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현대화된 테일러 준칙에 대한 고찰앱에서 작성

낭만숏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4.16 03:35:15
조회 4809 추천 47 댓글 22
														

23bcc322e4c375aa61b8d9f801d92d29eee0127860da25fa8d70a08cb42c58

2cf0c023f7c128a36dabdfa3139c2b33bd1288e1c281bdd1b4c29ece4538c705c50da3827d0b6bcff2dd29b3eac6344333878f4228607328c1f8144ecdb7

중립금리가 뭘까? 성장과 물가가 조화를 이루는 금리, 즉 인플레이션은 일어나지 않으면서 성장을 유지하는 금리를 의미한다 흔히 한국에서 통용되는 기준금리(=정책금리)와 중립금리 간 차이가 커질수록 물가에 상방압력이 발생하며, 이는 공급망 혼란과 탈세계화에 힘입어 가속화된 양상을 나타냈다(흔히 미중 패권경쟁으로 상품 측면의 보호무역만이 탈세계화로 정의되는데 노동력 이동의 자유화, 즉 이민정책이 반이민 성격을 띌수록 서비스를 중심으로 물가압력이 커진다)

20bcc834e0c13ca368bec3b90299767463c1734b3ccb32f906fec46cedee4740

준칙적 통화정책에 있어서 가장 유명한사람은 이사람이다 테일러는 이자율 측면에서의 준칙을 주장했는데, 프리드먼과 비슷한류의 주장이기도 했다 다만 차이점은 통화량 vs 이자율. 이때 말하는 중립금리=정책금리가 일치되는 시점에서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금리는 2%이며, 이는 테일러가 1993년 장기 잠재성장률을 2% 정도로 추정한데서 기인한다. 한편 학계에서 원론 수준에 통용되는 중립금리 역시 2%를 향해있는데, 이는 LW가 추정한 LS곡선, 필립스곡선 등으로 준구조화된 금리를 추정한게 2%였기 때문이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2540213f91f9a811e25da28b31a4d83cd0bd4d1ea568691143dcf196d7dd06c6b31

다음달 인플레이션 얼마정도로 예상되나? 싶을때 자주 찾아보는 Inflation Nowcasting을 제공하는 클리블랜드 연은에서는 인플레이션 추정치 말고도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cpi와 pce 외에도 인플레기대, 경제성장률, 간단한 통화준칙에 따른 금리를 제공하는데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2540213f91f9b891e24da28b31a4d83a0c296221c0a22c358296299ba91e4ee79d2

거기 들어가보면 이런 그래프가 나온다 여기서 단기금리차 및 조사(SPF) 방식대로하면 올해 1월에는 6.64%, 내년 1월에는 3.38%의 금리를 책정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오고 의회예산처(CBO) 기준대로면 올해 1월 5.67%, 내년 1월 2.58%가 나오는 그런식이다

2cf0c023f7c128a36dabdfa3139c2b33bd1288e1c281bdd1b4c29ece4538c705c50da3827d0b6bcff2dd29b3eac6344333878f4228607328c1f8144ecdb7

하지만 이 그래프를 다시봐보자 3%에서 고정된 선은 중립금리며, 하늘색 선은 연준의 연방기금금리, 즉 한국식으로 말해 기준금리였다 2010년 들어 연준은 자기들이 한참 양적완화 그만두자면서 정리들어갔던 2018년에도 적어도 중립금리보다는 낮은 금리를 나타냈다 이쯤에서 내가 뭔가 약을 판다는 조짐을 느꼈다면 문해력이 좋은거다 난 분명히 테일러의 장기 잠재성장률 2%를 기초로 해서 중립금리가 2%라거나, LS곡선이나 필립스곡선 등의 가정에 기초해 분석한 중립금리가 2%라고 소개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Reinfschneider와 Williums는 장기 실질정책금리 평균에 기초해 중립금리가 2.5%라고 밝혔고, 통화와 신용이 장기적으로 실물경제에 중립적이라는 통상적인 견해와 달리 연준을 비롯한 중앙은행들은 경기가 불황에 빠진 국면에는 더 빠른 속도로 금리를 내렸고 호황인 국면에는 더 느린 속도로 금리를 올렸다 이는 인플레이션 국면에도 마찬가지였다(그래서 폴 볼커가 재평가받는거고) 그 결과 가계신용과 gdp 등에 갭이 발생하게 됐고, 이는 장기 중립금리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게 저기서 말하는 3% 중립금리라는 설명이다

