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재업)4.SFM(Source FilmMaker)가이드 - 조명과 마무리

도트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7.12.24 09:42:25
조회 4802 추천 8 댓글 1
														

1. SFM(Source FilmMaker)가이드 - 창작마당과 맵 (링크)

2. SFM(Source FilmMaker)가이드 - 카메라와 모델 (링크)

3. SFM(Source FilmMaker)가이드 - 모델의 자세 (링크)

제목에 오타 지적해준 유동닉한테 고맙습니다.





쉽고 재밌는 SFM 허쉴? ㅎㅎㅎㅎ









야동, 야짤은 짤리니까 안올린다. 예전에 중갤에 SFM야짤 만들어 올리다가 짤린놈 보고 안만들기로 결정함.


그리고 가이드 3화에서 복잡하다는 사람이 있었는데, SFM는 보면 어렵지 직관적이라 직접 해보면 쉽다. 




이번 가이드의 gif는 변환과정에서 화질이 열화되었기 때문에 글을 보고 따라하기를 권장한다.

저번화에서 얼굴 표정을 다루고 난 다음이다.


캡처_2017_09_02_10_37_33_884.png 


킹그맨님의 얼굴에 웃음꽃이 돌아왔다. 하지만 뒷배경이 허전해보여서
악당쉨 소닉을 넣어줬다. 에그맨과 똑같은 과정으로 자세를 만들어주면 된니까 과정은 생략했다.

정정당당한 에그맨을 때려눕힌 소닉은 이제 데코레이션일뿐이다.


하지만 소닉이 루저라서 화면에 너무 조그맣게 나온다. 소닉의 크기를 조절해주자.


캡처_2017_09_02_10_38_14_334.gif 

Gif의 화질이 낮아서 잘 안보이니 이 유튜브의 1분 튜토리얼(링크)을 보는게 더 좋다.


위 움짤대로 애니매이션 셋 에디터에서 소닉 오른쪽 마우스 클릭 후, Utilities를 클릭하고, Add Scale Control To Transforms를 누르자.

그 후, 모델의 뼈대 모음집중 Body(가끔 다른 곳)로 들어가보면 rootTransform_scale 이라는 스크롤바가 생성되어있다.
이걸 표정을 만들어줄때처럼 해주면 크기가 바뀌는것을 알 수 있다.


4~5년 전에는 없던 기능인데 업데이트로 생겼다. 개 굳




캡처_2017_09_02_10_39_03_216.png 

이제야 좀 잘보이는 싸닉.

이제 모델 자세과정은 끝이 났으니 사진의 꽃 조명을 넣어야하는데, 그냥 조명하기 전에 카메라 옵션을 먼저 해주는게 좋다.
카메라로 가서 너무 밝은 화면의 밝기를 조절해주자. 


캡처_2017_09_02_10_39_27_694.gif 

Gif의 화질이 낮아서 자세히 보고싶은 이는 유튜브 튜토리얼(링크)의 2:17~2:24 부분을 참고해주자.

생성한 카메라로 간 다음, 저번 가이드에서 Bloom을 조절해줬을 때처럼 toneMapScale을 조절해서 밝기를 조절하자.
평범한 카메라 조리개라고 생각하면 된다.


캡처_2017_09_02_10_43_21_65.gif 

Gif 화질구지로 유튜브 튜토리얼(링크)의 5:44~5:58과 10:30~10:37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 이 영상은 11분짜리라 설명을 먼저 보길 추천함.

이제 1화에서 잠깐 분홍색 선으로 언급했던 DOF기능을 사용해보자. 이것도 게임옵션 잘아는 중붕이라면 알테지만,
한글로 번역되면 피사계심도라고 하는 기능이다. 카메라의 초점맞추기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나도 DoF의 정의는 잘 모르니까 위키백과의 설명을 참고하겠다.


