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공략] 소환사 기초 공략앱에서 작성

혜린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2.05 17:02:20
조회 16974 추천 26 댓글 134
														

0. 본인 소개
소환사 12 년차로 이정도면 선발대 호소인 정도는 된다고 봅니다.

7fe48270b68a19f423e9f3e6469c7064aed4269e868de85358fc385a1b3231e6f237c5580f691285eb1cc7179d5533bbde5758


소환사는 소환수 특성상 AI가 상향된 지금에 이르러서는 운영이 크게 없기에 간단하게 소환사의 직업 특징, 스킬 트리 및 운용, 그리고 장비 선호도에 대해서만 설명하겠습니다.


1. 소환사의 특징
소환사는 순수하게 소환수를 이용하여 전투하는 RPG중 몇 안되는 직업입니다. 독립오브젝트의 특이점이 세월이 지나며 많이 희석되었지만 그래서 기본적인 운영이 다른 직업과 크게 다릅니다. 많은 소환수로 인한 렉을 발생하는 직업으로 오해를 하나, 몇년 전에 클라이언트 개편이 진행 된 이후로 더 이상 렉을 발생하지 않습니다.

 소환사는 간단하게 요약하면 ‘1군으로 좋고, 3군으로 좋다, 단 1군 중 본캐로 키우려면 호불호가 많이 탄다’ 입니다.

 1군으로 육성 시 어려운 난이도의 던전의 퍼클런이 상당히 쉽습니다. 그리고 3군으로 육성 시, 공략만 안다면 최저 스팩으로 던전을 클리어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직업니다.

 하지만 2군으로 육성하면 파밍 던전 도는 시간만 오래걸리고, 별다른 이득을 얻지는 못합니다. 무적기가 없어서 퍼클런은 실수 한번에 사망하고, 던담은 낮아서 고통만 받습니다.

 최상위권 기준으로는 호불호가 있습니다. 현 시즌에서는 몰빵 세팅이 사망하여 소환사의 입지가 높지만, 기본적으로 소환수를 통제해야하는 특성 상 어지간한 컨트롤로는 극복할 수 없는, 운에 의존해야 하는 한계가 쉽게 도달합니다. 또한 소환수의 특징을 고려해서 깡딜 자체가 낮게 설정되었기 때문에, 던담딜을 실전딜처럼 넣을 수 있는 스피드런에서는 불리한 직업이기도 합니다


2. 스킬 트리 및 스킬 설명
적색: 필수 스킬.
주황색: 일반적으로 권장하지 않는 스킬.
청색: 선행, 또는 기본 스킬.
녹색: 선택 가능한 스킬.

2.1. 공용기

0b9b8371b38b1af5239d81e7419c706d1eda1f9e54a235e8217309f2f60d624d7142f2631d4376f71b5597d3f7e6dbc15685ec

이번 시즌은 장비에 의한 크리티컬 평준화로 인해 크리티컬 히트 스킬을 추가로 투자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단 이를 위해서는 아바타 상·하의에는 [지능+마법 크리티컬] 엠블렘을 장착해야 합니다. 그리고 소환사는 무적기가 없지만, 백스텝 강화는 필수 스킬이 아닙니다.

 마법사 공통 스킬은 오라 쉴드와 쇼타임은 너프를 받아 인던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소환사는 이동기가 전무하기 때문에 천격을 퀵 슬롯에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스킬 커맨드는 오라 쉴드, 채찍질, 위상 변화, 낙화장을 제외한 스킬은 모두 잠가 두는 것이 좋습니다.


2.2. 하급기

74edf177b5876e87239c8790339c706acc7722e9737098dd69785edb0b62a57454b9b08e7e9fa9c5e07539e465a1da7d008831

하급 정령, 나를 따르라, 루이즈 언니는 단순한 선행 스킬입니다. 따라서 커맨드 잠금을 권장합니다. 기본적으로 소환사는 사용하는 커맨드가 많기 때문에 커맨드 잠금 및 변경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컨트롤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79ea8072c6f11df523ef83e64e9c701f278196b849b05786afbcdebebe0887fce92fa56206f75f778ae89a8c8428f1d81edf338bcd

 지배력 강화는 채찍질을 파밍 던전에서 주력 사냥기로 만들어주는 스킬이며. 교감은 가장 레벨당 딜 상승량이 높은 스킬로 아바타 상의 옵션과 플래티넘 엠블렘렘 옵션으로 선택합니다.

