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후기] 데이터)전투용 도끼와 작업용 도끼의 차이점

윤선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0.31 10:42:55
조회 1327 추천 15 댓글 9
														


부흥카페에다 올렸던 글인데 여기다도 올려봄니다.





글은 이 아저씨 동영상을 전체적으로 참고하였음을 밝힙니다. 이분 동영상은 무기로서 도끼를 전반적으로 다루는데 저는 개중에서 무기/공구 로의 차이점만 부분 발췌해서 다룸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벌목과 장작을 쪼개는 작업용 도끼는 무기용 도끼보다 2/3 에서 2배나 3배 정도 무겁고, 반대로 무기용 도끼는 작업용 도끼보다 그만큼 가볍습니다.


작업용도끼 유물로 남아있는 것을 일괄적으로 정리해서 표본을 따올까하다가.. 제가 박물관에 온전한 상태로 손잡이까지 남아있어서 표본으로 삼을만한 유물을 못찾기도했고, 또 흔하지도않은데다 제원까지 싸악 정리 되어서 인터넷에 뜬게 없어서 그냥 상용공구회사에서 판매되는 제품 사진이랑 제원 가져왔습니다. 저기 독일에 소재한 아들러라는 공구제조회사에서 파는 도끼들입니다.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35fd3de2102b61384f97a54af450b9bfd78f7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35fd5d421efd82d8672360489bdfddf919311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35ed1d7211634e9fd51f538bcd15533d94b88


먼저 벌목, 즉 나무를 베기위한 목적의 도끼입니다. 한국어에서는 그냥 벌목도끼라고 하고 영어권에서는 Felling Axe라고 합니다. 일부로 날 단면보이는 사진부터 올렸습니다. 손잡이의 길이는 70cm에 도끼추의 무게는 1.25kg, 전체무게는 2kg입니다. 개인적으로 같은모델을 손잡이 80cm 버전으로 소장하고 있는데, 이거는 부정확하지만 체중계로 제보니 2.1kg이 나오네요.



그리고..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35dd4de21f8b3cfe04868aaa8d4e18a04bb1f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35dd3d32199a7a527ddfd5a9ac29bdded2339



쪼개기용 도끼입니다. 영어로는 Splitting Axe라고 합니다. 이미 잘려진 나무토막을 쪼개기 위해 날의 단면이 위에 Felling Axe 보다 두껍게 제작이됩니다. 마찬가지로 도끼날 위에서 찍은 사진을 가져왔는데 확연하죠? 제원은..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35cd1d621e3c6e21e3c003f4c3ce5d916ea2c

날이 더 두껍기 때문에 500g 정도 더 무거워서 2.68kg 입니다. 자루는 조금 긴모델입니다.



피스카스라는 공구제조회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벌목용 도끼는 비교적 짧은 것을 추천하고, 쪼개기용 도끼는 조금 긴 것에 무게가 조금 더 나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무래도 수직으로 내려치는 동작과 수평으로 잘라내야할 때의 편의가 다르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합니다.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9bf10d3c152d4d1217c5cd4ac41ebbd4ad079a7f4e0a6eb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9bf10d3c05bd2d7216c8cdf3512e2aa19335e32d91ad81a



벌목용 Felling Axe는 도끼추 바로밑에서 잡았을때 겨드랑이가 닿을랑 말랑한 정도의 손잡이 길이여야되고, 팔꿈치를 붙이고 한팔로 머리위까지 들 수 있을 정도의 무게여야 적합하다고 합니다. 뭐 과거사람들이 공구제조회사 가이드라인을 따랐을 지는 잘 모르겠지만, 대충 벌목용도끼는 저정도 크기에 저정도 무게가 표준적이다 라고 참고하심 될듯합니다.



그러면 전투용 도끼는 어떻냐?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56d7bb11acad11730d68d7d3243f13594835684dc7130294d3a6726ba832b


첨에 영상 따왔던 아재가 말씀합니다. 판타지게임들에서 전투용 도끼는 날 폭도 크고 두껍게들 묘사하고, 지금 자기가 들고 있는 도끼도 날폭이 크고, 전체적으로 크기 자체도 큰 도끼이지만,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56d7bb11acad11730d08d7b3d44f135948391ec80dad68f07a596a39b4c



대신 날이 얇아요.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9bf10d3c058d5d621280360d1751a4f44cee3f6721e9d4c

, 또 두손으로 다루기에 좋게 상당히 가볍다고 합니다. 영상에서는 따로 언급이 안돼지만, 자세히 보시면 알 수 있듯 자루 자체도 작업용 도끼들에 비해 자루가 더 얇고 깁니다.