피사계 심도(被寫界 深度, 영어: depth of field, DOF)는 사진술에서 한 사진의 초점이 맞은것으로 인식되는 범위이다.
렌즈의 초점은 단 하나의 면에 정해지게 되어 있으나 실제 사진에서는 초점면을 중심으로 서서히 흐려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때 충분히 초점이 맞은것으로 인식되는 범위의 한계를 피사계 심도라 한다. (출처 : 위키백과)


뭐 그렇다고 한다. 이제 애니매이션 셋 에디터의 카메라로 간 다음, Focal Distance를 스크롤바를 통해 움짤처럼 초점을 맞춰주자.
본홍색 면이 모델에 겹쳐져있으면 뒷 배경이 흐리게 될것이다. 물론 가까운것도 포함된다.

그런 다음 바로 아래있는 Aperture(Aperture Science 아님 ㅎ)을 조절해주자. 흐림의 세기를 조절하는건데
어떻게 흐려지는진 움짤에서 볼 수 있다. 근데 화질땜에 거의 안보인다 ㅠㅠ


viewimage.php?id=2cb2d521e4df3d&no=29bcc427bd8077a16fb3dab004c86b6f24b7e12241bb1d95d586e9c32eba3383d1b91e9382665f56e7b47f1961ea8d29e3f21aa59e6736b1eb

위처럼 미리보기를 보고싶다면 F2를 눌러 클립 에디터로 가야하는데, 여기서 가이드 2편에서 DOF를 꺼놓았다면 당연히 보이지 않는다.
미리보기를 통해 확인하고 싶다면 Viewport 오른쪽 마우스 클릭 - 렌더 세팅으로 가서 켜주도록 하자.

켜져있다면 F2를 누르고 잠깐 기다리면 렌더링한 모습을 미리볼 수 있다.
AO하고 조명 등도 부드럽게 변하므로 최종적으로 내보내기 하기 전에 미리미리 확인해주자.


캡처_2017_09_02_10_46_07_47.png 

카메라는 이정도로 세팅하면 되고, 이제 드디어 제일 재밌는 조명을 넣어줄 시간이다.
애니매이션 셋 에디터에서 오른쪽 클릭 - 새 라이트를 생성을 해주면 된다.


캡처_2017_09_02_10_46_20_926.png 

라이트도 모델과 같이 생성되면 카메라 바로 앞에 생성된다. 그래서 이 조명의 위치를 옮겨줘야 하는데,
모델과 같이 WER도구로도 가능하지만 더 직관적인 방법이 있다.


캡처_2017_09_02_10_46_31_835.gif 

바로 가이드 1편에서 카메라를 Viewport에 쳐박은것처럼 똑같이 해주면 움짤과 같이 자유이동이 가능하다.
키는 1편에서 설명한 카메라 이동 조작키와 똑같다.


캡처_2017_09_02_10_46_51_504.gif 

내가 소스필름메이커에서 Viewport를 두개 만들어놓은 이유는 거진 이것때문인데, 한 쪽은 이동담당, 한 쪽은 확인용으로 쓰면
작업이 편해지기 때문이다.


캡처_2017_09_02_10_49_09_860.png 

하지만 우리 중붕이들은 사진술이나 무대디자인같은걸 배우지않았기 때문에 조명을 멋있게 넣는 방법을 잘 모를 수 있다.
그래서 유용한 방법이 있는데, 위 사진에서 설명하는 쓰리-포인트 라이팅 기법이다. 위는 소필메에 유저가 올린 가이드(링크)다.

실제로도 많이 쓰는 방법이고, 소필메에도 그대로 사용가능하다. 물론 작품마다 분위기 차이가 있으므로 이 기법만 사용하는건 비추한다.


영잘알이면 위키백과 3포인트 라이팅 항목에 들어가서 직접 볼수도 있겠지만, 그냥 아래 사진 하나면 설명이 필요가 없다.
위키백과 항목에도 실려있는 사진임.


캡처_2017_09_02_10_49_30_204.png 

3 포인트 라이팅이라는 직관적인 명칭답게 조명이 최저 3개가 필요하다.

Key Light는 이름답게 대상에 직접적으로 빛을 보내고, 주요 라이트이기도 하다.

Fill Light는 보조광인데, Key Light같이 대상에 빛을 보내긴 하지만, 그보다 덜 밝아서 균형을 맞춰준다.
이게 없으면 얼굴 한쪽만 그림자져서 무서워질 수도 있다.

