔 건데? DM도 사람이기 때문에 '의지'가 있거든? ^_^
TRPG 세션에서 저런 노골적인 의도를 담은 시트 짜오는 애들 없을 거 같지? (..)
DM이 득템을 허락해주지 않으면 영원히 고통만 받는 거임. 오스카 상 영원히 못 받는 세계선의 디카프리오처럼.
그럼에도, "스탯 아이템"은 얘기가 좀 다름.
이영도 소설 드래곤라자의 모험이 시작되는 계기가,
주인공이 OPG(Orge Power Gauntlet)를 얻게 되면서인 것처럼
DND 기반 게임들에서는 스탯 보너스 아이템들이 거의 매번 핵심 보상으로 주어짐.
OPG / DEX장갑 / 자이언트 거들 등은 이 동네에서 거의 국밥에 깍두기 같은 단골 소재라
나온다 치더라도 '아 나왔구나 그럼그럼 그래야 내가 아는 DND지' 정도로 넘어가는 물건들임.
외려, 정통 DnD를 표방하는데 저거 안나오면 팬들이 이상하다고 뭐라고 해.
다만, 발더스 3에서는 이상하게도 벨트(Belt) 슬롯이 없거든?
DND 설정 전체에서 모험가가 벨트를 안 쓴다는 건 말이 안 됨에도 불구하고?
추정컨대, 라리안이 벨트 슬롯을 없앤 이유는
STR 19 허리띠와, DEX 18 장갑을 줬을 때 너님들이 무슨 짓을 할 지 훤히 알기 때문임
매력 17 / 건강 16 / 지혜 14 맞추고 지능 10 씩이나 준 다음에
힘8 민8 덤핑 -> 19 / 18로 맞춰서 개쩌는 캐릭터 가지고 놀 게 뻔하단 말야.
STR 19
DEX 18
CON 16
INT 10
WIS 14
CHA 17
...아름답다 그지? 근데 저렇게 만들게 해주면 안 돼 ㅋㅋㅋ
이게 다 스벤 빈케 형님이 개 고인물이라서, 우리들 머리 꼭대기 위에 있어서 그러함.
그러다보니 '빌드를 짠다'고 하면 거기에 함축된 표현은
특정 핵심 아이템이 없으면 성립하지 않는 취약점이나, 리스펙 없이
'레벨업 만으로 달성할 수 있는 캐릭터의 테크트리 이정표'를 뜻함.
추천템은 어디까지나 "그 빌드에서 요 아이템 쓰면 괜춘함"의 의미니까,
이거 안쓰면 이 빌드 쓰레기 <- 같은 방식으로 폄하하지는 말아줘.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내 생각이니까,
너님의 생각이 나와 다르다면 너님 마음대로 하면 됨.
C. HOW - 헌터 빌드를 어떻게 할 거?
여튼 썰이 길었는데, 그래서 민첩 근간의 민스크 시트를 그대로 빌드를 짤거야.
그것도, 헥스버클러와 페어하기 좋은 노코스트 광역 살육 머신으로.
구력 좀 있는 형들은 왜 이걸 하는지 알겠지만,
핵심은 레인저 키트....아니 서브클래스 중에서 오로지
"헌터(Hunter)"만이 노코스트로 광역 무기 공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임.
https://bg3.wiki/wiki/Volley
https://bg3.wiki/wiki/Whirlwind_Attack
마침 레인저는 마샬이기 때문에 5레벨에 추가 공격 기회를 얻고
헌터 11레벨 달성 시, 이 아름다운 전용 액션을 2연타로 사용할 수 있슴
무기 공격이기 때문에 타격 당 발생하는 on hit 효과가 모두 터지며
무기 피해량의 능력치 보정 역시 모두 적용 받음
ex) Titan String Bow에 힘 보너스도 "광역으로 모두" 적용받습니다. OK?
민첩 기반의 원거리 궁수 일변도의 헌터가 아니라,
힘 기반까지도 최대로 끌어올려서 근접/원거리 모두를 다 때려잡는
전천후 살육병기가 될 예정임.
사실, 이 빌드의 가능성에 착안한 건 Hex1을 섞는 거였는데,
노코스트 광역공격 + 광역 공격에도 팡팡 터지는 헥스 = 도!파!민!
+
그러면 근접 무기는 매력으로 공격할 수 있으니까, 주인공으로도 쓸 수 있지 않을까?!
였거든.
...근데 이거 짜놓고 보니 도저히 해보라고는 못하겠슴.
주인공 버전의 Hex1 dip 빌드에는 문제가 크게 3가지가 있어.
