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여행·시승] [20230902] 서울 ~ 안동 시내버스 여행

아성천마GFRIEN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9.04 23:08:50
조회 1947 추천 26 댓글 6
														


오랜만에 장거리 시내버스 여행 가보네요.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c34a8b86e55479aa71cc4101ea2648500100d8ac2ee3211b5d74a8edcfd7b9ae5073bbc24

프롤로그: 서울경부행 고속버스


승차: 2135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하차: 0024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까지 올라갈 때는 동대구발 서울경부행 21:20 차량을 타고 올라갔습니다.


서대구까지 250 - 2호선 - 3호선 루트로 갔으며, 서대구에서 서울까지 휴게소 무정차로 2시간 49분이 소요되었습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f670bd3ea8a312e59aa42d69

1. 서울 N75번


승차: 0050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정류장

하차: 0110 숭례문


이번 여행의 첫 시작은 서울 N75번으로 했습니다.


사실 452번 막차로 시작해서 복정으로 간 다음 반디1번을 타도 되긴 하는데, 이번에는 좀 색다르게 가보고자 N75번을 탔습니다.


아무리 서울버스라지만 심야라 교통량이 적어 고속터미널에서 숭례문까지 20분 만에 갔습니다.


이후 서울버스 숭례문 정류장에서 경기버스 숭례문 정류장까지 조금 걸어갔습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f121b93cfaaf4bbb9aa4cc77

2. 용인 4101번


승차: 0129 숭례문(출발 0130)

하차: 0242 한숲6단지


이후 4101번을 탔습니다. 0129에 숭례문으로 정류장이 들어왔고 승객만 태우고 바로 출발했습니다.


버스는 평범한 속도로 기흥을 지나 천리 등을 지났고, 성인들은 천리농협 근처 카페 이용이 가능하지만 학생들은 그 카페 이용이 안되기 때문에 한숲시티까지 갔습니다.


한숲시티에 내리고는 출출해서 라면을 간단하게 먹었고, 이후 스터디카페에 갔습니다.


3. 공공스터디카페


약 1시간 30분 동안 머물렀습니다. 이후 4시 40분 쯤에 나와서 이 닦고 세수하고 오줌누고 준비를 마무리하고 다시 정류장으로 나왔습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a126bc69abf91bed9aa4df56

4. 용인 4101번


승차: 0502 한숲5단지

하차: 0512 송전터미널



이제 22-1을 타기 위해 다시 4101을 타고 한숲시티를 빠져나왔습니다.


10분 동안 가서 22-1과 만나는 첫번째 정류장인 '송전터미널'에 내렸습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a573e939ffae1aeb9aa4ce2e

5. 용인 22-1번


승차: 0527 송전터미널

하차: 0559 구.안성터미널


이후 5시 27분에 송전에서 22-1번 첫차를 탔습니다. 지난번 서울 - 부산 갈 때는 저상버스가 왔지만 이번에는 고상버스가 왔습니다.


속도도 지난번과 다르게 그냥 평범하게 갔습니다.


가는 내내 잠이 오더라구요. 일단 5시 59분에 구.안성터미널에 내렸습니다. 이후 6시 37번 첫차를 이용할 수도 있었지만 다음 차를 타도 충분히 남기에 그냥 다음 버스 탔습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a527ed68f9ae4cec9aa431e6

6. 안성 37번


승차: 0628 구.안성터미널(출발 0630)

하차: 0731 다리앞


이후 안성 37번을 타고 갔습니다. 이 때는 지난번과 같이 흔한 뉴슈퍼 저상버스가 왔습니다.


죽산에는 0656 쯤에 도착하고, 이후 일죽을 지나 장호원 다리앞에는 0731에 내렸습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f07cee6aaea91ebf9aa4930a


7. 도보(1.5km)


출발: 다리앞

도착: 감곡농협


참고로 도보 거리가 왜 1.5km가 되었냐면, 오줌이 마려워 감곡터미널까지 갔다왔기 때문입니다. 오줌이 안 마려우시다면 그냥 바로 감곡농협으로 가시면 됩니다.


