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강의] 마작 용어 정리집 백업 (ㅇ~ㅎ)

ㅇㅇ(182.226) 2022.03.28 17:31:15
조회 6148 추천 3 댓글 0
														


원문 : https://gall.dcinside.com/majak/600010

저자 : itsumo

(백업하며 약간의 내용 추가 있음)


마작 용어 정리집 백업 (ㄱ~ㅅ)

https://gall.dcinside.com/riichimahjong/120






아가리야메 (화료 종국)

오라스에 친이 1등인 상태에서 화료하는 경우 연장 없이 경기를 종료할 권한을 가지는 룰. 이 룰을 채택하더라도 친이 연장을 원한다면 계속 연장할 수 있다. 다만 넷마작에서는 아가리야메가 적용되더라도 연장 여부 선택 없이 즉시 종료되는 게 일반적이다. '끝내기 화료'라고 번역될 때도 있다


아가리노가시 (화료 놓침)

본래라면 화료할 수 있었던 손에서, 자신의 실수에 의해 화료를 놓쳐 버리는 것을 뜻하는 말. 우울해진다. 참고 → 우라메


아가리톱

오라스에, 타점의 고하에 상관없이 화료하는 것 자체로 1등이 확정되는 상황을 지칭하는 말


아리아리

쿠이탕과 아토즈케를 인정하는 룰을 지칭하는 말. 일본 프리마장에서는 속어로써 '설탕과 프림을 모두 넣은 커피'를 뜻하기도 한다. 반의어 → 나시나시


아시도메 (아시도메 리치, 발묶기)

타가의 손 진행을 방해할 목적으로 건 리치. 특히 대기가 나빠도, 타점이 싸구려라도 (어쨌든 방해를 위해서) 상관없이 걸 때를 지칭한다


아오텐조 (청천정)

마작의 점수계산 룰의 하나로, 특수한 계산 방식을 통해 화료점의 산출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만관 이상의 점수라도 부판계산식을 적용하여 점수를 산출한다. 즉, 1판 상승할 때마다 점수가 계속 배로 상승하게 된다. 계산이 복잡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잘 쓰이지 않지만, 콘솔 게임기로 발매된 마작 게임에서는 가끔 이 룰을 추가하기도 한다. ex) 아오텐조 룰에서 6판 30부로 화료할 경우 최종 득점은 30800점


아이다욘켄

우라스지가 2개 겹친 상태를 뜻하는 말. '같은 색으로 수패가 4칸만큼 떨어져서 버려져 있을 때, 그 안쪽의 스지'라고 기억한다 ex) 버림패에 2와 7이 버려져 있을 때의 3-6


아와세우치 (따라버리기)

같은 순에, 자신 기준 상가가 버린 패를 따라서 버리는 행위. 동순 후리텐 룰에 의해 그 순에는 절대로 론을 당하지 않으므로 수비시 유용하다. 1순이 지난 후에는 방총의 위험이 있으니 유의


아카도라 (적도라)

붉게 칠해진 수패 5를 뜻하는 말. 사용할 경우 도라표시패와 상관없이 항상 도라로 취급한다. 넣을 경우 1장부터 최대 4장까지 넣을 수 있다. 작혼은 3장 넣고 쓴다. (아카5만, 아카5통, 아카5삭)


아카스지

아카도라를 버린 사람의 손에는 그 아카도라와 같은 종류의 5가 없다는 논리적 추측에 따라, 3과 7이 비교적 안전하다는 이론. 마타기스지와 관련이 크다


아타마하네 (선하네)

한 사람의 버림패로 2명 이상의 사람이 론 하는 경우, 방총자로부터 쯔모순이 빠른 사람의 론만 인정하는 룰. 대부분의 프로경기에서 이 룰을 사용한다


아토즈케 (확정역 없음, 백【バック】)

마작에서, 손패 안에 역을 확정짓지 않은 상태에서 후로하는 것을 뜻한다. 「나중에 역을 붙인다」(後から役を付ける)가 어원. 실전에서는 주로 역패 또이쯔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다른 블럭부터 후로하는 식의 아토즈케가 가장 잦다. 2종류의 역패 또이쯔를 들고 다른 블럭부터 우는 경우에는 더블 백(ダブルバック) 이라고 부른다. 참고 → 카타아가리


아토아토즈케 (쿠소나키, 장애후로타법)

손역이 확정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먼저 후로하고, 나중에 역을 가져다 붙이는 것. 아토즈케의 일종이지만, 당장 노릴 수 있는 손역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먼저 후로한다는 점에서 아토즈케와는 구분된다. ex) 역패 고립패를 여러 장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35만의 간짱부터 후로하면서 차후 고립 역패의 종쯔모나 탕야오 변화를 노리는 경우


안깡

같은 패 4장을 자력으로 모은 후 발성으로 선언하여 만든 깡쯔. 발성의 일종이지만 예외적으로 멘젠이 깨지지 않는다. 깡쯔로 만들어 옆으로 빼놓은 패에서 가장자리의 두 장을 뒤집어 놓는 것으로 안깡임을 표시한다. ex) ■□□■


알몸 단기 (하다카 단기, 나【裸】 단기, 민단기)

몸통을 모두 울어서 만들고 1장으로 머리를 기다리는 대기. 방어력이 0이라는 단점이 크기 때문에 대체로 기피된다


오니우치

오랜 시간 동안, 또는 엄청난 빈도로 마작을 계속 치는 행위를 뜻하는 속어


오라스

동풍전의 동 4국과 반장전의 남 4국을 의미하는 말. 어원은 영어의 'All last'


오리

자신의 손을 갖추는 것보다 타가에게 방총하지 않는 것을 우선하여, 안전한 패를 버리거나 위험패의 타패를 피하는 전법. 수비를 우선하지만 자신의 화료를 완전히 포기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자신의 화료를 완전히 포기하고 수비로 전환한다'는 의미의 베타오리와는 구별된다. 일본어의 '오리루'(降りる)가 어원이며, 한국에서는 이를 직역한 '내린다'라는 표현도 흔히 쓴다. 대의어 → 오시, 젠츳파


오리우치

방총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으로 자신의 손패 모양을 나쁘게 한 결과, 현물이 없어 스지패나 자패 혹은 비교적 안전해 보이는 패를 내고 방총해 버리는 것을 뜻하는 말. 한국식으로 말하자면 '내리다가 쏘였다' 정도