첫번째는, 민스크에게 최적이며, 주인공으로 하기 힘든 빌드임
왜냐고? 핵심 광역 기술 둘 다 헌터 11레벨에 얻기 때문이야.
발리/훨윈드 모두 좋은 능력이지만, 11레벨이면 3막에 도착한 다음이고
이미 전체 스토리의 대부분을 후진 레인저로 쌩고생을 하면서 왔는데
정작 빌드를 얻고 나서는, 즐길 시간이 얼마 남지 않게 됨 (..)
반면 민스크가 합류하는 경우에는 시점 자체가 3막이기 때문에
인내와 고통의 시간 없이, 완성된 빌드의 리즈 시절만 즐기면 된다 이 말이야.
두번째는, 멀티클래스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이야.
일단 11레벨 이후 남는 1레벨로 가능한 멀티클래스는 거의 없어.
(13레벨만 되었어도 파이터 2렙 넣어서 액션서지가 가능한데.... 스벤빈케 형님 ㅂㄷㅂㄷㅂㄷㅂㄷ)
그나마 가능한 방법이 Hex1 Dip인데, 그래서 얘를 주인공으로 쓸 수 있을 거냐?
우선, 레인저 / 헥스블레이드 모두 설득에 숙련이 불가능해(..)
그래서 매력캐임에도 주인공 노릇하기에는 기본적인 하자가 있는 클래스임.
(물론, 캐릭터 백그라운드로 설득 있는 거 골라서까지 하겠다면 되긴 함)
물론 그런 거 생까고 주인공으로 하겠다 그러면 해도 되는데,
공략 쓰는 본인이 그런 빌드에 대해서는 완성도적으로 만족이 안됨(..)
세번째는, 타 빌드 대비 Hex dip의 효용이 크지 않다는 점임.
Hex dip의 취지가 결국, "매력으로 전투판정을 대체해 힘스탯을 버릴 수 있다"인데,
핵심 무기인 타이탄 스트링 장궁이 "힘 보너스"를 요구하기 때문에
어차피 힘 보너스를 넣어야 하거든?(..)
이러면 그냥 "힘/민 기반의 레인저인데, 몸비틀어서 쓸데 없는 매력을 좀 더 넣어볼게요"
ㄴ 밖에 안된단 말야? 그러면 마찬가지 이유로 본인이 완성도적으로 만족이 안됨

(음... 이 도자기는 못 쓰겠군. 와장창!!)
그러니, 굳이 쓸모없는 클래스 1개 넣어서 피트 1개를 버리느니
레인저 12레벨 풀로 다 찍으면서 피트 3개를 다 넣는게 낫겠다는 결론.
D. HOW - 어떻게 키우면 됨?
레인저 클래스 성장표
https://gall.dcinside.com/m/bg3/61588
레벨 1- 주적 1택
레벨 1- 천부적인 탐험가 1택
레벨 2- 전투유파 1택 (궁술, 방어술, 결투술, 대형 무기 전투술) (전투유파 자세한 내용은 파이터 참조)
레벨 3- 레인저 서브 클래스 선택
레벨 4- 재주
레벨 5- 추가 공격
레벨 6- 주적 1택
레벨 6- 천부적인 탐험가 1택
레벨 8- 어려운 지형은 더는 레인저의 이동속도를 늦추지 않음
레벨 8- 재주
레벨 10- 관찰의 힘 (주행동 사용, 은신 체크에 +10을 받는 은신. 움직이거나 ,공격하거나, 주문 시전이나 피해를 입으면 종료됨. 긴휴)
레벨 10- 주적 1택
레벨 10- 천부적인 탐험가 1택
레벨 12- 재주
이거 그대로 12까지 쭉 올릴 거임.
....그런데 실제로는 11레벨 쯤에 동료로 합류할 거니까, 1레벨업만 더 하면 된다.
E. HOW - 어떻게 하면 됨?
그런 관계로, STR / DEX에 몰빵한 전천후 살육머신 민스크 빌드를 시작하겠슴.
우선 민스크의 캐릭터 시트를 보자.
※ 참고
이 빌드는, 레인저 동료인 민스크를 염두에 두고 쓰는 빌드이기 때문에
그래서 종족/스탯/배경/숙련/전문화에 대한 설명은 패스할 거임.
위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주인공으로 쓰고 싶다 그러면 원하는 방식으로 알아서 잘 하시면 됨.

LV1 민스크(Minsc1)
STR 12
DEX 17(+2)
CON 13
INT 8
WIS 15(+1)
CHA 10
보면 알겠지만 1스탯으로 민첩이, 2스탯으로 지혜가(?!?!?) 찍혀 있음.