감곡터미널에서 볼일 보고 근처 편의점에서 간단하게 아침 식사를 하고 감곡농협 정류장으로 갔습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f37ce739a8ff1bec9aa44c71

8. 충주 413번


승차: 0830 감곡농협(0840 출발)

하차: 0948 충주터미널


노은면을 거쳐 충주로 가는 충주 413번 입니다.


이 버스는 시계외요금을 받기 때문에 반드시 탑승시 행선지를 말씀하고 타셔야 합니다.


역시 가는 내내 졸렸고, 1시간 이상 가야하다 보니 그냥 가만히 바깥의 경치만 보고 있었습니다.


감곡에서는 혼자 탔지만, 중간중간부터 승객이 타기 시작하더니


결국 중앙탑면가서는 꽤 좌석을 점유하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이 버스는 조금 돌아갔습니다.


그리고 9시 48분에 충주에 도착했습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ac27be3caafa12bc9aa40a77

9. 충주 245번


승차: 0958 충주터미널

하차: 1059 미륵리


10분 만에 미륵리로 가는 245번이 왔습니다.


충주시내를 통과할 때 시간이 좀 걸렸고, 이후 3번 국도를 따라 살미와 수안보를 거쳤습니다.


참고로 수안보에서는 연풍-괴산행 농어촌버스와 연계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수안보부터는 본격적인 산지로 들어가기 시작하여 월악산국립공원 내부로 진입했고, 월악산 내부의 풍경이 보기 좋았습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f670e93fabfd13e89aa43fbd


이후 미륵리 월악가든에서 점심을 먹었습니다. 참고로 앞에 있는 지갑이 제 지갑입니다. 산채비빔밥을 먹었는데, 가격은 10000원 합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a770ed38faaf18bb9aa44045

이건 비빔밥 시키면 같이 나오는 된장국입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f674ef3eacaf4ce49aa47c2e

10. 도보(3.5km)


출발: 1125 월악가든

도착: 1250 포암


참고로 1시간 25분이나 걸린 이유는 빠르게 가기 보다는 중간에 몇몇 문화재나 계곡 등을 보면서 천천히 갔기 때문입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ac75e83faea913e99aa47332

처음에는 이런 상태의 길입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f376eb6aaaf818ef9aa48df1

이 탑이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이라고 합니다.높이 6m의 오층석탑으로, 받침돌과 기단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f623bd69aaa818ec9aa4861b

미륵사지 불상입니다. 2014년부터 공사하는데, 2023년 11월까지 계속 공사한다고 합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a773ee6ff9fd1de59aa4e0a2

두 지점을 잇는 교량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f675ba38abfa4bb99aa46acc

입구에 있는 문화재 다 둘러보고 등산로 시작점에 왔습니다. 여기서 시경계까지는 1.8km 정도 남았다고 하며, 여기서 좌측으로 가면 등산로가 시작됩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ad76eb6aadab1cb89aa42fe1

등산로 시작점은 대략 상태가 이렇습니다.


viewimage.php?id=39afd128f6db2c&no=24b0d769e1d32ca73dea8efa11d02831c5a13172a783ed9d276af018494b34a8e8fb152309986fe5af13bc44fe3796bbda758f9b74c5a527bb38acff12ed9aa4362f

하늘재는 아달라이사금 3년(서기 156년) 4월에 만들어진 한국 최초의 고갯길이라고 합니다. 원래 조선 초까지 중요성이 높았으나, 조선 태종이 문경새재길을 내면서 그 영향력과 상징성이 많이 축소되었다고 합니다.


1bb4d423eaf139b67aaac4b02983746f68a35e08b7d80905afa6a5bc1d7d64d2658c72dafcf76dde566b203303

조금 가면 이런 상태의 길이 나옵니다.


1bb4d423eaf139b67aaac4b02983746f68a35e08b7d80905afa6a5ba1d7d64d2464741d4ddd8acde6fefe609

이쪽이 역사 및 자연관찰로 탐방로이며, 저는 이쪽으로 갔습니다. 이쪽으로 가면...


7fed8275b58b68f451ee87e04f84747363cd7119a0e9a7d9d37876a3b4b83ab8

이런 상태의 길이 나옵니다.