29b2c728e9dd39a226ee9ffb1cc1213a26d66b84a2742fea4b2c

작년 숏충이들이 칭송하는 불라드는 여기에 약간 이견을 가지고 있었다(그리고 현대화된 테일러준칙을 발표하던 당시 그는 비둘기파였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2540213f9189e811d2bda29b5074f898bdc9cec249012f91946a0664fffc1cc2a9c6220af04a8fcc262

불라드가 말하길 실질금리는 1993년 테일러가 주장한 수치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왔다 이는 인구구조와 생산성, 그리고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 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런 단기 실질금리의 장기 시계열을 30년으로 펼쳐놓고 보게되면 꾸준한 하락세가 관찰되며 단기실질금리를 아주 명확하게 측정하는건 불가능하다 좀 구체적으로 말해 실질금리를 시장이 판단하게 둔다면 균형점을 찾아 이동하게 되겠지만 이렇게 되면 불황기에 통화정책 차원의 정책대응이 안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단기실질금리는 불라드 말마따나 1년 만기 명목 국채금리에서 12개월 물가상승률을 뺀다면 어느정도 근접하게 구할수 있게된다 이는 다시말해 탈세계화 이슈가 심각해지기 이전인 2018년만 해도 (중국을 필두로한 자유무역의 영향에 기초한 긍정적인) 인구구조와 생산성의 영향으로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이 높아지지 않았던 이유가 설명되게 되는것이다(2020년 출간했던 인구 대역전에서 필자들은 이렇듯 노동인구의 급증이 인플레 하방압력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2540213f9189f8f1d24da29b5074f896ef440420662a418c0f4dd31a4e9e4a32d05496886e43d9d202b

또 위와 같은 이유로 필립스곡선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현상이 발생했다 흔히 필립스곡선은 인플레와 실업이 단기적으로 음의 관계(즉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고 정의되는데 어쩔때는 양의 관계를 가진다거나, 아니면 딱히 의미가 없는 관계를 가졌던적도 있었다는거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2540213f9189c881e2ada29b5074f894888ea5bb585f3602ee66ef36f398a9d8a5b105c4f01a38f6e5f

그래서 불라드는 물가채 시장을 고려해 '현재의' 물가가 아닌 기대인플레를 기초로 테일러준칙 기준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는 기존 테일러 준칙이 가진 변수의 모호성을 제거하는데 큰 기여를했다 이는 당시로써는 Dovish하다고 평가받던 불라드의 평가와 부합하는 주장이었다 왜냐하면 연준은 (당연한 얘기겠지만 팬데믹 이전이었다) 현재의 경제상황과 여러 변수를 고려할때 당시보다 높은 금리를 선호했고 불라드는 내가 생각하기에는 굳이 지금 금리 안올려도 될거같은데? 하는 비둘기적 멘트를 구체화한 주장을 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주장은 2021년 이후, Harkish한 주장으로 변화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했다

0ba9c232cadc129e619ef3e22cdb1e73f13ae4061786670f4e380417a8f26a

지금, 미시간 기대인플레 데이터를 보자 불라드는 연말과 연초 9월보다는 상당히 Dovish하다는 인상을 주는데 충분한 코멘트를 남겼다 당시만해도 불라드는 최종금리를 7%까지 '공격적으로' 인상하자고 주장했는데, 갑자기 디스인플레이션을 언급했기 때문이었다 현재의 데이터를 종합해볼때 2월만 하더라도 연준 회의록에서 디스인플레이션 발언을 고집했던건 파월 뿐이었고(당시 회의록엔 인사들의 디스인플레이션 발언이 없었다) 그보다도 이전이었던때 불라드의 디스인플레이션 발언은 기대인플레의 둔화에서 비롯됐던것이라고 보는게 지금 이글을보나 당시 데이터를 보나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불라드가 현재 데이터를 봤다면 불라드를 비롯한 매파들은 선제적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할 가능성이 크다 현대화된 테일러 준칙의 교훈 때문이다