Back Light는 등 뒤에서 빛을 보내는 조명이다. 하이라이트라고도 하는 부분을 만들어주는데,
빛으로 된 테두리를 만들어줘서 피사체를 배경과 윤곽선하고 구분시켜주는 역할이다.


이 외에 4포인트 라이팅이라는 기법도 있는데, 그냥 3까지는 똑같고 4번째 조명을 뒷배경에 쏘는 기법이라 큰 차이가 없다.


나는 머리로는 이해가 가는데 글로는 정리가 안되서 위키백과의 설명을 참고했다.


viewimage.php?id=2cb2d521e4df3d&no=29bcc427bd8077a16fb3dab004c86b6f24b7e12241bb1d95d386e9c32eba33832ce0963982259ab851b6e1b0e3471d9b17aeb10575c2934345


이제 3포인트 라이팅으로 위치를 정해준다면, 카메라때와 같이 세팅을 해줄 차례다.

하지만 카메라와 달리 넘쳐나는 조명 옵션들은 뭔가 할것이다. 근데 사실 실제로 사용하는건 몇개 안된다.


SFM의 조명 세팅중 몇개를 간단히 설명해주겠다.



intensity : 빛의 세기를 조절해준다. 하지만 최대로 높여도 엄청나게 밝아지진 않아서,

그 밑의 constantAttenuation이나 linearAttenuation을 사용하면 정말 눈부실 정도로 밝아 질 수 있다.


horizontalFOV, VerticalFOV : 범위를 지정 할 수 있다. 그냥 Viewport에서 마우스 휠 업/다운으로 조절되는것이다. 


ShadowFilterSize : 조명으로 생기는 그림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낮을수록 그림자가 선명해진다. 너무 낮추게 되면 그림자에 계단현상생긴다.

shdowDepthBias하고 shadowSlopeScaleDepthBias도 비슷한 옵션인데, 얘네는 잘 안쓴다.


shadowAtten : 그림자가 생기는 부분의 명암을 낮춰준다. 극단적일정도로 어두워지진 않고 조명이 비치기 전의 명암이 된다.


volumetricIntensity : 후술할 때 같이 설명해주겠다.


color_red, green, blue : 조명의 색깔을 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최대치라 기본색상은 하얀색이다.

빨초파의 혼합으로 원하는 색상을 만들 수 있다. color_alpha도 있는데 이게 무슨 기능인지 까먹어부럿다.



이 외에는 직접 만져주면서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자.


캡처_2017_09_02_10_56_08_760.png

조명 세팅과정은 생략하고, 3포인트 라이팅으로 에그맨을 비춰주고 있다.

그런데 뒷배경이 조금 허전하지 않은가? 그렇다고 오브젝트를 불러와서 꾸미기에는 내가 귀찮다.
그러니까 라이트를 이용해서 뒷배경을 만들어보자.


캡처_2017_09_02_10_57_25_905.png

애니매이션 셋 에디터 - 조명 마우스 우클릭 - Enable Volumetrics를 눌러주자.
그 위의 옵션은 그닥 필요없다. 그림자를 없애주는 Disable Shadows를 자주 쓰긴하지만.


maxresdefault.jpg  

저 기능을 쓴다면 위 사진(예시용으로 내가 찍었었는데 날아감ㅎ)처럼 빛의 궤적이 보이게 된다. 

여기서 후술하겠다던 조명 세팅 중 volumetricIntensity가 사용된다. 이는 빛의 세기와는 별개로 빛의 궤적의 세기를 따로 조절해 줄 수 있다.

근데 글쓰다보니 이 이미지의 오른쪽아래 조랑말이 보인다. 개인적으로 저 조랑말들의 모델은 븅신같아서 안쓴다. 좆목질용 자캐도 싫어하고. 


아무튼 무궁무진하게 사용하여 사진을 풍부하게 만들어줄 수 있는데, 잘못쓰면 화면이 뿌예지게 되니 적절히 쓰도록하자.


