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뉴비를 위해 최대한 쉽게 써보는 철도사용법

카이녹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04.01 04:32:39
조회 40237 추천 50 댓글 16
														

팩토리오를 시작하면서 어려운게 정말 많지만 그중에서도 철도는 공부를 해도 어려웠던 것 같음.


이제 팩토리오한지도 좀 됐고 나름 철도가 대충 어떤식으로 돌아가는지 알 것 같아 뉴비가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내가 아는선에서 좀 써보려고 함


철도는 주로 먼곳에 있는 자원을 본진으로 가져올 때 쓰고 맵설정에 자원을 매우 많게 설정하지 않은 이상 중반이후부터는 거의 필수로 써야되야 함.


철도는 사람마다 선호하는 형태가 있고 꼭 이렇게 써야한다는 건 없음.


이글은 뉴비가 철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최대한 단순한 형태위주로 설명해보려고 함


일단 가장 간단한 형태부터 설명


1.단선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08ec4934d151a0c2221826de246fb3c618a20367606183dd0d1141247995d127212fc493ea1f120ee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08ec4934d151a0c2221826de246fb3c618a20367606183dd0d1141247925f402647fc123ea1927f73


하나의 선로로 왕복하는 형태.일단 알아야 할 것은 기차 정류장은 진행방향 우측에 정차하기때문에 정류장을 선로기준 아래 위로 설치해야함.


철도를 설치하고 기차를 자동으로 움직여 보려고 할때 경로가 없다고 뜨는 이유중에 하나가 정류장을 반대로 설치한경우가 많음.


기관차는 수동으로는 후진이 되지만 자동으로 후진은 안됨.그래서 단선으로 기차를 운용할 때는 화물차 앞뒤로 기관차를 설치해주어야 함.


+기관차를 든 상태에서 (R)키를 눌러 방향 회전을 해서 붙이면 됨.혹은 기관차를 설치한다음 마우스 커서를 기관차에 대고 R키를 눌러도 가능


앞뒤로 있는 기관차는 각각 경로지정을 지정하는게아니라 2개가 하나의 기관차로 인식하기때문에 둘중 아무거나 경로를 지정해도 경로가 공유됨.


장점 : 기차를 하나만 쓸 때는 이 형태가 제일 간편함.각각 하나의 선로만 써서 철 옮기는 기차선로,구리 옮기는 기차선로 등등 별도로 운용하면 됨.

열차 신호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로켓쏘기전까진 이렇게 운용해도 좋음.


단점 : 하나의 선로위에 기차를 두대이상 쓰지 못함.





2.단선 응용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b2fe4e53577f38bf8a2ab71a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b7fb1958017c39e88ae32a24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eafa1a53532932ba8a998817



단선형태를 응용한 것.단선처럼 기관차를 앞뒤로 만들어 왕복하는 형태이지만 우회하는 길을 만들어서


2대의 기차가 서로 비켜갈 수 있게 만든 형태.


기차 한대는 서울 <-> 부산 으로 움직이고 한대는 서울 <-> 대구로 움직임


여기서부터 철도 신호를 사용하게 되는데 단선으로 서로 왕복하는 철도 신호는 선로 위아래 모두 신호를 설치해야함.


철도신호는 2종류가 있음.


철도신호와 철도 연속신호가 있는데 철도신호는 그냥 신호등이라고 생각하면 됨.운전하면 흔히 볼 수 있는 빨간불 노란불 초록불 3개짜리 신호등의 역할이고


앞에 기차가 있으면 신호는 빨간불.기차가 없으면 초록불이 됨.노란불은 신호가 있는곳으로 기차가 거의다 왔을 때 켜진다고 보면 됨.


연속신호가 조금 어려운데 단순하게 생각하면 연속신호의 역할은 교차로를 비워두기 위해 설치하는 것임.


운전을 해봤다면 교차로에서 꼬리물기때문에 초록불이 되었는데도 바로 못가는 경우를 겪어봤을 것임.


철도 연속신호가 없으면 기차가 교차로위에 꼬리물기를 하게 되기때문에 그걸 방지하려고 연속신호를 설치하는 것.즉 교차로를 나가는 위치에는 철도신호를 설치하고


차가 기다릴 정지선에는 연속신호를 설치한다고 보면 됨.


그렇게 하면 기차는 철도신호가 빨간불일때 교차로위에서 기다리는게 아니라 연속신호를 설치한 정지선에서 기다리기 때문에 다른곳으로 지나가는 철도에 방해를 하지 않게 되어서 원활한 운행이 가능하게 됨.