 아우쿠소는 하급기 중 가장 강한 스킬이지만, 고정형 소환수이므로 매스 텔레포트와 교감 컨트롤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아우쿠소의 교감은 적중하기 쉽기 때문에 몬스터가 근거리 공격을 하면서 이리저리 이동할 때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글레어린은 공격 패턴이 개선되면서 메인 딜링을 담당하는 소환수로 자리 잡았으며,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2.2.1. 보편적인 스킬트리
일반적으로 상급 정령을 최소 3개 투자한 후, 남는 스킬 포인트를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합니다. 이 과정에서 유저마다 선택이 갈리는데, 가장 흔한 고민은 아퀘리스에 스킬 포인트를 투자하느냐의 여부입니다. 프리트와 산도르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없습니다.

 프리트는 플래티넘 칭호를 착용하지 않는다면 상급 정령과 비슷한 딜링 능력을 가집니다. 슈퍼 아머가 없어서 딜 효율이 낮다고 알려졌으나, 仙界 시즌에서 많은 분들의 실험으로 우수한 소환수임이 실증되었습니다. 특히 프리트는 20 레벨 제한 스킬로서, 스킬 포인트 효율이 높습니다; 즉 프리트 대신 다른 소환수를 사용한다면 스킬 포인트가 부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산도르는 상급 정령보다 다소 낮은 딜링 능력을 가집니다. 그러나 교감 패턴 적중이 쉽고 방어력 버프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최대 레벨까지 투자하되 스킬 포인트가 부족할 경우 1~2레벨 정도 낮추는 선택이 대다수입니다.

 정령 희생은 소환사의 스킬 중 스킬 포인트 대비 투자 효율이 가장 높은 스킬입니다. 하지만 발동이 까다롭고 적중이 어렵습니다. 대미지를 1-2 % 이득을 볼 수도 있으나 번거롭기 때문에 스킬 포인트 투자를 하지 않으셔도 무관합니다. 만약 정령 희생을 투자한다면, 상급 정령의 레벨을 조정하여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한 개의 상급 정령 레벨을 29로 내리면, 정령 희생은 重泉 시즌 최대 투자 가능 레벨인 51레벨에 도달합니다. 보통 던담용이나 타임어택 용도로 정령 희생을 사용하게 됩니다.


2.2.2. 정령 희생 운용법

0beb8377c0831eff23ec86ed429c706bcd04b03ac322812bd35a9b31811e2d6c77842dc687d6dc80b3a4e89dc2c6cce0dd8f62

사진1: 소환 직후의 하급정령. 이 상태에서는 정령을 희생 할 수 없다.

정령 희생은 하급 정령이 완전히 소환된 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환사의 모든 소환수는 완전히 소환되기 전까지 무적 상태이며, 피격 판정을 받지 않습니다. 정령 희생은 키다운을 해야 제대로 적중합니다. 키다운을 하지 않으면 하급 정령이 현재 위치한 곳에서 정령이 희생되므로, 몬스터에게 접근할 수 없는데 스킬을 한번이라도 더 사용하는 것이 이득일 때 이용하게 됩니다. 

0f9c8274bcf36af323eb82e1329c706a5a86ce39566b7bd585470937e75b992edd5db068a4bd5f25402242770da4d25ec620be

0b9e8103b58661f223e78ee4429c706a5fc8b09765dbe88c006fb9ac5f0b647de220e1f0df4ef4098dd763fb56fe08c2227cdf

사진2,3: 키다운을 한 정령희생과 그렇지 않은 경우. 키다운을 한 경우 하급 정령은 소환사 앞으로 전이한다.

 정령 희생은 4가지 유형의 스킬 - 위스프 희생, 아도르 희생, 나이아스 희생, 스토커 희생 - 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높은 데미지를 자랑하는 나이아스 희생은 스킬 판정 범위가 매우 좁아 적중시키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타이밍과 위치 선정이 필수적입니다.

 가령 어둑섬 해방 난이도의 경우 정령 희생의 타이밍이 자주 나오는 편이나, 깨어난 숲 극 난이도의 경우 에르곤에게 접근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높아 정령 희생 타이밍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또한 몬스터의 크기에도 영향을 받는데, 현 안개신 레이드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수련의 방 샌드백처럼 몬스터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정령 희생을 맞추기 어렵고, 정령 희생이 적중하는 사거리에서 플레임 헐크의 화염폭검술과 쿠루타의 맹렬한 분노가 관통하여 제대로 적중하지 않습니다.