요약

1. 테일러준칙은 잠재성장률과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반영하는데 최근(~2019) 들어 잠재성장률, 기대인플레의 하락과 필립스곡선의 비효용성은 테일러준칙의 수정을 요구했고 그 결과 불라드는 현재 인플레 데이터가 아닌 기대인플레를 중심으로 변수의 모호성을 제거했다

2. 하지만 디커플링과 보호무역 기조 강화, 그리고 중국의 고령화로 상당히 높아진 노동인구는 다시 감소할 차례에 도달했고 이는 앞으로 인플레 하방압력의 감소와 보다 높아진 장기 실질정책금리 형성을 촉진할 가능성이 크다

3. 그리고 가장 최근 기대인플레는 상승했고 이는 현대화된 테일러 준칙을 주장한 불라드를 중심으로하는 매파가 연준에서 선제적 대응을 요구(즉 금리인하를 미루고 금리인상을 지지)할 가능성을 높인다

추천 비추천

47

고정닉 10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806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2807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7190571 공지 브로드컴 어닝 & 어닝콜 총정리 - BY 유사남 유사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3 238 2
7165186 공지 이번 주 Oracle Earnings Breakdown, FOMC 회의 버클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0 1569 0
7041636 공지 주린이를 위한 정보글 (계좌 개설혜택 등) [3] 힘들지만이겨내보자(106.101) 24.05.19 7116 23
6973340 공지 주요 ETN ETF 리스트 [7] q1w2e3r4t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06 9681 41
6780803 공지 완장호출벨 [157] q1w2e3r4t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03 5452 2
6776281 공지 [유사남] 뉴비들 위한 CPI PCE PPI 지표 읽는 방법 [5] 버클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02 7391 10
5703816 공지 미주갤 운영규칙 (23.05.08 수정) [22] 강현수차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8 28932 15
5680592 공지 금일 프장 열리는 17:00부터 닉언급 및 좆목 7일 차단 시작합니다. [40] 강현수차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4 18173 31
7194007 일반 nvd3사라고좃병신들아 ㅇㅇ(59.16) 22:49 7 0
7194006 일반 애플 어제처럼 파악 쏘질 못하네... 잘되게해주십시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9 3 0
7194005 일반 테슬라랑 엔비디아는 같이 오를 수 없다 ㅇㅇ(211.36) 22:49 2 0
7194004 일반 ㅆㅂ 남들 다 잘오르는데 일라이릴리만 조루네 버풍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9 4 0
7194003 일반 증시가 좋은게 아님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9 16 0
7194002 일반 와 십 ㅋ 매일 오르네 ㅇㅇ(39.7) 22:49 14 0
7194001 일반 아니 방금 속스 손절햇는데 왜 오르냐?? ㅇㅇ(118.235) 22:49 5 0
7194000 일반 190 못가게 존 나 쳐누르네 ㅋㅋㅋ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9 14 0
7193999 일반 버티브 수익 인증 에휴... 대가리 깨진세끼들 또 안삿지? 버티브게이(1.222) 22:49 27 0
7193998 일반 arm 1000달러간다 ㅇㅇ(106.101) 22:49 7 0
7193997 일반 나스닥 역사적 고점에 롱을 치기 두렵다면 예비대학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9 35 0
7193996 일반 이제 ai버블 초기 진입이냐??? 아벨두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9 17 0
7193995 일반 TSLL << 10달러에 매도걸고 자면 되지? ㅇㅇ(114.199) 22:49 11 0
7193994 일반 대황마소 미친 반등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9 6 0
7193993 일반 외국인들은 자기 혈액형도 뭔지 모른다는데 진짜임? [1] 워아이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9 4 0
