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대회] 절대시계

한청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3.03 16:59:12
조회 13564 추천 424 댓글 67
														

나는 오파츠를 좋아하지, 오컬트를 좋아하지 않는다.


사람들에겐 그게 무슨 차이냐는 질문이 되돌아올 때마다 해명하는 데 지쳤다.


현실에선 쥐 죽은 듯 조용히, 평범하고 무난하게 생활하고 있지만,


적어도 인터넷에선 나처럼 오파츠를 좋아하는 사람들과 즐겁게 소통했다.


그러던 중 메일 한 통이 내게 도착했다.



Subject: A Special Gift for Your Birthday



Dear Mr. Yoon,


I hope this message finds you well.


As your birthday approaches, I wanted to take a moment to offer my warmest congratulations. It has been a pleasure to get to know you, and I admire your deep curiosity and passion for the occult and the world of OOPArts.


To celebrate your special day, I have prepared something unique. It is an antique watch, believed to have been crafted in the 19th century—a piece that has stood the test of time, much like the mysteries you explore. While its origins are unknown, I believe someone with your keen eye for hidden truths will appreciate its value and authenticity. Consider this not just a gift, but also a task: to uncover the story behind this watch.


I trust it will resonate with you in a way that only you could understand.


Wishing you a year filled with discovery and wonder.


Warm regards,

Johann Keller



대충 내 생일을 축하하는 내용과 함께 흥미로운 선물 하나를 보냈으니 그 비밀을 풀어달라는 내용이었다.


오파츠를 본격적으로 알아보기 시작하면서 알게 된 스위스의 시계 장인이었는데, 나와 오파츠를 좋아하는 이유가 똑같았기에 마음이 잘 맞았었다.


현대에 와서 오파츠는 전부 해명됐고 그 당시 기술력의 결정체였다는 것이 정론이지만, 나와 켈러는 다르게 생각했다.


오파츠는 오파츠를 만들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던 것이라고. 그건 시대가 아득히 지나버린 지금은 이해할 수 없고 알 수 없는 기이하고 기묘한 무언가를 위해서라고.


그렇기에 오파츠를 둘러싼 흥미로운 가설 제기는 나와 켈러의 주된 활동이었고, 켈러는 나의 빈약한 상상력을 시대 고증을 맞춰주며 더욱 활기를 불어넣었다.


그런 켈러가 내게 생일 선물을 보낸 것이었다. 그것도 19세기에 제작된 걸로 추정되는 시계 하나를.


나는 고맙다고, 꼭 흥미로운 비밀을 풀어내겠다고 답장한 뒤, 켈러의 선물이 어서 도착하기를 바랐다.


켈러의 선물은 얼마 안 가 도착했다. 세관에서 한 번 뜯었다 붙인 흔적이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내용물은 시계뿐이니 상자와 포장지가 성의없이 재포장된 거 빼면 건든 건 딱히 없는 듯했다.


시계는 굉장히 두껍고 묵직한 기계식 엔틱 회중시계였다. 한 손에 들어오는 크기였지만, 두께가 20mm쯤 돼 일반적인 시계의 거의 1.5배는 되는 데다가 무게 역시 180g 가까이 되는 듯했다.


재질 역시 평범한 금속 소재는 아닌 듯, 19세기 제품이라곤 믿기지 않을 만큼 깨끗하고 관리가 잘 돼 있었다. 이건 켈러가 성심성의껏 관리한 덕택이겠지만.


한 가지 특이사항이 있다면 겉뚜껑이나 뒷면, 혹은 옆면에 제조사나 어떤 문구도 새겨지지 않았다. 나도 시계라는 설명을 못 들었다면 금속 파우치로 이해했을지 몰랐다.


무엇인가의 기이함을 느끼며 나는 회중시계를 열었다. 그 내부는 더욱 특이했다.


