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아는 가장 기본적 지표들에는 BB. 스토캐스틱, 이평. 지평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지표는 아마 RSI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RSI는 거래량을 포함하고있지 않다.
즉, 모든 정보를 다 담아내는 지표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RSI에 거래량을 합쳐둔 지표가 있다.

바로 이런 식을 지닌 MFI(Money flow index)이다.
RSI에 거래량을 더했으므로 과매도/과매수 구간이 더 명확하고 신뢰도있게 다가온다.
하지만, 이러한 지표를 근원으로 삼아서 매매하는 것은 위험하다.
RSI와 MFI의 경우 매매의 가늠질을 위한 지표로 사용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다.
바로 보조지표의 신뢰도 측정이다.
즉, 혼자서 쓰기에는 무리가 있고, 굳이 사용하려면 다이버전스와 같은 방식을 이용해서 매매해야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굉장한 수련이 필요하다.
즉, 내가 제공하는 방식은 다른 보조지표의 신뢰도 측정용도이다.
다른 보조지표를 사용하며, 나타나는 매매신호들에 대해서 얼마나 신뢰가능한가를 MFI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시이다. 보조지표상으로 매매신호가 나왔고, MFI상으로 과매도를 가르키고있다.
롱 진입해볼만한 자리이다.

이후 보조지표상으로 매도신호가 나왔지만, MFI상으로 50이하에 위치해있다.
MFI와 보조지표가 일치하지 않는다. 홀딩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이 지점에서 익절한다.

이후이 지점에서 매수신호가 나왔고, MFI와 함께 매수신호가 등장했다.
유의미하다. 매수 진행한다.

이후 매도 신호가 나오게 되고, MFI상으로도 과매수 상태이다.
신빙성이 높다. 익절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MFI라는 보조지표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해서 성공적인 투자되길 바란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