2.2.3. 상급 정령의 선택

상급 정령은 일반적으로 글레어린을 제외한 세 가지 상급 정령 중 두 가지 이상을 선택하게 됩니다. 현재 重泉 시즌에서는 30레벨 플래티넘 칭호를 장착하기 때문에, 보통 모든 상급 정령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상급 정령별로 특징이 다소 다릅니다.

 먼저 데드 멀커는 컨트롤을 다소 소홀히 해도 기본적인 화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장판딜 특성 상 순간이동이 잦은 몬스터 상대로는 딜링 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플레임 헐크 역시 기본 화력이 안정적인 정령입니다. 하지만 이클립스 하이브 추가 패턴인 화염폭검술은 채널링이 길며, 작은 몬스터에게 잘못 자리를 잡으면 관통하여 빗맞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문에 버퍼의 아포가 보장되는 일반적인 레이드에서는 데드 멀커가 플레임 헐크보다 조금 더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아퀘리스는 원거리 소환수로 빙결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근거리 공격 패턴인 얼음 바람과 Y축 판정이 좁은 아이스 미사일로 인해 DPS 변동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클립스 하이브 추가 패턴인 햅타 아이스 미사일 역시 Y축 판정이 좁아 적중률이 낮습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3개의 상급 정령을 사용하는 경우, 아퀘리스를 제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컨트롤 숙련도나 몬스터의 크기에 따라 아퀘리스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글레어린을 제외한 상급 정령 간의 데미지 차이는 크지 않으므로, 개인의 기호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2.3. 중급기

7be58803b6866ff7239ef096349c706c867b3f0bb61edfc3f6947ed0258b962c800e92e8071529b453a67c4341f98e2969e52a

중급기는 끈끈이 투척을 제외하면 전부 사용합니다. 끈끈이 투척은 저놈 잡아라에서 파생된 스킬로 현재는 필요 없는 스킬입니다. 매스 텔레포트는 소환사의 몇 안 되는 제어기이지만, 커맨드 입력이 복잡하므로 커맨드 변경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령왕 에체베리야는 소환사의 주력기이며, 몬스터의 크기가 클수록 딜링 능력이 상승하는 스킬입니다. 이번 시즌에서는 테리코타, 세컨드 팩트 룬을 에체베리야로 선택합니다. 仙界 시즌과 달리 블루 베럴 네클레스처럼 쿨타임 감소 아이템이 없는 경우 블랙 루나틱보다 에체베리야의 계수가 더 높기 때문입니다. 다만 수호자 룬은 에체베리야 특성상 그 이득이 크지 않아 여전히 블랙 루나틱을 사용합니다. 단일 스킬로는 가장 강한 딜을 보이지만, 칭호는 여러 스킬이 있는 30레벨 스킬을 보유한 칭호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무기 아바타 역시 40레벨 옵션을 사용하지 않지만, 데미지 차이가 0.5% 미만으로 미미하므로 교환 가능한 타입이라면 변경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74ec8270c6871ef4239a80ec4e9c706bdd22b80dd17aee1e13082f4dc8a60842f7b17a69f82a36319428c2346db04e4ae6521ced

7c9ff171b4861a83239d80e0429c701b4613872eeb349e24d938da3489dbe51ca93e95237648a0981feaec1680ecd3e0d763882b

사진4, 5: 거리에 따른 맹렬한 분노 딜 차이.

 타우킹 쿠루타는 소환사의 두 번째 주력기입니다. 교감 패턴인 맹렬한 분노의 계수가 높기 때문에 이를 빈틈없이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맹렬한 분노는 몹몰이 기능이 있어 일반 던전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레이드 몬스터처럼 슈퍼 아머를 보유한 적에게는 몹몰이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몬스터와 너무 근접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적중이 어려워질 수 있어 컨트롤에 신경 써야 합니다.

 소환사의 각성기 카시야스는 강력한 방생 딜을 보유한 소환수입니다. 카시야스의 방생 딜은 2차 각성기인 라모스보다 높은 수치를 보여주므로, 2차 각성기와 진각을 주로 강화하도록 설계된 각몰 세팅과는 다소 어울리지 않습니다. 또한, 카시야스는 죽거나 사라질 때 필살검: 지옥도를 생성하는 특징이 있어 반사 대미지가 있는 패턴에서는 퇴근 타이밍을 신경 써야 합니다.