일반적인 고급 회중시계의 경우 다양한 기능을 담고 있고, 익숙해지면 한 번 시계를 쓱 훑어보는 걸로 시계가 주는 정보를 수월하게 읽어낼 수 있다.


하지만 켈러가 준 시계는 보자마자 당혹스러움이 느껴졌다. 총 여섯 개의 각기 다른 크기의 원이 회중시계를 채우고 있었고, 내가 알아본 건 딱 하나, 초침, 분침, 시침이 담긴 제일 작은 원 하나였다.


그 다음 큰 원부터 제일 큰 원에 담긴 침은 원점에서 각기 다르게 멀어진 채(큰 원으로 올라갈수록 원점에 가까워졌다) 고정된 듯 움직이지 않았다.


각 원 테두리는 60개의 구역으로 분할돼 있었지만, 딱히 숫자가 표기돼 있진 않았다.


나는 새삼 켈러가 정말 재밌는 선물을 보냈다고 생각했다. 켈러는 내가 온전히 이 시계에 대한 비밀을 알아내길 바라는 마음에서 자기가 알아낸 사실을 동봉하진 않았을 터였다.


실제로 소포는 시계와 시계를 포장한 포장지가 전부였다.


당장 드는 생각으로는 나머지 다섯 개의 침은 좀 더 큰 단위의 침이 아닐까 싶었다. 달 단위라든지, 연 단위라든지.


근데 그렇게 생각하면 5개 씩이나 있는 게 마음에 걸렸다. 기술적 한계는 둘째 치고, 단위가 어떻게 설정돼 있든 5개는 과했다.


달, 분기, 반기, 년으로 가도 하나가 남았다.


시간 단위가 아닌 다른 걸 가리킨다고 해도 꿈쩍도 하지 않는 게 딱히 다른 기능을 암시하는 것 같지도 않았다.


결국 10분을 넘게 씨름한 끝에 당장에 결론내릴 수 있는 게 아님을 깨닫고 시간을 들여 천천히 알아보기로 했다.


경과를 정확하게 기록하기 위해 흰 바탕에 그림자 없이 사진을 찍고, 첫 한 달은 일주일 주기로, 그러고도 조짐이 없으면 한 달 주기로, 그러고도 변화가 없으면 분기, 반기, 년 단위로 찍어 비교하기로 했다.



2024년 8월 11일(0주),


최초 기록. 각 원을 작은 순서대로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제타라고 이름 붙였다. 기존 시계는 알파에 몰아져 있고, 베타부터 제타까지는 단위를 아직 알 수 없다.



2024년 8월 18일(1주),


2차 기록, 최초 기록과 대조해봤는데,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 베타의 변화가 기록돼야 의미가 있기 때문에, 다음주도 변화가 없으면 격주로 주기를 늘릴 것이다.



2024년 8월 25일(2주),


3차 기록, 최초 기록과 대조했지만 변화가 없다. 예정대로 다음 대조는 2주 뒤인 9월 8일이다.



2024년 9월 8일(4주),


4차 기록, 미세하지만 베타에 변화가 생겼다. 하지만 60눈금 단위 기준으로는 움직이지 않았다. 즉, 1눈금조차 움직이지 않은 극히 작은 변화였다. 한 달이 지나야 베타가 이 정도로 변화하면 감마, 델타, 엡실론, 제타는 대체......?



2024년 10월 6일(2달),


5차 기록, 확신...이라고 해야 하나. 4개월 뒤인 25년 2월 23일에 1눈금 반에 베타의 침이 도달할지 지켜볼 것이다.



2025년 2월 23일(반년),


6차 기록, 베타는 1년침이다. 1년이 지나서 1눈금을 움직였다. 60눈금이니 1베타는 60년이다. 그리고 다른 원의 눈금도 일정하다고 가정한다면, 감마는 60년침, 델타는 3,600년침, 엡실론은 216,000년침, 제타는 12,960,000년침이다.