위 3번째 사진을 보면 초록색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는 기차의 신호.빨간색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는 기차의 신호임.


정류장처럼 신호 역시 진행방향기준 우측으로 설정되어있음.


초록색 선으로 되어있는걸 보면 오른쪽 맨 끝에는 연속신호 하나가 있고 그 왼쪽으로 선로가 2개로 나눠지는데 그 선로마다 철도신호를 설치해둠.


그리고 초록선 왼쪽 끝을 보면 철도신호 1개가 있고 오른쪽편에 연속신호를 지어서 정지선을 만들어 교차로를 비워두게 만드는 것.빨간색으로 된 것 역시 방향만 다를 뿐 같은 원리.


당연한 말이지만 우회하는 선로길이는 기차보다 더 길어야 함.조금이라도 기차꼬리가 교차로위에 걸치게 되면 다른기차가 지나가지 못하게 됨


위에는 예시용으로 기차길 중간에 우회선로를 만들어두었지만 보통은 정거장역을 우회선로로 만드는게 일반적.


정거장에서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때문에 기차정차시간이 길기때문에 정거장역을 우회선로로 만들어 기차가 화물을 상하차하게 하고 그동안 다른기차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는것.



3.복선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b0fd1f59522b62b88afde896


기차선로를 한줄로 쭉 이어 원형으로 계속 이어지게 만들어 선로위의 기차가 모두 같은방향으로 움직이는 형태.


한쪽으로만 움직이기때문에 기관차를 하나에 그뒤에 화물차를 붙이면 됨.화물차 갯수는 원하는대로 붙이면 되지만 많이 붙이면 그만큼 기차 속도도 느려지기때문에

필요한 만큼만 붙이는게 좋음.로켓쏘기전까지는 철광석,구리광석은 화물차 2개정도가 좋고(자원기본값기준) 석탄,돌,원유기차는 1개가 좋은듯.맵자원이 많다면 그 이상도 좋음.


단선은 하나의 선로위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는 기차도 있고 그 반대로 움직이는 기차도 있기 때문에 기차가 많아질경우 서로의 진행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아짐.

우회선로를 설치한다해도 한계가 있기때문에 기차를 많이 쓴다면 복선이 좋음.


복선단순형태에서 기차를 많이 운용한다면 기차 갯수만큼 철도신호를 설치하면 됨.

위 사진을 보면 선로위에 빨간줄과 노란줄로 구분이 되어있는데 철도신호를 설치한상태에서 철도신호를 선택하면 저렇게 구분이 되어서 보이게 됨.

각 선로마다 신호등이 있는것이라 생각하면 되고 교차로가 없기때문에 연속신호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기차길이에 마춰 앞기차와 충돌하지 않을 위치에 철도 신호를 설치하면 됨.


위에 설치한 신호나 정류장위치는 반시계 방향으로 되어있는데 반대로 설치할 수도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저 형태로 설치하는걸 추천.복선 거리도 굳이 저렇게 띄워서 설치하지 않아도 됨.다만 철도 안쪽에 전신주 같은걸 설치하기 좋기때문에 철도선로기준 2칸정도 뛰우고 설치하는걸 추천.


4.복선 응용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e2f54c06067b63b08a44c2b6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b1fd1a50067b63bc8af23e20


정거장역을 우회선로로 만들어 뺀 형태.

복선 선로위에 3개 이상의 역이 있을 때는 정거장역을 우회선로로 설치해서 다른역으로 가는 기차에 방해가 되지 않아 교통이 원활해짐.신호 설치는 단선응용편과 마찬가지로 설치하면 됨.다른점은 복선은 한쪽방향으로만 기차가 움직이기때문에 선로 양쪽 다 설치할 필요없이 한쪽편(우측방향)만 설치를 하면 됨.



5.십자 교차로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b2fa1c55557f65be8a78a828


복선기차선로가 교차할때 십자 교차로를 씀.한줄은 대각선이지만 열십자 형태도 같은 원리.초록선은 좌우측 방향 선로기준.빨간선은 위아래 선로기준.

교차로 들어가는쪽에 연속신호로 정지선을 만들고 나가는쪽에 철도신호를 설치한 형태를 방향만 바꾼것이라고 보면 됨.

다만 이 형태는 비효율적인 것이 있는데 다음 회전교차로에서 설명함.


