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원펀맨 리메이크와 원작의 비교 분석 - 2 보강설명앱에서 작성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9.04.23 18:32:38
조회 502 추천 5 댓글 1
														

 물체의 움직임은 곧 공간과 공간 사이의 시간이동이다.


만화 내에서도 물체는, 움직임을 위해 동작선의 형태로 도달 지점에 "가는 상태"가 된다.

사람의 의식은 그 움직임을 보며 "갈 것이다" 라는 인식을 지속해서 활성시키며,
다음 컷으로 넘어가기 전까진 그 "활성된 의식" 은 끝나지 않는다.


그림 자체는 영상이 아니라 가만히 있지만,

"움직이는 상태로 보이는 그림"을 "대리"해서,
독자가 "의식의 시간을 움직이는 것이다"  

캐릭터에 초점이 맞춰진 채 의식의 시간이 움직이면, 즉 움직임을 준 캐릭터면
달성, 완결, 끝, 결착 등의 정적인 느낌을 방해받는다.


권투에서 마침내 이겨, 트로피를 치켜드는 한 장면을, 동작선으로 메운다고 생각해보자.

우리는 승리가 맺어졌음 보고 마음에 새겨야 하는데,
부산한 움직임이나 동작선이 가득하다면, 제대로 이 전투가 끝맞쳤다 라는 감흥을 받을 수 있을까? 



권투의 승리 장면처럼 한 순간을 통해,
"모든 것을 포괄해야 하는 완결형 씬이라면 동적상태가 어울리지 않는다."

사진가의 입장이 되어보라. 물체가 잔상을 남기며 흔들리는, 신문의 사진을 유심이 볼 독자가 있을까?

저널리즘을 위해 누군가 폭력당하고 그게 "지속되고 있다는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라면,
잔상이 필요지도 모른다.


동적 장면(동작선, 사진에서 나타나는 빠른 움직임의 잔상)은 앞서 말했다싶이,
의식의 시간을 움직이는 채로 붙잡아 놓는다.

그 붙잡힌 "상태의 전달"이 독자로 하여금 지속 된다라는 이미지를 각인 시키는 것이다.
폭력사건의 지속성을 "상태전달"할 때 비로소
"지속된다는 메세지"가 의미있게 작용한다

상태를 전달하는 것, 그건  만화가에게 있어서,
그리고  미디어의 생산과 유포를 하는 창작자에게 있어서 아주 중요한 것이다.

사물과 캐릭터가 이벤트에 맞게, 필요한만큼 움직이고, 멈춰있음으로써
만화는 더욱 명확해지고 보기 편해지고 그리하여 전달력이 좋은 작품이 되는 것이다.

ONE은 그러한 작용을 자연스럽게 사용가능한 몇 안되는 작가 중 하나다.


그러나 무라타 유스케 작가는 만화의 기본적인 원리를 파악하는데 둔감하며,
"쳇바퀴 효과"의 부작용에 대해 이해하고 있지 않다.


움직임은 의식의 끈을 팽팽하게 하지만, 그 힘에 드는 무의식적 긴장은, 무한동력이 아니다.
어떨 땐 이완시켜줘야 한다.