캡처_2017_09_02_11_01_46_185.png 

이제서야 좀 킹갓 에그맨님의 위풍당당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게 라이트를 적절하게 쓰면 좋지만, 컴퓨터 사양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라이트 수가 제한이 걸려있다. 내 9600GT와 4GB로는 최대 8개만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ㅠ

근데 좀 위 라이트가 이상하다고 느낀 중붕이들이 많을 것이다. 사실 마무리할때 좀 귀찮더라 ㅈㅅ
그래서 대충넣었는데 지금은 후회가 좀 든다.


viewimage.php?id=2cb2d521e4df3d&no=29bcc427bd8077a16fb3dab004c86b6f24b7e12241bb1d95d386e9c32eba33832ce0d26ad94a91b85fbfeab48b464dcbbe77693b74835971c4551ea886


2014년 1월에 내가 제작한 위 좆목2의 작품처럼 졸라게 이쁘게 넣으면 좋겠지만, 좀 힘들다.

내가 이때 소필메로 제일 많이 만들던 시기라 컨디션 절정이였나보다.


니같은 놈의 자랑은 꼴보기 싫다고? 미안하다..
이제 마무리 최종 렌더링 하기 전, Viewport 우클릭 - 렌더 세팅에서 AO를 켜주고,
살짝 AO세팅을 바꿔주자.

캡처_2017_09_02_11_02_43_952(1).png 

애니매이션 셋 에디터 - 카메라 - 사진에 붉은 네모로 표시한 저 3개의 세팅을 조절해주면 된다.
기본 AO도 렌더링할때 문제없고, 오히려 건드렸다가 만든거 망칠때도 있으니 최소한으로 건드려주자.

각각의 기능은 말로 설명하기도 애매하고 내 기억도 가물가물하니 직접 만져보자. Strength를 너무 높이면 모델 폴리곤이 보인다는것만 기억나는것 같다.


캡처_2017_09_02_11_05_29_587.png 

이제 완성했다고 생각하면 중갤에 올릴 수 있게 파일을 내보내주자. 소필메 왼쪽 위의 File - Export - Poster를 눌러주자.

지금까지의 가이드에서는 렌더링한다고 했지만, 사실 정확한 뜻은 내보내기 - 포스터다.
근데 포스터로 만들자고 하면 군대가 너를 원한다는 인포그래피의 선전물이 생각나서 그냥 렌더링이라고 퉁쳤다.


만약 영상을 만들었다면 Poster 위의 Movie로 내보내야 된다.


캡처_2017_09_02_11_06_09_513.png 

내보내기 창은 이렇다. 가장 위는 경로지정으로, 오른쪽 '...'버튼을 눌러주면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설정 안하면 기본경로로 지정되어있어 찾기 귀찮아지는데,
바탕화면에 내보내려면 C드라이브로 들어가서 찾아가는법밖에 없는 븅신프로그램이라 그냥 만만한 드라이브에 내보내자.

그 밑에는 확장자를 고를 수 있는데, 종류가 TGA, PNG, JPG 셋밖에 없다. 그리고 옆에 써져있듯 PNG, JPG로 내보내도 TGA가 먼저 렌더링하고 그걸
변환시키는 방식이라 두개가 한번에 내보내진다. 어쨋든 편집할때 원본 백업에는 좋으니까 엔간하면 삭제하지 말자.

이미지 사이즈는 마음대로 정할 수 있으며, 마음만 먹으면 4K크기로도 추출이 가능하다. 근데 내가 그짓해봤는데 추출만 4시간 걸리니까 하지마라.

그 외의 옵션을 건드려본적이 없기때문에 잘 모르지만, 이정도면 충분하다. Export Poster를 눌러 내보내기를 하면 된다.



캡처_2017_09_02_11_08_59_88.png

내보내기를 하면 이 화면이 나오는데, 위에서부터 그리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렌더링되는 과정이다.

1920x1080은 칸 수가 4개가 평균적이고, 이보다 해상도가 크면 그만큼 수가 늘어나는 식이다.