이 가정을 바탕으로 시계가 가리키는 햇수를 구해봤다.


올해는 2047년이다.



2025년 2월 24일(반년),


켈러에게 메일을 넣었고, 금방 답이 돌아왔다. 켈러 역시 나와 비슷한 시간을 들여서 같은 결론을 도출해냈었다. 켈러는 시계 장인이니 3개월 정도 흘렀을 때 베타의 1년침이 움직인 각도를 측정해 1년침이란 걸 깨달았다고 한다.


문제는 이 시계는 분해할 방도가 마땅찮고, 함부로 분해할 경우 재조립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점이었다. 제타의 12,960,000년침이 사실이라면, 고작 이 작은 회중시계에 그 시간을 담아낼 수 있는 것 자체가 오파츠 그 자체라고 했다.


나 역시 그 의견에 동의했다. 이 시계는 오파츠였다. 그것도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2025년 3월 3일(반년+약간의 오차),


켈러와 대화를 좀 더 나눴다. 우리의 주요한 논쟁은 왜 이 시계가 2025년이 아닌 2047년을 가리키고 있냐는 점이었다. 정확히는 내가 2025년 2월 23일에 측정한 시계는 2047년이었다.


켈러는 이 시계를 12년 전에 발견했었는데, 그때 3개월 간의 연구 끝에 시계의 비밀을 밝혀냈을 때, 시계는 2033년을 가리키고 있다고 했었다. 즉, 2013년에는 2033년, 약 20년의 오차가 있었고, 2025년에 와서는 22년으로 2년의 오차가 추가로 발생했다.


내가 작동이 오래됨에 따라 오차가 생길 수 있는 것 아니냐고 했지만, 켈러는 내 의문을 부정했다. 12,960,000년침을 만들 수 있는 기술력이라면 애당초 12,960,000년침이 순회할 것을 가정했다는 뜻이었다.


즉, 실제로 이 시계가 최대로 측정할 수 있는 시간은 777,600,000년이다. 자그마치 7억 년을 측정할 수 있는 물건이 고작 20년의 오차를 만들어낼 리 없다는 것이었다.


무엇보다 켈러는 이 시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보면 초기엔 만들어진 년도를 정확하게 표기했다고 전했다. 즉, 19세기에 이 시계가 만들어질 당시에 베타, 감마, 델타침은 햇수를 정확하게 표기하고 있었다는 뜻이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22년이란 오차가 추가로 발생한 것이었다.


켈러와의 논쟁이 오랫동안 이어질 것 같다.



2025년 4월 24일(반년+약간의 오차),


베타가 움직였다. 각도를 계산하니 약 4개월 정도 흘렀다. 이전 측정으로부터 약 2개월이 지났으니, 흐른 시간의 배율로 따지면 2배에 가까웠다.


켈러에게 이 사실을 전했다. 켈러는 혹시 베타를 비롯해 시간이 흐르는 배율 자체가 다른 건 아닌가 지적했다. 하지만 내가 굳이 반박하기도 전에 켈러는 자기 의견을 철회했다. 시간 배율이 다르다면 켈러가 1베타를 60년이 아닌 120년으로 계산해야 했고,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우리는 어떤 주기나 원인이 있는지 몰라도 '특정 시기'마다 이러한 '점프'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가정했다. 문제는 이 '점프'가 언제 일어날지 모른다는 것이었다. 하는 수 없이 기존의 기록 주기를 다시 촘촘하게 좁혀야겠다.


켈러는 다음 생일이 지나고 성년이 되면 스위스에 와서 같이 연구해보지 않겠냐고 제안했다.



2025년 5월 1일(일일 기록 8일차),


하루마다 기록한 지 8일 만에 베타가 다시 움직였다. 정확히는 기록용으로 사진을 찍고, 자기 전에 습관적으로 들여다보다가 뭔가 이상함을 느껴 다시 기록해 대조했는데, 그 사이 베타침이 움직인 것이었다.