오모

도라의 다른 표현. '오모테도라(表ドラ)'의 약어. 아카도라나 우라도라와 혼동하지 않기 위한 지칭법


오시 (밀기)

마작에서 적극적으로 승부에 나서는 행위. 한마디로 「공격」이다. 기본적으로 모두가 화료를 향해 나아가고 있으므로, 그 등을 밀고 있다고 연상하면 이해하기 쉽다


오시히키 (공수판단)

마작에서 승부에 나설지 말지를 결정하는 기술을 뜻하는 말. 한국에서는 보통 「공수판단」으로 의역한다


오야 (친)

해당 국에서 맨 처음 쯔모를 하는 사람 = 동가. 한국에서는 '선'이라고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화료시 1.5배로 점수를 벌어들이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자신 외의 사람이 쯔모 화료했을 경우 2배로 점수를 지불해야 하는 단점도 있다


오야겐

오야의 현물을 뜻하는 말


오야리치 (오야리)

오야가 건 리치. 선제든 추격이든 공포의 대상


오야카부리

오야 외의 사람이 쯔모로 화료할 경우, 오야는 나머지 가들이 부담하는 점수의 2배를 부담하는 것


오얏파네

오야의 하네만. 18000점(6000 all). 맞으면 죽는다


오카

기본 점수와 반환 점수에 차등을 두어, 그 차등점만큼의 점수를 1등에게 몰아주는 룰. ex) 25000점 시작 30000점 반환일 경우, 게임 종료 후 해당 차등점인 5000점 x 4명만큼의 점수인 20000점을 1위에게 지급하여 최종적인 점수로써 기록한다


오컬트 (아날로그)

마작에서 기세나 흐름 등 눈으로 확인하거나 증명할 수 없는 무언가가 있음을 인정하고, 그에 맞게 타패를 변화시켜 가며 치는 것, 혹은 그런 사상. ex) "그런 오컬트, 있을 리 없어요." 반의어 → 디지털


오쿠리 깡 (보내기 깡)

깡의 대상이 되는 패 이외의 패를 쯔모한 후, 안깡을 치는 행위. 예를 들어, 567777을 가지고 있는 도중 4를 쯔모해와서 7로 안깡을 친다면 오쿠리 깡에 해당한다. 리치 후의 안깡은 기본적으로 인정되지만, 리치 후의 오쿠리 깡은 (대기가 바뀌거나 후리텐을 해소하는 등의 부가효과가 생기기 때문에) 주류 룰에서는 반칙 행위에 해당된다. 넷마작에서도 리치 후 오쿠리 깡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다. 천봉에서의 제정은 '리치 후 대기가 변화하는 안깡 불가, 오쿠리 깡 불가, 패 형태가 바뀌는 안깡은 가능(リーチ後の待ちが変わる暗槓不可、送り槓不可、牌姿が変わる暗槓あり。)' 이다


오토시 (떨구기, 깨기)

손패에서 패를 버리는 행위. 단순히 필요없는 패를 버릴 때는 버리다(捨てる)나 자르다(切る)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굳이 '오토시'라는 표현을 쓸 때는 또이쯔나 안커처럼 '(손패 안에서 이미 기능하고 있는) 정리되어 있는 여럿의 패를 버린다'는 늬앙스가 강하다. 또이쯔오토시, 안커오토시, 타쯔오토시 등 무엇을 버리느냐에 따라 표현이 달라질 수 있다


올스타

아카도라인 5만, 5통, 5삭이 전부 손패 안에 있는 상태


요구패 (야오주패)

1, 9의 수패 및 자패를 아울러 부르는 말


요미 (읽기, 수읽기)

눈으로 볼 수 있는 정보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없는 것을 추리하는 기술. 타점요미, 마치(대기)요미, 나키(후로)요미, 야마(패산)요미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요코노비

가지고 있는 수패와 연속되는 (이어지는) 패를 가져와 옆으로 늘어서는 것을 뜻하는 말. 이런 경우 슌쯔계의 손이 되기 쉽다. 요코니 히쿠(横に引く)라는 식으로 풀어서 표현하기도 한다. 반의어 → 타테비키


욘센치 (4센티)

3번 후로해서 손패가 4장이 된 상태를 뜻하는 표현. 패가 4장 남았다는 의미


우라스지

간짱에서 양면으로의 대기 변화를 가정했을 때의 위험패. ex) 13에서 4가 붙어 1을 버리는 경우의 2,5 등.


우라도라 (뒷도라)

리치를 걸고 화료할 경우, 도라표시패 밑의 패를 개봉하여 새로운 도라표시패로써 추가로 사용하는데 이때 추가된 도라를 뜻한다. 리치의 기대 타점을 올리는 요소


우라메

당하면 화나는 것. 주로 직전의 버림패가 다음 쯔모로 인해 아까워지는 경우를 지칭한다. ex) 몸통 후보 두 개, 12m과 67m 타쯔 두개가 있을 때 2m을 버렸는데 3m이 들어오는 경우


우마

대국 종료 후 순위에 따라 점수를 주고받는 행위. '순위 우마'라고도 한다. 3등이 2등에게, 4등이 1등에게 지불하는 형식이며 5-10, 10-20, 10-30, 20-30 등이 있다 ex) 5-10 우마일 경우 대국 종료시 3등이 2등에게 5000점(5pt)을 지불, 4등이 1등에게 10000점(10pt)을 지급


우마부리

(주로 자신만의 이유로) 대기패의 매수나 효율 등을 무시하고 치는 행위 전반을 일컫는 말


우케이레 (받아들임, 수용패)

가져왔을 때 샨텐 수가 떨어지는 (=손이 진행되는, 텐파이에 가까워지는) 패. "이 형태에서는 □□을 자르면 우케이레 (매수) 가 최대가 된다" 같은 식으로 쓴다. 「유효패」라는 표현과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우형 (악형)

패효율이 나빠 우수하지 않은 형태, 혹은 대기. ex) 간짱, 변짱, 단기 등


유국 (황패유국)