6.회전 교차로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b1af4e03042d64b88ab96089


십자교차로와 다른점은 기차가 직진,우회전,좌회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기차역이 많아지고 같은 선로를 공유하는 역이 많아지면 회전교차로를 써서 각방향으로 보내주기에 좋음.

위에 십자교차로에 비효율적인게 있다고 하였는데 그것은 회전교차로 사진에 빨간동그라미를 친 연속신호의 설치 유무임.


만약 저 연속신호가 없다면 교차로를 각각 한 기차가 사용하게 되어 기차가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짐.

자동차로 예를 든다면 반대편 신호가 직진우회전 신호면 나는 비보호 우회전을 할 수가 있는데 저 안쪽 연속신호가 없다면 그걸 못하게 된다는뜻.즉 좀 더 효율적인 통행이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함.

초록선 기차가 아래에서 위로 직진을 하고 빨간선 기차가 위에서 아래로 직진을 할때도 동일하게 서로운행을 방해하지 않고 그대로 교차로를 통과하게 해주는 역할.


십자 교차로도 안쪽에 연속신호를 설치해주면 좀 더 효율적으로 운행이 가능함.직진만 가능하지만 서로 직진을 방해하지 않게 해줌.


+추가

7.단선 대기열

대기열은 버스정류장에 버스가 사람 태우려고 주주룩 서있는데 그 버스가 기다리는장소를 미리 만들어두는것을 말한다.대기열은 단순히 생각하면 철도신호를 기차 길이에 마춰서 설치해두면 된다.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b6a81a58537b39b18ae48aec


빨간 동그라미에 철도신호를 설치한것이다.역에서 화물을 싣고있는기차가 화물을 싣고 역을 나갈때까지 신호에서 기다리다가 화물을 실은 기차가 역앞에 있는 교차로 신호를 지나치면 바로뒤에 있는 신호가 빨간불에서 초록불로 바뀌어서 그 다음기차가 화물을 싣는형태다.

그냥 시내버스정류장에 버스가 사람태우려고 길게 서있는 형태라고 생각하면 됨.


보통 이런형태는 물건을 싣는 상차역형태에 적합하다.일반적으로 상차역은 대기열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자원양이 기본값이라면 기차 1개나 2개면 화물을 충분히 실어나를 수 있기때문에 많은 대기열이 필요하진 않음.주의할것은 대기열은 해당역을 이용하는 기차의 갯수만큼 만들어주는것이 좋다.

해당역에 물건을 싣는 기차가 3대라면 역 제외하고 기차 2대가 기다릴 공간이 있는게 좋다.그렇지 않다면 맨 뒤에 기다리는 기차는 대기열이 따로 없어 다른 기차가 다니는 길에서 기다리게 되기때문에 통행에 방해가 된다.

시내버스가 버스정류장이 아닌 차선 하나를 가로막고 있는 상황이라 생각하면 됨.앞 기차가 빠르게 나가준다면 크게 문제되진 않겠지만 자원을 싣는데 시간이 오래걸린다거나 자원이 충분하지 않아서 자원가득채우는걸 기다리게 된다면...교통 엉망이 되는것



8.복선 대기열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e4ae1955507f30bb8ad93e7a


단선대기열은 역을 이용하는 기차가 많아진다면 줄이 끝도없이 길어지기때문에 공간활용면에서 효율이 떨어진다.공장을 그런식으로 짓지도 않을뿐더러..

그래서 역을 이용하는 기차가 많아진다면 복선 대기열이 좋다.방식은 교차로 신호+복선 의 형태라 생각하면 됨.

스샷에 작은 동그라미는 철도신호,길게 동그라미 한것은 연속신호를 설치한것이다.맨 아래에 있는 역으로 들어가는 곳에 철도 신호를 설치하고 각 기차가 기다릴곳에 연속신호를 설치한것.이렇게 하면 한 기차마다 차례차례 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복선대기열 역시 해당역을 이용하는 기차갯수만큼 늘려주는것이 좋다.복선대기열은 주로 하차역에 어울린다.일반적으로 다수의 자원멀티에서 화물을 실어 한곳의 용광로단지로 옮기기 때문에 하차역이 대기열이 많이 필요한편이다.철광석 자원멀티가 3개가있고 각 철광석 상차역에서 2대씩 기차를 운용한다면 하차역은 총 6대의 기차가 그 역을 쓴다는것이됨.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e5af4c51522a65eb8a8c176c

복선 대기열은 복사해서 아래로 조금씩 늘리면 됨.하지만 엄청큰 메가베이스가 아닌이상 역마다 4개 정도면 적당하다고 생각 함.

