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 자체의 성능만 반영되지 않고 파밍 시기나, 지역 여부 등도 어느정도 고려해서 선정함.
일단은 뉴비용이긴 하지만 파밍지역 한 곳뿐인 3성캐릭터의 경우 꽤 한 유저들도 파밍이 제대로 안된 경우가 많으므로 토먼트에서 필요성도 어느정도 높게 잡았음.
A티어 : 우선순위 높음
카요코(14-1, 21-2)
CC가 필요한 호드, 호버크래프트에서 공무원으로 나오는 캐릭터 CC 효율도 다른 3성들보다 더 좋아서 추천됨.
군중 제어 강화력이 붙는 전2까진 파밍해야한다.
이오리(14-3, 20-3)
관통 딜러 원탑 자리에서 내려왔지만 여전히 활용도가 높은 딜러.
특히 전술대항전에서 파밍가능한 밸류 높은 딜러는 이오리, 하루나(시가지 한정)가 다라서. 여전히 우선도가 높게 잡음.
아무리 전술대항전이 정공전이여도 결국 매일하는 컨텐츠인데 파밍할 수 있는 캐릭터는 올려주는게 좋다고 생각함.
아루(18-3)
드히나 출시 이후에도 시가지에서는 여전히 최고딜러.
드히나가 EX 코스트가 더 높고 우이를 받을 수도 없어서 사이클 굴리기 더 유용한 아루의 입지는 추후에도 살아있을 것으로 예상됨.
약간 내려온건 맞지만 여전히 활용할 곳이 존재하고 파밍할 곳도 한 곳 뿐이라 높은 우선도로 선정함.
B티어: 우선 순위가 매우 높지는 않지만 대체자원이 거의 없는 캐릭터
유우카(1-1, 4-3, 12-2)
유우카 애용품 2T 달면서 좋아진건 맞는데 PVP 원탑 탱커까진 아니고 성능이 매우 뛰어나다고 할 정도는 아님
그래도 뉴비 기준 초반부에서 유우카만큼 파밍할 가치가 높은 캐릭터가 없다는 점에서 실제 평가보다 더 고평가했다.
일단 애용품 달수있는 인연레벨 20을 찍으려면 3성을 달아야하므로 3성까지만 다는걸 1차적인 목표로 삼고
다른 3성 학생들부터 올리면서 천천히 올리는 것을 추천.
준코(2-3, 5-2, 6-3)
초반 파밍캐 중 준코만큼 뛰어난 캐릭터가 없다는 점에서 원래 성능보다 고평가했다.
애용품 2T를 달면 체력이 20% 이하일 때 EX가 2번까지 1코스트로 감소하는데 이걸 이용해서 총력전에 짧은 시간 극딜용도로 사용된다.
물론 유우카처럼 2성이라 가챠만 해도 엘레프가 모이는데다 파밍할 곳도 많으니
초반에만 캐고 다른 지역에서 유용한 캐릭터가 풀리면 그 쪽부터 캐는 것이 좋다. 이쪽도 일단 인연 20 풀리는 3성까지만 캐는게 좋음
네루(15-3)
토먼트 난이도에 들어서면서 60타라서 호버크래프트나 카이텐저 실드 해제용으로 쓸 수 있는 EX를 미유나 칸나같은 캐릭터와 조합하거나 2코스트라는 낮은 비용으로 우겨넣는 등 꽤나 활용도가 늘어난 상황.
네루 만의 역할은 대체할 캐릭터가 부족하고 파밍할 곳도 1곳 뿐이니 꾸준히 돌만한 가치가 있다.
이즈나(19-3)
원래 시로쿠로에서만 쓰는 픽이였고 고점도 메리스, 와카모한테 밀리면서 서브딜러 정도로 내려왔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파밍할 가치가 높다. 메리스나 와카모를 빌려야해서 빌릴 수가 없기 때문임.
파밍지역도 한 곳 뿐인데다 가는데도 오래걸리니 열리면 꾸준히 파밍하는게 좋다.
C티어 : 일단 B티어보다 아래지만 성능상으론 동등하거나 위인 캐릭터들도 존재한다. 어느정도 대체재가 존재하거나, 성작이 크게 필요하지 않은 캐릭터.
초반 파밍을 추천하는 캐릭터(유우카, 준코)의 경우 C티어 3성 캐릭터들이 풀리면 이후엔 여기부터 파밍해도 괜찮다.
스즈미(1-2, 3-1, 6-1, 10-1)
호드 토먼트용 픽. 1스에 기절이 걸리는 애용품 2T 착용은 필수이다.
이젠 3성만 찍어도 애용품 2T가 가능하고, 4배럭이라서 꾸준히 안모아도 모으려면 금방 모이는지라 초반 파밍캐지만 우선도를 높게 잡지는 않음.
히후미(5-3, 10-3)
토먼트같은 고난이도에서 유효한 픽. 이용처는 페로로지라, 호버크래프트, 헤세드, 시로쿠로, 카이텐저 정도로 넓지만 캐릭터풀과 스펙이 충분하다면 굳이 쓸 이유는 없는 캐릭터다.
그럼에도 나쁘지않은게 일단 리트요소를 덜 받는 안정적인 픽이라서 하루한번 깨야하는 총력전에 딸깍하기도 좋은데다, 이건 단점이 장점인건데 스킬효율이 안좋아서 그냥 스킬작 안한 1111 상태로도 별로 손해볼게 없다는 점이 있다. 찍는다면 3스 정도.
나름 파밍할 가치는 있다고 생각된다.