나는 황급히 켈러에게 연락했다. 다행히 지금 스위스는 한창 낮이라 켈러는 금방 반응했다. 한국 시간 오후 9시에서 오후 11시 사이에 베타침이 움직였다. 1년 3개월 정도 움직였다. 지금 시계가 가리키는 연도는 약 2049년이다.


태양 폭풍, 자기장 혼란, 전파 테러, 다양한 원인을 켈러와 떠들어봤지만, 어떤 전자장치도 달지 않은 기계식 엔틱 회중시계가 그러한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아 '점프'했을 것 같지 않았다.


또한 내부 요인으로 '점프'할 거란 건 켈러가 이미 시계 장인으로서 불가능하다고 공언했다. 물론 분해하지 않는 한 그게 정말로 불가능한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기계식 시계가 불규칙한 주기성을 가지고 불규칙하게 점프하는 건 오파츠로 부를 게 아니라 심령 현상으로 불러야 한다고 말했다.


너무 피곤한 관계로 나는 다시 자러 갔다.



2025년 5월 2일(일일 기록 9일차),


직전에 켈러와 나눴던 대화가 온종일 머리를 지배했다. 외부 요인은 시계에게 영향을 줄 수 없다. 내부 요인은 발생할 수 없다. 하지만 시계의 '점프'는 명백히 일어나고 있고, 이건 실시간으로 이뤄지고 있다.


정리하고 보니 나는 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요인이 하나 더 있다는 걸 발견했다. 굳이 복잡할 것 없이, 시간 그 자체라면?


바보 같은 생각이라고 무시하려고 했지만, 오늘 내내 이 가설은 그럴싸한 형태로 내 머릿속을 지배해갔다. 상대성 이론 같은 얘기를 하려는 게 아니다. 애초에 상대성 이론으로 시계 혼자 '점프'하려면 아이러니하게도 시계를 제외한 모두가 아광속으로 움직여야 한다.


그리고 그게 핵심이었다. 시계를 제외한 모두.


머릿속을 정리할 틈도 없이 나는 장황하게 두서없이 내 가설을 켈러에게 보냈다.



2025년 5월 9일(일일 기록 16일차),


켈러에게 답신이 왔다. 내가 보낸 가설을 정리하고 그걸 이해하는데 애를 먹었다고 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내 가설은 판타지 소설이나 다를 바 없다고 했지만, 동시에 그 가설은 지금까지의 현상을 '제법 그럴싸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인정했다.


내 가설은 바로 '시간이 멈춘 동안 혼자 작동하고 있었다면?'이었다.


정말 바보 같은 발상이지만, 이 발상으로 그동안의 '점프'를 아주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우리의 시간이 멈춘 동안 이 시계 혼자 시간이 24년치가 흘렀다면, 그리고 그러한 '시간 멈춤' 현상이 종종 발생했다면 '점프'가 최근에도 일어난 걸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켈러의 지적대로 이건 판타지 소설이나 다름 없는 가정이었다.


그리고 이 가설이 진짜라면, 다른 문제가 더 발생했다.


시간이 멈춘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이 시계는 그러면 대체 무엇을 위한 시계인가?



2025년 7월 1일(일일 기록 70일차),


우리는 '시간 멈춤' 가설을 거의 정론으로 받아들이고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우리의 주요한 논제는 '시간이 멈췄다는 사실을 시계 외의 방법으로 어떻게 알 수 있는가?'였다.


이 논제는 바꿔말해 '누군가가 시간을 멈춰서 대체 무엇을 하는가?'와도 직결되는 문제였다.


켈러도, 나도 '시간 멈춤'을 전제로 깔기 시작한 후로 눈에 띄게 예민해졌음을 인정했다.


주위 사물을 편집증적으로 인식하고, 주위 언행을 강박적으로 기억했다.