7193992 일반 arm 4월네 주운새끼들 벌써 1루타 직전... ㅂㅈㄷㄱ(110.15) 22:49 12 0
7193991 일반 나스닥만 빨갛고 다 파란 거 ㅈㄴ 희한하노 ㅋㅋㅋㅋ [1] ㅇㅇ(14.33) 22:48 33 0
7193990 일반 노슬라 또 190 도젼 [1] ㅇㅇ(218.52) 22:48 5 0
7193989 일반 에너지주 <<- 오늘 사형 선고일임? [3] 뉴턴참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8 48 0
7193988 일반 콜라 사려고 하는데 오늘이 배당락일이냐 ㅇㅇ(180.64) 22:48 7 0
7193987 일반 브로드컴 주포 누구냐 십년아 ㅇㅇ(114.199) 22:48 33 0
7193986 일반 ARM 이 미친놈 저번주부터 무한양봉세우면서 가네 ㅇㅇ(211.109) 22:48 12 0
7193985 일반 옥시산 븅신은 레전드노 ㅋㅋㅋ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8 18 3
7193984 일반 arm << 이새끼 제2의 엔비디아 맞음 ㅋㅋㅋㅋ ㅇㅇ(106.101) 22:48 33 0
7193983 일반 soxl 와 떠러지노 ㅅㅂ [1] ㅇㅇ(223.39) 22:48 41 0
7193982 일반 앤비 130을 못 넘네 ㅇㅇ(118.223) 22:48 23 0
7193981 일반 아니 시발 시드 반토막 낫네 ㅇㅇ(118.235) 22:48 51 0
7193980 일반 도지코인 수익인증한다. [2] 월가의영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8 55 0
7193979 일반 오늘도 씹모드 2주 매수 여름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8 19 0
7193978 일반 브로드컴 뭐냐 30-40% 찍겠네 ㅇㅇ(196.240) 22:48 53 0
7193977 일반 엔비디아 129에 뭐 걸려있냐 [2] 엔비디아 짱(1.225) 22:47 65 0
7193976 일반 드디어 대폭락이 점점 다가오는구나 [2] 가치투자자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7 116 0
7193975 일반 노비디아 130이 세력들 마지막 자존심이냐? [2] ㅇㅇ(39.113) 22:47 92 0
7193974 일반 arm 장대양봉 ㄷㄷㄷㄷㄷㄷ ㅇㅇ(106.101) 22:47 14 0
7193973 일반 "채권"의 시대가 온다 예비대학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7 27 0
7193972 일반 노비디아 말곤 다 쓰레기 ㅇㅇ(222.118) 22:47 8 0
7193971 일반 M7인데 안 오르는 그런 새끼들은 뭐함??? ㅂㅈㄷㄱ(110.15) 22:47 16 0
7193970 일반 엔비 올라갈 힘이 없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7 50 0
7193969 일반 좆비디아 시발 맨날 공방젘 이지랄하다 뚫잖아 ㅇㅇ(222.238) 22:47 18 0
7193968 일반 arm << 미친놈 ㅋㅋㅋㅋ ㅇㅇ(118.235) 22:47 45 0
7193967 일반 와씨발 arm 어디까지 가는거냐 ㅋㅋㅋㅋㅋ ㅇㅇ(118.32) 22:47 46 0
7193966 일반 삼비디아 다 좋은데 치명적인 단점을 발견함 IST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7 36 0
7193965 일반 프로셰어즈는 당장 반도체 3배 ETF 만들어라 ㅇㅇ(118.235) 22:47 18 0
7193964 일반 브로드컴 하따 자리좀 줘바라 ㅋㅋㅋㅋㅋㅋㅋ 이주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7 42 0
7193963 일반 미장 4개월만에 4000에서 1억 찍음 [4] Y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7 162 0
7193962 일반 테슬라 190에서도 이렇게 뿅망치쳐맞는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7 46 0
7193961 일반 애플을 사라, 그리고 수면제를 먹고 자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6 37 3
7193960 일반 엔비디아는 그런거 몰라 씨발ㅋㅋ 주붕이(183.108) 22:46 90 0
7193959 일반 엔비 130층 벽 뚫는게 쉽지는 않네. 공방전 계속 엔슬람(124.5) 22:46 29 0
7193958 일반 나스닥 시작하자마자 신고점 갱신 잘되게해주십시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6 5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