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1.0 기준 하위 티어 대체 레시피 평가(+하드 스캔 팁)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9.15 14:06:02
조회 9634 추천 24 댓글 5
														

1.0 정식버전 출시하면서 바뀐 점, 추가된 점이 많아 정리하고자 합니다.

댓글 달아주시면 검토 후 추가하겠으니,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필자의 경험 부족으로 인해, 강철 정도까지의 하위 티어만 서술합니다.




Ⅰ. 하드 드라이브 팁


1. 대체레시피 리세마라 방법 변경
기존에 비해 상당히 편해졌고, 이 점은 나무위키에도 정정되지 않아 기재합니다.

하드 드라이브는 처음 스캔에 10분이 걸리고, 자체적으로 리롤 1번이 주어집니다

A. 스캔을 마칩니다.

B. 리롤 직전 세이브합니다.

C. 리롤합니다.

D. B의 세이브로 로드합니다.

하드 파밍이 너무 어려운 초반이거나, 하드 파밍 자체를 싫어하는 분에게만 리세마라를 추천합니다.

이외의 경우 하드 파밍하세요. 탐험도 이 게임 컨텐츠입니다. 하면서 겸사겸사 유물이나 달팽이도 좀 구해오고 풀떼기 열매 균사도 좀 주워오고 햇빛도 좀 쬐고! 어! 친구(때림)도 만나고! 내가 니들 나이때는 날라다녔어!(기어다님)


리세마라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

얼엑에서는 하드를 스캔하면 어떤 제작법이든 먹던가 아니면 스캔을 취소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정식 출시하면서 라이브러리 시스템이 생겼고, 선택지가 있는 상태로 놔둘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선택지로 떠있는 제작법은 다른 하드에서 뜨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쁜 제작법 2개가 뜬 하드를 라이브러리에 놔두면, 다른 하드에서 그 2개 제작법을 배제할 수 있습니다.

하드 하나로 제작법 2개를 먹은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물론 하드의 수가 부족한 초반에는 어쩔 수 없습니다만, 초반에는 대체 제작법 없이도 어떻게든 할 수 있으니까 그냥 놔두는걸 추천합니다.

하지만 저는 강박증 있어서 못참습니다. 니들은 이런거 하지 마라



2. 하드 스캔 팁

스캔을 마치면 대체 제작법 2개가 뜹니다.

한 하드에서 뜬 제작법 2개는, 다른 하드에서 뜨지 않거나 우선순위가 떨어집니다.

안좋은 제작법만 2개가 떴다면, 다른 하드에서 그게 뜨지 않을테니 조아쓰!


스캔을 마친 하드는 라이브러리에 저장되는데, 10개 이상이 되면 UI 문제가 발생한다고 하는데

UI 스케일 조정하거나 검색 기능 사용하면 해결 됩니다.


대체 제작법 파밍 방법은 대강 아래와 같습니다.

A. 하드를 구해온다. 엄청나게 구해온다. 엄청나게 많이 많이 구해온다. 겸사겸사 달팽이나 유물도 파밍하면 되니까 조아쓰!

B. 좋은 제작법이 뜨면 먹고, 아니면 리롤하지 않고 남긴다. (팁 : M.A.M은 여러 개 지을 수 있으며, 어느 M.A.M에 접속하든 연구 상황은 동기화된다)

C. 나쁜 제작법만 뜬 하드가 많이 쌓이면, 세이브하고 하나씩 리롤한다.

D. 좋은 제작법이 하나라도 뜨면 리롤을 멈추고 그걸 먹는다. 인벤토리 증가라고 해도 좋다. 언젠가 먹을 제작법이라면 먹는다.

E. 많이 쌓일 때마다 반복한다.

F. 모두 리롤했는데 나쁜 제작법 뿐이라면 대충 먹는다. 먹은 제작법은 다시 안뜨니까 조아쓰!




Ⅱ. 대체 제작법 평가

모든 수치는 분당 소모/생산값입니다.

상술했듯 좋은 대체 제작법을 정리하는 것을 우선으로 합니다.


수치는 나무위키 보고 썼습니다. 인게임 수치와 다를 수 있습니다.


1. 석탄 Tier 100

A. 목탄

나무 15 → 석탄 150

B. 유기 석탄

바이오매스 37.5 → 석탄 45


말하자마자 나쁜 제작법부터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진짜 설명해야 합니다.