그리고 '점프'가 일어난 순간, 나는 최대한 빠르게 켈러에게 연락해 무언가 바뀐 것은 없는지 살폈다.


가족도, 내 친구도 평범한 줄 알았던 내가 어느 순간 회중시계만 들여다본다고 뭐라고 했다.


하지만, 하지만 그 사람들은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시간 멈춤'을 사실로 믿을수록 켈러와 나는 더욱 큰 공포에 사로잡히고 있었다.


그 공포는 제타침에 머물러 있었다.



7월 2일(일일 기록 71일차),


점프가 또 일어났다. 베타가 뒤로 움직여서 소스라치게 놀라 비명을 지르는 바람에 지하철에서 사람들이 날 쳐다봤다.


베타만 뒤로 움직인 게 아니었다. 감마도 움직였다. 대충 눈대중으로 계산하니 약 210년 정도였다.


나는 켈러에게 연락하는 것도 잊은 채 지하철 차량 안을 강박적으로 훑었다. 사람들의 경멸 어린 시선 따위는 내 알 바가 아니었다.


나는 뉴스 기사를 살폈다. 하지만 뉴스 따위가 실시간으로 바뀐 무언가를 반영할 리 없었다.


SNS를 뒤졌다. 켈러에게도 연락하고, 밖으로 뛰쳐나가 주위를 마구잡이로 살폈다.


지금은 진정하고 집에 돌아와 이렇게 기록을 남기지만, 정말로 미치는 줄 알았다.


자그마치 216년이 점프했다. 216년 동안 시간이 멈춘 것이다. 지금은 2025년이 아니라 2265년이다!



7월 5일(일일 기록 중단),


결국 부모님이 나를 정신병원에 가두겠다고 협박했다. 당장 회중시계를 버리라고 했지만, 나는 굴하지 않았다.


이 세계가 어떻게 변했을지 모르는데, 그걸 알 유일한 수단을 뺏길 수 없었다.


도합 240년 동안 시간이 멈추면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난 알 수 없다.


어쩌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수 있었다.


하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어떻게 감히 말할 수 있겠는가?


내 주변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없던 일이 되는가?


이 시계가 고작 주위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안심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인가?


그런 거라면 베타, 감마, 넓게 봐서 델타까지만 만들어도 충분하다!


엡실론, 제타까지 만들어진 이유가 있을 것이다.


켈러와 나는 이 비밀을 밝혀낼 의무가 있다.


돌이킬 수 없다. 이미 알아버렸으니까.



7월 28일,


스위스로 건너갈 계획을 세웠다. 켈러가 도와줬다. 생일은 며칠 전에 지났고, 여권은 조만간 나올 것이다.


부모님께 죄송한 마음도 들지만, 이건 어쩔 수 없다. 어차피 인제 와서 회중시계를 버리고 살아갈 순 없다.


반드시 이 시계의 비밀을 모두 풀어낼 것이다. 어쩌면 풀기도 전에 죽을 수도 있단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괜찮다. 나는 이 세계가 드러내지 못했던 장막 너머를 들여다 볼 자격이 있다.


그 너머에 무엇이 있든, 나는 마주해야만 한다.



8월 3일,


비행기에서 잠깐 기록하는 중이다. 켈러가 공항에서 마중나올 것이다.


부모님껜 직전에 통보했다.


어제 국내에서 오파츠 관련으로 얘기가 통하던 사람에게 연락이 왔었다.


그동안 활동이 갑자기 뜸해서 무슨 일이 있었냐고 안부를 묻는 것이었다.


비행기 타기 직전에 답장했다.


진정한 오파츠를 발견했고, 그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잠깐 여행을 다녀올 거라고 답했다.


하지만 돌아올 수 있을진 모르겠다.



8월 4일,


공항에 도착하고 켈러와 만났다. 켈러와 몇 번 화상통화를 한 적이 있었지만, 실제로 본 켈러는 생각보다 더 말끔하고 번듯한 시계장인이었다.