패산에 있는 패를 모두 사용했으나 아무도 화료하지 못한 채 국이 종료된 상황. 유국시 텐파이하지 못한 사람은 벌점을 지불한다. 특수한 조건에 의해 패산의 패를 전부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유국으로 간주하여 국이 종료되는 경우는 '도중유국'이라 칭한다


유효패

가져왔을 때 유효하게 작용하는 패. 이하 2가지 중 하나의 의미로 쓰인다

ⓐ 가져왔을 때 샨텐 수가 떨어지는 패. (=우케이레) ※ 이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잦다

ⓑ a의 매수를 늘리는 패. (=양형 변화)


완전 사키즈케 (칸사키)

첫 후로 시점에서 역이 완전히 확정되지 않는 경우 외에는 인정하지 않는 룰. 이 룰을 적용시 '첫 후로가 반드시 역과 관련되어 있거나, 후로하지 않은 손패 안에서 역을 구성하는 패가 전부 갖춰져 있어야만' 화료가 인정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쯔모/론 화료에 관계없이 화료할 수 없다.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화료를 선언하면 쵼보가 된다) 여기에 더해 카타아가리 또한 금지되며, 역없음 상태에서 우연역만 성립했을 때의 화료(해저모월, 하저로어, 창깡 등)도 불가능하다. 참고 → 사키즈케, 아토즈케, 카타아가리


완전 이샨텐

텐파이가 되기 위한 패의 종류 및 매수가 풍부한 이샨텐. 구체적으로는 2종류의 양면과 샤보의 유효패가 있는 것을 정의로 본다


완츠 (원투)

마작에서 12,000점을 다르게 부르는 표현


왕패 (완파이)

기본적으로 해당 국에서 쓰이지 않는 14장의 패. 도라표시패 10장 + 영상패 4장으로 구성된다


원찬스

노찬스와 비슷하나, 한 종류의 수패가 4장(벽) 대신 3장만 보이는 상태. 맹신하면 피본다. 노찬스는 용어 정리집 ㄱ~ㅅ을 참고


야마고시

① (넓은 의미에서) 자신의 쯔모를 거친 직후의 상태

② 텐파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가가 버린 화료패를 고의로 넘기고, 자신의 쯔모 차례를 거친 후 하가나 대면이 버린 패로 론 화료하는 것


야미텐

멘젠으로 텐파이한 상태로 리치를 하지 않고 기다리는 행위. 동의어 → 다마텐


야스메

2면 이상의 대기에서 화료했을 때 점수가 낮은 쪽. 반의어 → 타카메


야쿠나시 (역없음)

역이 없어 화료 할 수 없는 상태


야키토리

종국 시점까지 한 번도 화료하지 못한 사람


양형 (호형)

패효율이 좋아서 유효패의 매수가 많은 형태, 혹은 대기 ex) 삼면짱, 양면


카드게임의 족보에 해당. 역마다 각각 판수가 부여되어 화료시 판수(및 부수)에 따라 점수를 계산한다. 패의 형식을 맞춰도 그 안에서 역이 성립하지 않으면 패를 완성시킬 수 없다. 리치마작은 멘젠 상태일 때만 성립되는 역이 다수를 차지하며, 멘젠 여부를 가리지 않는 역은 멘젠이 깨졌을 때 판수가 낮아지는 등 일부 불이익이 있다


역만

마작의 역은 설정된 강함에 따라 'x판역'이라는 식으로 묶어서 부르는데, 그 중 가장 강한 역들을 아울러 부르는 말. 물론 그만큼 성립시키는 난이도가 높다. 받아오는 점수는 오야의 화료시 48000점 (16000 all) / 코의 화료시 32000점 (8000-16000) 이다. 역만은 역만끼리만 중첩이 가능하며 중첩하여 성립한 경우 중첩된 만큼 'x배 역만'이라고 지칭한다


역패 (야쿠하이)

커쯔로 모을 경우 역이 되는 패


연대

1위 혹은 2위를 획득한 것을 지칭하는 표현. 본래 일본의 경마 용어이며, '연승식의 대상'(連勝式の対象)의 준말이다


영상개화

1판역. 깡을 치고 영상패로 손을 완성시킬 경우 성립한다


영상패

깡 발성을 할 경우 왕패의 끝 쪽에서 가져오게 되는 4장의 패


엔토츠 (굴뚝 대기)

샤보와 양면이 복합된 형태. ex) (대충 몸통 두 개)+22234북북의 2, 5, 북 대기


와키

1위 쟁탈전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사람. 직역하면 '겨드랑이'.


이리메 (하이리메)

이샨텐 상태에서 텐파이가 될 때 패산에서 가져온 쯔모패. 최종적인 텐파이 형태에 영향을 주므로, 타가의 손일 경우에는 위험패에도 관여한다


이샨텐

자신의 손이 텐파이가 되기까지 1장 부족한 상황일 때를 지칭하는 말. 마작에서 1을 뜻하는 '이'와 '샨텐'이 합쳐져 있는 용어다. 「샨텐」에 대해서는 용어 정리집 ㄱ~ㅅ을 참고


이치나키

주로 역패의 또이쯔를 가지고 있을 때 처음으로 버려진 나머지 한 장을 바로 울어서 가져오는 행위. 첫 장을 무시하고 두번째 장이 나왔을 때 우는 것은 '니(2)나키'라고 부른다.


이페코 (이페커)

1판역. 동일한 수패의 슌쯔가 2개 있고 멘젠을 깬 상태가 아니라면 성립한다. ex) 112233만


인파치

마작에서 18,000점을 다르게 부르는 표현


일기통관 (잇키츠칸)

2판역. 손패에 한 종류의 수패로 123, 456, 789의 슌쯔가 있을 경우 성립한다. 멘젠을 깨면 1판으로 떨어진다 ex) 123456789만+(멘쯔)+(또이쯔)


일발

1판역. 리치 후 순정 1순 내에 화료하는 경우 추가로 붙는다. 해당 순 내에 치/펑/깡이 들어오는 경우 깨진다


잇쇼쿠테 (일색 손)

한 종류의 수패가 많아 혼일색, 청일색 등을 지향하기 쉬운 손패. 동의어 → 소메테


잇쯔 (일통, 통관)

일기통관을 줄여 부르는 말. 한국어로 바꾸면 '일통'이 되겠지만, 통수패 1통과 혼동될 수 있다는 이유로 '통관'으로 부르는 사람도 많다





자가 (시챠)

마작에서 자기 자신을 가리킬 때 쓰는 표현. 대의어 → 타가


자일색 (츠이소)

역만. 손패의 모든 멘쯔/머리를 자패로만 구성하면 성립한다


자패 (지하이)

동, 남, 서, 북(풍패) + 백, 발, 중(삼원패)의 7종류 패를 통틀어 일컫는 말. 만수패도 글자가 쓰여 있지만 자패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자풍 (지카제)

그 국에서 자기 자신의 바람을 가리키는 말. 동가일 때는 東, 서가일 때는 西, 남가일 때는 南, 북가일 때는 北이 자풍이 된다. 자풍이 아닌 바람은 객풍(오타카제)이라고 부른다.