석탄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채굴기만 꽂으면 나오는 석탄을 굳이 하드 하나를 써가면서까지 먹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심지어 자동화도 안됩니다.

이게 뜨면 무조건 라이브러리에 놔둡시다. 쓸 일 절대 없는 제작법입니다. 다른 하드에 안뜨게 합시다.

특히 한 하드에 이거 2개가 뜬다? 축복받은 겁니다. 하드 하나로 쓰레기 둘 처리했으니 조아쓰!



2. 순수한 철/구리/카테리움 주괴, 습식 콘크리트 Tier 1~3

일명 물탄 제작법입니다.

물은 정말 무한히 솟아나는 자원입니다. 물 추출기만 잘 배치하면 말 그대로 무한히 나옵니다.

그런 물을 좀 섞어주는 것만으로 자원 효율이 증가합니다.(카테리움 주괴의 경우 자원 효율을 늘릴 방법이 이것 뿐이라 고평가된 감이 있습니다.)

특히 철은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자원인 만큼 많이 쓰입니다.


물탄 철의 경우, (필자는 아직 도달하지 않은 티어라서 얼엑 기준입니다)35 → 65라서 비율이 딱 떨어지지 않습니다. 다운 클럭으로 맞추는 것을 추천합니다.

물탄 구리의 경우, 채굴기당 구리 생산 효율이 2.5배가 됩니다. 물을 쓰기 좋은 자리에 있다면 사용해봅시다.

물탄 카테리움의 경우, 카테리움 주괴 생산 효율은 17%p 정도밖에 늘어나지 않습니다만, 카테리움 주괴 생산 효율을 늘릴 방법이 이것 뿐입니다.

물탄 콘크리트의 경우, 물을 사용하는 제작법 중 어썸 싱크 포인트 효율이 가장 높다고 합니다. 알루미늄 등의 제작법에서 나오는 물을 처리해봅시다. 그 점을 제외해도, 콘크리트 생산 효율을 늘리기 가장 좋은 대체 제작법입니다.


물탄 철의 경우, 물이 아니라 석회석을 타서 더 많은 철 주괴를 얻는 제작법이 1.0에서 추가됐습니다.

Basic Iron Ingot이라고 합니다. 뭐라 번역됐는지는 모르겠네요.

철광석 25 석회석 40 → 철 주괴 50으로 철광석과 철 주괴 비율이 딱 맞아서 사용하기 편합니다. 철광석 채굴량(Mk6 벨트 기준)하고 맞추기도 좋고요.

그런데 석회석이 좀... 많이 필요합니다. 철광석 1200 기준 석회석 1920이라서 숫자도 애매하네요.

넘치는게 철광석이라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습니다. 물탄 철만 해도 많이 늘어나는데 굳이 더?

콘크리트도 은근히 여기저기 쓴다는 점도 살짝 거슬립니다.



3. 철

A. 철 전선 Tier 0

철 주괴 12.5 → 전선 22.5

(기본 제작법 : 구리 주괴 15 → 전선 30)

숫자도 딱 떨어지지 않고 생산 효율도 그리 좋지 않습니다. 생산 효율만 생각하면 구리로 만든 전선을 꽂아주는게 낫습니다.

하지만 굳이 외부에서 꽂아줄 필요 없이 철 노드 내부에서 처리가 가능하다는 편의성 덕분에 사랑받는 제작법입니다.


B. 용접 철판 Tier 0

철판 18.75 전선 37.5 → 보강된 철판 5.625 (수치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기본 제작법 철판 30 나사 60 → 보강된 철판 5)

나사 없애기 1호입니다.

보강된 철판의 기본 제작법은 분당 나사 60개를 먹는, 매니폴드를 쓸 수 없는 제작법입니다.

심지어 보강된 철판을 양산하기 전에는 Mk2 벨트를 마음껏 깔 수도 없어서 더더욱 그렇습니다.

나사를 없애야 할 우선도가 아주 높습니다. 철 전선을 먹기 전이라도 빠르게 챙기고 구리라도 꽂아주는 것이 추천됩니다.


