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발췌] 가톨릭,루터교,감리교 공동선언

틀니우스키케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06.19 17:00:51
조회 750 추천 4 댓글 4
														

1. 우선 가톨릭과 루터교의 공동 선언

출처: 덴칭거


viewimage.php?id=2ebcc42eeade31a56db7c3a715d9&no=24b0d769e1d32ca73fed8efa11d02831f03ea6d0e55e4594cd11f5d00deb424e2c191dd54b0e862308f2e569cd0b87a9a205a3ca7c6ff7f19be61bde3a2e426b15aa8f050a9e59c287



viewimage.php?id=2ebcc42eeade31a56db7c3a715d9&no=24b0d769e1d32ca73fed8efa11d02831f03ea6d0e55e4594cd11f5d00deb424e2c191dd54b0e862308f2e569cd0b87a9a205a3ca7c6ff7f19be61bde3a25476a4da14e7e4f63f1a8a1







아래는 한국어 부분:

viewimage.php?id=2ebcc42eeade31a56db7c3a715d9&no=24b0d769e1d32ca73fed8efa11d02831f03ea6d0e55e4594cd11f5d00deb424e2c191dd54b0e862308f2e569cd0b87a9a205a3ca7c6ff7f19be61bde3a721465a2e734b57120f7887e


viewimage.php?id=2ebcc42eeade31a56db7c3a715d9&no=24b0d769e1d32ca73fed8efa11d02831f03ea6d0e55e4594cd11f5d00deb424e2c191dd54b0e862308f2e569cd0b87a9a205a3ca7c6ff7f19be61bde3a2515620b71db6901e55aa913



2. 가톨릭·루터교·감리교의 공동 선언


세계감리교협의회와 의화 교리에 관한 공동 선언문
감리교 성명서
1. 루터교 세계 연맹과 로마 가톨릭 교회는 공식 승인을 거쳐 1999년 10월 31일 “루터교 세계 연맹과 가톨릭 교회의 의화 교리에 관한 공동 성명서”에 서명함으로써 “의화 교리에 관한 공동 선언문”을 확정하였습니다.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통하여 하느님의 은총으로 얻어지는 의화 교리의 기본 진리에 대한 공동의 이해를 분명하게 설명한 이 실질적인 합의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루터교가 16세기 서구 교회 분열의 주요 원인이었던 신학적 논쟁과 관련하여 중요한 합의에 이르렀음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2. 세계감리교협의회에 소속된 우리 교회들은 이 동의를 매우 기쁘게 받아들입니다. 우리는 “의화 교리에 관한 공동 선언문”에서 설명하는 의화에 대한 공동 이해(15-17항)가 감리교의 교리에도 부합한다고 선언합니다. 우리는 특히 하느님의 구원 활동을 삼위일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다음 항들을 만족스럽게 생각합니다.

15. 신앙 안에서 우리는 모두, 의화가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역사(役事)라고 확신합니다. 성부께서는 죄인들을 구원하시고자 당신 아드님을 세상에 파견하셨습니다. 의화의 토대와 전제는 그리스도의 강생과 죽음 그리고 부활입니다. 그래서 의화는 그리스도께서 친히 우리의 의(義)가 되심을 뜻하며, 우리는 성령을 통하여 하느님의 뜻과 일치하여 이 의(義)에 참여하게 됩니다. 우리는 다함께 고백합니다. 우리의 어떤 공로 때문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구원 행위에 대한 믿음 안에서, 오로지 은총에 의해 우리는 하느님께 수락되어, 우리를 선행으로 준비시키고 부르시면서 우리의 마음을 새롭게 하시는 성령을 받게 됩니다.
16. 모든 사람은 하느님에 의해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우리가 믿음 안에서 이 구원을 받을 때에 우리는 오로지 그리스도를 통하여서만 의화됩니다. 신앙은 그 자체로서 성령을 통하여 주어지는 하느님의 선물이며, 이 성령께서는 신자들의 공동체 안에서 말씀과 성사를 통하여 일하시면서, 동시에 하느님께서 영원한 생명 안에서 완성으로 이끄실 삶의 쇄신으로 신자들을 인도하십니다.
17. 우리는 또한 의화 메시지가 특별한 방식으로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의 구원 활동에 대한 신약 성경 증언의 핵심으로 이끌어 간다는 확신을 공유합니다. 곧, 죄인들로서 우리가 얻게 되는 새 생명은 오로지 하느님께서 선물로 부여하시고 우리는 믿음으로 받게 될 뿐, 결코 어떤 방식으로도 공로로 취득할 수 없는, 용서하고 새롭게 하는 자비의 덕임을 말해 줍니다.