자풍패 (지카제하이)

그 국에서 자신의 방향과 일치하는 풍패. 자신에 한해서 3장 모으면 역이 되므로 자패 중에서는 가장 중요시된다


장풍 (바카제)

그 국에서 장에 주어진 바람을 뜻하는 말. 자풍과는 달리 모든 사람이 공유한다. 모두가 오야 차례를 한 번씩 끝내면 다음 바람으로 옮겨진다


장풍패 (바카제하이)

그 국에서 장과 일치하는 풍패. 3장 모으면 역이 된다. 동장이면 동, 남장이면 남이 장풍패가 된다. 현대 리치마작은 반장전이 주류이므로 주로 東과 南이 그 대상이지만, 상황에 따라 西도 장풍패가 될 수 있다


쟈마퐁 (방해펑)

치를 방해할 목적으로 행하는 펑


절상 만관 (올림 만관, 키리아게만간)

4판 30부(자 7700, 친 11600)를 만관으로 계산하는 룰. M리그에서 이 룰을 채택하고 있다


절일문

손패에서 만수 · 통수 · 삭수 중 한 종류를 없앤 상태, 혹은 그런 타법을 지칭하는 말. 자패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관계없다


점봉 (점수봉)

화료에 의해 점수의 이동이 있을 때 주고받는 봉. 각각의 봉은 점의 개수로 구별한다


젠츳파 (젠츠, 풀젠츠, 뚫기)

방총의 위험을 무시하고, 자신의 화료만을 보면서 손을 만드는 행위. 타가가 텐파이를 한 상태에서도 승부하는 것을 마작에서는 '突っ張る'라고 표현하는데, 여기서 의미가 확장되어 '전부 공격한다'는 뜻을 내포한 단어로 쓰이게 된 것이다. 사족으로, 파친코 용어로는 '돈이나 시간의 한계까지 파친코/파치슬롯을 계속 친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쯔모

① 자신의 차례에 패산에서 패를 가져오는 행위

② 자신의 차례에 패산에서 패를 가져와서 화료했을 때의 발성


쯔모기리

패산에서 가져온 패를 그대로 버리는 행위


쯔모센 (쯔모 전용)

텐파이했지만 쯔모로만 화료 가능한 상태를 뜻하는 말. ex) 후리텐 텐파이, 산안커의 아토즈케 등


쯔모호 (쯔모 화료)

자신의 차례에 패산에서 패를 가져와서 화료하는 것. 멘젠일 경우 '멘젠친쯔모호'라는 1판역이 성립하며, 멘젠 여부와 상관없이 부수가 2부 붙는다. 줄여서 '쯔모'라고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조패 (테구미, 테즈쿠리)

자신의 손패를 화료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행위. 일본어로는 테구미(手組み)라고 명기한다. 특정한 손역을 보며 조패하는 경우에는 역의 이름을 앞에 붙여 'OO조패'라고 지칭하거나, 테야쿠즈쿠리(手役作り)라고 부른다


준찬타 (쥰찬타, 준짱, 쥰짱, 순전대요구)

3판역. 손패의 멘쯔/머리에 수패의 1, 9패가 전부 포함될 경우 성립한다. 멘젠을 깨면 2판으로 떨어진다


준카라 (쥰카라)

화료할 수 있는 패가 이미 타가의 손에 모두 들어가 있어, 패산에 남아있지 않은 경우를 뜻하는 말. 유의어 → 카라텐


중장패

수패의 2~8을 아울러 부르는 말


지옥대기

텐파이 상태로 한 장 남은 화료패를 기다리는 행위. 좁은 의미에서는 한 장 남은 '단기대기'만을 뜻하나, 넓은 의미에서는 대기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는다


지카도리

노리고 있던 사람에게 직접 점수를 취하는 론을 하는 것을 뜻하는 말. 주로 (해당 판이나, 그 판을 포함한 시합 전체에서) 1위 경쟁을 할 때 사용하는 단어. 유의어 → 데바사이


지화 (치호)

역만. 자의 순정 1순에 패산에서 패를 가져와 손을 완성시키면 성립한다. 특성상 자신의 첫 쯔모 전에 발성이 있을 경우 깨진다





찬타 (혼전대요구)

2판역. 손패의 모든 멘쯔/머리에 요구패가 1장 이상 포함되어 있다면 성립한다. 혼노두와는 중첩되지 않으며, 멘젠을 깨면 1판으로 떨어진다


창깡

깡을 친 패에 론을 선언하여 화료하는 행위. 아래의 2종류가 있다

① 누군가가 펑을 부른 패를 포함한 대기로 텐파이하고 있을 때, 펑을 부른 사람이 펑한 패에 가깡할 경우 해당 패에 론을 선언하여 화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창깡'이라는 이름의 1판역으로 인정하여 화료시 판수에 더하여 계산한다

② 국사무쌍을 텐파이했을 때, 누군가가 오름패를 가깡/안깡할 경우 론을 선언하여 화료할 수 있다 (역만 화료이므로, 1판역 '창깡'은 무시된다) 룰에 따라 국사무쌍으로 안깡을 창깡하는 행위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천화 (텐호)

역만. 오야 차례의 순정 1순에 손을 완성시키면 성립한다. 오야 차례시 첫 쯔모를 생략하고 배패로 14장을 받는 룰일 경우 즉시, 배패로 13장을 받고 처음 쯔모를 하는 룰일 경우 해당 쯔모패로 완성시켜야 한다


청노두 (친로토)

역만. 손패의 멘쯔/머리를 수패의 1과 9로만 구성하여 화료하면 성립한다


청일색 (친이쯔, 친이소)