수치가 개판난게 옥의 티입니다. 딱 맞추려고 노력해봐야 안되니까 넘치게 생산하고 지능 분배기 달아서 스톡시키거나 언더클럭 합시다.


C. 철 파이프 Tier 0

철 주괴 100 → 강철 파이프 25 (수치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기본 제작법 : 강철 주괴 15 → 강철 파이프 15)

대체 제작법:단단한 강철 기준, 철 주괴 40 → 강철 60 → 강철 파이프 40 입니다. 철 대비 생산성은 줄어드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강철 주괴를 만들지 않고 바로 파이프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철 전선과 마찬가지로 공정이 매우 간단해집니다.

그런 점에서 고평가받는 대체 제작법입니다.


D. 강철 회전자 Tier 0

강철 파이프 10 전선 30 → 회전자 5

(기본 제작법 : 철봉 20 나사 100 → 회전자 4)

위의 철 전선, 철 파이프와 엮어서 철에서 서술합니다.

나사 없애기 2호입니다.

철 주괴 대비 생산성은 기본 제작법에 비해서 떨어지지만, 역시 공정을 간단히 한다는 점에서 고평가받습니다.

기본 제작법이 나사를 무려 분당 100이나 먹어서, Mk2 벨트로도 매니폴드가 안됩니다. Mk3으로도 사실상 안됩니다.

나사는 없을 수록 좋습니다. 제발 내 공장에서 꺼져


E. 강철 골조 Tier 0

보강된 철판 2 강철 파이프 10 → 모듈식 골조 3

(기본 제작법 : 보강된 철판 3 철봉 12 → 모듈식 골조 2)

강철 회전자와 마찬가지로, 철 파이프와 엮어서 철에서 서술합니다.

모듈식 골조 생산 효율을 늘려줍니다. 석탄이 들어가는 만큼, 골조 하나당 철 소모량이 10 정도가 됩니다.

철 파이프를 채택할 경우, 골조 하나당 철 소모량에 큰 차이는 없지만, 건물의 수가 줄어들어, 부지와 전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F. 나사를 추가하거나 늘리는 제작법 Tier 99

석탄 만드는 제작법처럼 존재의의가 없다할 수준은 아닙니다. 생산 효율이 올라가는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벨트 미어터지는 나사를 굳이 쓸 이유가 없습니다.

벨트 미어터지는거 해결해주다 받는 스트레스에 비하면 생산 효율 떨어지는게 낫습니다.

Mk6벨트 운송량이 분당 1200입니다. 안그래도 미어터지는 벨트가 대체 제작법으로 더 미어터져야 쓰겠습니까?



4. 구리

A. 가압 구리판 Tier 1

구리 주괴 22.5 물 22.5 → 구리판 22.5

(기본 제작법 : 구리 주괴 20 → 구리판 10)

기본 제작법에서 50%였던 구리판 생산 효율을 100%로 올려줍니다. 상술한 물탄 구리와 합하면 구리판 생산 효율이 2.5*2=5배로 늘어납니다. 물론 물은 많이 쓰겠죠.

구리판도 여기저기 건설에 쓰이고, 이런저런 부품 생산에도 쓰입니다.

물이 가깝다면 고려해봄직 합니다만, 무리해서 물을 끌어올 정도는 아닙니다. 차라리 구리를 옮깁시다.

구리판을 쓰는 부품들이 카테리움, 원유, 알루미늄을 쓰는데, 마침 서쪽 해안가에 구리와 함께 어느 정도 모여있는 곳이 있습니다.

남는 분량은 남겨뒀다가 후반 제조법에 쓰면 되겠습니다.


B. 전선 늘리는 제작법 Tier 10

전선이 부족하다면 쓸만합니다만, 구리에 비해 희귀한 카테리움을 써야합니다. 맵 전체 카테리움의 모든 채굴량을 합해도 구리 순수 노드만 다 합한거보다 적습니다. 그리고 카테리움의 사용처인 고속 전선도 전선 못지 않게 많이 필요합니다.

게다가 물탄 구리의 효율이 워낙 좋아서 크게 필요치 않습니다.

또 전선이 부족할 정도가 되면 연료나 원자력으로 발전하고 있을 거라서...

굳이 물이 없는 자리에서 전선을 대량으로 써야한다면 모르겠는데, 전선을 대량으로 써야하는 부품은 플라스틱 등도 필요한데, 물이 없으면 보통 원유도 없습니다.