 융합 정령 헤일룸은 과거의 중급 정령을 계승한 버프형 스킬입니다. 무기 아바타 옵션으로 60Lv, 즉 헤일룸을 선택하지만 다른 스킬과의 성능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2.4. 상급기

7fe58807b0831ef023ea8f94449c70652380a9861865e8c0e52e519b8c7a16256fc98fa11f9fe4ab507a919ae774fe3d8b4faa

상급기는 블랙 루나틱을 필수로 사용하며, 지고의 정령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월영과 분노의 난타는 단 1 레벨의 스킬 포인트를 투자해도 손해를 보는 스킬입니다. 분노의 난타는 소환사의 스킬 중 가장 강력한 한방기이나, 채널링이 길어 그만큼 방생딜을 날려먹기 때문에 극단적인 상황(예시로 들자면 과거 핀드워 한방킬)이 아니라면 쓸모가 없습니다.

 블랙 루나틱은 소환사의 세번째 주력기입니다. 그리고 시전 시 광역딜을, 재사용시 한방딜을 주기 때문에 채찍질, 맹렬한 분노, 식선에 이은 주력 일던용 사냥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번 시즌에 몰빵이 불가능하기에 전 시즌처럼 메인 주력기는 더 이상 아닙니다. 기존 무기 압을 헤일룸으로, 칭호를 30Lv 로 변경할 필요가 있습니다. 룬 역시 변경하는데 에체베리야 문단에서 언급 한 것처럼 수호자 룬을 제외하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특히 쿨타임이 증가하는 세컨드 팩트 룬은 반드시 에체베리야로 교체합니다. 테리코타 룬은 사실 큰 차이는 아닙니다. 

 지고의 정령왕은 소환사의 제대로 된 유일한 누킹기입니다. 보통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상급 정령을 하나 포기하는 경우, 지고의 정령왕과 백스텝 강화를 같이 찍을 수 있게됩니다. 대미지는 현 시즌에서는 지고의 정령왕이 상급 정령보다 낮지만 딜 압축이라는 의의가 있어 버퍼가 있으면 유리합니다. 하지만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이번 시즌에서는 30Lv 칭호를 사용하며, 쿨타임 감소 아이템이 적어 아포 타이밍동안 지고의 정령왕을 두번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이득이 크지 않기에 현 시즌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3. 장비 세팅
장비는 기본적으로 나와야 쓰는 것이고, 확실치 않은 부분이 있어 간략히 적습니다.

3.1. 무기
소환사의 종결 무기는 레거시 봉입니다. 레거시 로드 역시 좋은 장비입니다. 하지만 레거시 스태프는 사실상 엘마 전용무기로  사용하지 못합니다.

3.2. 방어구
이번 시즌의 방어구 종결은 누구나 아는 것처럼 황금향입니다.

 용투장은 그 다음입니다. 소환사는 무큐기를 주로 사용하는 직업이 아니므로 일반적인 유저 기준으로 유틸이 좋은 최고의 장비입니다. 그림자셋과 자연셋은 딜적인 면에서 용투장과 비슷하나, 유틸이 아쉽다는 평가를 하겠습니다.
 
 여우 세트는 에픽 이상부터 의미가 있는 세트로 소환사에게 유리하다는 의견이 있으나 발동 매커니즘 때문에 직접 해보지 않는 이상은 평가가 무의미해보입니다. 주관적으로 나쁜것 같지는 않아 보입니다.

 소울 페어리는 사실상 자수셋이나, 개인적으로 계산해본 바로는 딜적인 부분은 아주 높지는 않습니다. 자연 셋 미만이라고 생각됩니다만, 획득하면 써야겠습니다.

 발키리는 소환사에게 지속딜 시 불편함을 초래합니다. 소환사는 무큐기가 부족해서 천벌 옵션을 신경쓰지 않으면 바로바로 발동하기 어렵습니다. 월영, 끈끈이, 루이즈 교감을 사용해야 합니다.

 마력셋 역시 좋지 않습니다… 만 밸런스 패치로 어떻게 될 지는 모르겠네요. 계산해본 바로는 한 70~80 % 구간동안 붙어서 딜해야 하는데 소환사는 불가능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있으면 쓰지만 노리고 쓰지는 않는다는 정도.