나처럼 컴이 안좋으면 가끔 렌더링 마지막 단계인 4칸 째에서 렌더링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면 시발 다시 내보내야된다 ㅅㅂ
진짜 그러면 개빡친다.


viewimage.php?id=2cb2d521e4df3d&no=29bcc427bd8077a16fb3dab004c86b6f24b7e12241bb1d95d386e9c32eba33832ce0d26ad94a91b85fbfeab48b464dcbbe2a66617edf0d26c2551ea886


깔끔하게 나온 킹갓 엠페럴 황제 에그맨님이시다. 원본크기로 확대해서 보면 굉장히 부드럽게 나온걸 확인 할 수있다.



근데 자기가 만든 사진이 이상하면 보정을 해줘야 할때도 있다.

소필메는 기본 색감이 정말 븅신같은지라 포샵질은 거의 필수적이긴 하다.



viewimage.php?id=2cb2d521e4df3d&no=29bcc427bd8077a16fb3dab004c86b6f24b7e12241bb1d95d386e9c32eba33832ce0d26ad94a91b85fbfeab48b464dcbbe2d3a3078de0d2590551ea886


열심히 보정해주자. 노오오오력은 배신하지 않는다.

나는 소필메로 이런걸 만들면서 포토샵도 같이 보정을 독학했다. 대신 졸라 미개하지만 말이다..



viewimage.php?id=2cb2d521e4df3d&no=29bcc427bd8077a16fb3dab004c86b6f24b7e12241bb1d95d386e9c32eba33832ce0d26ad94a91b85fbfeab48b464dcbbe7e6b3379d75825c7551ea886


어쨋든 완성. 배경이 조금 맘에 안들지만 전체적으론 마음에 든다. 소닉 꼴좋


바탕화면으로 쓰든 스팀 아트워크에 올리든 니가 만든거라면 맘대로 써라.





여기까지가 포스터를 만드는 과정이다. 굉장히 아쉬울수도 있지만, 영상 가이드는 내가 할지안할지 모르겠다.

나는 사진하고 영상 어느쪽이냐고 하면 사진전공이라 영상을 만드는데는 미숙하기 때문이다.

초보자가 자기도 못하는걸 가르치려 들면 보는 사람의 심정은 대체 어떠겠는가?



대신 나 대신 영상제작을 쉽게 알려주는 (링크)소필메 공식 유튜브 튜토리얼(한글자막 有)를 참고해라. 11편까지 내용에 따라 세분화되어있고, 
한글자막도 멀쩡한데다, 길이가 편당 6분밖에 되지않아서, 영상제작은 필요한것 봐도 원하는거 다 할 수 있다.