물타고도 부족하다면 그 때 고려해봅시다. 근데 그럴 일 없을 겁니다.



5. 강철

A. 단단한 강철 Tier 0

철 주괴 40 석탄 40 → 강철 주괴 60

(기본 제작법 : 철광석 60 석탄 60 → 강철 주괴 60)

철광석을 제련하는 것만으로 강철 생산 효율이 늘어나는 갓갓 제작법입니다.

소모값이 2/3가 되는 것이니, 생산 효율은 1.5배가 됩니다. 갓갓이 아닐 수 없습니다.

철 주괴와 비율이 맞아 떨어지지 않는게 마지막 양심입니다.


B. 성형 빔, 성형 파이프 (이름은 다를 수 있습니다.) Tier 1

강철 주괴 120, 콘크리트 80 → 강철 빔 45

강철 주괴 50, 콘크리트 30 → 강철 파이프 50

(기본 제작법 : 강철 주괴 60 → 강철 빔 15)

(기본 제작법 : 강철 주괴 30 → 강철 파이프 20)

(철 파이프 : 철 주괴 100 → 강철 파이프 25)

흔해빠진데다 많이 쓰지도 않는 콘크리트를 넣어서 강철 부품을 늘리는, 1.0에서 추가된 제작법입니다.

공정이 복잡해지긴 하지만, 생산성은 확실하게 증가합니다.

하지만 철 파이프의 압도적인 편의성도 있고, 철과 석탄은 넘쳐나는데 굳이 이렇게까지 아껴야하나 싶은 감이 있습니다.

크레이터 호수 옆 폭포와 같이, 철, 석탄, 콘크리트, 물이 모여있는 상황에서는 여러 대체 제작법을 함께 사용해서 생산을 극대화할 수 있겠습니다.


C. 포장된 산업용 파이프 Tier 0

강철 파이프 28 콘크리트 20 → 포장된 산업용 빔 4

(기본 제작법 : 강철 빔 24 콘크리트 30 → 포장된 산업용 빔 6)

얼핏 생산량이 떨어진 듯 보이지만, 강철 빔의 생산 효율이 워낙 극악이라서 오히려 효율적이었던 제작법입니다. 얼엑때는 0티어는 커녕 -1티어라 해도 됐습니다.

1.0 현재, 상술한 단단한 강철과 철 파이프를 모두 채택한다는 전제 하에, 철광석 대비 생산 효율은 오히려 기본 제작법이 좋습니다.

하지만 역시, 강철 주괴를 만들지 않고도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이 매력입니다.

철, 석탄, 석회 3종류 노드가 필요하던 것이, 철, 석회 2종류 노드로 충분해지기 때문입니다.

건설 외 포장빔의 주 사용처인 고중량 모듈식 골조 또한 2종류 노드로 충분해져, 가치가 상당히 높습니다.


D. 고중량 모듈식 골조 Tier 0

모듈식 골조 7.5 포장된 산업용 빔 9.375 강철 파이프 33.75 콘크리트 20.625 → 고중량 모듈식 골조 2.8125

(기본 제작법 : 모듈식 골조 10 포장된 산업용 빔 10 강철 파이프 30 나사 200 → 고중량 모듈식 골조 2)

나사 없애기 3호. 나사 없애는게 왜 좋은지는 굳이 또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철 대비 생산 효율은 계산하기 복잡하네요. 안할래...

숫자가 더러워지는게 옥의 티입니다.


여기까지 0티어(단단한 강철 제외)들을 먹으면, 철 노드에다 콘크리트만 넣어주면 고중량 모듈식 골조가 완성됩니다.



6. 케이블

A. 절연 케이블 Tier 3

전선 45 고무 30 → 케이블 100

(기본 제작법 : 전선 60 → 케이블 30)

고무를 추가해서 케이블 생산량을 늘리는 제작법입니다. 고무 좀 넣었다고 생산 효율이 4배 이상 뜁니다.

그런데 물탄 구리의 효율이 너무 좋아서, 주괴 하나당 케이블 하나 나오는데 그게 부족한가 싶습니다.