7fed8275b58b68f451ee84e5438171736d557c3c4a6452fede198da124eafab7

이러한 계단도 나옵니다.


7fed8275b58b68f451ee84e445837573026c1ca84f1438c89d3aa48429870593

여기가 나온 다면 역사/자연관찰 탐방로 종료라고 보시면 됩니다.


1bb4d423eaf139b67aaac4b02983746f68a35e08b7d80905afa9a1b91d7d64d285628511bf08f5fa6a402141

이후에는 평범한 등산로입니다.


1bb4d423eaf139b67aaac4b02983746f68a35e08b7d80905afa9a1b61d7d64d22bda4d7382242d197859e8d9


다시 돌 등산로가 나오다가...


사진은 없지만 흙 등산로가 나오면...


7fed8275b58b68f451ee84e6428177735f90e76ad8c24c0f7d0c52fd10b53569


이렇게 문경시로 넘어갑니다.


7fed8275b58b68f451ee84e6428472734acfce8a2705dbb4f52bc3c32e2277bf

백두대간 하늘재 비석


1bb4d423eaf139b67aaac4b02983746f68a35e08b7d8090aaaa1a1b61d7d64d289e151a50a8b513437bca6412e

그리고 이렇게 계속 흙 등산로를 따라가면...


1bb4d423eaf139b67aaac4b02983746f68a35e08b7d8090aaaa1a2bd1d7d64d2a9580b3c8e63e7b8d9b329c7d5

다시 도로가 나오며 여기를 조금 걷다 보면...


7fed8275b58b68f451ee84e14e857573f3aea76910c3d5526b4aa88adf1a9f73

문경시 포암 정류장이 나오며 여기서 도보 끝 지점입니다.


7fed8275b58b68f451ee84e04681747d6b4d1d65da1cdb429f44dcbe4f307b650757d17f

11. 문경 20-1번


승차: 1250 포암(출발 1315)

하차: 1438 점촌시내버스터미널


정류장에 오자마자 바로 버스가 들어왔습니다.


올 때는 문경 24번으로 오다가 나갈 때는 20-1번을 달고 나갑니다.


그리고 1310이 되어도 출발 안하다가 5분 후 출발합니다. 출발하자마자 잠들었고... 깨어보니 작은 마을이었습니다.


그리고 3번 국도를 따라가다가 결국 1420 풍양행은 놓쳤고... 시내 들어오기 직전 다시 잠들었다가 깨니까 점촌시내버스터미널이었습니다.


도착해도 안내리자 기사님도 도착했다고 깨우셨고, 그제서야 일어나 급히 하차했습니다.


1bb4d423eaf139b67aaac4b02983746f68a35e08b0d8080ba9a0a5ba1d7d64d252e9ff4d3740a6873edd43c0

12. 문경 73번


승차: 1459 점촌시내버스터미널(출발 1500)

하차: 1543 풍양정류소


이제 15시 차량을 타러 갔는데 출발 1분 전이 되어도 기사님이 안나타나길래 걱정했지만... 1분 전에 기사님이 와서 저 포함 2명을 태우고 갔습니다.


시내터미널에서 탄 1명은 시외터미널에서 내리셨습니다. 그리고 중앙전통시장에서 승객 2명이 탑승하시고


그대로 하풍리까지 갔습니다. 그리고 낙동강을 건너며


1명은 하풍리에서 내리시고 1명은 풍양면사무소에서 내렸습니다. 저는 종점까지 갔습니다.


1bb4d423eaf139b67aaac4b02983746f68a35e08b0d8080ba9a3a1bc1d7d64d20190e6e1a7730cc6289501bd

13. 예천 무번호


승차: 1553 풍양정류소(출발 1600)

하차: 1624 지보정류장


좀 기다리자 바로 버스가 왔고 타고 갔습니다. 해당 버스가 오기전 상주행 버스가 와서 승객 1명을 태우고 갔습니다.


그런데... 날이 더운데 기사님이 에어컨을 안틀더라구요... 그래서 아주 덥게 갔습니다.


가는 길에 잠시 의성군 다인면 용곡리도 거쳐 다시 낙동강을 건넜습니다.