 세렌디피트는 확률공시옵이 있는데 확률공시옵은 독립오브젝트의 역보정을 받습니다. 자연세트는 쿨이있는 100% 공시옵으로 잘 발동이 되는게 확인되지만, 세렌디피트는 독오역보정을 받는다는 의견이 있어서… 메카닉 소환사 같은 캐릭은 못쓴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실험해야 알겠지만 이 말이 참이라면 속강옵도 안 터지는 지라 못 씁니다.

 칠흑셋과 각몰셋은 당연히 안 좋습니다. 전시즌처럼 불가침으로 고점 끌어올릴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4. 질문 Q & A
백스텝 강화를 왜 안찍는가?
A : 유틸이 좋은 세트옵션을 입고(안입으면 공이속 딸려서 어차피 못따라갑니다) 낙화장천격으로 몹 따라가면서 교감하이브 열심히 쓰고, 위험할때 무적기를 쓸 필요가 없는 직업이기 때문입니다. 그냥 무리한 딜각 안 보면 됩니다. 필요하면 찍겠지만 타임어택 하는것 아니면 부질없습니다. 백강으로 무적 쓸바에 던전 트라이 한번 더하는게 이득입니다. 백강으로 패턴 피하는 것 자체가 이미 사고가 난 경우 (천격 낙화장 각을 이미 잘못 잡은 경우)가 더 많습니다.

월영을 왜 안 찍는가?
A : 월영 1렙을 찍고 상정을 3렙 내리는게 더 강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귀찮고 사용하다보면 까먹을 수 있으며, 탈리가 없는 월영은 판정조차 구립니다. 

 찍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스킬트리가 우아하지 않고, 귀찮고, 1레벨 월영은 던담에서도 딜이 안 찍어서 버리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월영 자체쿨이 길어서 빗맞출 시 패널티가 큽니다.

지고의 정령왕을 왜 안 찍는가?
A : 버퍼 있으면 찍어도 됩니다. 본문에서 적은 것처럼 딜압축기이기 때문에 버퍼 있으면 더 좋습니다. 안 찍는 이유는 이번 시즌은 여신전 고유픽을 졸업해도 아포 타이밍에 두번 (정화셋이나 스태프 레거시는 제외)을 쓰기 어렵기에 던담도 안 나오고 실전딜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하급기와 지고정은 던전마다 스킬트리 바꾸는게 이론상 좋습니다. 하지만 귀찮습니다.

 선계 시즌은 TP 배분 문제로 지고정이 40초에 한번 써도 좋은 스킬이었습니다. 지금은 TP 삭제로 그렇지 않습니다.

 내가 던전을 210 초에 클리어에서 지고정을 6번쓰고 그중 한번을 그로기때 썼으면 지고정이 더 좋고, 던전을 230 초에 클리어해서 지고정을 6번 썼는데, 그로기 타이밍에도 못 썼으면 지고정이 나쁜겁니다. 버퍼가 있으면 그로기 배율 자체가 다르니 이득일 확률이 높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대답 자체가 어렵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6