대기열은 위 아래 선로에 한칸의 공간을 띄우고 만들어야 철도신호를 설치할 수 있다.빈 공간이 없게 지으면 신호를 쓸 수 없어 대기열 역할을 못함.


조금 응용해서 역을 2개이상 만들어서 복선으로 운용할 수도있음.



viewimage.php?id=2bbcd332eac031a9&no=24b0d769e1d32ca73fed80fa11d02831b68b1d4bae6818fe3ec5b78ec7934d15fa37966d9e69bbe481560e3ad4fb760e8c4644f45c15c5b2fe1b58032a34bf8aa9f717


초록원은 연속신호,빨간원은 철도신호.방식은 교차로와 동일함.


철도신호는 방식만 알면 취향에 마춰 여러형태로 설치 할 수 있음.예시사진에 있는 신호보다 더 효율적으로 신호를 설치 할 수도있으니 직접 해보는걸 추천.



#팁

1.기차 선택한 상태에서 컨트롤키(Ctrl)누른 상태로 선로위에 마우스를 대면 이동이 가능한곳은 초록선으로 표시가 됨.그상태에서 마우스 왼쪽클릭을 하면 해당위치로 철도가 이동함.꼭 플레이어가 타지 않아도 원격으로 조종가능.같은방식으로 쉬프트키를 누른상태는 정거장으로 바로 보내기가 가능함.


2.철도선로를 설치할때에는 일단 철도를 짓고 철도선로에 화살표가 나오게 이은다음 쉬프트키를 눌러 어디까지 설치할지 보고 마우스 클릭을 하면 고스트상태로 설치가 됨.그 경로에 방해가 되는 나무나 절벽같은건 해체계획기로 표시가 되서 알기 편함.


3.철도 설치할 때 보통 나무가 가장 큰 방해가 되는데 나무를 초반에 없애는 가장 좋은방법은 수류탄임.수류탄을 만들어서 나무를 터트리는게 시간절약에 좋음.다만 처음에는 나무를 없앨때 수류탄을 2번써야 나무가 없어지지만 "강력한 폭팔물" 업그레이드를 군사과학팩을 쓰는 2단계 업글까지 하면 나무가 수류탄 한방에 없어져서 편해짐.


4.철도설치는 발로 뛰어다니면서 하는것보다 선로위에 기관차 하나를 올려서 기관차를 타고 쭉 가면서 선로잇기상태에서 계속 클릭클릭하면서 설치하는게 빠름.


5.선로를 합칠 때 합쳐지는곳에서 선로가 초록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뀌면 제대로 이어졌다는 뜻임.파란색으로 나오지 않으면 제대로 이어지지 않은것일 수 도있으니 주의



아는선에서 가능한 쉽게 설명한다고 썼는데 어떨지 모르겠음.