이 버스는 우망리 등을 거쳐 좀 지보까지 다소 걸려 갔는데, 그래도 예천읍내까지 가는것보단 덜 걸려 지보에서 내렸습니다.


1bb4d423eaf139b67aaac4b02983746f68a35e08b7d80a01aaa0a2b81d7d64d2793483276477fa98fdfa095d

14. 예천 무번호


승차: 1707 지보정류장

하차: 1728 구담정류소


버스를 안 찍어 부득이하게 풍경 사진으로 대체합니다.


여기서 중요합니다. 여기서 예천여객이 평범하게 간다면 구담에서 1730 안동행을 잡을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1730 안동행 211을 놓치게 됩니다.


그리고 이 기사는 명당석 착석을 제지하셨습니다.


중간중간에 승하차객이 좀 있어 불안에 떨었으나, 그래도 1730 안동행 211과의 연계는 성공하셨습니다.


1bb4d423eaf139b67aaac4b02983746f68a35e08b0d8080ba9a3a2bc1d7d64d27810b47d4c5be0c790b769d1

15.안동 211번


승차: 1728 구담정류소(출발 1730)

하차: 1756 안동터미널


이 날의 마지막 버스입니다!


내리자마자 바로 안동행 버스를 탔고, 얼마안가 출발했습니다.


초반에는 승객도 없어 2차로 도로에서 아주 빠르게 달려 풍산읍내에 무려 13분 만에 진입했고,


이후 34번 국도에서도 빠르게 달렸지만 승객이 꽤 있어 풍산까지의 속도만큼은 못냈습니다.


그래도 18시 이전 안동터미널에 도착했고, 그렇게 성공했습니다!


7fed8275b58b68f451ee8ee547837573b32cf7ba65b2b630957dff21b3f6d05e

에필로그:대구북부행 시외버스


출발: 1815 안동터미널

도착: 1955 대구북부터미널


복귀는 1815 대구북부행 버스로 했습니다.


이 버스는 의성을 거치기 때문에 직통에 비해 오래걸렸고, 다행히 의성까지는 35분 만에 갔습니다.


그리고 의성에서 5분 대기 후 다시 대구북부로 출발했고, 칠곡IC에서 몇명 내려주고 대구북부까지는 정확히 1시간 40분이 걸렸고,


이후 화장실 빠르게 다녀왔습니다.


