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간 포격 명중율 (최종수정 : 16년 8월 12일)
- 명중율 : 명중항 - (회피항-A) , 실명중율100% = 명중율100
ㄴ A : 82.5*(0.8-남은 연료비율) , 남은 연료비율이 0.8이상이면 0.8고정
- 크리율 : 0.125*sqrt(명중율)+0.01, 명중율 상한 97%(숙련도 예외)
명중항 : (93 + sqrt(Lv - 1)/50 + 보정(장비, 운, 개수, 숙련))*진형보정*피로도보정
보정 : 운(1당 0.15), 장비(1당 1)
숙련도(공폭기 및 수상폭격기 한정. 명중캡보정이후 적용. >>기준 1대당 10), 개수(일부 장비 한정. 효과는 sqrt(개수), 수량이 늘어나면 합산)
피로도(제독업무 기준 53이상 20%보정, 23~32이하 20~25%패널티, 22이하 50%패널티)
회피항 : (회피치+보정(장비, 운))*1.167*진형보정*피로도보정*연료보정, 단 결과값이 50이상일시 회피항 = (회피항*100)/(회피항+50)
보정 : 장비(1당 회피치1), 운(1당 0.15), 피로도(제독업무 기준 53이상 80%보정, 23~32이하 20~25%패널티, 22이하 불명)

- 진형, 연료
ㄴ 복종진&제형진&단횡진은 명중항에 20% 보정, 야전에서는 단종>복종>제형&단횡순대로 명중이 높다
ㄴ 윤형진은 회피항에 15% 보정, 단횡진&제형진은 회피항에 25%보정(단횡진일 때 적 진형이 제형, 단횡인 경우 회피항에 45%보정)
ㄴ 복종진은 단횡에 대해 명중보정 없음, 단횡진은 제형진에 대한 명중보정 없음, 제형진은 단종진에 대한 명중보정 없음
ㄴ 연료80%미만시 회피에 패널티
- 영향없거나 미약 : 색적전, 잔탄량, 속도
- 기타 : 명중율 캡은 97%
- 강화, 숙련도, 특수공격
ㄴ일부 장비의 강화는 명중에 영향(영향주는 장비의 경우 sqrt(강화계수)식대로 따름)
ㄴ공격기, 폭격기, 수상폭격기의 숙련도가 증가할수록 항공전(만숙 4개 기준 15%) 및
포격(공습포격 한정)전(만숙 1개당 6~7%)의 명중율 높아진다
ㄴ연격은 약간의 명중보정, 야전 컷인은 높은 명중보정
- 장비
ㄴ철갑탄+대형주포 착용시 명중에 추가보정을 받으며 중형주포는 보정이 변화한다(공식언급)
ㄴ야정발동시 10%명중보정
ㄴ중항순은 20.3포, 3호포중 하나를 1개이상 사용시 야전 10% 명중보정 및 5~10%의 회피보정을 받는다
ㄴ반면 2호포등 그외 포를 끼워 쓸 시 저 보정중 명중을 그대로or 약간 적게 받는다
(그대로인지 약간적게인지 확인하기에 모수부족, 회피는 검증 없음)
- 피로도
ㄴ피로도에 영향안받음 : 피트 및 과적, 운, 강화에 의한 명중항 변화(장비명중은 받음)
ㄴ피로도53이상시 명중&회피 증가, 32이하 주황피로도 패널티, 22(?)이하 빨강피로도 패널티
ㄴ53이상시 포격(1.2배 명중항 곱셈보정), 포격회피(약 10%), 뇌격(1.45배 명중항 곱셈보정), 포격지원(1.02~1.12 명중항 곱셈보정)
- 과적, 피트
- 과적 및 피트는 포1개당 적용이나 포마다 똑같은 수치가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누적에 따른 변화량도 다르다
ㄴ과적은 1개에서 가장 패널티가 크고 이후 sqrt(주포수)에 따라 패널티가 늘어난다
ㄴ다만 최근 검증(16년 5월이후 위키아, 니코나마)에서는 sqrt가 아니라 단순 덧셈, 뺼셈쪽에 더 부합
ㄴ피트는 캡도달시(+6) 그이상의 추가보너스는 못받음(콩고 예외)
ㄴ결혼시(일부 적용) : 과적패널티 감소, 바닐라에서 피트, 피트는 변화없음
2] 주간뇌격 명중율 (최종수정 : 16년 8월 22일)
- 명중율 : 명중항 - 회피항 , 실명중율100% = 명중율100
명중항 : [95 + 2*sqrt(칸무스Lv) + 0.75*개수]*[92 + 0.2*칸무스뇌장*진형보정 + 1.15*sqrt(장비뇌장*진형보정)] + 0.1*장비뇌장 + 0.15*sqrt(운)
진형보정 : T유리(1.2), 동항(1), 반항(0.8), T불리(0.6)
키라상태(피로도53이상)에서 명중항에 1.45 곱함
회피항 : 진형상수>회피치 : 50*회피치/진형상수
진형상수≤회피치 : 100*회피치/(진형상수+회피치)