3. 우리는 종교 개혁 이래로 루터교와 로마 가톨릭 교회 사이에 논쟁의 대상이 되어 온 의화 교리의 몇몇 중요한 쟁점들에 관하여 공동으로 선언한 내용에 동의합니다(공동 선언문, 19.22.25.28.31.34.37항 참조). 나아가 우리는 이 쟁점들에 관한 루터교와 가톨릭 교회 각자의 입장에 대한 설명(공동 선언문, 20-21.23-24.26-27.32-33.35-36.38-39항)을 수용하며, 이러한 강조점의 차이가 두 교회 어느 쪽과도 감리교를 갈라지게 하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4. 감리교 운동은 스스로 루터나 다른 종교 개혁자들, 그리고 웨슬리 형제들이 이해한 의화에 관한 성경의 가르침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그러나 감리교는 또한 동서방 초기 교회의 가톨릭 전통에 속하는 의화 교리의 요소들도 언제나 포용해 왔습니다. 이 때문에 감리교 자체의 의화 교리는 독특한 특징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루터교 신자들과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 이루어진 “의화 교리의 기초 진리에 대한 합의”를 손상시키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언어와 신학적 부연 설명, 그리고 강조점에서 여전히 존재하는 상이성”(공동 선언문, 40항)과 관련하여, 감리교의 가르침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습니다.

4.1 존 웨슬리에 따르면 원죄 교리는 본질적인 그리스도교 교리입니다. 인간 본성의 타락은 인간 스스로 치유할 수 없습니다. 타락의 파괴력은 선행 은총(先行 恩寵)을 누구나 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상쇄됩니다(설교 85, “우리 자신의 구원을 위한 노력”, III.4). 인간이 하느님의 은총에 응답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하느님의 선행적(先行的) 활동 덕분입니다. 웨슬리에 따르면, 하느님의 은총은 인간의 응답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하는” 것입니다(설교 63, “만천하로의 복음 전파”, 11). 하느님의 은총으로 신자들은 하느님께서 세상을 당신과 화해시키셨음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그들에게 하느님과 화해하라고 간청하는(2코린 5,20) 임무와 능력을 부여받습니다.

4.2 죄의 용서와 의를 이루는 것, 의화와 성화의 깊은 관계는 감리교가 의화에 관한 성경의 교리를 이해하는 데에서 언제나 핵심이 되어 왔습니다. 존 웨슬리는 구원에서 하느님의 은총이 이중으로 작용한다고 보았습니다. “의화로 우리는 죄의 허물에서 구원받아 하느님의 특별한 사랑으로 다시 돌아갑니다. 성화로 우리는 죄의 세력과 뿌리에서 구원받아 하느님의 형상으로 다시 돌아갑니다.”(설교 85, II.1). 구원을 통하여 하느님과 이루는 친교로 들어가는 것과 우리 삶을 새롭게 하는 쇄신은 모두 온전히 하느님 은총의 작용입니다.

4.3 구원은 “믿음에 따라 이루어지고 은총으로 주어진다.”(로마 4,16)라는 바오로의 말이 감리교 운동의 좌우명이 되었습니다. 감리교 운동은 웨슬리 형제와 그 친구들이 믿음으로만 얻는 구원의 해방시키는 복음을 체험한 이후 하나의 선교 운동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인간이 믿음으로만 구원받을 수 있는 것은 오로지 하느님의 은총 덕분입니다. 믿음으로 우리는 우리 삶 안에서 구원하고 구속하며 치유하고 새롭게 하는 하느님의 은총과 사랑의 활동에 투신합니다. 그러므로 참된 그리스도교 신앙은 언제나 “사랑으로 행동하는 믿음”(갈라 5,6)입니다.

