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추가] 잘못 알고 있는 그라운디드 정보와 초보를 위한 팁 몇 가지 개방

하덴(125.246) 2023.02.25 05:28:14
조회 16537 추천 24 댓글 16
														

안녕하세요 , 하덴입니다.

트위치 또는 유튜브 등에서 그라운디드 방송을 보다보면 ,

이제 그라운디드에 입문하는 또는 아직 진행 중인 유저들의 방송에 엔딩 꼴랑 한 번 본 것으로 본인들이 고인물이랍시고 들어와 잘못 된 정보 또는 초보에게 맞지 않는 정보를 제공하는 유저들을 많이 봅니다.


그 사람들로 인하여 초보분들께서 잘못 알고 계시는 몇 가지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 해당 내용은 지극히 주관적으로 작성된 내용임을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

참고로 필자는 얼리엑세스부터 현재까지 2년을 넘게 플레이 중이며 , 시스템을 파악하면서 플레이 했습니다.

또한 신규 업데이트 때마다 신규 데이터로 또는 커스텀 설정을 가지고 여러가지 설정으로 10번 이상의 엔딩을 봤습니다.
( 예 : 헉 난이도 + 건축물 완전도 ON 또는 헉 난이도 + 사망시 배낭 아이템 영원히 상실 등등 커스텀 설정을 이용하면 좀 더 재밌는 여러가지 플레이를 할 수 있습니다. )


자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

제가 다른 그라운디드 초보 스트리머 방송에서 가장 많이 보는 잘못 된 정보 또는 초보자에게 맞지 않은 정보와 초보자에게 알려드리고 싶은 정보를 작성하겠습니다.


1 . 육포를 먹으면 갈증이 생긴다 ?


답은 X 입니다.

육포의 경우 , 어떠한 육포던지 동일하게 허기 +20을 채워주는 효과가 있으며 ,

갈증이 생겨 수분이 줄어드는 디버프는 없습니다.


그 어떠한 경우도 음식 섭취시에 갈증이 생기는 경우가 없으며 ,
오히려 거의 대부분이 모르는 수분을 채워주는 고기가 존재합니다.

물벼룩 생고기와 올챙이 생고기가 수분을 채워주는 고기이며 ,

10포인트의 소량만을 채워줍니다.
( 위에서의 10포인트는 진딧물 꿀 , 넥타르와도 동일한 수치입니다. )


단 , 올챙이 생고기는 수분만을 채워주며 , 섭취시에 질병으로 인해 체력을 잃게 됩니다.

하지만 물벼룩 생고기는 정말 유일무이하게 생고기인데도 불구하고 수분과 허기를 모두 소량 채워주면서 질병을 얻지 않습니다.


초보분들께서 연못 연구소를 탐험하기 위하여

연못 내부에서 수영 중일 때 수분이 없어서 죽을 위기에 처한다면 가까운 곳에 물벼룩이 있는지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2 . 유저가 죽으면 무조건 모든 아이템을 떨어뜨린다 ?


답은 X 입니다.

가방 드랍은 동일하지만 , 인벤토리에 가지고 있던 아이템 중 채집 또는 파밍을 한 곤충의 부위만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그렇지 않고 사망시 장착한 장비를 제외한 , 가방 내에 있던 장비 및 모든 아이템이 가방으로 드랍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차이는 1.1 업데이트 이후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로 나뉩니다.



viewimage.php?id=2aafdf33ebd63da237e682e4&no=24b0d769e1d32ca73cea82fa11d0283167b3609c5c7cf1dd93c16921866607a257aab1da8d75f5892a509c4c5de7bff7645c18730a4fdcf37b2b9e51fad60dd2c6c94fcddc2f46bf

위는 1.1 업데이트 내용 중

난이도 조정

- 모든 난이도에서 사망시 , 인벤토리 내의 제작되지 않는 천연자원만 떨어집니다.

- 더 이상 사망시 제작된 아이템을 떨어뜨리지 않습니다.