이후 250 타고 바로 성주로 복귀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베스트>

1. 가는 길이 명품이던 충주 245번

2. 하늘재의 수려한 풍경

3. 친절했던 문경 20-1번 기사님

3. 무사히 구담행 버스와 연계 성공시켜주신 예천여객 기사


<워스트>

1. 충주 413번의 창렬한 시계외요금

2. 5분 늦게 출발한 문경 20-1번

3. 에어컨을 안틀고간 예천여객 9315호 기사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6

고정닉 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784195 공지 완장 호출벨 (주)본전려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28 14463 28
790974 공지 교통갤러리 이용규칙 (2025.02.18) (주)본전려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2.18 1546 14
790976 공지 교통갤러리 이용안내 및 도움말 (2025.02.18) (주)본전려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2.18 968 13
796813 공지 교통갤러리 오픈채팅방 사용방법 (주)본전려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08 707 12
717366 공지 자기가 뜬금없이 이상한 사유로 차단을 당했을때 대처법 [3] 교갤용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24 8998 30
780779 공지 차단단어 설정방법 [5] ㅇㅇ(116.126) 25.01.16 2934 30
800596 공지 [공지] 교통갤러리 영구차단자 신문고 + 영차자 리스트 정리 [16] (주)본전려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20 1424 7
812205 일반 이용주 ㅇㅇ(118.223) 11:11 1 0
812204 일반 제천 박달재고개 유래 ㅇㅇ(59.31) 11:09 7 0
812203 일반 노친네들은 [1] (주)꼽사리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7 43 0
812202 일반 태국 방콕 미나미아소미즈노우마레루사토하쿠스이코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7 41 0
812199 일반 전장연이 이런데 건들면 인정한다 ㅇㅇ(175.209) 10:48 130 4
812198 일반 잉여예비차 서울시가 매입해서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1 108 1
812196 일반 5002는 올라가는것도, 내려가는것도 만석이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6 148 2
812195 고전짤 토픽 마을버스 ㄷㄷ [12] 디시최연소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9 305 2
812194 일반 어제 밤 경기고속 1150번 판교ic에서 판교톨게이트로 빠지는곳에서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6 149 2
812193 소식· 서울) 시내버스 잉여예비차량 감차 재요청 [4] 29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7 314 0
812192 일반 아산에 일렉시티 좌석형 있음? [2] 보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257 0
812191 소식· 서울하프마라톤 김포 버스 임시 정차 및 우회 운행 안내 [1] 푸끄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7 116 0
812190 일반 스크 ㄹㅇ 좆됏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6 293 0
812189 일반 홍콩 버스 위키 보니까 내용 ㅈㄴ 부실하네 [6] 센카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8 209 0
812188 일반 ??? : 배차길어? [1] 아틸리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5 218 0
812186 일반 m5556이랑 KTX랑 같은 회사임? [3] ㅇㅇ(218.153) 08:52 311 0
812185 일반 이거 백 퍼 오류지? [2] 슈거1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9 217 0
812183 일반 삼화고속 스크팬7일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9 290 0
812182 일반 유일한 서울 미경유 대광위도색 광역버스 [9] 션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5 534 2
812181 사진· 1990 아시아 록스타 목격 [3] 춘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1 267 1
812180 일반 g2001 1386 [7] 김찌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4 300 1
812179 일반 112 전기 투입 그나마 가능한 차종 슈거1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 276 0
812178 일반 ○○○3 [5] 가리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 155 0
812177 일반 천일고속 신차 [5] NACF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491 3
812176 일반 왜 6량으로 운행하는지 이해가 안되는 노선 [5] ㅇㅇ(112.170) 07:54 532 0
812175 일반 M7111,M7154 이게 연대앞(신촌)갈때는 여전히 좋은 노선이라… [3] ㅇㅇ(119.195) 07:51 191 1
812174 일반 ㄱㅇㅇ) 천주교 신자로서 상당히 유감입니다......... [24] 삼부자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6 750 7
812173 일반 지하철역 카드 태그시 당역재승차가 뜨는 이유가 뭐야? [3] 한솔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77 0
812172 일반 3분요리를 내손으로 하게 될줄이야..(김포 4번) [6] 짬뽕해장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50 545 0
812171 일반 [가상] 구리 마을버스 9번 노선(안) [2] 고통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9 249 0
812170 일반 근데 동탄에서 오산이 가깝냐? [7] 으아(210.222) 02:31 374 0
812168 일반 시내바리 뛰기에도 도시형보다 고속형이 편함? [7] 프레스티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209 0
812167 일반 주말 오전에 전 차량 만석 찍는 광역버스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8 734 1
812166 일반 AI한테 BS109에 대해 물어보았다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0 511 0
812165 일반 인천 511 대체 노선 관련 근황 [4] 요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9 498 4
812164 일반 챗GPT 드립보소 ㅋㅋㅋㅋ [7] 1018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520 1
812163 일반 921 뭔데 아직까지 다님...?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692 1
812161 일반 ㅋㅋㅋㅋㅋ 친구들 각자집가는 버스 다 맞추면 [2] 팔달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0 288 1
812160 일반 부산 우진공항버스 -> 부산공항여객 면허 조회를! 해본 나 [3] 뭉탱이로있다가유링게슝아이그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6 254 1
812159 일반 천안 -> 인천 (정규타임 협정) [1] ㅇㅁㅇ(183.102) 00:46 433 3
812158 일반 오늘자 쉰 [3] 매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2 394 0
812157 일반 ㄱㅇㅇ?) 와 씨 잣될뻔했네 [12] 랜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753 4
812156 일반 내년 지방선거 결과 경기도 버스 더 퇴보할까 나아질까 [1] ㅇㅇ(211.235) 00:32 197 0
뉴스 김민희-홍상수, 신생아 아들과 함께한 따뜻한 외출 포착…‘세 식구’의 평온한 일상 디시트렌드 04.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