켈러는 반대로 내 얼굴을 보고 생각보다 어려서 놀랐다고 했다. 하지만 우리는 이내 서로의 외견에 구애받지 않고 활발하게 시계에 관해 떠들었다.


나는 켈러에게 시계를 되돌려주려고 했지만, 켈러는 정중하게 거절했다. 생일 선물로 준 게 맞거니와, '시간 멈춤'에 대한 가설로 진실에 한 발짝 다가선 건 내 공로라는 게 이유였다.


......


여기까지가 정상적인 기록이다.


켈러는 눈앞에서 사라졌다.


눈을 깜빡이고 나니 사라졌다.


시계를 확인했다.


제타침이 영점에서 뒤로 1눈금 움직였다.


나는 비명을 지르다 기절했고, 지금은 병원이다.



8월 5일,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다.


적어도 내가 아는 선에선.


켈러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는 사실 외에.


그러나 시간은 흘렀다.


제타침이 뒤로 1눈금 움직였으니 대충 7억년 정도.


7억년 동안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나는 모른다.


내가 무사한 것에 안도해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어쩌면 병원 뉴스로 전해지는 속보들은 7억년의 여파일지 모른다.


나는 그제야 내가 아는 게 아무것도 없단 걸 깨달았다.


장막 너머 진실을 들여다볼 줄 알았는데,


나는 더 큰 무지에 몸을 던진 것이었다.


7억년 동안 무슨 일이 이 세계에 일어났는가?


켈러는 어디로 사라졌는가?


이 시계는 대체 무엇을 위한 시계였는가?


왜 켈러만 사라지고 나는 남았는가?


대체,


대체 왜?


알 수 없다.


그리고 이젠,


아는 게 무섭다.