6판역. 1종류의 수패만으로 화료하면 성립한다. 멘젠을 깰 경우 5판으로 떨어진다


첨장패 (센챤파이)

마작의 수패 중 3, 7을 뜻하는 말


책임지불 (파오)

버림패로 상대의 대삼원 또는 대사희를 확정시켰을 경우, 상대가 쯔모로 화료했을 때 확정시켜 준 사람이 점수를 전부 부담하는 룰. 확정시킨 사람 외의 누군가를 쏘았을 때는 쏘인 사람과 확정시킨 사람이 반반씩 나눠 지불한다. 룰에 따라 스깡쯔 및 영상개화도 책임지불의 대상이 될 수 있으나 주류로 인정되는 룰은 아니다


최고형 (사이코우케이)

손패에서 상정할 수 있는 가장 타점이 높은 형태


쵼보

국을 속행할 수 없을 정도의 중대한 반칙 행위. 한국에서는 '점프'라고도 한다. 쵼보가 발생한 경우 해당 국은 즉시 종료되며, 범한 사람은 타가에게 만관에 해당하는 점수 (2000-4000, 오야의 경우에는 4000 all) 를 지불한다. 경기마작에서는 그 시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쵼보를 범한 선수의 개인 점수에 직접 패널티를 부여하는 경우가 많다


타쯔가 있는 경우 상가의 버림패를 받아와 몸통을 만드는 발성


치또이쯔 (치또이)

또이쯔 7개로 성립하는 특수한 2판역. 부수는 25부로 고정된다. 역만인 국사무쌍과 함께 마작의 기본형인 2-3-3-3-3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예외적인 역


치텐

치를 받아와서 텐파이하는 것





카라기리

손에 있는 패와 동일한 패를 쯔모했을 때, 쯔모한 패를 손에 넣고 이미 손에 있던 동일한 패를 버리는 행위. 즉 테다시로 위장한 쯔모기리이다


카라텐

텐파이했지만 대기패가 패산에 남지 않은 상태. 유의어 → 준카라


카리텐 (임시 텐파이)

최종형이 아닌, 임시로 취한 텐파이를 뜻하는 말. 대기 형태나 매수, 손역의 변화를 보고 일시적으로 텐파이를 잡아두는 것을 뜻한다


카와시테

상대방의 타점이 높은 손이나 오야 차례를 싸구려 화료로 흘리는 행위, 혹은 그런 행위를 노리는 손 ex) "쯔모! 탕야오 노미다냥!"


카조에 역만 (카조에야쿠만, 헤아림 역만, 판수 역만)

역만으로 규정된 역을 제외하고, 판수가 13판 이상인 경우 역만으로 취급하는 룰. 혹은 그렇게 화료한 경우를 지칭하는 말. 프로 경기에서는 잘 채택되지 않는다. 채택하지 않을 경우, 판수가 11판 이상으로 넘어가면 설령 13판이나 그 이상의 판수로 화료하더라도 삼배만으로 취급하여 점수를 계산한다.


카타스지

스지로 묶인 패 중 가장자리 쪽 패 하나만 버려져 있을 때, 가운데의 패. 위험도로 따지면 무스지와 큰 차이는 없다 ex) 1이 버려졌을 때의 4


카타아가리 (편오름)

1종류 이상의 대기를 취한 텐파이 상태에서, 그 중 한 쪽의 대기패로만 화료가 가능한 경우


커쯔 (코쯔)

같은 패 3장이 모인 멘쯔. 직접 3장을 가져와 만든 경우가 '안커', 타가의 패를 더해서 만든 경우는 '밍커'이다. 따라서 샤보대기로 론 화료시 해당 화료로 만든 커쯔는 멘젠 여부에 상관없이 밍커가 된다. (쯔모해서 화료할 경우에는 안커)


(자)

오야(동가)가 아닌 나머지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 오야가 쯔모한 후 남가-서가-북가 순으로 쯔모한다


쿠다리퐁

상가가 버린 패로 펑을 부르는 행위


쿠이

'울어서 만든 역'이라는 의미로 역 이름 앞에 붙이는 접두어. ex) 쿠이탕


쿠이노바시

이미 완성된 멘쯔를 나누듯 치를 받아 현재 상태보다 더욱 좋은 형태의 타쯔로 만드는 행위. ex) 23466만 22통 345삭 [發發發] 이라는 손패로 6만과 2통의 샤보대기 텐파이 도중, 아카5만을 46만으로 치받고 6만을 버려 14만 대기


쿠이사가리

비멘젠일 경우 역의 판수가 떨어지는 것. ex) 일기통관, 삼색동순


쿠이카에 (울어바꾸기)

이미 완성된 멘쯔(몸통)에서 상대의 버림패를 후로로 가져온 후, 곧바로 그 패, 혹은 스지 관계인 패를 버리는 행위. (예시 참고) 대부분의 룰에서 금지된다.

'현물 쿠이카에'와 '스지 쿠이카에'의 2종류가 있다.

* 현물 쿠이카에의 예시 : 234의 몸통에서 상가가 버린 4를 치받고 기존의 4를 버리는 것

* 스지 쿠이카에의 예시 : 234의 몸통에서 상가가 버린 5를 치받고 기존의 2를 버리는 것


쿠이탕

울어서 만든 탕야오. 인정하는 룰이 주류이다


쿠이핑

핑후의 형태(즉, 아무런 부수가 붙지 않는 패모양)를 취하되, 멘젠을 깬 상태인 패. 물론 쿠이핑 자체는 역이 아니므로 화료를 위해서는 다른 역을 필요로 한다. 리치마작은 화료시 점수가 최소 1000점 이상이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기 때문에, 쿠이핑 형태를 취한 패에는 가부(加符)라는 요소를 통해 부수를 30부로 올려 계산하는 룰이 주류이다


쿳츠키

직역하면 '달라붙는다'는 뜻으로, 쯔모해 온 패가 고립패에 붙어서 타쯔가 되는 것을 뜻하는 말


쿳츠키 텐파이

3개의 몸통과 1개의 머리를 이미 만들어 놓고, 몸통 후보 1개를 고립패에 붙여서 만들고자 하는 이샨텐. '달라붙으면(くっつけば) 텐파이'라는 의미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쿳츠키(의) 이샨텐' 이라는 식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키메우치