1.1 업데이트 이후에 만들어진 데이터는

사망시 인벤토리에 가지고 있던 아이템 중 , 채집 또는 파밍으로 획득한 아이템만 떨어집니다.


이 부분은 의도 된 것인지 아직 옵시디언 측에서 답변을 받지 못한 상황이지만 ,

1.1 업데이트 이전에 만들어진 데이터의 경우 ,

해당 업데이트가 적용되지 않고 , 제작된 아이템까지 모두 떨어지는 데이터들이 존재합니다.
( 제 방송 시청자 중에서는 1.1 업데이트 이전 데이터이지만 위 업데이트가 적용되어 떨어지지 않는다고 말씀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


위와 같은 이유로 1.1 업데이트 이전에 플레이 했던 유저들이

현재 1.1 업데이트 이후에 시작한 유저들의 방송을 보고 , 가방 속 제작물들이 드랍되지 않는 것을 버그로 말하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

버그가 아닌 업데이트로 인한 변경임을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3 . 그라운디드의 무기는 매운 콜타나가 답이다?


매운 콜타나의 경우 무조건 답은 아닙니다.

대게 고인물이랍시고 준비가 제대로 되지도 않은 초보들에게 ' 당장 가서 매운 콜타나부터 획득하세요. 삶의 질이 달라집니다. '라고 말하는 시청자들을 많이 봅니다.


하지만 ,

저는 단호하게 매운 콜타나가 답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위에서 말하는 삶의 질이란 꼴랑 매운 무기로 생고기를 주는 곤충을 잡았을 때 , 구운 고기를 드랍한다는 것 하나로 삶의 질이 달라진다고 얘기하는게 대부분입니다.


근데 구운 고기를 드랍하는 것 꼴랑 하나만 가지고 매운 콜타나를 힘들게 얻을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매운 무기를 만들거나 , 오히려 근접 공격으로 잡겠다고 따라가는 시간을 허비하느니 스태프 레시피를 얻고 매운 스태프를 제작하라는 것이 더 좋은 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매운 콜타나를 획득하기 위해서

파티원이 모두 개미귀신 세트를 착용해야 한다는 점 , 신선한 방어 3렙 변이 획득을 미리 해야한다는 점 등의 준비 과정이 필요합니다.

단 ,전술플레이를 하는 팀에서의 원거리 딜러의 경우에는 굳이 신선한 방어 3렙까지는 필요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근접 딜러 또는 탱커는 무조건 개미귀신 세트에 신선한 방어 3렙 변이를 착용하고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하여 지글지글 효과를 내려주는 효과가 있는 민트를 섭취하면서 플레이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콜타나 방어전에서의 전술을 모르는 경우 , 1트에 끝내는 것이 아니라면 수차례 진행하면서 시간을 허비하는 팀을 많이 봅니다.
그저 멋있다 또는 구운 고기 파밍을 위해 매운 콜타나를 준비하라는 단순한 이유가 아닌 , 차라리 여왕거미를 쉽게 잡아 ' 악마 여왕의 몽둥이 '를 만들기 위해 거쳐가는 무기로 설명을 한다면 해당 글을 작성하진 않았을 것 같습니다.


어차피 결국 매운 콜타나는 버려지게 됩니다.

상위 호환의 무기가 이미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4 . 대규모 건설시에는 집라인을 이용하세요.


저는 집라인 건설이 가능한 초보들에게 ' 대규모 건설시에 잔디판자 또는 잡초줄기 파밍하다 모자르면 집라인을 이용해서 옮기세요. ' 라고 말합니다.

그럼 그걸 보던 자칭 고인물이라는 사람들이 ' 이건 뭔 헛소리야 ? 잔디판자랑 잡초줄기 이동 안되요 '라고 대차게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네 , 바로 본인들이 모를 뿐이죠.


그라운디드 또한 포레스트처럼 집라인에 잡초줄기와 잔디판자를 태워 이동 시킬 수 있습니다.