추천 비추천

424

고정닉 59

2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14803 공지 나폴리탄 괴담 갤러리 이용 수칙 (25.1.28) [19] 흰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9 58063 271
14216 공지 나폴리탄 괴담 갤러리 명작선 (25.4.22) [23] 흰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17 347763 262
30011 공지 [ 나폴리탄 괴담 마이너 갤러리 백과사전 ] [26] winter56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2.28 4950 45
20489 공지 FAQ [22] 흰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8.04 4684 80
14406 공지 신문고 [3] 흰개(118.235) 24.03.22 10020 59
34360 잡담 tt 계속 연재해주면 안되나 [2] 별지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9 50 0
34358 잡담 아니 1표차로 대회가 갈리네 ㄷㄷ? [2] Jamesl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2 82 2
34357 나폴리 현실을 바라봐 [1] ㅇㅇ(112.146) 13:35 66 2
34356 잡담 낲갤은 뽕이다 [1] Kassi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9 61 5
34355 기타괴 장미에 대한 가이드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8 18 2
34354 잡담 누군가가 내 글을 좋아해준다는게 이렇게 기분이 좋은거구나 [2] IIllIIIll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7 69 3
34353 잡담 나 방금 이상한거 봄 [2] YB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9 82 1
34352 기타괴 “크리스마스 전까지 여친 사귀는 꿀팁 준다.” [2] 박춘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8 96 10
34351 잡담 이거 좆된거 맞냐? [3] 초코우유한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5 105 1
34349 잡담 낲갤은 동네 맛집같은 곳임 [2] Playfu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51 3
34348 잡담 아. 누이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7 46 0
34347 잡담 비평 이벤트 끝 [3] 나폴리탄국수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3 62 0
34346 잡담 ? [6] ㅇㅇ(121.134) 11:32 92 1
34345 해석 경주 한글 편지 해석 + 대회 후기 [8] 한청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166 8
34344 잡담 아 가위바위보 어디갔냐고 [1] ㅇㅇ(182.229) 10:21 128 0
34343 잡담 아 표 아껴두고있었는데 [1] ㅇㅇ(116.45) 10:13 83 0
34342 잡담 구령 ㅊㅊ [8] 한청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7 154 2
34341 기타괴 대한민국의 생존자들에게 전파드립니다. 울산으로 합류하십시오. [3] IIllIIIll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43 242 8
34339 2차창 [팬아트] (2) 당신은 정신을 차리자 자신이 황야에 있다는 걸 깨달았다 [9] ㅇㅇ(116.42) 04:58 306 15
34333 잡담 카톡 단톡방 숫자 이용한 글도 있음? [2] ㅇㅇ(112.152) 02:24 168 0
34332 기타괴 외계인 [1] FC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61 4
34331 나폴리 A: 야, 요즘에 케이팝이 유행이래. ㅇㅇ(61.72) 01:45 101 1
34330 찾아줘 그거 뭐였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54 1
34329 기타괴 (Gpt로 쓴 글) 난 진실만을 말한다. with[GP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93 1
34328 나폴리 웃고 있어 수박씨먹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55 2
34327 나폴리 눈맞춤 [1] Plan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70 5
34326 잡담 Sensual Love Hotel 규칙서괴담같은 근본 규칙서괴담 추천좀 [1] 성장형괴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106 0
34323 기타괴 사자밥이라고 아냐? [7] 블루워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7 839 27
34321 잡담 투표 집계글은 왜올리는거임 [1] ㅇㅇ(211.234) 00:31 126 0
34320 찾아줘 글 하나만 찾아 줄 수 있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9 88 0
34319 잡담 보통 글 쓸때 괴이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글 씀? [3] IIllIIIll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6 124 4
34318 잡담 투표 계속 동점인 이유 [2] ㅇㅇ(110.76) 00:11 150 4
34316 잡담 투표 80 : 80 동점 [5] ㅇㅇ(218.232) 05.05 178 2
34315 잡담 와 씨발 이글 소름이네 [3] ㅇㅇ(222.104) 05.05 855 12
34313 해석 딸기향 후기(100추 기념) [3] 김낙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269 7
34312 잡담 글 잘못 쓰고나니 내상이 심하네 [4] 오라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72 0
34310 잡담 연휴기념 긴 뻘글) 개인적으로 낲갤이 맘에 드는 점. [8] 무상유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650 28
34307 나폴리 얘들아 내 남친 요새 진짜 이상하다? [2] ㅇㅇ(183.100) 05.05 258 8
34306 잡담 질문) 링크 관련 [6] 스트레스존나심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47 1
34305 잡담 나는 과연 인간인지에 대한 고찰 [18] ㅇㅇ(1.243) 05.05 233 5
34304 연재 초자연현상처리반 Fragments 8화 [8] 한청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302 13
34301 나폴리 두 사람만 생존할 것 [6] 나유탄(221.159) 05.05 817 25
34300 잡담 빠져나갈수없어 [3] ㅇㅇ(112.152) 05.05 98 0
34298 찾아줘 맛있는 사례괴담 찾아주세요 [6] 남궁덕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99 1
34297 찾아줘 장미관인가 개빠른 여자에 나오고 들어가자마자 총알 박아야하는 [2] 나폴리탄(118.235) 05.05 238 0
34178 대회 [ 세계관 완성도 투표 ] [25] winter56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4571 31
34296 잡담 야 투표 치열하네 [3] Jamesl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08 2
34295 잡담 정통 대회 1차 집약본(메모용) [14] 나폴리탄국수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71 5
34294 연재 초자연현상처리반 Fragments 7화 [10] 한청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40 9
34293 나폴리 a,g,z 구역 2356청소기록 [2] ㅇㅇ(211.36) 05.05 81 3
뉴스 장우혁, 손성윤과 소개팅 후 첫 데이트…김종민 “저건 찐 웃음” (‘신랑수업’) 디시트렌드 05.0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