고정닉 19

1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9 설문 논란을 반복해서 진정성이 의심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5/12 - -
1345652 공지 박제탭 이용 규정 개정 안내 [47] SBself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22 19757 35
784571 공지 인방 떡밥은 별도의 갤러리를 이용해주세요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08 12556 7
1521109 공지 안식처 루트 (5/8 ~ 5/14)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5.08 1304 8
1521065 공지 5월 2주차 주던 [3] 보배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5.08 1113 2
43409 공지 [정보] 유용한 던파 API 사이트 모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6 34655 13
433802 공지 [정보] 직업별 공략글 모음 및 계수표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2.05 167348 24
167912 공지 던전앤파이터 정보 및 팁 모음(2025.05.11) [2] 원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08 47743 2
25031 공지 던파IP 갤러리 이용 관련 공지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2 36294 19
1212796 공지 완장호출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13 9691 4
1574092 일반 디레지에를 꼭 가고싶은데 진심 얼른 태초셋좀 완성됐음 좋겠다 미리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5 3 0
1574091 일반 키메라 무조건 비질란테보다 쎌거같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4 20 0
1574090 일반 프라임스텔라 계귀로 만들어야됨 [1] 레피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4 36 1
1574089 일반 근데 요즘 타락키는애들 있긴함?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4 35 0
1574088 일반 마도 진각일러 좀 앞머리숱이없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4 9 0
1574087 일반 홍옥숙련작 풀방돌려야됨? [1] ㅇㅇ(117.17) 14:34 13 0
1574086 일반 태초가 엄청크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4 18 0
1574085 일반 형이 패키지 판매 일정 딱 알려준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4 48 0
1574083 일반 뒷치기당하는 엘마 짤렷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3 34 0
1574082 일반 이번에 80억 찍어서 하드가보려는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3 41 0
1574081 일반 오늘 처음으로 캄보버퍼로 베누스 가봤는데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3 33 0
1574080 일반 지피티 씹폰던인데ㅇㅇ?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3 67 0
1574079 일반 현 던파 꼴찌캐릭은???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3 141 0
1574078 일반 곰장연 포지속시간 어떻게 확인함?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3 29 0
1574077 일반 이번에 라이브 방송에서 밸패있음? 던파(183.100) 14:33 9 0
1574076 일반 이번 밸패 나오면 다음 밸패까지 또 반년 기다려야되냐? [4] ㅇㅇ(125.136) 14:32 34 0
1574075 일반 철광 그래서 최대 몇캐릭 돌릴 수 있는 거임? [2] ㅇㅇ(222.121) 14:32 40 0
1574074 일반 종말 헬 한달기간제무한입장권 하나판다면 가격얼마가 적절함 ?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2 80 0
1574073 일반 아 씨븜 ㅋㅋ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2 140 8
1574072 일반 프라임스텔라 7개 모으면 소원하나 들어줘라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2 61 0
1574071 일반 패러메딕 이거<< 나오면 뮤즈 넘을수있냐?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2 66 0
1574070 일반 스증 1퍼떨어지고 쿨감 20퍼면 무조건해야겠지 [4] ㅇㅇ(211.201) 14:32 39 0
1574069 일반 마도학자 무릎에 반창고 붙힌거 ㅈㄴ꼴리는데 ㅇㅈ? [2] ㅇㅇ(27.35) 14:31 43 0
1574068 일반 맨날 종말만 도니 재미가 없다.. [2] 그아아앗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1 65 0
1574067 일반 걍 숙코는 죽지않고 레이드 클리어 보면됌 [1] ㅇㅇ(123.213) 14:31 50 0
1574066 일반 낙뢰부라고 써있는거 애처롭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1 40 0
1574065 일반 나 피시방 여알바들이 별명 붙여줌;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1 163 6
1574064 일반 주말에 나벨 랏벞이었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1 19 0
1574063 일반 가끔 본메 점핑 때 닥사해보면 ㅇㅇ(121.153) 14:31 12 0
1574062 일반 16억 자연소울로 베누스2단 솔플못하면 컨하자있는거임? [3] ㅇㅇ(183.105) 14:31 34 0
1574061 일반 폴가이즈스킵이 입진으로 폴가이즈까지 잡는거아니노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1 37 0
1574060 일반 금강상의 5억째쳐먹는중 [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1 97 0
1574059 일반 발뭉 하나보고 검신키우면 미친놈임? [15] ㅇㅇ(121.152) 14:31 73 0
1574058 일반 그냥 종말 헬 기간제무한입장권 하나팔아줬음 좋겟더ㅏ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0 28 0
1574057 일반 우럭 태초 뭐 씀? [6] ㅇㅇ(118.36) 14:30 35 0
1574056 일반 담에 크리쳐 갈릴 확률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0 18 0
1574055 일반 버퍼는 스증 왤케 높게찍힘?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0 130 0
1574054 일반 금강의 머리 3500만메소 쓰고도 안뜨노 [5] 소공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0 129 1
1574053 일반 아이 ㅅㅂ 황금향 2셋됐는데 10증으론 황금향 못쓰지? [9] ㅇㅇ(125.182) 14:30 71 0
1574052 일반 요샌 숙련렙 어디서 올려야됨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9 43 0
1574051 일반 섀댄념글 지루하고 현학적이네 [1] ㅇㅇ(1.254) 14:30 29 0
뉴스 ‘日 이민설’ 돌던 이국주, 한국 왔다…‘9평 원룸’→‘5성 호텔’ 디시트렌드 05.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