물론 집라인 업그레이드 버전의 낮은 곳에서 위로 올라가는 시스템은 잡초줄기와 잔디판자는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잔디판자를 태워 이동 시키는 것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떡갈나무 연구소 주변에서 거점을 잡고 건설을 하는 유저가 떡갈나무 주변의 잡초줄기를 모두 소모하면

저는 ' 연못 건너편에 민들레와 잡초줄기 밭이 있습니다. 거기서 집라인으로 옮기세요 ' 라고 말합니다.


0aafdf33ebd63da251ed86e7449f746b69faa06aac173249775c315b65fdc988e228db83abc7c829967e5a6fbe

그렇게 하시면 본인들도 위와 같이 충분히 한 번에 많은 양의 잡초줄기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단 위와 같이 한 번에 많은 양을 옮겨 쌓이게 되면 프레임 드랍 현상이 생깁니다. )



5 . 보복에 관한 모든 것 ,


▷ 첫 번째

보복의 경우 ,

곤충을 죽인 수와 곤충 영역에서의 활동시간에 따라 보복이 발동됩니다.
또한 유저를 대상으로 오는 것이 아니며 , 유저가 위치한 주변의 건물 또는 제작대를 목표물로 선정합니다.
( 저장위치와 관계 없이 유저가 있는 위치에서의 건축물에 옵니다. )

예 1 :

- 몰도로크 성 주변에서 모기를 한 마리도 잡지 않고 , 주변을 배회하며 활동시간이 많았을 경우에도 모기 보복 발동
- 생울타리 연구소 주변 지역에서의 활동 - 거미 보복

- 피크닉 테이블 위에서의 활동 - 꿀벌 보복


예 2 :

- 생울타리 연구소 주변 지역에서의 활동이 아닌 타 지역에서의 거미 다수 처치 - 거미 보복
- 창고 옆 장작더미 바깥 필드에서 흰개미 대량 처치 - 흰개미 보복


위 1번 예시처럼 특정 지역은 특정 곤충들의 영역으로써 자리 잡혀 있습니다.
해당 영역에서 활동하는 시간대와

2번 예시처럼 영역과 관계 없이 대량으로 곤충을 사살한 경우에 보복이 오게 되며 ,


보복 알림은

1단계 : XXX 곤충이 당신을 인지합니다.

2단계 : XXX 곤충이 당신에게 짜증을 냅니다.

3단계 : XXX 곤충이 당신이 사라지길 원합니다.


3단계를 거친 후 , 3단계 알람 이후에 처치 수 + 영역에서의 활동으로 보복이 발동됩니다.

하지만 , 해당 알림이 오는 모든 곤충이 모든 장소에 보복이 오지는 않습니다.


예로 꿀벌의 경우 피크닉 테이블과 떡갈나무 연구소 사이에 건설된 건물에 보복이 오지만 , 그 이상 먼 곳으로는 보복이 오지 않습니다.

또한 알림이 없는 보복이 오는 곤충이 존재합니다.


이는 개미귀신이며 , 개미귀신의 경우 샌드박스 내부에 건설이 되어 있고 개미귀신을 많이 죽이고 오랜 활동을 한 후에

해당 샌드박스 내 본인이 건설한 건물에 오래 머물 경우에만 보복이 옵니다.

( 대게 많은 사람이 샌드박스 내에서 활동을 하고 나면 더 이상 잡을 개미귀신이 없어 샌드박스에 오래 머물지 않습니다. )
하지만 샌드박스 내부에서 보복이 오는 개미귀신 마저도 샌드박스 밖으로는 나갈 수 없기 때문에 외부 건물에 보복이 오지는 않습니다.

또한 상층부에 존재하는 곤충들 중 ,
땅 위에서 걸어다니는 곤충은 하층부로 내려오질 못하기 때문에 하층부에 건설된 건물에는 보복을 오지 않습니다.

( 날벌레인 모기 제외 )


▷ 두 번째
그렇다면 보복 방어 최고의 건물은 어떤 건물일까?

높은 곳 ?

물 위 ?

장애물이 많은 곳 ?