비율도 꽤나 복잡해집니다. 기본 제작법만 쓰면 제련기1-전선2-케이블1로 딱 맞아 떨어지니까요

차라리 안쓰는 맵 구석의 구리를 기차 등으로 운송하는게 낫습니다.


B. 고속 전선 케이블 Tier 4

고속 전선 7.5 고무 5 → 케이블 27.5

고속전선과 케이블을 같이 쓰는 제작법은 고속 커넥터가 있는데, 고속 전선도 같이 씁니다. 그래서 공정 단순화에는 좋습니다.

회로 기판도, 고속 전선을 써서 생산량을 늘리는 대체 제작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희귀한 카테리움으로 흔한 구리를 대체하는 거라서, 이게 맞나 싶습니다.

게다가 고속 커넥터는 제조기 하나가 고속 전선을 210개나 씁니다. 매니폴드가 거의 불가능한 수치입니다.

그거 줄이는 대체 제작법이 케이블을 배제하는데, 줄여도 제조기 하나가 90개를 씁니다.

가능하면 나사처럼 없애는 방향으로 갑시다.



7. 카테리움 - 융합된 고속 전선 Tier 3

구리 주괴 37.5 카테리움 주괴 7.5 → 고속 전선 90

(기본 제작법 : 카테리움 주괴 12 → 고속 전선 60)

구리를 섞어서 생산 효율을 늘리는 제작법입니다. 기본 제작법이 카테리움 주괴의 5배만큼 고속 전선을 뽑고, 대체 제작법은 12배를 뽑습니다.

재료가 2개가 되면서 공정이 조금 복잡해지지만, 카테리움이 희귀자원인 만큼 고려해봄직 합니다.

물탄 카테리움의 효율 증가가 그리 크지 않은 점도 한몫 합니다.

하지만 다른 대체 제작법보다 우선할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일단 대충 살다가 부족하면 그때 고려해봅시다.




이외는 제가 경험이 적어, 제가 서술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고인물들의 갱신 부탁드리겠습니다.