4.4 믿음도 사랑도 인간의 노력으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신앙으로의 부르심과 우리에게 부어 주신 하느님의 사랑으로 우리 인간이 하느님의 구원 실재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4.5 감리교의 가르침과 설교, 전례와 성가에서, 은총의 신학은 우리 죄의 용서에 대한 보증뿐만 아니라 우리가 죄의 권세에서 해방된다는 약속도 담고 있습니다. 감리교 신학은 “이제 여러분이 죄에서 해방되고 하느님의 종이 되어 얻는 소득은 성화로 이끌어 줍니다. 또 그 끝은 영원한 생명입니다.”(로마 6,22)라고 한 바오로의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바로 이 때문에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덕’ 또는 ‘완전한 성화’(1테살 5,23 참조)의 교리를 발전시키고 이를 감리교 가르침의 핵심으로 여겼습니다. 이 교리는 감리교 운동의 역사를 거쳐 오면서 그 해석에 차이가 있기는 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가르침은 언제나 명백합니다.

a) ‘완전한 성화’ 또는 ‘그리스도인의 완덕’은 바로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정신을 다하여 주 하느님을 사랑하는 것”과 “이웃을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마태 22,37-39; 1요한 2,5 참조)입니다.

b) ‘그리스도인의 완덕’은 하느님께만 속한 절대적인 완전함이 아니며, “무지나 오류, 나약함, 유혹에서 면제되는 것을 뜻하지도 않습니다”(웨슬리 설교 40, “그리스도인의 완덕”, I.9).

c) 우리의 온 존재가 성령을 통하여 우리 마음에 부어 주신 하느님 사랑으로 채워진다고 해도(로마 5,5), 이는 언제나 하느님의 선물이고 하느님 은총의 작용이지 우리 인간의 공로나 업적이 아닙니다.

d) 죄를 정복할 수 있다는 희망 때문에, 다시 타락하여 죄의 권세에 사로잡힐 위험을 부인하거나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e) 하느님의 은총으로 의화되고 성화된 이들은 일생에 걸쳐서 유혹과 죄와 투쟁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투쟁에서 그들은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께서 죄의 세력을 무찌르셨다는 복음의 약속으로 힘을 얻습니다. 비록 의화된 이들의 삶 안에 “옛 아담의 이기적 욕망 안에서 하느님을 거스르는 것”(공동 선언, 28항)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해도, 하느님의 은총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영원한 생명을 가져다주는 의로움으로 지배”(로마 5,21)합니다.

4.6 감리교 신자들은 율법과 복음을 모두 하느님 말씀과 하느님 뜻의 표현으로 여깁니다. 생명과 행복의 길로 이끌기 위하여(신명 30,15-20 참조) 하느님께서는 당신 사랑으로 율법을 주셨고, 이는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하라는 계명으로 요약됩니다. 우리 인간은 혼자 힘으로는 이 길을 따를 수 없습니다. 우리가 모두 하느님의 뜻을 이루지 못하였으므로 율법은 이제 우리 죄를 드러내고 비난하는 역할을 합니다(로마 3,20 참조). 하느님께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으로 계시되고 표현된 사랑을 통하여 우리를 구원하시고 우리에게 생명을 주십니다. 율법은 이제 더 이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을 단죄할 어떤 권한도 없지만 사랑의 계명에 요약된 대로 하느님의 뜻을 따르기 위한 불가결한 지침으로 남아 있습니다.

4.7 믿음의 확신과 구원의 확신은 언제나 감리교 설교에서 핵심이 되어 왔습니다. 그러한 확신은 소유의 확실성이 아니라 하느님의 사랑 안에 세워지는 관계의 신뢰성으로 여겨집니다. 이러한 관계는 ‘은총의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성경을 연구하고 주님의 만찬에 참여함으로써 실현됩니다. 이러한 것들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당신 은총을 전달해 주시고자 제정하신 외적 표지들입니다. 우리가 하느님의 자녀라는 성령의 증언으로(로마 8,16) 얻게 되는 확신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된 이들의 삶에서 평화와 기쁨의 원천이 됩니다. 웨슬리의 표현에 따르면 ‘거룩함’과 ‘행복’ 모두 하느님 은총의 선물입니다.