그 어떤 곳이든 상관없습니다.


높은 곳 또는 물 위는
땅에 다니는 곤충이 많으니까 보복이 오는 수를 현저히 줄이는 것 아닌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써의 답은 ' 지금 어디쯤 플레이 중이세요 ? '를 먼저 물어봅니다.


네 , 높은 곳 또는 물 위는 육지 생물이 올 수 없기 때문에 육지 생물에게는 안전합니다.
하지만 , 본인이 플레이 중인 곳이 몰도로크 성 주변 또는 피크닉 테이블 위주인 경우

오히려 날곤충들에게 보복을 당할 수 있으며 , 확실하게 이 게임의 건축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지대 형성을 확실하게 하지 못할 경우 모조리 다 무너질 수 있습니다.

0aafdf33ebd63da251ed86e7459f746f9581e84e7a138d707be3011df27c7114c1aef8b19aa9037a1b6e76cfff


위는 대략 2천시간 가량 플레이 하고 있는 데이터에서의 제 집입니다. ( 스팀과 엑스박스에 세이브 파일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다른 방식으로 플레이 )

글리치 또는 버그 없이 완벽하게 정석대로 떡갈나무 위에 공중에 띄운 집을 건설하고 싶으신 분은

위 사진의 오른쪽 버섯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떡갈나무에서 유일하게 정석대로 그리고 완벽하게 지지대를 건설 할 수 있는 곳은 저 버섯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저 1층에는 오로지 대량의 수액 채취기 밖에 없습니다.

또한 버섯 위 지지대에서 높이 올린 상태로 건물을 건설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날 곤충들이 저 집을 대상으로 보복을 걸더라도 직접 저 지지대가 바닥과 벽에 가려졌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지지대를 공격하여 무너뜨리지 않으며 ,

다른 버섯에도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지지대가 무너지지 않으면 집이 결코 무너지지 않습니다.

( 단 2층의 지지대인 클로버 지붕 계단이 끊기면 그 위는 모두 무너집니다. )

이처럼 공중에 띄워 집을 건설하더라도 완벽하게 안전하지는 않습니다.

물 위에 부표토대를 설치하시더라도 마찬가지이며 ,
간혹 물 속에서 활동하다가 잉어에게 발각되어 잉어가 집까지 유인되는 경우 ,

잉어의 공격에 부표토대가 날아가버려 집이 박살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그렇기에 건설은 선택이 중요합니다.


육지 곤충을 완전히 차단하되 날곤충을 맞이해야하는 수면 위 또는 공중

육지 곤충 및 날 곤충을 모두 견제해야하는 땅 위


하지만 제 개인적인 견해로 가장 안전한 곳은 땅 위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해당 집 바로 밑에 저는 지상에 집이 또 있습니다.


0aafdf33ebd63da251ed86e7449f7464b94e39466a59e418b612beed0bbb7195483743c9da67a4184a9b6709b1


좀 오래된 스샷이지만 ( 지금은 현재 스샷과는 좀 다릅니다. ) 이렇게 지상 그리고 공중에 모두 집이 건설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전 지상에서 생활합니다.


보복을 즐기는 편이기도 하지만 보복을 확실하게 방어 할 수 있는 위치는 지상이기 때문입니다.

확실하게 방어 할 수 있다 ? 왜 ?


지상에 집을 건설시에 집 위치에 따라서 보복이 오는 방향은 정해집니다.

집 위치에 따라 지상 곤충은 보복이 2곳으로 나눠 올 수 있으며 , 3곳으로 나눠 올 수 있습니다.

그렇게 길목만 쳐다보고 있으면 편하게 공성전 하는 형태로 플레이가 가능하며 ,

보복이 오는 특정 곤충들이 싫을 경우에 방어하는 방법이 따로 존재하기 떄문입니다.

이 부분은 다음에 자세하게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 세 번째

보복 방어 어떻게 하나요? 이 곤충은 정말 보복 안 왔으면 좋겠어요.


