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번역] [볼터 특집 2] 볼터의 여러가지 유명 패턴들 (1)

XIII(14.36) 2023.05.13 15:34:29
조회 2779 추천 45 댓글 8
														

앞선 글에서는 볼터가 어떤 총기이며,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 볼터의 여러 유명한 패턴들에 대해 알아보자 


초기형 볼터 패턴들은 특정 아머와 같은 시기에 개발되었는데(마크2-포보스 / 마크4-티그리스 등),

때문에 해당 파워 아머와 함께 생산되어 군단에 보급되었다.

설정 상, 특정 아머 박스에 한 패턴의 볼트건만 잔뜩 들어있는 이유도 이것이다. 






1db5df24eac1078461b3c2b0049f2e2db265fbba9f50fc777aaa1ad9

포보스 패턴 (포보스 R/017 패턴) 

통합 전쟁 후기부터 주로 사용되었던 볼터. 지금보다는 조금 작은 .70 구경을 사용했다. 탄창은 주로 곡선 탄창(24발). 

포보스는 화성의 제 1 위성인데,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공포의 신의 이름이다.


마크 2 아머와 거의 동일한 시기에 개발되었으며, 대량으로 보급되었다. 

때문에 마크 2, 마크 3 아머는 주로 포보스 패턴을 들고 있는 것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미니어처 게임에서는 포지월드 마크 2 세트, 플라스틱 마크 3 박스 등에서 구할 수 있다. 







19b4d734f0c1078461b3c2b0049f2e2d345dcb7eb89df7c0a1a56be3

티그리스 패턴 (티그루스 패턴)

대성전 후기에 주로 사용된 볼터로, 헤레시 직전에 대량으로 생산되어 보급되었다.

대성전 당시의 주적이었던 여러 외계인들과 독립 인류 문명들은 방어력이 낮은 편이었기 때문인지, 전보다 더 작은 .60 구경을 사용했다. 

이 때문인지 탄창의 길이도  다른 패턴에 비하면 짧다. 


대신 가볍고, 신뢰성이 높았으며, 범용성도 좋았던 모양. 구경은 작아도 많은 군단이 애용했다. 

이 시점부터 추가 옵션을 단 씨커 이슈(정찰/특수 작전용) 등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STC 데이터가 포지 월드였던 티그리스 행성 지하에서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에 티그리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마크 4 아머와 거의 동일한 시기에 개발되어 보급되었지만, 

직후에 반역을 준비하기 시작한 호루스가 보급로를 독차지했기 때문에

헤레시 당시에는 반역파 군단이 훨씬 많이 사용했다. 


미니어처 게임에서는 플라스틱 마크 4 박스 등에서 구할 수 있다. 






18b0d234e4ed28a77aabd3a718ee2632d856dae9005c5b9550b98078a8e2bfc562e90e

움브라 패턴 

대성전 최후반에 개발된 볼터. 헤레시가 벌어졌을 당시에는 제한적인 필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었다.

따로 구경이 언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아마 이 시점부터 .75 구경이 된 모양. 


비슷한 시기에 실전 평가 중이던 마크 6 아머가 대량으로 생산되기 시작하자 

움브라 패턴도 함께 대량 생산되어 여러 충성파 군단에 보급되었다. 


반역파 군단은 아마 화성을 점령했을 당시 제작법을 손에 넣은 것으로 추정되며, 

마찬가지로 마크 6 아머와 함께 대량 생산해서 사용했다. 


테라 공성전 당시에 특히 대량 생산되어 방어자들에게 지급되었으며,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시스터 오브 사일런스는 4만년대 시점에도 움브라 패턴을 생산해 사용한다.

(아마도 실제로는 모델링적인 이유가 더 크겠지만) 


화성을 점령한 선즈 오브 호루스 vs 테라 방어전에 나선 임페리얼 피스트를 다루고 있는 신 박스에서 

마크 6 + 움브라 패턴이 들어있는 것도 나름대로의 고증이라고 할 수 있겠다. 






viewimage.php?id=2fb1d125eede31a47cbec4ac&no=24b0d769e1d32ca73fea80fa11d02831568986a64e09a894bd12f8f50b337f62efa87cd5f5a5a547eb465103554cca5b59c82a6e470275ac1a43420700e7c6ae5734c73aa53834

-페록스 바리언트 (씨커 이슈) 

기존의 볼터에 멀티 스펙트럼 조준기, 자동-감지-통합 노드, 특수 탄종 선택 장치 등을 추가한 버전으로 

테크마린들이 침투, 잠입, 정찰, 특수 임무 등을 수행하는 씨커 부대를 위해 개조했기 때문에 씨커 이슈라고 부른다. 