손패의 방향성을 하나로 정하고 그쪽으로 패를 진행시켜 가는 것





타가 (타챠)

마작에서 자신 외의 다른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 ex) 상가, 대면, 하가


타메론

넷마작에서 별 이유없이 주어진 시간을 전부 써서 론을 부르는 것. 일종의 티배깅에 가까운 행위이기 때문에 대다수가 매너 위반으로 간주한다. 쯔모의 경우 '타메즈모'라고 부른다


타쯔

특정 패가 한 장만 더 있으면 슌쯔가 되는, 연속되거나 한 장 떨어진 수패 2장을 부르는 말. ex) 12(펜타쯔), 35(칸타쯔) 67(량타쯔). 량타쯔는 용어 정리집 ㄱ~ㅅ 부분 참고


타카메

2면 이상의 대기에서 화료했을 때 점수가 높은 쪽. 반의어 → 야스메


타테비키 (종쯔모)

이미 가지고 있는 패와 동일한 패를 쯔모해 오는 것을 뜻하는 말. 또이쯔나 안커가 늘어난다. 타테니 히쿠(縦に引く)라는 식으로 풀어서 표현하기도 한다. 반의어 → 요코노비


타패

쯔모를 한 뒤 소유한 패 중 1장을 골라 버리는 행위. '타패하는 것'을 지칭할 때는 주로 '버리다(捨てる)' '자르다(切る)' 등으로 표현한다


탕노미

'탕야오 노미'의 준말. 탕야오 외에 아무런 역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를 뜻한다. 접미어 '노미'에 대해서는 용어 정리집 ㄱ~ㅅ을 참고


탕야오

1판역. 요구패 없이 손패를 구성하여 화료할 경우 성립한다. 멘젠을 깰 경우 탕야오가 성립하지 않는 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테가와리

쯔모해 온 패와 다른 패를 버려서, 손패의 상태가 바뀌는 것. 테가와리에 의해 손역이 추가로 붙는 경우에는 「OO(역 이름)의 테가와리」라는 식으로 부른다


테나리

손패에 딱히 방향성을 두지 않고, 텐파이까지의 속도를 우선해서 손을 진행시켜 나가는 행위


테다시

쯔모해 온 패를 손 안에 넣고, 손 안에 있던 패를 버리는 행위


텐즉리

멘젠 텐파이시 대기와 타점의 변화 등을 고려하지 않고 즉시 리치를 거는 행위. 즉텐리(x)


텐파네

부수 차이에 의해 점수가 한 단계 상승하는 것. 주로 손 안에 요구패의 안커가 있을 때 생긴다. 5판 이상부터는 부수가 점수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발생하지 않는다


텐파이

패의 완성까지 한 장 남은 상태. 일본에서는 하루(張る)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예) 텐파이가 되었다 = 텐팟타(テンパった), 핫타(張った)


텐파이야메 (텐파이 종국)

오라스 때 유국이 될 경우 1위인 오야가 텐파이인 상태라면 연장하지 않고 경기를 종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룰. 이 룰이 적용되더라도 오야가 연장을 원할 경우 연장할 수 있다. 넷마작에서는 텐파이야메가 적용될 경우 연장 여부를 묻지 않고 즉시 종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텐파이하즈시 (텐파이쿠즈시, 텐파이 부수기)

텐파이가 된 상태에서 굳이 텐파이를 잡지 않고 이샨텐으로 되돌아가는 행위


토오이스지 (나마쿠라스지, 점프스지)

스지 관계가 되어 있는 3개의 패 중, 가장자리가 버려졌을 때의 반대쪽 가장자리 패. ex) 7만이 버려졌을 때의 1만


톤파츠 (돈파츠, 동발)

일본에서 동 1국을 뜻하는 표현


1위. 모두가 하고 싶어하는 그것


톱 따기 룰

게임 종료시 1위에게 메리트를 몰아주는 룰. 마작을 토너먼트 전으로 진행시 1위와 2위만 진출이 가능하므로 자연스럽게 이 룰이 된다. 넷마작에서는 마작일번가 등 소수의 게임이 채택하고 있다. 대의어 → 라스회피 룰


톳판

마작에서 배만을 다르게 부르는 표현


통수 (핑즈)

마작에서 수패로 분류되는 패의 종류 중 하나. 흑색과 적색을 띤 다수의 원형을 조합한 도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 음식인 월병에서 유래된 도안이라고 한다


트리플

마작에서 삼배만을 다르게 부르는 표현





역에 설정된 강함의 척도. 자신이 만든 패에 포함된 역을 전부 합쳐서 나온 판수에 따라 받아올 수 있는 점수가 변동한다. 일본어로는 翻(날 번)이라는 한자를 쓰되 중국어 발음을 따라 '한(はん)'으로 읽는다


팔로우패 (지원패, 받침패, 보충패, 도움패, 보강패, 보조패)

타쯔나 또이쯔에 붙어서 우케이레 매수를 늘려 주는 역할을 하는 패를 일컫는 말. 일본어로는 'フォロー牌'라고 명기한다. 


패산

쯔모해 올 패를 쌓아놓은 무더기를 뜻한다. 패산을 어디서부터 가를지는 주사위로 정하며, 가장 끝 쪽 14장은 왕패로 지정하여 따로 떼어 놓는 것이 특징. 작혼에선 안 보이지만 원칙상 존재한다… 유심론 그 자체.