단순히 전투를 즐기면서 방어하는 방법이 최고지만 ,

본인이 싫어하는 곤충들이 있습니다.


특히 모기의 경우 ,

모기가 보복을 오게 되면 지상곤충과는 다르게 한 번에 대량으로 넓게 포진해서 보복을 오게 됩니다.


' 근데 저는 지금 모기 피주머니 파밍 떄문에 몰도로크에서 모기 학살하는데 그럼 무조건 모기 보복을 받는 것 아닌가요 ? ' 라고 물으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 때 사용하면 좋은게 바로 ' 방향제 방출기 ' 입니다.

많은 분들이 방향제 방출기를 파밍용으로 사용하시거나 , 아예 사용을 해보지 않은 분들이 계시는데

방향제 방출기는 필드 보복과 같은 시스템으로 연계 되어 있습니다.


한 가지 확실한 예를 들면

오직 모기 피주머니 파밍 때문에 몰도로크 성으로 가서 모기를 대량 학살 할 경우 100% 모기가 보복을 오게 됩니다.


모기 보복은 일반 모기와 아디다스 모기가 함께 오며 대량의 수가 한꺼번에 몰려오는 경우가 많아 , 확실한 방어가 어렵습니다.

이 때 , 바로 모기의 보복을 캔슬 할 수 있는 것이 ' 방향제 방출기 ' 사용입니다.


몰도로크 성 모기 대량 학살 사건 후 ,

필드 보복 시스템에 의한 모기가 보복을 와야하는데 방향제 방출기로 개미 보복을 부르면

필드 보복 시스템에 의한 모기 보복이 캔슬되고 , 강제로 개미 보복으로 전환이 됩니다.
또한 이렇게 개미 보복으로 전환시에 모기 보복은 다시 몰도로크 성으로 가서 모기를 대량 학살 하지 않는 이상은 발동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방향제 방출기가 일반 필드 보복과 같은 시스템으로 연계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해당 시스템은 직접 특정 곤충의 보복이 올 시점에 저장 / 불러오기로 해당 곤충이 지속적으로 보복이 오는 것을 확인하고 , 방향제 방출기를 사용하여 캔슬 연구를 한 결과입니다. )


이렇게 본인이 잡기 힘든 또는 정말 싫어하는 곤충을 어쩔 수 없이 파밍하고 해당 곤충이 보복을 올 것 같으면

방향제 방출기로 가장 쉬운 붉은 개미 또는 거미 등 잡기 쉬운 곤충의 부위로 강제로 보복을 전환시켜 캔슬하시면 됩니다.



6 . 괜히 제초제 구멍을 막아서 감염된 늑대거미 때문에

떡갈나무 주변에 건설한 집에서 이사를 가고 싶어요.


그라운디드의 한 가지 시스템 중 ,

한 곤충을 나오지 못하게 완전하게 막을 경우 밖으로 스폰되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하지만 , 이 시스템에는 허점이 있습니다.

바로 유저가 쭈구려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구멍을 뚫는다면 해당 곤충이 밖으로 스폰하지 않고 내부로 스폰한다는 것입니다.



0aafdf33ebd63da251ed86e7459f746f9582ec4e7a158d777ee3021bf27c7114c6029d634aa074565b9dfad536

0aafdf33ebd63da251ed86e7459f746f9582ec4e7a158d777ee3041ff27c7114c73ef8320055d7a7c272dc28f6

0aafdf33ebd63da251ed86e7459f746f9582ec4e7a158d777fe3001ef27c711463e7ab2283d9733d2c86630743

0aafdf33ebd63da251ed86e7459f746f9582ec4e7a158d777fe3011bf27c7114a8e5b7b6f6c45bef061b4a6775


위 사진의 위치는 떡갈나무 밑둥 부분의 늑대거미 둥지입니다.
해당 둥지는 4개의 입구가 존재를 하며 ,

3번째 사진처럼 3개의 구멍을 완전하게 막고 , 한 개의 구멍을 유저가 쭈구려 들어갈 정도의 높이로 뚫어놓은 것입니다.