움브라 패턴을 기반으로 하면 움브라-페록스, 티그리스 패턴을 기반으로 하면 티그리스-페록스라고 부른다. 


임무에 맞게 장거리를 조준하기 위한 대형 조준경(보통 화면이 바이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반대쪽에 렌즈가 없다),

그리고 여러 특수탄을 탑재하기 위한 박스형 탄창을 달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다양한 탄창을 사용하기 위한 업그레이드 볼터' 라는 개념은 이후 스턴가드 볼터로 이어진다. 

미니어처 게임에서는 알파 리젼 헤드 헌터 킬팀이 티그리스-페록스를 사용하며, 

씨커 볼터라는 업그레이드 세트로도 구매할 수 있었다(현재는 판매하지 않는다).






1fbcc623ebd52da77cbbf4ba1ac5212fe2cc2722ff0713a6590e809e0bbf8d

-스토커 바리언트 (네메시스 볼터) 

기존 볼터에 더 긴 총열, 원거리 조준경, 정밀 조준 장치, 소음기 등을 달아서 만든 저격용 볼터. 

헤레시 당시에는 주로 리콘 스쿼드나 씨커 스쿼드, 베테랑 등이 사용해 적의 지휘관을 저격하는데 사용했다.

보통 소음 탄환(나중에는 스토커 탄이라고 불리는)을 같이 사용했다. 


헤레시 1판에서는 단순히 스나이퍼 라이플이라고 불렀지만, 

2판에서는 이를 네메시스 볼터라고 따로 분류하고 있다.


이 저격용 볼터라는 개념은 4만년대까지 쭉 이어져 왔고,

지금은 스토커 볼터라는 이름을 정식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미니어처 게임에서는 헤레시 기준으로는 리컨 스쿼드와 레이븐 가드의 모르 데이샨, 

40k 퍼스트본의 경우는 서전트 텔리온이나 데스워치 박스, 프라이마리스는 인터세서 박스 등에서 구할 수 있다.








0fb2dc32e0c019b57abec4a113c21b10b079fae96fe0944767b9fbac27f4a4bf27dd43


고드윈 패턴 (아스타트레스 Mk Vb 고드윈 패턴) 

4만년대 스페이스 마린이 제식 무장으로 사용하는 패턴의 볼터. 

지속적인 개량을 거쳤기 때문인지 내장 잔탄 표시기, 파워 아머의 손바닥과 연결되는 유전 정보 인식기,

헬멧의 바이저와 연동된 정밀 조준 카메라 (더 장거리 조준을 위해선 조준경이 필요하다는 걸 보면, 거리 제한이 있는 듯),

전자기-기반 자동 고정 장치, 반동 제어 장비 등 여러가지 옵션이 들어가 있다. 


4만년 시점에서는 거의 모든 챕터가 이 고드윈 패턴 또는 고드윈의 개량 패턴을 사용하고,

카오스 마린들도 대부분 이 고드윈을 기반으로 한 볼터를 사용하는 걸 보면 

성능 면에서는 기존 볼터 중에서 가장 우수한 듯.





==

글이 길어져서 나머지는 저녁에 이어서 작성할 예정.

추천 비추천

45

고정닉 22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45518 번역 [볼터 특집 4] 볼터의 파생형 무기들(볼트 웨폰) (스압) [21] XIII(14.36) 23.05.15 3317 50
245270 번역 [볼터 특집 3] 볼터의 여러가지 유명 패턴들 (2) [11] XIII(14.36) 23.05.13 2569 38
번역 [볼터 특집 2] 볼터의 여러가지 유명 패턴들 (1) [8] XIII(14.36) 23.05.13 2779 45
244862 번역 [볼터 특집 1] 볼터란 무엇인가? [15] XIII(14.36) 23.05.12 3440 76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