그러면서 박물관에 있는 전투용도끼 도록들을 살펴보며 크기와 무게를 이야기해줍니다.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25ad4d5219125b6d3e2f656faa3b088ad717615

시리아에서 쓰인 전투용 도끼인데, 전체길이 72.3cm지만 무게가 1.341kg이죠. 앞서 말한 벌목용 도끼보다 650~700g 즈음 가볍고, 쪼개기용 도끼보다는 1.3 kg 이나 가볍습니다. 2배 차이죠?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259d5d7210de4e3c308b6c99b0aca12927fb45a

이친구는 시리아랑 이집트지역에서 쓰인 걸로 추정되는 전체 쇳덩이 도끼인데, 92.08cm 지만 1.378kg입니다. 쪼개기용 도끼보다 2배 가량 가볍고, 벌목용도끼에 비해 700~800g 정도 가볍습니다. 참고로 야구배트의 무게가 850~910g이고, 검도용 죽도와 목검의 무게가 각 500g 내외입니다. 공구용 도끼를 든다고 하면 이 쇳덩어리 도끼와 함께 야구베트를 한데 묶어서 드는 느낌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동시대 양손으로 쓰는 일본도가 보통 길이 100cm 내외에 무게가 1~1.2kg 이니까 대충 그거랑 비슷한 무게죠. 차이가있다면 도끼는 자루가 더 긴?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258d1d22142adc2e922cf337ecdb8df652b4337



이란에서 발견된 도끼인데, 53.3cm라는 비교적 짧은 길이지만 무게는 751g 정도합니다. 명칭이 왜 Saddle axe 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기병용인지.. 안장도끼? 아무튼 양손으로도 쓸 수 있는 크기이기도 하고 한손으로 쓸 수 있기도 한 크기인데, 굳이 비교를 위해서 한손용 손도끼를 가져와보면.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759d4d52f266a2593314e4cb6513bbe6c0c41529cf36785b060989d564119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759d5de2fbb74156879fa826efd7c4b915072bd6c4d495e077f281dd23395


같은회사의 손도끼입니다. 회사홈페이지에 적혀있는 제원이 손도끼로 가니까 갑자기 파운드랑 인치로만표기되어서 미터법이랑 그람으로 환산해서 이야기드리면 1.9파운드는 861g 정도되고, 14인치는 35.56cm 정도됩니다. 바로 위에 시리아/이집트 새들엑스(안장도끼?)보다 20cm가량 짧은 주제에 무게는 100g 이 더나가니 무게중심이 앞으로 훨씬 쏠려있고 무겁습니다.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25fd3d7216c71d13c63de2ff7c5ae0951d13b41


이친구가 거듭이야기합니다. 대게 전투용으로 쓰인 도끼는 날폭이 크되 얇게 제작된다고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25fd5d0211614a9f9041ec3fef673764973b9


물론 이렇게 날 단면이 두꺼운 전투용 도끼도 있긴한데,


a04424ad2c06782ab47e5a67ee91766dc28ff1edd3acc6c8bf13d0c25ed0df212fcbf5a24655ad4dd0e173cdaecbda

날폭이 좁고 도끼추 자체도 작아서 가볍고 다루기 쉽게 되어있습니다. 무게는 자기가 손으로 들어보니 한 600g 정도 될 것 같다고합니다.




29b2d73ff09230a763b2d3a758db343a20f3109c9874873c23c8f7fa


현재 한국 건설현장에서 쓰이는 자루가 저정도와 흡사한 일본의 도규Dogyu라는 회사의 450mm 中자 망치가 대략 700g 무게정도됩니다. 가벼워서 쓰기 좋은 경량형 망치입니다. 100g 정도차이가 있지만, 날폭이 좁은 전투용도끼는 한국에서 쓰이는 경량형 망치랑 비슷하거나 더 가벼운 무게입니다.



물론 공구용 손도끼나 양손도끼도 막상 박물관 컬렉션을 찾다보면 저렇게 가벼운 놈이나 유물이 없는건 아니겠지만, 글쎄요. 공구로서의 도끼는 아무래도 전투용 한손도끼보다는 무거울 가능성이 크지않을가 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전투용 도끼는 움직이는 사람이나 동물(말)등에게 휘둘러야하는 목적이라서 빠르게 휘둘러서 맞춰야겠지만, 공구로서 장작이나 벌목을 위한 도끼는 '움직이지 않는' 물체에 반복해서 강하게 내리치면서 써야되니까요. 자연히 더 두껍고 무거우며 무게중심도 앞으로 쏠린게 공구로서의 목적에는 더 부합하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유튜브 채널 주인분 말대로 전투용도끼는 가볍고 무게중심도 보다 뒤에 위치해서 균형있게 쓸 수 있는게 적합하겠죠.