그렇게하면 마지막 사진처럼 늑대거미가 내부에 스폰하여 나가지 못하고 잠만 자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밤에는 일어나서 나가지 못하고 안에서만 활동합니다. )

본래 늑대거미만 스폰하는 자리이지만 ,

제초제를 막고나면 늑대거미와 감염된 늑대거미가 스폰됩니다.


하지만 위처럼 막고 나면 감염된 늑대거미가 내부에서 스폰을 하게 됩니다.
( 감염된 늑대거미가 내부에 스폰하면 일반 늑대거미는 밖으로 스폰합니다. )

만약 위처럼 내부에 늑대거미가 스폰하면 밖으로 감염된 늑대거미가 스폰하기 때문에 늑대거미를 사살하시고 나면 다시 감염된 늑대거미가 스폰을 해서 나가질 못합니다.
그리고 감염된 늑대거미를 파밍 하실 때에는 유저는 마음 편하게 감염된 늑대거미를 유저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까지 유인해서 걸쳐놓고 편하게 활로 잡으시면 됩니다.


*** 중요사항 ***
해당 뚫어놓는 위치는 떡갈나무 연구소 입구의 왼쪽 좁은 입구가 좋습니다.

이유는 다른 구멍들의 경우 , 진딧물 / 개미 / 바구미 등이 들어가고 그 곤충을 감염된 늑대거미가 공격하면서 벽이 공격 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떡갈나무 연구소 입구의 왼쪽에 위치한 , 늑대거미 둥지로 들어가는 좁은 입구는 해당 소형의 곤충들이 잘 드나들지 않습니다.

그리고 위 사진처럼 내부에 덫을 깔아두시면 , 감염된 늑대거미에게 발각되기 전에 혹시 모르게 들어간 한 두마리의 소형 곤충 또한 바로 죽어 감염된 늑대거미 공격에 의한 벽 파손은 없습니다.


이 시스템의 허점을 이용하시게 되면 또 다른 곤충들을 쉽게 잡는게 가능합니다.



https://youtube.com/clip/Ugkx31ZaIMLEgr8zA9kOG7XNODnHc5ASmdii

 

( 몰도로크 성 옆 과부거미 원거리 사냥 )


https://youtube.com/clip/Ugkx8P_CyotocsFEgmr73HmzTXTJknq6ugYf

 

( 공구함 밑 과부거미 원거리 사냥 )



남들은 꼼수라고 말할 수 있지만 , 전투에 있어서 건축물이나 주변 사물을 이용하는 것은 하나의 ' 전략전술 플레이 ' 입니다.

저처럼 편하게 장비 내구도와 체력 회복 아이템 등을 아껴가며 효율적으로 사냥을 하고 싶으신 경우 , 이렇게 건축물을 이용한 전략전술 플레이를 해보시면 또 다른 재미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7 . 잔디와 잡초( 민들레 포함 ) , 꽃

채집시에 리스폰 되지 않는 것이 정상인가요 ?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잔디와 잡초의 밑둥을 잘라 식물섬유로 만들고나면

다시는 리스폰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라운디드 첫 얼리엑세스 시작 당시에 잔디와 잡초의 밑둥을 잘랐을 때에는 자라지 않았었습니다.

하지만 유저들의 요청에 의해서

' 식물인데 뿌리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았는데 안 자라는 것은 잘못 된 것이다. ' 라는 의견을 수용하여 밑둥을 잘라도 다시 자라게 변경을 했습니다.


현재도 밑둥을 잘라도 다시 자라는 시스템이며 ,

만약에 잔디와 잡초를 밑둥까지 잘랐을 때 자라지 않는다면 첫 번째로는 버그이거나 , 두 번째로는 해당 잔디 , 잡초가 자라야하는 위치에 건축물 또는 제작물이 존재하여 시스템상으로 다시 자라지 않는 것입니다.