패효율

텐파이, 혹은 화료까지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손패에 남길 패와 버릴 패를 효율적으로 선택하는 행위


(퐁, 뻥)

또이쯔로 들고 있는 패와 같은 패가 버려졌을 때 발성을 통해 패를 가져오는 것


평장 (히라바)

① 연장봉이 쌓여있지 않은 상황, 즉 0본장을 뜻하는 말

② 크게 앞서나가거나 뒤쳐진 사람 없이 점수(점봉)의 상황이 전부 비슷한 상태 ex) 26000 23700 26300 24000


평착

'평균 착순'의 약어. 평순(평균 순위)이라고도 한다. (1위 횟수×1+2회 횟수×2+3위 횟수×3+4위 횟수×4)÷대전수라는 공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퐁카스

타가가 펑을 받은 패와 같은 종류의 4장째 패


퐁텐 (펑텐)

펑을 받아와서 텐파이하는 것


풍패

동, 남, 서, 북의 4종류 패를 통틀어서 이르는 말. 상황에 따라 자풍패와 장풍패로 구분된다


핑후

1판역. 조건은 '부수가 안 붙게 패를 만들어 화료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조건은 아래를 참고

① 멘젠 상태일 것

② 멘쯔(몸통)는 모두 슌쯔로 조성

③ 쟌토(머리)는 역패 외의 패

④ 양면대기로 화료

다면대기일 경우 양면이 아닌 쪽으로 화료하면 핑후가 붙지 않으니 주의. ex) (대충 3개의 슌쯔) + 3444만 대기일 경우 2-5만으로 화료하면 양면대기라서 핑후가 붙지만, 3만으로 화료시 단기대기이므로 핑후는 붙지 않는다. 또한 노베탄(용어집 ㄱ~ㅅ 참고)은 일견 양면대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2개의 연이어진 단기대기이므로 역시 핑후가 붙지 않는다


핑후조패

최종적으로 핑후가 붙기 쉽도록, 슌쯔 위주로 패를 만드는 행위. 패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반이 된다





하가 (시모챠)

자신 기준 3시 방향에 앉은 사람. 내가 버린 패에 치를 불러 가져갈 수 있다


하나레 량칸

슌츠 1개 + 유사 량칸처럼 기능하는 형태를 지칭하는 말 ex) 134568, 245679


하싯코 어택

타가의 공격에 마땅한 안전패가 없을 때, 1이나 9 같은 가장자리(端っこ) 패를 내는 수비 전술. 만약 방총하더라도 탕야오가 붙지 않고, 아카도라와 직접 얽히지 않는 만큼 타점이 높아지기 어렵다는 심리적 안심감을 바탕으로 한다. 하싯코 어택이라는 속칭으로 처음 부른 건 나카무라 히데키(中村英樹) 프로라고 한다


하이테이 (해저)

① 마지막 쯔모 패. 이걸로 쯔모 화료하면 해저로월(해저모월)이라는 1판역이 성립한다

② 해저로월(해저모월) 역의 준말. 전부 읽으면 '하이테이라오위에' 처럼 너무 길기 때문에 줄여 부른다


하저로어

1판역. 타가의 마지막 버림패로 론 화료하면 성립한다. 특징상 그 전까지 역이 없는 텐파이 상태였더라도 화료 가능


해저로월 (해저모월)

1판역. 해저패로 손을 완성시키면 성립한다. 특징상 그 전까지 역이 없는 텐파이 상태였더라도 화료 가능


후로 (부로)

펑, 치, 깡(다이밍깡)을 아우르는 표현. 동의어 → 나키, 시카케


후리텐

론으로 화료할 수 없는 상태. 일시 후리텐과 영구 후리텐으로 나뉜다

① 일시 후리텐 : 누군가가 버린 패로 론 화료를 하지 않으면 그 순이 지날 때까지 해당 버림패가 포함된 대기로는 론을 부를 수 없다. 1순 지나면 해제. '동순 후리텐'이라고도 부른다. 예외적으로 리치를 건 상태에서 이와 같은 상황이 벌어졌을 때는 영구 후리텐이 된다.

② 영구 후리텐 : 자신이 이미 버려놓은 패를 포함한 대기로는 론을 부를 수 없다. ex) 1만을 버려놓은 상태의 1-4만 대기라면 4만으로도 론을 할 수 없다


흐름

눈에 보이지 않고 증명도 불가능하지만 다수가 믿고 있는 무언가. "흐름이 왔다", "지금은 흐름이 좋다" 같은 식으로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흔히 "바람이 분다(風が吹く)"는 표현을 쓴다.


호테이

하저로어 역의 준말. 전부 읽으면 '호테이라오위이' 처럼 너무 길기 때문에 줄여 부른다


호패선타

내가 사용하지 않을 거라면, 다른 사람이 사용하기 쉬운 (좋은) 패를 먼저 버린다는 원칙. 역패의 처리 순서나 타쯔를 버리는 순서에 영향을 준다


혼노두 (혼로토)

2판역. 머리와 4개의 커쯔를 전부 수패의 1, 9 + 자패로 구성하면 성립한다


혼일색 (혼이쯔, 혼이소)

3판역. 1종류의 수패 + 자패로 화료하면 성립한다. 멘젠을 깨면 2판으로 떨어진다


현물 (겐부쯔)

리치를 한 사람 혹은 텐파이의 가능성이 유력한 사람의 버림패. 그 사람에 한해서는 후리텐 룰에 의해 론이 불가능한 만큼 완전한 안전패가 된다


형식 텐파이 (형텐, 케이텐)

손패 안에 역이 없어서 화료할 수는 없지만, 손패의 모양 자체는 텐파이인 상태. 주로 유국시 노텐 벌금을 지불하지 않기 위해 취한다


화료 (호라, 아가리)

역을 포함하고 있는 손패를 완성시킨 것. 상황에 맞는 발성으로 모두에게 알리고, 쯔모의 경우에는 모두에게 / 론의 경우에는 손을 완성시키는 패를 버린 사람에게 점수를 받아온다. 한국에서는 '오르다, 나다' 같은 표현도 일부 통용된다


화료불가

손의 텐파이 여부와 상관없이 화료할 수 없는 상태. 경미한 반칙을 저지른 경우 (다패, 소패, 발성미스 등) 이 상태가 된다


화료패 (오름패, 아가리패)

손을 완성시키는 패


횡이동 (요코이도)

타가 사이에서 점수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를 뜻하는 말


히키 (당기기)

마작에서 의식적으로 승부를 피하는 행위. 한마디로 「수비」이다. 기본적으로 모두가 화료를 향해 나아가고 있으므로, 그 팔을 잡아서 뒤로 당긴다고 연상하면 이해하기 쉽다


힛카케 (스지힛카케, 스지낚시)

자신이 이미 버려놓은 패의 스지 관계가 되는 패로 대기하고 있는 상황을 뜻하는 표현. 리치 선언패의 스지패로 대기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모로힛카케'라는 표현으로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부록