잘 못 된거나 궁금한건 댓글로



추천 비추천

50

고정닉 1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10 설문 새로운 워터밤 여신으로 자리잡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5/19 - -
3011 AD 밥은 먹고 다니냐? 배민 할인쿠폰 쏜다!! 운영자 25/05/21 - -
83761 공지 운영 규칙 및 신문고 [5] 팩붕이(118.235) 24.12.16 1789 0
21906 공지 [뉴비필독] 이 글 먼저 읽어라 (2024-11-04업데이트) [29] 설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12 101177 110
68168 공지 우주 시대 DLC 출시함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8.29 13321 24
1711 공지 팩토리오 갤러리는 어떤 곳인가요? [6] 설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02 66031 38
24150 공지 공략 모음 Ver 0.1 (2020-08-31) [12] 고속도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31 144870 24
17413 공지 팩토리오가 어려운 뉴비분들에게 전하고싶은 이야기 [33] ㅇㅇ(175.124) 20.04.07 56259 93
91951 일반 파이프 일자로깔면서 코너꺽기 물어본사람 보셈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 6 0
91950 일반 파이프 딱붙여 깔기 팩붕이(58.29) 20:18 13 0
91949 질문 우주선 화물칸 관리 질문 팩붕이(116.38) 19:22 49 0
91948 질문 파이프 이거 II 이런식으로 일자로 가면 무조건 합쳐지는거임? [9] 팩붕이(211.179) 19:15 79 0
91947 일반 이거 행성 추가모드는 당연히 맨땅 헤딩 안되겠지? [3] ㅇㅇ(175.116) 19:13 45 0
91946 일반 뉴비 오늘 나가기 전까지 보라물약까지 열심히 했는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4 92 0
91944 질문 하.. 망햇다.. [5] 팩붕이(118.235) 17:49 83 0
91943 일반 행성 추가모드 이거 나우비스 스타팅 아닌거 정상임? [5] ㅇㅇ(175.116) 17:38 91 0
91942 질문 너무 꼬인 거 같은데 [7] 팩붕이(1.252) 17:35 123 0
91941 질문 핵융합 "생산물 가득참" 뭐가 문제일까? [2] 팩붕이(112.159) 17:27 104 0
91940 일반 와 행성 추가모드 존나 설레네 [3] ㅇㅇ(175.116) 17:25 84 0
91939 질문 뉴비 질문 [2] 팩붕이(121.125) 17:19 44 0
91938 일반 화물칸은 투입기 좀 되게 해주지 십련들... [4] ㅇㅇ(175.116) 17:14 81 0
91937 모드 밑에 야누스 탱크쓰기 롤롤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5 55 0
91936 질문 총 레이저 화염 터렛 중에 뭐가 제일 나음? [4] ㅇㅇ(118.235) 16:30 90 0
91935 질문 늅질문 [1] 팩붕이(220.120) 16:25 38 0
91934 일반 팩토리오에 오리프로그램 써본사람? [2] 팩붕이(61.75) 16:22 101 0
91933 일반 기차로 전력을 운송할 방법이 없을까? [9] 팩붕이(143.248) 16:09 119 0
91932 일반 왜 쌩뉴비들이 더 많아진거 같지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8 116 0
91931 일반 좆누스 행성 개에반데 [4] 팩붕이(59.24) 15:23 129 0
91930 질문 뉴비 자원 하차역 어때요? [5] 팩붕이(218.209) 15:13 131 0
91928 질문 뉴비질문 [3] 팩붕이(220.120) 14:26 84 0
91927 질문 뉴비 바이터 질문좀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 115 0
91926 일반 죽세는 하더라도 죽세마는 하지말라 [5] 태수토스테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4 154 0
91925 질문 재생에너지는 태양광 밖에 없나? [2] 팩붕이(119.200) 13:39 115 0
91924 청사진 월급루팡하면서 만든 불카누스 패키지 롤롤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2 140 1
91923 일반 추가된 자동차 운전 모드 써본사람? [1] 팩붕이(58.29) 13:09 96 0
91922 일반 새팩을 먼저 해서 그런지 팩토리오 적응 힘드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8 168 0
91921 질문 이런 치트키 쓰면 재미 없어질까요? [8] 팩붕이(222.108) 12:53 212 0
91920 질문 자원 겹쳐있을땐 어떻게 캐야됨? [9] 와와(220.65) 12:24 179 0
91919 일반 와 벌써 12시네....자기전 중간보고! [1] 팩붕이(211.62) 12:15 103 2
91918 질문 뉴비 질문 [10] 123(220.120) 11:34 133 0
91917 일반 근데 튜토는 꼭 해보는 게 좋은 것 같음 [2] 팩붕이(58.29) 11:12 119 0
91916 질문 뉴비 신세계발견 [5] 팩붕이(220.120) 11:01 126 0
91915 일반 보라색 드디어 자동화! [4] 팩붕이(211.62) 10:51 139 1
91913 질문 생산건물에 뭐 생산하는지 표시 어케함 [12] 팩붕이(219.248) 10:23 166 0
91912 일반 희귀 휴대용 융합로 2개만들었다 [6] 팩붕이(211.33) 09:59 152 0
91911 질문 편의 모드 써도 스팀업적 달성안됨?? [4] 팩붕이(59.14) 08:48 149 0
91910 질문 뉴빈데 초반에 석탄으로 돌리다가 전기 쓰게되면 [7] ㅇㅇ(221.166) 08:21 150 0
91909 질문 씹뉴비) 무기 변경이 안됩니더 [8] 팩붕이(219.248) 08:02 143 0
91908 일반 777시간 달성 팩붕이(61.39) 08:02 95 3
91906 질문 파칩전설 만들고 갈아서 빨초칩 전설작 가능? [2] ㅇㅇ(121.161) 05:30 123 0
91905 질문 생산모듈 1렙짜리도 쓰긴함? [9] ㅇㅇ(118.235) 05:06 162 0
91904 일반 품질작 끝내고 풀고라 재건축하는데 개빡치네 여기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0 134 0
뉴스 [인터뷰]신시아 "못생기게 울고 싶었어요, 그게 진짜니까"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