( 버그로 건축물과 제작물이 있는데 자라는 경우가 존재 )


그래서 원하는 자리에 건설시에 그 자리에 있는 잔디와 잡초가 자라는 자리에 건축 또는 토대를 깔아 아예 자라지 않게 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이렇게 잔디와 잡초의 밑둥을 자르고 그 자리 위 또는 그 주변에 제작물을 놓으면

해당 제작물을 가리거나 뚫어서 상호작용을 하는데에 방해가 되는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시 자라지 않게 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축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버그로 인해서 건축물과 제작물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다시 자라지 않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이 버그는 공격을 해서 채집을 하는 꽃에도 적용이 됩니다.

꽃을 전부 채집하고 나면 , 리스폰 되지 않는 버그가 존재하며 이 경우에는 모든 꽃잎을 채집하면 안되고

꽃봉오리의 꽃잎 하나 정도는 남겨놔야 리스폰이 되는 버그가 존재합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잔디 , 잡초는 건축물과 제작물로 인해 시스템에 의한 리스폰이 되지 않는 것은 정상이지만

주변에 건축물과 제작물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밑둥까지 잘랐다고 해서 리스폰 하지 않는 것은 명백한 버그입니다.

꽃잎 또한 마찬가지로 전부 채집 후에도 리스폰 되게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자라지 않는 것은 버그라고 보시면 됩니다.

( 모두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버그리포팅 되는 부분입니다. )



PS .

일전에 제 방송의 시청자셨던 한 분께서 제가 방송에서 알려드린 정보들을 임의로 해당 디씨 게시판에 제 정보들을 여럿 작성한 것을 보았습니다.

하지만 그 분이 올리신 것 외에도 많은 팁과 정보들이 존재하기에 올려드립니다.


이 외에도 여러 정보와 팁들이 있으니 천천히 초보분들을 위한 정보를 작성토록 하겠습니다.

부디 재미있는 게임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 중간에 포기치 마시고 재미있게 즐기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번 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추천 비추천