추천 비추천

24

고정닉 4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3002 AD 작혼X페스나 헤븐즈필 콜라보 개시! 운영자 25/04/22 - -
34866 공지 호출용 신문고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09 84 0
30146 공지 새티스팩토리 1.0 관련 정보 모음집 [3] 도마멍멍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07 18704 12
24751 공지 1.0 이후 번역 이슈 제보용 글 [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9.11 3637 0
3589 공지 새티스팩토리 갤러리 공지사항 20211204 [2] 라붕붕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24 12525 14
3799 공지 갤 공식디코입니다 [1] yosi_9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27 8405 3
35060 일반 34티어에서 포기한 뉴비인데 같이할 사람있을까 ㅇㅇ(1.235) 10:41 2 0
35059 일반 동굴 규모 완전 대형이더라 [3] ㅇㅇ(121.186) 06:55 78 0
35057 일반 9단계에서 전력많이 필요하다길래 이악물고 70만만들었다 [1] ㅇㅇ(118.235) 02:55 74 0
35056 질문 응애뉴비친구랑멀티하고싶어요 [3] ㅇㅇ(125.190) 02:40 49 0
35055 일반 새팩은 시작할 엄두가 안나 [1] ㅇㅇ(124.51) 02:19 42 0
35054 일반 신규 영상 떳다 플레이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3 101 0
35053 일반 게임 꺼지는건 예상 못했는데 ㅅㅂ...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08 0
35052 일반 고급 알루미늄 연구했다. 코난도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48 0
35051 일반 석탄발전기 왜 자꾸 꺼지는지 모르겠음... [2] ㅇㅇ(1.235) 04.25 98 0
35050 일반 마일스톤 5 넘어가니까 정신나갈거 같음 [3] Searcher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35 0
35049 일반 이번엔 좀 느긋하게 해볼려고 [1] cparrow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92 2
35048 일반 요즘 새팩 어때 [6] ㅇㅇ(121.186) 04.24 219 0
35047 일반 뉴비 석탄발전기 만들었어 [3] ㅇㅇ(39.116) 04.24 192 0
35046 질문 동굴 안에 있는 자원들도 컨베이어 벨트로 꺼내서 본진으로 옮기나? [2] 코난도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46 0
35045 일반 분배기 병합기 자동으로 벨트 연결하는 모드 있냐 [1] ㅇㅇ(211.235) 04.24 61 0
35044 질문 다들 자원 얼마나 끌어옴?? [1] ㅇㅇ(118.235) 04.24 103 0
35043 질문 어썸싱크 질문이요 [1] ㅇㅇ(119.66) 04.24 84 0
35042 일반 엔딩 스포) 159시간 만에 클리어 [1] ㅇㅇ(116.124) 04.24 224 1
35041 일반 뭐야 내 청사진 어디감. [3] 버터만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76 0
35040 일반 이게임 멀티하면 약간 인간사회를 볼수있음 [5] ㅇㅇ(1.219) 04.24 255 1
35039 일반 석탄 노드 너무 먼데 [4] ㅇㅇ(210.179) 04.24 142 0
35038 질문 연료발전 질문 [15] ㅇㅇ(218.239) 04.24 209 0
35037 일반 핵발 보니까 정신 나갈거같은데 [4] ㅇㅇ(121.162) 04.24 199 0
35036 일반 아이템 한곳으로 모으는데 이거 멋있네 CowJok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83 0
35035 일반 혹시 드론써서 깨면 게이인가? [11] ㅇㅇ(175.205) 04.23 311 0
35034 일반 딸깍아재 사라짐? [4] ㅇㅇ(211.244) 04.23 213 0
35033 일반 플탐 10시간 뉴비 질문 2개 [4] ㅇㅇ(121.180) 04.23 125 0
35032 일반 110시간 뉴비 클리어했당 [4] ㅇㅇ(116.44) 04.23 251 0
35031 일반 130시간 5단계 클리어 직전 뉴비 ㅇㅇ(175.205) 04.23 195 0
35030 일반 공장겜 추천해주세요. 사실 새팩이 최고긴한데.. [4] salmon798(121.165) 04.23 251 0
35029 일반 2년만에 왔더니 맵이 바뀌었냐 뭐냐 이거 [1] CowJok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95 0
35028 일반 원발이 확실히 빡세네 [4] ㅇㅇ(121.173) 04.23 311 1
35027 일반 뉴비 148시간 5단계 50% 진행중 [6] ㅇㅇ(116.124) 04.22 288 4
35026 일반 ㅋㅋㅋ 효율 증가 모드 설치해서 사용하는데 원자력 발전소에는 쓸수가없네 [1] ㅇㅇ(121.190) 04.22 154 0
35025 일반 이거 좀 기대되노 ㅋㅋ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275 1
35024 질문 우주 엘베 3단계 질문 [5] ㅇㅇ(218.239) 04.22 164 0
35023 일반 돌겠네..... 기차는 공중에 지어야 편하구만.... [3] 코난도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264 0
35022 일반 이 씨발 전기 여러개 모아도 되는거였어? [5] 팩린이(211.234) 04.22 266 1
35021 일반 1.1 정출때 멀티할 사람 있니 [16] Rus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321 1
35020 일반 연발은 보통 청사진 안씀? [6] FIS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186 0
35016 일반 초원에서 스타트해도 충분함? [2] ㅇㅇ(180.211) 04.21 138 0
35015 일반 나도 간지나게 건물지을까 하다가도 [1] ㅇㅇ(118.235) 04.21 146 0
35014 일반 현지 재료 생산은 생각보다 까다롭다. A만3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06 0
35013 일반 누가 로켓연료용 포장된 희석 연료 물어보길래 설계 짜왔어 [1] A만3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07 0
35012 일반 리눅스 서버 열어본사람한테 질문. [2] 레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73 0
35011 일반 컨베이어벨트 방향도 분배기병합기 방향도 못바꿔 ㅇㅇ(59.9) 04.21 108 0
35009 일반 뉴비 로켓연료 질문 [8] 뉴비(211.234) 04.21 182 0
35008 일반 가끔 컨베이어벨트 길게설치하면 아이템 안나오는데 왜그러죠? [4] ㅇㅇ(118.235) 04.21 181 0
35007 일반 cpu 뭘로 바꿀까 [3] 초보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16 1
35006 일반 정제소 그만 만들고 싶다...... [3] ㅇㅇ(121.139) 04.20 376 0
뉴스 ‘음주운전’ 김호중, 2심서도 징역 2년 6개월 선고…법원 “죄질 나빠” 디시트렌드 04.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