예전에 영상 몇개를 제작하다가 시간이 심하게 너무 많이들어서 포기하고 이런것만 만드니까

시간이 많은 우리 중붕이는 잘만들 수 있을거야ㅎㅎ






연재 가이드 1~2편 묻혔다가 개념글 올려준 사람들 너무 고마웠어~
덕분에 찍 안쌀 수 있었음 ㅎㅎ






----------------------------------------

SFM가이드 종류 재업 끝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2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80 일반 소필메 켜면 걍 시커먼 창이 뜨는데 이거 이유 아는사람??? [2] ㅋㅇㄹㅇ(175.197) 18.01.18 121 0
79 일반 커스텀 소리가 제대로 안넣어진다 광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8 145 0
78 일반 세핑 파티클은 어디에있음? [1] 광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8 101 0
76 일반 소필메 7일차 궁금한게 이써요 [2] 장윤성(221.151) 18.01.17 392 1
75 일반 여기에 소필메로 애니메이션 제작 가능한 사람 있음? [3] 귀두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7 274 0
73 일반 sfm어케봅니까? [1] 팔랑X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7 183 0
72 일반 토지니어 포징 [3] 선풍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5 180 0
71 일반 여기가 소스 필름 메이커 갤러리 인가요???? [1] Buzzfan1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5 180 0
70 일반 어제 그거 해결한 포징 [1] 선풍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5 220 0
69 일반 아 씨바 이거 어카냐 [2] 선풍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4 144 0
68 일반 그러고보니까 apeture로 먼거리만 블러로 처리하는 방법은 없나? [3] K-Chron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4 137 0
67 일반 신규 도발은 소필메에서 어떻게 씀? [2] 광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4 192 0
66 일반 ao 끄니까 되는데 또 다른 문제가 있음 [7] DEWI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3 180 0
65 일반 블렌더도 취급하냐? [3] 저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3 637 0
64 일반 저거 vmf 문제라고 올린사진 vmf 오류맞음 [1] 魔境(121.152) 18.01.12 201 1
62 일반 프로 애니메이터의 소필메 제작과정 [2] 빛나는보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2 350 1
61 일반 sfm 프로그램 써본적 없는데 [5] 야생마상훈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2 409 0
59 일반 아랫글 이렇게 한번 해바 [3] 빛나는보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0 187 0
58 일반 아 니미시발 [2] DEWI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10 246 0
57 일반 SFM 어디서 배우나 [1] 강강기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09 236 0
56 일반 소필메 제작자들 - KrasniyB (2) [1] 강강기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09 304 0
55 일반 만든거 다 [1] ee(218.49) 18.01.04 167 0
54 일반 소필메 제작자들 - KrasniyB (1) [2] 강강기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04 192 1
50 일반 그 포커싱 있잖아 [2] ㅇㅇ(182.216) 18.01.03 97 0
49 일반 짤 두개 만든거 [1] DEWI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1.03 193 2
48 일반 [5] ㅇㅇ(182.216) 18.01.01 207 0
45 일반 이번 색시는 뭐냐 [2] 강강기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30 139 0
44 일반 소필메 명작 [2] ㅇㅇ(175.223) 17.12.28 225 0
42 일반 짤 잘찍는법 [3] RIflem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6 309 0
41 일반 레포데 꿀잼 ^^ ㅇㅇ(222.99) 17.12.26 225 0
40 일반 소필메에서 멀티포커스는 불가능하냐? [2] DEWI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5 234 0
39 일반 소스포르노메이커 갤이생겻네 [2] ㅇㅇ(110.70) 17.12.25 288 0
38 일반 연습작 [2] ㅇㅇ(210.179) 17.12.25 185 0
37 일반 소필메 명작 [2] ㅇㅇ(222.99) 17.12.24 197 0
33 일반 [sfm]여자스카웃 걷기 [2] 빛나는보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438 10
32 일반 사실상 팀갤 짤쟁이들 멀티나 다름없는거 같다 [1] DEWI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193 0
30 일반 새대가리 5형제 [2] DEWI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180 6
28 일반 소필메 명작 [1] ㅇㅇ(222.99) 17.12.24 560 0
27 일반 오우 개꿀갤이네 Replik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135 0
26 일반 이거하면 퀄 좋은 여캐 만등수 있음? [3] ㅇㅇ(58.121) 17.12.24 267 0
25 일반 소필메는.. 이때 이후론..퇴물아니에여.? [1] ㅇㅇ(58.121) 17.12.24 263 3
24 일반 5. A Hat in Time 모자걸 SFM 모델 후기 [1] 도트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1423 3
22 일반 내가 썼던 SFM가이드 다 올렸고 모델후기는 재업안함 도트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190 0
21 일반 (재업)SFM 초보들을 위한 창작마당 모음집 만들어옴.workshop [1] 도트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1299 0
20 일반 (SFM가이드 번외 재업) 추천하는 SFM 창작마당 아이템 - 2 [4] 도트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3037 0
19 일반 (SFM가이드 번외 재업) 추천하는 SFM 창작마당 아이템 - 1 [1] 도트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3840 2
일반 (재업)4.SFM(Source FilmMaker)가이드 - 조명과 마무리 [1] 도트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4802 8
17 일반 (재업)3.SFM(Source FilmMaker)가이드 - 모델의 자세 [1] 도트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8164 6
16 일반 (재업)2.SFM(Source FilmMaker)가이드 - 카메라와 모델 [2] 도트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3162 4
15 일반 (재업)1.SFM(Source FilmMaker)가이드 - 창작마당과 맵 [3] 도트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2.24 5453 1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