24

고정닉 2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3002 AD 작혼X페스나 헤븐즈필 콜라보 개시! 운영자 25/04/22 - -
4621 공지 그라운디드 갤러리 규칙 [1] Andrewpark497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2 2663 24
8583 일반 붉은개미알 [1] 121.132(210.218) 04.25 30 0
8582 일반 100% 도전과제는 뉴게임에서 새로 해야하나요? [1] 그갤러(49.165) 04.25 22 0
8581 일반 뉴게임+ 1회차만 해도 새로운 무기 뜨는거임? [2] 그갤러(112.168) 04.25 38 0
8580 일반 중복으로 얻은 악세 버리면 되나요? [1] 그갤러(14.56) 04.25 23 0
8579 일반 감염 거미 잡으려하는데 장비 [3] ㅇㅇ(110.10) 04.25 61 0
8578 일반 뉴비 몇일해보고 느낀점 [5] 그갤러(210.217) 04.24 117 0
8577 일반 그 습격 와서 짚라인 부서지면 거미줄 다 없어져?? 그갤러(210.217) 04.24 39 0
8576 일반 그 몹을 많이 잡으면 개내가 보복하러 오는건가요 ?? [2] 그갤러(210.217) 04.24 53 0
8575 일반 감염된 여왕벌레 이 미친년 [2] 그갤러(112.168) 04.24 101 0
8574 일반 연잎 왁스 많이 모아둔 의미가 없어졌네 그갤러(14.56) 04.24 55 0
8573 일반 감염 거미여왕 막힘 [3] ㅇㅇ(110.10) 04.24 85 0
8572 일반 떡갈나무 집지었는데 각다귀 2마리찍 밖에 안날라옴... [3] 그갤러(210.217) 04.23 68 0
8571 일반 수풀이 계속 시야를막고있으니 미로게임하는거같네 그갤러(115.41) 04.23 40 0
8570 일반 구간별로 무기 어떻게 써야되나요? 져지메이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51 0
8569 일반 뉴비친구가 여태모은 광물 다 없앰 [2] ㅇㅇ(110.10) 04.22 105 0
8567 일반 주입된 무기 얻기 전까지 어떤 무기 쓰는게 좋나요? [1] 그갤러(49.165) 04.22 67 0
8566 일반 보스 순서 [1] ㅇㅇ(110.10) 04.22 74 0
8565 일반 엔딩 후 뭐해야함 [7] ㅇㅇ(110.10) 04.21 203 0
8564 일반 이 게임에 가장 큰 의문 중 하나 그갤러(211.224) 04.21 129 0
8563 일반 방어전에 벽 치는게 진짜 쓸모있구나 그갤러(211.224) 04.21 117 0
8561 일반 장신구 리롤 막혔나요 [1] 그갤러(223.38) 04.21 96 0
8560 일반 혼자 하기 심심한데 [2] 그갤러(112.147) 04.21 82 0
8559 일반 불 개미 보호구 매끄러움 거추장 [2] ㅇㅇ(110.10) 04.21 105 0
8557 일반 믹스 알 수리도구가 뭐임? [3] ㅇㅇ(110.10) 04.21 104 0
8556 일반 뉴비 위치 및 불가사의 두 개 도움!! [2] 그갤러(112.168) 04.20 92 0
8555 일반 최고의 대리석 규암 언제쓰나요 + 스토리 질문 [3] ㅇㅇ(110.10) 04.20 85 0
8554 일반 에라이 이게 뭐냐... [1] 그갤러(211.224) 04.20 128 0
8553 일반 부표 토대가 생각보다 무쓸모네 [2] 그갤러(211.224) 04.20 98 0
8552 일반 짚라인: 나 왜 안써...? [1] ㅇㅇ(110.10) 04.20 169 0
8551 일반 붉은 개미여왕한테 독 주는게 좋음 촉촉한 주는게좋음? [2] ㅇㅇ(110.10) 04.20 126 0
8549 일반 여기 업뎃 또함? [1] 그갤러(175.198) 04.19 136 0
8548 일반 딴거보다 날탈좀 나왔으면 좋겠다 [2] 그갤러(221.157) 04.19 115 0
8547 일반 콜타나 개미귀신 대검 [2] ㅇㅇ(110.10) 04.19 114 0
8546 일반 창고 아래 도움 [1] ㅇㅇ(110.10) 04.19 80 0
8545 일반 개미귀신 대검 야만인 [2] ㅇㅇ(110.10) 04.18 118 0
8544 일반 패치후 개꿀 변이 버그 [1] 그갤러(61.77) 04.18 262 0
8543 일반 짚라인 속도 [2] 그갤러(14.56) 04.18 255 0
8542 일반 패치하고 들어갔더니 그갤러(14.56) 04.18 284 0
8541 일반 패치하넹 그갤러(14.56) 04.18 181 1
8540 일반 3티어 구간 질문 [6] ㅇㅇ(8.3) 04.16 196 0
8539 일반 가구 중에 세부조정 기능이 있는게 있네 그갤러(118.235) 04.16 82 0
8538 일반 추억이 새록새록하네 ㅇㅇ 그갤러(117.111) 04.16 84 0
8535 일반 매운 콜타나 만들고싶은데 [1] 그갤러(1.237) 04.16 109 0
8534 일반 뉴게임에서 만들 수 있는 무기는 별론가 잠죽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72 0
8533 일반 맛 인챈트 추천 [3] 그갤러(110.10) 04.14 156 0
8532 일반 그라운디드 서버주인 군대감 세이브파일 [2] ㅇㅇ(110.10) 04.13 160 0
8531 일반 행운의 모자 어떻게 얻는건가여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58 0
8530 일반 작년에 ng+4 까지하다가 접엇는데 건축도열심히햇엇는데 [2] 그갤러(58.124) 04.12 234 1
8529 일반 원래 사무라이 효과가 다른무기로 바꿔도 유지됐나요? [2] 카오스펙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149 0
뉴스 ‘투병 고백’ 장근석, 초특급 스케일 결혼 로망…“그럴거면 고척돔에서” (미우새) 디시트렌드 04.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