호시노(7-3, 11-3)
주 사용처는 호드, 페로로지라 정도? 사실 다 안쓰려면 안쓸 수는 있다.
파밍이 빨리 열리고 없을 수도 있는 통상 3성(나츠, 레이사, 미야코 등)의 대체로 쓰인다는 것은 나쁘지 않다.
하루나(8-3, 12-3)
딜러 인플레에서 좀 밀려났지만 시가지 전술대항전이 열리면 충분히 쓸만하다는 점, 저코스트 고위력 광역기 EX를 가진 점, 신비 통상 딜러라는 점 등
여전히 활용할 가치는 존재한다. 파밍이 8지에서 열리는 것도 꽤 빠른 편이라 괜찮다.
하루카(13-1, 15-1, 25-1)
파밍할 곳이 3곳이나 되긴 하지만 풀리는 시기가 늦다는건 단점.
총력전에서 버티기용 탱커로 주로 쓰는데 태생이 1성이라 성작이 안된 상태론 탱커 역할을 하기에 너무 약하다. 전2 이상 찍어주는 것을 추천.
무츠키(13-2, 16-2)
기본 스킬인 지뢰가 3타 전부 박혔을 때 EX급 데미지를 뽑아낸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 고점 딜러로 나왔던 캐릭터지만
드히나가 나오고 나서는 범부가 될 가능성이 높다. 폭발 토먼트 자체가 그레고리오 빼면 샌드백 때리기로 바뀔 것 같아서 무츠키를 보기는 어려워질듯.
이즈미(13-3)
토먼트에서 카이텐, 호버크래프트에서 나름 쓸만할 여지가 있으며, 확률만 잘 터져준다면 1스를 주기적으로 박을 수 있으니 말뚝딜도 마냥 낮지는 않다.
시로쿠로 폭발 토먼트에서 고점픽.
거기다 이벤트 보너스로 자주 나오는 캐릭터라서 없을 때 정가 정도는 쳐도 괜찮다고 생각된다.
츠바키(15-2, 23-2)
지역 공략용으론 1티어 탱커인데 여러가지 고려함.
일단 츠바키가 꼭 필요한 총력전이 없는데다, 전술대항전에서도 1티어라기엔 부족하다.
하지만 아츠코나 마리나가 개나소나 있는 수준도 아닌데 파밍가능한 츠바키, 유우카만으로 정공전 탱커를 짤 수 있으므로 효율이 안좋은 캐릭터라고 할 수는 없다.
더 빨리 파밍할 수 있었으면 위 티어를 줬을 수도 있음.
사사야(25-3)
현재 한섭에는 없는 25지역에서 처음 풀린 캐릭터.
사실상 헤세드에서만 쓰는데다 공격력이 낮아서 전용무기 달아주는 것은 사실상 필수인데
대신 쓸 수 있는 캐릭터 중에 모에, 뉴리카(딜이 사사야보다 더 낮음) 정도만 통상이고
나기사, 수미유, 사텐, 마코토는 죄다 놓쳤으면 복각해줄 때까지 못뽑는 한정 캐릭터라는 점에서 쓸만하다.
D티어 : 활용도가 낮긴하지만 성작할 가치는 있는 캐릭터.
아스나(4-1, 7-1, 16-1)
솔직히 캐릭터 성능 자체는 좋은 편은 아니지만 뉴비 입장에서 신비 캐릭터 풀이 너무 부족하다면 키울 수 있다.
그냥 1성으로 쓰면 스펙이 너무 낮아서 2성은 찍어야 지역 공략용으로 쓸 수 있다. 사실 이래도 노노미나 모모이같은 관통 광역 캐릭터가 더 낫다는 사실.
페스 유입하는 뉴비의 경우엔 수나코(신비 상대로 1.5배)를 뽑아서 애초에 아스나를 파밍할 필요가 없게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피나(4-2, 6-2. 10-2)
호버크래프트 할 때 왜 오픈할배들은 죄다 냉장고에 전3 피나 들어있노하는 그 피나.
호드, 비나, 호버크래프트 모두 고점 딜러가 없을 때 쓸 수 있는 말뚝딜러라서 나름 가치가 있는데 그래도 우선도가 높지는 않다.
시미코(18-1, 22-1)
시로쿠로 토먼트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어느 정도로 평가할까 생각해봤는데 높은 점수는 주기 힘들 것 같음.
수모리는 안뽑았다치고 더 가성비 좋은 시즈코는 이미 썼으니까 시미코를 쓰는 상황일텐데
공 1개 튕기는 것은 고성작 할 필요는 없고 2개를 튕기려면 고유 무기도 달고 EX 5까지 필수인데
솔직히 트리니티 재화 안그래도 부족한거 그걸 시미코한테 박는건 아깝다.
그래도 못할건 또 없으니까 이 정도가 적절할 듯.
E티어 : 별로 성작할 필요가 없고 효율도 딱히 좋지 않은 경우.
아이리(19-2)
시로쿠로 날먹용 픽이지만 성작이 필요하지 않다. 공속 증가만 노리고 3성 정도인데 굳이 하드 조각작까지 할 필요는 없을듯.
수후미(21-3)
3스가 공속 증가라 활용할 방도가 아예 없지는 않다. 이미 다른 캐릭터 파밍할만큼 다했을 때나 하는 편.
아리스(23-3)
고인물 입장에선 다른 캐릭터가 있으니 아리스를 쓸 필요가 없고 뉴비 입장에선 아리스에게 맞춰줄 수가 없으니 쓰기가 힘들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