참고자료

https://adler1919.com/

https://youtu.be/OGy5fUZoNlI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5

고정닉 1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115451 공지 더판 인증 해제함 [1] 철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20 325 3
111935 공지 검술/무술 이야기 모두 금지 [21] 윤선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13 1389 18
98874 공지 사람다치게 하는 내용 전부금지입니다. [17] 윤선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16 2305 23
97767 공지 미성년자 무도소 도검 구매 시도/문의 전부 금지합니다. [8] 윤선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06 1166 6
104625 공지 남 취향가지고 시비털고 싸움걸면 차단합니다 [18] 윤선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716 14
103570 공지 새) 신 문 고 [27] 윤선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08 1291 5
103803 공지 통합) 이용규정, 샤프닝입문1,2, 가검 판매관련 [1] 윤선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1 2768 2
115962 일반 철린이 빛철물 사려고 철붕이(118.235) 08:15 14 0
115961 일반 땟자국 빼는 방법 555(210.99) 08:04 23 0
115960 일반 월나 질문잇서 철붕이(118.235) 07:31 19 0
115959 일반 철물 뉴비 나이프 사려고 국내 쇼핑몰 보는 중인데 [1] 철붕이(175.125) 03:07 126 0
115958 일반 demko knives armiger 4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7 77 0
115957 일반 넥스툴 알리에서 왤캐 비쌈?? [10] ㅇㅇ(112.148) 02:05 138 0
115956 일반 더판) 레더맨 차지 tti+, rogan mutt rpt [2] ㅇㅇ(211.185) 01:06 180 0
115955 일반 빛철물 브랜드들 요즘 궁금한게 [1] 철붕이(115.20) 00:55 143 0
115954 일반 오늘의 철?물 [14] 레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7 172 0
115953 일반 이딧시 파우치 [5] kf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6 154 0
115952 일반 철갤식 휴지걸이 철붕이(115.138) 04.25 140 0
115951 일반 램블러 잘산거같군 [4] 데스피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01 1
115950 일반 이쑤시개 하니까 생각난거 [3] 철붕이(140.248) 04.25 167 0
115949 일반 찍먹 3000방은 어떤게 좋아? 철붕이(119.66) 04.25 43 0
115948 일반 바크리버는 뭐가 젤 좋아요??? [9] 철붕이(58.237) 04.25 117 0
115947 일반 오늘의 멀티툴 실사 with 부동산 [4] 포도상구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29 2
115946 일반 국내에 빅녹 앨비아 [1] 철붕이(118.235) 04.25 100 0
115945 중고거 [더구]Sikayo 파실 분~ [1] 철붕이(180.66) 04.25 70 0
115944 일반 빅녹 이쑤시개가 이쑤셔라고 만든게 아니구나 [4] 철붕이(89.147) 04.25 249 2
115943 일반 야밤의 수상한 이딧시 [7] 레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60 0
115942 일반 플래시 라이트 브랜드 티어 뭐라고 생각하냐 [8] 알버트웨스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99 0
115941 일반 람니아에서 수루 칼날길이 60mm라고 나와있는데 [3] ㅇㅇ(116.35) 04.25 111 0
115940 일반 칼? [6] 줄무늬잔점박이물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28 0
115939 일반 왜 니들 칼 안 가지고 다니냐 [7] 포도상구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79 0
115938 일반 알리에서 구매한것들 [7] 빡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26 0
115937 일반 고민중 [3] 철붕이(140.248) 04.25 98 0
115936 일반 이거 째려보고있는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83 0
115935 일반 난 철갤 더판이 너무 좋아 [8] J1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83 3
115934 일반 술 잘아는 사람 있음? [11] 안녕브라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12 0
115933 일반 시비비 베벤 손잡이재질 철붕이(119.201) 04.25 62 0
115932 일반 디월트 dcd 7781 질문 철붕이(219.254) 04.25 91 0
115931 일반 음 유틸리티 나이프는 장난감이 아니군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78 2
115930 일반 폭스 벌피스 재입고됨 철붕이(89.147) 04.25 170 2
115929 일반 스트롱암 마그나컷 빨리 들여와줘.... [3] 중세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09 1
115928 일반 오라이트 u1 직구한거 왔당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75 0
115927 일반 티타늄으로 EDC 구성하면 얘들끼리 기싸움 안일어남? [3] 철붕이(89.147) 04.25 190 0
115926 일반 빅녹이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 철붕이(89.147) 04.25 129 0
115925 일반 요거 가품인가? [14] 단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52 0
115924 식칼 3Cr13 강재는 420J2 보다 좋음? [13] ㅇㅇ(211.216) 04.25 195 0
115923 일반 솔직히 나만 졸라 짜증나냐? [12] 에엑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400 6
115922 일반 crkt 스퀴드vs스퀴드 홀리vs스퀴드 어시스트 [5] ㅇㅇ(218.146) 04.25 125 0
115920 일반 두릅라면 [3] 일뽕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66 4
115919 일반 SRK 금요일 [5] ProTa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58 5
뉴스 타블로, RM과 컬래버 신곡 5월 2일 발표 디시트렌드 04.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