스탯효율화 측면에서 아쉽긴 한데, 1스탯이 충분하니 그대로 써도 문제 없음.
굳이 민맥싱을 더 하겠다 그러면 지금은 하지 말고,
핵심 아이템인 장갑 얻은 다음에 합시다.
일단 키 아이템으로 힘을 고정시킬 방법이 필요해.
가장 유명한 힘 보정 아이템은 힘19 곤봉이지만,
우리는 근접 광역 무기를 써야하기 때문에, 이 무기는 사용할 수 없어.
그래서 반드시, 거인 힘의 장갑(STR23)을 쓰는 빌드가 될 거야.
- 아니면 힘 영약으로 써도 되긴 하는데, 고전파 입장에서 도핑 기반 빌드는 사도(邪道)라서 추천하지 않음.
!!! 마찬가지로, 장갑 착용 이후 남는 스탯이 아까운 사람은 스탯을 리스펙 해도 됨.
힘을 8까지 낮추고, DEX 17 / CON 15 / WIS 16 순서 대로 스탯을 부으면 됨미다.
LV 2 - Ranger
전투 스타일 : 궁술(Archery)
주문은
1순위 : 사냥꾼의 징표
2순위 : 활보
3순위 : 도약 강화 (전투 전에 쓸 것!!!!)
LV 3 - Ranger
서브클래스 선택 : 헌터(Hunter)
사냥감 선택 :
무리 파괴자(Horde Breaker)
https://bg3.wiki/wiki/Horde_Breaker
LV 4 - Ranger
피트 : 샤프 슈터 (Sharp Shooter)
https://bg3.wiki/wiki/Feats' target="_blank">https://bg3.wiki/wiki/Feats#Sharpshooter
LV 5 - Ranger
추가 공격 획득
2레벨 주문
1순위 : 침묵
2순위 : 하급 회복
LV 6 - Ranger
주적 선택 : 레인저 나이트
https://bg3.wiki/wiki/Ranger_Knight
중갑을 입을 수 있다.
https://bg3.wiki/wiki/Wasteland_Wanderer:_Fire
화염 속성에 저항 획득
LV 7 - Ranger
방어 전술 선택
https://bg3.wiki/wiki/Hunter#Defensive_Tactics
1순위 : 연타 방어
https://bg3.wiki/wiki/Multiattack_Defence
센 적 하나에게 두들겨 맞는 걸 방지
LV 8 - Ranger
피트 : 대형무기 전문가(GWM)
https://bg3.wiki/wiki/Feats' target="_blank">https://bg3.wiki/wiki/Feats#Great_Weapon_Master
LV 9 - Ranger
3레벨 주문
1순위 : 전격 화살
https://bg3.wiki/wiki/Lightning_Arrow
2순위 : 태양빛
https://bg3.wiki/wiki/Daylight
적이 쓰는 암흑이 귀찮을 때 카운터 용
LV 10 - Ranger
주적 & 자연의 탐험가
- 원하는 걸로 대충 골라도 됨
LV 11 - Ranger (목표 달성!)
발리/훨윈드 획득
https://bg3.wiki/wiki/Volley
https://bg3.wiki/wiki/Whirlwind_Attack
LV 12 - Ranger
피트 획득
- 능력치 향상 : 민첩+1 / 건강+1
근접 / 원거리 무기는 사실상 2종으로 고정인데
https://bg3.wiki/wiki/Balduran%27s_Giantslayer
https://bg3.wiki/wiki/Titanstring_Bow
발두란의 대검 + 타이탄 스트링 보우 조합으로 힘 보너스를 극대화할거야.
....다른 친구 쓰고 있다고? 뺏어와야지 뭐해.
https://bg3.wiki/wiki/Sarevok%27s_Horned_Helmet
치명타 옵션이 붙은 사레복 투구
https://bg3.wiki/wiki/Shade-Slayer_Cloak
은신 시 치명타 망토 - 공격 시작 시 은신으로 하는 걸 추천
갑옷은 피해저항 붙은 중갑을 추천하는데, 내성 방어가 필요하다면 블랙가드 갑옷도 좋음
https://bg3.wiki/wiki/Blackguard%27s_Plate
장화의 경우는 남는 보조행동으로 대시를 해줄 수 있는 속도의 신발
(자유 이동 장화는 헥스버클러한테서 뺏어오기 좀 그래...)
https://bg3.wiki/wiki/Boots_of_Speed
리스키 링을 쓰기엔 전열이라 정말로 리스키하고
장갑 또한 사실 상 거인 장갑 고정이라 오토마톤 장갑을 쓸 수 없기 때문에
이점을 땡기기가 좀 거시기 함.