4.8 “사랑으로 행동하는 믿음”(갈라 5,6)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의 삶에서 비롯되는 모든 선의 근원으로 여겨집니다. 신심 활동과 자비의 활동들은 예수님을 따르는 이들의 삶 안에서 성령이 맺는 열매들입니다. 그러한 활동은 또한 신자들이 하느님과 친교를 이루는 삶을 살고 하느님의 선교, 그리고 가난한 이들과 하느님 사랑을 가장 필요로 하는 이들을 위한 봉사에서 “하느님의 협력자”(1코린 3,9)가 될 수 있게 돕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활동은 하느님 은총의 작용입니다. 이를 두고 존 웨슬리는 “우리 자신의 구원을 위하여 힘써라”(필리 2,12)는 그의 설교에서, “하느님께서 일하시니 여러분도 일할 수 있고, 하느님께서 일하시니 여러분도 일해야 합니다.”(설교 85, III.2)라고 말하였습니다.

5. 우리 감리교 신자들은 이러한 합의의 토대 위에 몇몇 나라에서 루터 교회와 감리 교회들이 서로를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의 교회에 속한 것으로 인정하고 말씀과 제단의 온전한 친교를 선언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의화 교리에 대한 우리의 공동 이해를 이렇게 선언함으로써, 머지않아 우리도 다른 나라의 루터 교회들과 또 로마 가톨릭 교회와 더욱 친밀한 관계를 수립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바입니다.

공식 공동 선언
이 성명서로 세계감리교협의회와 그 소속 교회들은 루터교 세계 연맹과 가톨릭 교회가 1999년 10월 31일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서명한 “의화 교리에 관한 공동 선언문”의 가르침에 근본적으로 교리적 동의를 선언한다.

“의화 교리에 관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하는 당사자들은 세계감리교협의회와 그 소속 교회가 발표한 앞의 성명서를 함께 환영한다. 그 성명서는 “의화 교리에 관한 공동 선언문”에서 표현된 의화 교리의 기본 진리들에 대한 합의에 감리교도 동의한다는 선언이며 표명이다.

의화 교리의 기본 진리들에 대한 공동의 선언을 바탕으로, 우리 세 당사자는 신학 연구와 교육과 설교에서 의화에 대한 공동 이해를 더욱 깊이 하도록 함께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

가톨릭 신자들과 루터교 신자들과 감리교 신자들은 현재의 성취와 약속을 그리스도께서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바라시는 온전한 친교와 세상을 향한 공동 증언을 위한 노력의 일부라고 본다.


