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링크 http://ccnmtl.columbia.edu/services/dropoff/schilling/mil_org/milorgan_99.html
1차 대전 각국의 편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ome&no=479428
2차 대전 연합군 편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ome&no=479454
2차 대전 독일군 편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ome&no=479478
소련군 편제의 큰 특징은 군단급 편제가 독일이나 서방권의 사단 편제 크기임. 부대 급수를 1단계씩 올려서 불렀다고 보면 편함.
소련의 전차군단은 10500명의 인원과 189대의 전차를 가지고 있었다.
소련의 기계화 군단은 16000명의 인원과 186대의 전차를 가지고 있었다.
소총수 '사단'은 9375명의 인원을 가지고 있었다.
근위 소총수 '사단'은 10585명의 인원을 가지고 있었다.
본문엔 안나왔지만, 소련의 소총수 사단은 3개 보병연대에 1개 포병연대를 가지는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소총수 사단 2~3개가 뭉쳐서 소총수 군단으로 불렀고
3개 군단이 합쳐서 군, 그리고 3개~9개의 군들이 합쳐서 전선군으로 불렀다.
냉전시기 미군은 유럽에 독립여단이나 독립연대의 형태로 주둔하지만, 본격적인 전쟁이 터지면 사단급 정식편제를 갖추기로 결정되있었다. (대서양 건너기전에 워싱턴 날아갈건 생각을 못했나보다)
2개 사단이 1개 군단을 이루고, 2개의 군단이 1개의 군을 이루는데, 1개 군에 속한 4개 사단중 2개 사단은 기갑사단, 2개 사단은 기계화 사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2머전 말기부터 미군은 본격적으로 각 보병사단마다 기갑대대를 1개씩 배치시켰었다. 이것을 기계화사단이라고 불렀다.
기갑사단과 기계화사단은 각각 3개 여단을 구성하고 있었으며, 대대숫자를 각 사단 사정에 맞춰서 여단당 3~4개로 자율적으로 구성시켰다.
기갑사단과 기계화사단의 구분점은 기갑대대랑 보병대대중 어느쪽이 기갑사단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가였다.
1979년 어느 한 기갑사단을 예시로,
6개의 기갑대대와 5개의 기계화대대로 구성되었으며, 총 16850명의 인원, 324대의 전차, 555대의 apc, 대전차 미사일 344문, 4.2인치 박격포 98문, 그리고 2880정의 소화기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에 반해 기계화 사단은
4개의 기갑대대와 6개의 기계화대대로 구성되었으며, 총 17800명의 인원, 216대의 전차, 583대의 apc, 대전차 미사일 402문(tow 108문 포함), 4.2인치 박격포 103, 그리고 3456정의 소화기로 구성되어 있었다.
두 사단 모두 54문의 155mm포와 12문의 203mm포를 가지고 있었으며, 24문의 발칸포와 24대의 대공미사일 발사대, 78문의 스팅어 미사일, 그리고 42대의 공격헬기를 포함한 125대의 헬기를 가졌다.
군단급 편제를 가질시(2개 사단을 묶었을때) 군단은 지원유닛으로 36문의 발칸포와 108대의 대공미사일 발사대, 90문의 스팅어 미사일, 8발의 중거리 대공미사일, 117대의 전투헬기를 포함시킨 435대의 헬기를 가지게 된다.
1997년 기준으로는 기갑사단이 17756 명, 기계화 사단이 17982명, 공수사단이 13242명, 헬리본 사단이 13242명, 경보병 사단이 11036명을 가지고 있었다.
원문 작성자 새끼 소련군은 대충 넘어가고 냉전기 미국군만 열심히 설명하길레 소련군 편제 다른 사이트 직접 들어가서 보니까 글로 쓰기 토나와서 포기하고 대충 짤좀 주워왔음.

이게 소련군 소총수 사단의 기본 편제였다고 함.
혹시 알고 싶은 다른 군대 편제 있으면 댓글로 ㄱㄱ. 나중에 다 모아서 한꺼번에 올려봄.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