프리액션 링으로 CC를 방어해준다면, 리스키 링을 함께 쓰는 도전도 해볼만 할 거야.
프리액션 링이 없다고? .... 가진 조합 중에서 자알 고민해보자.
상황에 따라, 실명에 면역되는 반지가 필수임.
(워락 2레벨 접근이 불가능한 빌드기 때문에 데빌사이트(Devil Sight, 최상급 암흑 시야)를 얻을 수 없음.)
https://bg3.wiki/wiki/Risky_Ring
https://bg3.wiki/wiki/Ring_of_Free_Action
https://bg3.wiki/wiki/Eversight_Ring
https://bg3.wiki/wiki/Gauntlets_of_Hill_Giant_Strength
목걸이는 미스티 스텝 목걸이 사실상 고정.
글룸스토커랑 달리, 미스티 스텝에 접근이 불가능한 섭클이기 때문에.
리스키 링을 어떻게든 쓰겠다고 한다면
페이 아뮬렛이 가진 이점으 챙겨주면 불리점은 상쇄시켜 CC방어를 어느 정도 챙길 수 있음
https://bg3.wiki/wiki/Amulet_of_Misty_Step
https://bg3.wiki/wiki/Fey_Semblance_Amulet
왜 장비 섹션 따로 없이 바로 얘기해주냐고?
말했잖아. 민스크 동료 합류 시점이 이미 3막이기 때문에
이미 그 시점에 넌 대부분의 장비를 가지고 있거든?
너가 지금까지 모아놓은 장비들로 바로 궁극세팅을 만들면 끗.
.....놓친 장비가 있으시다구요? 다음 회차 때 제대로 갖춰서 한 번 더 도전해 봅시다.
Y. 강점
1. 쎄다. 진짜 쎄다.
돌려 보면 아는데, 개체 수 많은 전투의 지속력에서 압도적으로 강함.
노코스트로 이정도로 세도 될까 싶다.
무슨 제초기? 트랙터? 같은 느낌으로 적들을 차례차례 베어 넘기는데
파이어볼/아이스스톰 쓰던 마법사가 초라해질 정도의 위력 임
3막 샤 신전 전투에서 가장 크게 활약하기 때문에, 세팅해서 꼭 한 번 써 보는 걸 추천함.
써보고 나면, 이런 방식으로 계속 싸우는 디펜스 모드 같은 걸 원하게 될 정도.
2. 캐릭터와 잘 어울리는 빌드
민스크가 BG2에서는 전투하다 보면 버서크(광란)에 빠지는 캐릭터인데
이 빌드 하는 중에는 너 님이 광란에 빠지게 됨(..)
한 번에 5명씩 쓸어담을 때 도파민 터지는 게 쏠쏠함.
3. 근접/원거리 모두 대응이 가능한 힘캐
힘 기반의 근접/원거리 학살자 빌드이기 때문에, 전투 사거리 불문 강력하다.
앞서 얘기한 헥스버클러 같은 타입과 잘 어울린다.
Z. 약점
1. 보스전에 약하다.
다수의 적에 맞춰서 세팅한 빌드이기 때문에, 단일 강적 상대로는 약한 게 당연함.
아예 못 쓰는 정도는 아니지만, 잡몹 쓸어담을 때 대비, 역체감은 확실한 수준.
2. 피/아를 구별하지 않는 베어넘기기
광역기 중에서, 무리파괴자(Horde Breaker)의 경우
피/아를 불문하고 가장 가까운 타겟 2명을 잡기 때문에,
아군도 쓸릴 수 있음.
공격하기 전에 아군 위치를 잘 조정해서 쓰지 않으면,
동료도 제초해버릴 수 있으니 주의.
3. 주인공으로 못 쓴다.
3막에서만 쓸 수 있는 빌드이자 캐릭터.
이 "절정의 뽕맛(?)"을 보기까지 견뎌야 하는 고난이 너무 길기 때문에
도저히 인간적인 관점에서 주인공으로는 추천을 못하겠음
PS. 추천 모드
PPS.
어디까지나 초보용 공략글이기 때문에,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지는 않음.
초심자 입장에서는 선택지가 너무 많아서 선택장애가 오는 거 자체가 스트레스기 때문에
레벨마다 해야할 거 하나씩만 골라둔 거니까,
혹여 놓치고 있는 사항이나 다른 좋은 선택지 등이 있다면, 댓글로 추가해주면 감사함.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