효과적인 연출을 하고 싶은 자는 흥미라는 국소적 차원에 머물러선 안된다



거기서 만화에 대한 이해력, 만화에 대한 차원, 대중에 몰입도를 흡입하는 능력이 구분되는 것이다

편한듯 보이지만 오묘하고, 간단한 듯 보이지만 정교한 원리를
당연하게 하는 자와 어렵게 도달하거나 그 주변의 벽에 머물러 헤매는 자


모두 이해하는 날을 위해서 글을 정리한다






- dc official App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2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38 무라타 유스케를 빗대서 자신의 의중을 만화로 표현함.JPG ㅇㅇ(175.223) 19.07.02 317 1
137 지나친 무라타의 재해석에, ONE의 항의성 콘티 업로드 ㅇㅇ(175.223) 19.07.02 485 0
134 비밀의 작용 [1]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30 279 1
133 움직이는 스토리와 정의의 상관관계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30 250 0
128 무라타 동적연출의 빈번함을 옹호하는 사람에 대한 반박 ㅇㅇ(39.7) 19.06.22 357 3
126 여러 순간이 중첩된 상태를 설명하는 교육 만화 中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20 347 4
122 작품 전체의 분위기를 망치는 습관적 미화 그림체 [2]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17 759 19
121 ㅡㅡㅡ 원펀맨 오리지널 114, 115, 116화 연재갱신 ㅡㅡㅡ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6.15 589 0
119 독자해석을 유도하는 단서기법의 기초예시.JPG ㅇㅇ(39.7) 19.06.05 435 2
114 ㅡㅡㅡ 원펀맨 오리지널 113화 연재갱신 ㅡㅡㅡ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5.22 645 2
77 무라타 유스케 작가의 트위터 행적 ㅇㅇ(220.71) 19.05.10 1769 17
76 작화가 병신이라 쳐맞는 가로우 만화.JPG [1] ㅇㅇ(220.71) 19.05.09 978 12
66 콘티에 없는 그림을 무단으로 무라타가 수정한 수많은 사례 중 하나 [1] ㅇㅇ(220.71) 19.05.03 581 0
65 ONE의 원펀맨 2기 4화 방영 약간 직전 그림 ㅇㅇ(220.71) 19.05.02 512 0
64 ONE의 트위터 원펀맨 2기 4화 후의 트위터 그림 ㅇㅇ(220.71) 19.05.02 420 0
63 ONE이 트위터발 모브사이코 쇼우 ㅇㅇ(220.71) 19.05.02 292 1
59 무라타가 빈번히 사용하는 "순간이동형 컷의 오류".JPG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30 775 0
54 ㅡㅡㅡ 원펀맨 오리지널 112화 연재갱신 ㅡㅡㅡ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27 502 0
원펀맨 리메이크와 원작의 비교 분석 - 2 보강설명 [1]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23 502 5
50 이벤트에 대해 일일히 반응하도록 설계하면 극이 루즈해진다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21 180 1
47 극이 정지 되거나 그만큼 느려져야 하는 결정적 순간이 아니라면,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20 191 0
45 컨셉이나 설정은 요소에 불과하다. 그 설정을 몸에 지닌 인간이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9 290 1
44 입체적인 캐릭터라는건 반면이 있다고 해서 생기는게 아니다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9 281 7
36 ㅡㅡㅡ 원펀맨 오리지널 111화 연재갱신 ㅡㅡㅡ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8 334 0
34 모브사이코 5화의 아사가리 장면과 본즈의 과신에 대한 글 [3]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4 403 2
31 모브사이코 7화에서 성장했구나 MOB는 비단 주인공만을 향한 말이 아님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0 268 1
28 ㅡㅡㅡ 원펀맨 오리지널 110화 연재중 ㅡㅡㅡ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09 393 0
26 새로 갱신된 ONE의 쓸쓸한 듯한 분위기의 그림.JPG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09 521 3
20 왜 일본만화는 압도적으로 범죄자를 용서하는 전개가 되는걸까.. 안타깝다 [1]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29 466 11
17 아,,, 오리지널 보고 싶다... 오리지널 원펀맨 콘티를 보고 싶다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27 190 0
8 [소설화 프로젝트] ONE PUNCH MAN - 001.5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22 146 0
7 [소설화 프로젝트] ONE PUNCH MAN - 001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22 195 0
6 [소설화 프로젝트] ONE PUNCH MAN - 000 (prolog)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22 233 0
3 원펀맨 리메이크와 원작의 비교 분석 「ワンパンマン」リメイクと原作の比較分析 [1] KIM쓰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21 995 2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