추천 비추천

4

고정닉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2920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131428 공지 가톨릭 갤러리 통합 공지 [6] 삽질少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9.29 3088 9
150442 공지 관리자 제재 이의 제기 가이드라인 [9] 크리스테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22 311 5
110205 공지 공지용)성당에 처음 온 당신을 위해 [3] 삽질少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7 8586 87
122772 공지 『가톨릭 갤러리 관리규칙』 20250321 [2] 틀니우스키케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6 1354 9
131782 공지 완장호출)가톨릭 갤러리 신고 게시판 [4] 삽질少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03 3763 8
152195 잡담 ' 장 원 영 꼭 노 영 상 유 출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1 1 0
152194 잡담 나는 식사전후 기도 거의 함. [2] 디스마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8 20 1
152193 잡담 식사전 기도 해야됩니까? [5] 가갤러(211.234) 15:09 46 1
152192 잡담 혹시 집에 기도대에 장궤틀? 까지 있으신분 [21] 카타리나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8 93 0
152191 잡담 묵주기도는 1단이나 5단을 바치는 게 가장 일반적임? [2] 가갤러(222.232) 14:37 44 0
152190 잡담 여러분 열혈사제 봤나요? [1] 하가메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6 38 0
152189 잡담 성인들 명언이나 강론들 모아놓은 책 어디 없나 [2] 가갤러(119.197) 14:23 41 0
152188 질문 환희의 신비 비치다 궁금한 점. [7] 가갤러(76.169) 14:11 87 0
152187 잡담 개인적으로 생각한 신부님의 좋은점 (반대의견환영) [10] 가갤러(121.155) 14:08 127 0
152186 잡담 기도하자. [3] 가갤러(76.169) 13:39 87 2
152185 잡담 새 신자가 볼만한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은총의모후(221.150) 13:10 102 0
152184 잡담 짝사랑하는 사람한테 톡보낼까말까 [2] ㅇㅇ(211.246) 13:10 91 0
152183 잡담 예비자 평일미사 오늘 나가보려는데요 [3] ㅇㅇ(121.188) 12:56 65 0
152182 잡담 타글레 추기경이 비전통적인가? [8] 디스마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0 151 0
152181 잡담 불교믿었더라도 평생을 진짜 약자도우며 선을 따른 사람들은 [3] ㅇㅇ(211.36) 12:46 100 0
152180 잡담 콘클라베 맞추기 놀이하자 [3] ㅇㅇ(223.39) 12:30 81 0
152179 잡담 4억 있으면 수도회갈때 전부 팔아야되나요 [8] 가갤러(121.155) 12:30 187 1
152178 질문 신 존재에 대해 의문점이 있는데 가톨릭 신학은 이거 어떻게 설명함?? [6] 가갤러(211.36) 12:10 123 1
152177 질문 이슬람은 왜 신약 인정을 안 해? [2] 구마처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7 135 0
152176 잡담 아래 미사시간에 뭐 먹는 거 보고 생각났는데 [3] 아하아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5 92 0
152175 잡담 일본은 추기경이 2명이나 있네? [3] 가갤러(118.41) 11:39 139 0
152174 잡담 예비신자와 입문자들과 함께 보는 교황 유력후보 분들 . [3] 라파엘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8 127 3
152173 잡담 내일부터 꽁끌라베 [3] cyr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91 1
152172 잡담 전과있으면 성직자 못되나요 [4] 가갤러(223.39) 11:15 154 0
152171 잡담 수도회는 일종의 평생 군대인가요 [3] 가갤러(121.155) 11:08 137 0
152170 잡담 평화의 인사할때 [6] cyri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99 1
152169 잡담 선호하는 평화의 인사 스타일 [2] APPLEofhisey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94 0
152168 잡담 응? 평화의 인사? 응? [2] 카타리나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103 0
152167 잡담 가톨릭 참된교회 (전적으로 나의 성향임) [2] 라파엘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8 96 2
152166 잡담 콘클라베 결과 너무 궁금하다 [4] 아잉만지지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4 102 0
152165 잡담 필사를 하면 사람이 바뀌게 되는 것 같아 [7] ee(14.34) 10:43 122 5
152164 잡담 치과 진료받고 조금 놀란 썰 [8] 1Q8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9 124 1
152163 잡담 필사는 어느 탭에 들어가야 하는가(문득 궁금) 카타리나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5 62 0
152162 잡담 응? 평화의인사? 응? [5] 라파엘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2 120 2
152161 잡담 평화의 인사 중 입맞춤이 안됨? [49] 디스마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3 337 0
152160 잡담 수도회 상담할때 정신병력 질문하나요? [6] 가갤러(121.155) 10:02 132 0
152159 잡담 마라도나도 병자성사 받았겠지 가갤러(116.47) 09:14 54 0
152158 잡담 미사시간에 뭐 먹으면 강제로 쫓겨날수 있나요? [7] 하가메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7 222 0
152157 잡담 Franciscus & Lionel Messi 1646(61.253) 08:36 44 1
152155 질문 보지않고 믿는자가 행복하다 이 구절 뜻 [1] 가갤러(1.235) 08:02 80 0
152154 잡담 묵주알 크기 비교사진 라파엘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7 115 4
152153 기도지 25/5/6 필사 [1] 일산수리부엉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3 42 5
152152 잡담 묵주 알 크기 추천 좀 6mm vs 8mm [3] 가갤러(119.194) 06:22 90 0
152150 잡담 성직자도 가갤러(59.9) 05:23 87 2
152149 잡담 이번 콘클라베에 갑자기.. [1] 타미(218.152) 02:59 179 3
뉴스 정형돈, 무도 멤버들과 불화설 일축…“멤버들과 통화하며 울어”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