진형상수 : 단종&복종(41), 윤형(36.3)
*해당식에서 소나에 의한 회피보정은 적용X
- 명중율 캡은 97%
- 잔탄량은 명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명중율은 진형에 따라 다름 (단종>복종>제형>윤형>단횡)
- 소나장착 및 소나개수로 뇌격 회피율이 증가한다
- 소나종류에 따른 회피율차이는 없다( 개수상태가 같아도 마찬가지)
3] 대잠 명중율
- 소나와 폭뢰를 같이 착용했을때 명중증가는 미약하거나 없다(공식언급에선 2번에 걸쳐서 있다고 말함)
- 대잠회피는 운에 영향을 받는다
- 연합함대에서 대잠 명중율은 1함대>2함대, 기동>수상
4] 컷인 (최종수정 : 16년 8월 22일)
Xe(현재 일위키의 컷인식을 만든 유저고 하루의 추정식을 보고 재수정, 그전 운캡은 60을 주장)
컷인율(%) : 12.5 + 운*0.83 + Lv*0.07 + 기함(12) + 중파(16) + 장비보정
ㄴ 운캡(50, 초과시 소프트캡), 레벨캡(100, 초과시 하드캡. 소프트캡으로 가정했을때보다 하드캡의 AIC가 더 높은데 왜 이리 표시했는지는 의문)
ㄴ 방어함의 운수치에 따라 컷인율이 내려가지않냐는 의심이 있기에 현재 해당 건에 대해 검증중
- 피로도 및 진형은 컷인율과 상관없다
- 탐조등 : 아군 컷인율증가(5%), 적군 컷인율 감소(10%)
저격 및 피탄율 증가, 탐조등강화시 기존 탐조등의 모든 능력(디버프포함)이 강화
탐조등의 어그로능력 및 장착함의 피탄율은 대형탐조등>탐조등맥강>탐조등
칸무스99레벨기준 일반탐조등은 회피항이 약 30가량 줄어든다
칸무스 운캡이상에서도 적용받는다
어그로 : 탐조등(수반함 30%) 탐조등맥(기함 16%) 대형탐조등(기함 24%) 대형탐조등맥(수반함 40%)
- 조명탄 : 아군 컷인율증가(5%), 적군 컷인율 감소(10%), 1개의 발동율은 60%이상
조명탄 3개 착용기준으로 조명탄의 발동율이 100%에 가깝게 도달(캡이 97%라고 가정한다면 캡도달)
칸무스 운캡이상에서도 적용 받는다
- 견시원 : 장착함의 컷인율증가, 칸무스 운(50~60)이상에서는 적용받지 않는다
* 일반탐조등 맥강시 실제 아군이 저격될 확률추정
(소수둘째반올림, 단종진(실측치의 45%기함방어 전제), 수반함5명 및 전원소파미만(수는 영향 거의 안준다 가정, 기함커버시 커버된 함선 피탄으로 가정))
- 장착안함 : 기함(9.1), 2~6번함(18.2)
- 기함에 탐조등 맥강 장착(실검증의 +17.44% 어그로를 적용) : 기함(18.8), 2~6번함(16.2, '가'보다 2%감소)
- 2번함에 탐조등 맥강 장착 : 기함(7.3), 2번함(34.1), 3~6번함(14.5, '나'보다 '1.7%'감소)
5] 링크
http://ja.kancolle.wikia.com/wiki/艦これ_検証Wiki
http://kancolle.wikia.com/wiki/User:Homuhomu123
http://bs-arekore.at.webry.info/
http://ch.nicovideo.jp/pixy_for_ever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q60fyfqc2ZgGmCTZHUy8QgAXOFl6ka_Him8IGJbx74o/edit#gid=0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gP20QDkWaN-fyDckR--RTqJZ8wclWnBBxtcU4N4oetw/edit#gid=0
http://ch.nicovideo.jp/HSG/blomaga/ar1060514
확인해야할 것
기존 피트 적용을 sqrt로 하는것과 wainot유저쪽의 기본베이스+추가치로 하는걸 따로 적용해보니
후자쪽 AIC값이 더 낮긴한데 pixy의 부채꼴글에 있는 자료로만 하면 sqrt식이 더 맞아떨어짐
일단 저 2개와 달리 7~8월 콩고검증은 기본베이스+추가치에 해당하는데도 wainot유저는 기존의 피트대로 잡은터라
이부분을 수정
또한 유의차발생은 아니지만 위키아쪽 콩고로 전주포검증하는 꿈유저랑 기존 결혼링크에 추가로 올라가는 자료에서 상이한 결과가 나옴
이건 일단 꿈유저쪽을 기본으로 잡고 유의차가 나는지 확인
댓글 영역