마작의 숫자 읽기

마작에서 숫자는 1부터 9까지 차례대로 「이 량 산 스 우 로 치 파 큐」로 읽는다. 예외적으로, 7삭은 '챠소, 챳소' 라고 읽는 경우도 있다 ex) 이샨텐, 량페코 등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65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20 공지 유용한 마작강좌글 & 그 외 이것저것 모음집 [32] ㅇㅇ(182.226) 21.09.27 44498 72
478 공지 작혼 / 마작 질문 등은 일본 마작 마이너갤러리로 [2] 작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9 1333 7
750 일반 유니코드에 마작패가 있길래 봤는데 [2] ㅇㅇ(59.6) 06.07 55 0
681 일반 작혼 / 마작 질문 등은 일본 마작 갤러리로 작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872 10
749 전술 마작 AI 「NAGA」의 철전술 번역 묶음글 나니키루번역(221.150) 06.01 257 1
748 일반 마작 초심자가 가장 빠르게 승리파가 되는 방법 번역 묶음글 [3] 나니키루번역(58.29) 05.31 144 0
747 강의 horiwo128의 마작론 번역 묶음글 나니키루번역(58.29) 05.27 67 0
745 일반 M리그 23-24 시즌 우승팀 U-NEXT 파이레츠를 돌아보며 ㅇㅇ(14.7) 05.25 55 0
744 일반 작혼 피시버전으로 리치하면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89 0
741 일반 전라도 광주에 전탁있는 곳 있음? Rap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43 0
737 일반 패산 개악질이네... 이게맞는지모르겠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53 0
736 강의 엠딕의 잡소리 by mdic [1] 나니키루번역(58.29) 05.18 259 0
734 일반 은탁의 벽은 높구나... [1] ㅇㅇ(118.235) 05.18 131 0
729 일반 온라인 마작이라서 편한거 같음 [1] ㅇㅇ(218.153) 05.16 141 0
728 전술 마작 요미의 공식 번역 묶음글 나니키루번역(58.29) 05.16 137 0
727 전술 오니우치 천봉위의 수비의 정수 번역 묶음글 [1] 나니키루번역(221.150) 05.15 379 4
725 일반 마작뉴비 AI전 연습하다 궁금한점 [2] ㅇㅇ(211.117) 05.14 89 0
722 일반 작걸찌것다 핑까 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16 1
720 전술 마작 후로요미의 극의 번역 묶음글 [2] 나니키루번역(221.150) 05.08 288 2
719 전술 레이와판 현대마작기술론 번역 묶음글 나니키루번역(221.150) 05.08 341 0
712 일반 ai랑 친선전 하다 생긴 일 ㅇㅇ(59.22) 04.30 106 0
711 일반 PC클라 켜졌다가 창도 안뜨고 바로 꺼지는데 이거 어케 해야 핢,,,,, ㅇㅇ(112.153) 04.30 46 0
709 일반 뉴비 입문한다 [6] ㅇㅇ(121.165) 04.29 320 3
701 일반 누가 마작갤 갈라진 이유 설명좀 해줄수 있냐 [7] ㅇㅇ(223.33) 04.28 680 0
700 일반 국사무쌍…하… ㅇㅇ(220.74) 04.28 154 0
699 일반 이거 안풀리는 날은 진짜 하루종일 안풀리는구나 ㅇㅇ(221.151) 04.27 67 0
697 일반 누워서 하다가 역만 날렸는데 잠안온다 씨발 ㅇㅇ(211.234) 04.27 68 0
696 일반 뉴비 마작 입문 공략 읽다 우러써..... [7] ㅇㅇ(220.116) 04.26 311 1
691 NNK 마작 매우 어려운 나니키루 문제집 묶음글 [6] ㅇㅇ(221.150) 04.25 1059 3
689 일반 뉴비 마작하는데 제일 스트레스 받는거 [1] ㅇㅇ(118.220) 04.25 145 0
688 일반 50판 넘게 했는데도 작사를 못찍었네 [3] ㅇㅇ(183.97) 04.25 137 0
687 일반 질문좀 [1] ㅈㅈ(1.232) 04.24 51 0
686 NNK GOOGL의 실전 나니키루 「여기서 뭐할거임?」 ㅇㅇ(221.150) 04.24 133 0
685 질문 반장전 서4국 오야가 화료시 점수 모자라면 [4] ㅇㅇ(220.123) 04.23 80 0
684 일반 크아아아악 내 역만이 [2] ㅇㅇ(118.235) 04.23 120 0
683 일반 까마귀 강좌 일부 재업로드했어요 [2] IF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156 0
682 일반 뉴비 머리 관련 질문있음 [2] ㅇㅇ(58.234) 04.22 72 0
680 일반 여기까지왔으면 뭐를 더 공부해야되나요 [3] ㅇㅇ(222.97) 04.21 280 0
678 일반 뉴비 인생 첫 역만 동1국 녹일색 ㅇㅇ(112.161) 04.21 98 2
673 일반 개씨발 대삼원 쳐맞았다 [1] ㅇㅇ(1.231) 04.20 220 0
672 일반 뉴비 첫판 1등함 [3] ㅇㅇ(223.38) 04.20 122 1
669 일반 바나나 마작 강의 링크 모음 있는 사람 있음? [1] Bylet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26 0
665 일반 뉴비 2일차 이거 맞음? [3] ㅇㅇ(1.249) 04.18 246 0
664 일반 오늘의 단어 : 탕야오 일기통관 (断么九一気通貫) [5] ㅇㅇ(220.77) 04.17 410 0
663 일반 초보용 이론서 추천좀 해줘 [2] ㅇㅇ(121.150) 04.16 255 0
661 일반 3일전에 시작한 뉴비인데 스킨 복각 [4] ㅇㅇ(175.125) 04.14 298 0
658 일반 겜 전적 못보나요 [1] ㅇㅇ(180.81) 04.12 75 0
656 일반 상가 누구심 [1] JJH2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131 0
655 일반 닉값 ㅅㅌㅊ? [1] JJH2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180 0
654 일반 작혼 어플로 결제 안되는사람 있음? 1233(210.181) 04.11 99 0
650 전술 판수갈이 천봉위의 마작 메커니즘 번역 묶음글 ㅇㅇ(58.29) 04.08 215 4
649 일반 킬러더키 모르겠음 [2] ㅇㅇ(221.146) 04.08 14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